KR102133704B1 -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04B1
KR102133704B1 KR1020200027002A KR20200027002A KR102133704B1 KR 102133704 B1 KR102133704 B1 KR 102133704B1 KR 1020200027002 A KR1020200027002 A KR 1020200027002A KR 20200027002 A KR20200027002 A KR 20200027002A KR 102133704 B1 KR102133704 B1 KR 10213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ole
wall
communication c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윤
Original Assignee
(주)건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엠이씨 filed Critical (주)건일엠이씨
Priority to KR102020002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낙하사고 없이 안전하게 보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장형의 바 형상으로, 상부에는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설치공이 형성된 상부고정바와, 상기 상부고정바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설치공이 형성된 하부고정바와, 상기 상부고정바와 하부고정바를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전면에는 복수개의 거치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바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바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의 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장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바가 돌출 구비된 체결구와, 상기 연결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막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면에는 통신케이블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안착구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는 볼트 를 통하여 체결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바와, 상기 벽체와 마주보게 연결바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연결롤러와, 상기 연결롤러와 대향되게 연결바의 외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하부고정바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롤러를 따라 상기 거치공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롤러의 안내에 따라 상기 삽입공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 시, 연결와이어를 당겨, 케이블고정바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낙하사고 없이 안전하게 보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이란, 다수의 거주자가 머무는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동주택에는 거주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개의 통신 케이블 배선이 이루어진다.
이때, 통신 케이블은 지상에 설치되는 전신주 등을 통하여 배선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 거치기구 등을 통하여 많은 세대의 거주자들에게 통신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거치하기 위해서는 각종 케이블 거치기구 등이 사용되나, 효율성과 안전성에서는 케이블의 거치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천정의 하단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가 제안되어 많은 양의 통신선을 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케이블 트레이를 통한 통신선의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구조들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낙하사고와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었다.
또한, 사용이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가 건축물의 외관을 손상시킬 수 있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보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2003-00960(2003.01.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통신케이블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의 외벽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에 처짐 현상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통신케이블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의 배선 위치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통신케이블 배선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견고하게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관할 수 있어, 케이블 트레이의 낙하사고와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안전한 보관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케이블 트레이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케이블 트레이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통신케이블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통신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장형의 바 형상으로, 상부에는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설치공이 형성된 상부고정바와, 상기 상부고정바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설치공이 형성된 하부고정바와, 상기 상부고정바와 하부고정바를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전면에는 복수개의 거치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바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바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의 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장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바가 돌출 구비된 체결구와, 상기 연결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막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면에는 통신케이블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안착구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체결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바와, 상기 벽체와 마주보게 연결바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연결롤러와, 상기 연결롤러와 대향되게 연결바의 외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하부고정바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며 연결롤러를 따라 거치공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롤러의 안내에 따라 상기 삽입공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 시, 연결와이어를 당겨, 케이블고정바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바의 하단에는 연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상기 지지바의 전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바가 상기 조절장치의 작동에 따라 지지바의 전면으로 밀착되게 위치될 시, 상기 지지바의 전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바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에는 조절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에는 상기 조절볼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통신케이블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건축물의 외벽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에 처짐 현상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통신케이블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의 배선 위치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통신케이블 배선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견고하게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관할 수 있어, 케이블 트레이의 낙하사고와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안전한 보관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케이블 트레이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케이블 트레이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통신케이블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가 벽체에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회동바의 연결홈에 고정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통신용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장형의 바 형상으로, 상부에는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설치공(11a)이 형성된 상부고정바(11)와, 상기 상부고정바(11)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설치공(12a)이 형성된 하부고정바(12)와, 상기 상부고정바(11)와 하부고정바(12)를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전면에는 복수개의 거치공(13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장공(13b)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바(12)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관통공(13c)이 형성된 연결바(13)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1)의 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바(10)와, 상기 장공(13b)과 대응되는 체결공(21a)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a)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연결공(21b-1)을 갖는 연결바(21b)가 돌출 구비된 체결구(21)와, 상기 연결공(21b-1)과 대응되는 삽입공(22a)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공(22b-1)이 형성된 지지막대(22b)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면에는 통신케이블(2)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안착구(22c)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체결구(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2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바(20)와, 상기 벽체(1)와 마주보게 연결바(13)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연결롤러(31)와, 상기 연결롤러(31)와 대향되게 연결바(13)의 외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지지롤러(32)와, 상기 하부고정바(12)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3)와,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33)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13c)을 관통하며 연결롤러(31)를 따라 거치공(13a)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롤러(32)의 안내에 따라 상기 삽입공(22a)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33)의 작동 시, 연결와이어(34)를 당겨, 케이블고정바(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1)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볼트공을 미리 설정한 위치에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장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제1설치공(11a)이 형성된 상부고정바(11)와, 상기 상부고정바(11)와 대향되게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2설치공(12a)이 형성된 하부고정바(12)와, 상기 상부고정바(11)와 하부고정바(12)를 연결하게 설치되는 연결바(1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고정바(11)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설치공(11a)에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벽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고정바(12)는 제2설치공(12a)에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상부고정바(11)가 설치된 벽체(1)의 하부에 상부고정바(11)와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13)는 상기 상부고정바(11)와 하부고정바(12)에 연결되어 벽체(1)의 전면을 감싸도로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전면에는 복수개의 거치공(13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장공(13b)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바(12)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관통공(13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거치공(13a)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조절장치(30)의 연결와이어(34)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도 3과 같이, 회동바(22)의 지지막대(22b)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공(13b)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체결구(21)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구(21)의 체결공(21a)이 장공(13b)의 일측에 밀착을 이룬 상태에서, 체결공(21a)에 삽입되는 볼트(P)가 장공(13b)에 체결되도록 하여 연결바(13)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구(21)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13c)은 상기 조절장치(30)의 연결와이어(34)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고정바(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연결바(13)의 장공(13b)과 대응되는 체결공(21a)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a)과 대응된느 부위에는 연결공(21b-1)을 갖는 연결바(21b)가 돌출 구비된 체결구(21)와, 상기 연결공(21b-1)과 대응되는 삽입공(22a)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공(22b-1)이 형성된 지지막대(22b)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면에는 통신케이블(2)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안착구(22c)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체결구(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2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21)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바(13)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연결바(13)의 관통공(13c)에 체결공(21a)을 밀착 시켜 결합하는 경우에도 관통공(13c)에 밀착되는 체결공(21a)의 위치를 조절하며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연결바(13)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구(21)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며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22)는 상기 체결구(21)의 연결공(21b-1)에 삽입공(22a)이 밀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연결공(21b-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연결공(21b-1)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바(2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어,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바(22)의 지지막대(22b)에 형성된 고정공(22b-1)으로 조절장치(30)의 연결와이어(34)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와이어(34)이 조절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구(21)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안착구(22c)는 회동바(22)의 상부에 복수개 구비되어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통신케이블(2)이 안착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고정바(2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지지막대(22b)의 고정공(22b-1)에 연결된 연결와이어(34)를 조절하여, 도시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체결구(21)에 결합된 회동바(22)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선이 이루어진 통신케이블(2)에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배선된 통신케이블(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신케이블(2)을 배선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연결와이어(34)를 조절하여, 연결바(13)의 일측으로 케이블고정바(20)가 밀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케이블고정바(20)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하여 낙하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벽체(1)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도는 케이블고정바(20)로 인하여 건축물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34)는 조절장치(30)의 회전모터(33)로 조절되는 것ㅇ로, 이러한 조절장치(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절장치(30)는 상기 벽체(1)와 마주보게 연결바(13)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연결롤러(31)와, 상기 연결롤러(31)와 대향되게 연결바(13)의 외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지지롤러(32)와, 상기 하부고정바(12)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3)와,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33)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13c)을 관통하며 연결롤러(31)를 따라 거치공(13a)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롤러(32)의 안내에 따라 상기 삽입공(22a)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33)의 작동 시, 연결와이어(34)를 당겨, 케이블고정바(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롤러(31)오 지지롤러(32)는 상기 회전모터(33)에 연결된 연결와이어(34)를 케이블고정바(20)의 회동바(22)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와이어(34)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33)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13c)을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롤러(31)를 따라 거치공(13a)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롤러(32)의 안내에 따라 상기 삽입공(22a)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회전모터(33)를 작동시켜, 연결와이어(34)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케이블고정바(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바(22)의 하단에는 연결홈(22d)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2d)에는 상기 지지바(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바(20)가 상기 조절장치(30)의 작동에 따라 지지바(10)의 전면으로 밀착되게 위치될 시, 상기 지지바(10)의 전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2)을 연결하는 고정바(4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바(10)의 일측으로 케이블고정바(20)를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회동바(22)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22d)으로 고정바(40)를 결합하여 지지바(10)의 일측에 위치된 케이블고정바(20)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34)에는 조절볼(34a)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바(13)에는 상기 조절볼(34a)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35)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모터(33)를 작동시켜, 연결와이어(34)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회전모터(33)와 연결와이어(34)이 결합이 분리되거나, 연결와이어(34)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브라켓(35)에 조절볼(34a)이 걸리도록 구성하여, 연결와이어(34)가 결합된 케이블고정바(20)가 낙하하거나, 급격한 회전을 이루며 지지바(10)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통신케이블
10: 지지바 11: 상부고정바
11a: 제1설치공 12: 고정바
12a: 제2설치공 13: 연결바
13a: 거치공 13b: 장공
13c: 관통공 20: 케이블고정바
21: 체결구 21a: 체결공
21b: 연결바 21b-1: 연결공
22: 회동바 22a: 삽입공
22b: 지지막대 22b-1: 고정공
22c: 케이블안착구 22d: 연결홈
30: 조절장치 31: 연결롤러
32: 지지롤러 33: 회전모터
34: 연결와이어 40: 고정바
P: 볼트

Claims (3)

  1.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장형의 바 형상으로, 상부에는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설치공(11a)이 형성된 상부고정바(11)와, 상기 상부고정바(11)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설치공(12a)이 형성된 하부고정바(12)와, 상기 상부고정바(11)와 하부고정바(12)를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전면에는 복수개의 거치공(13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장공(13b)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바(12)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관통공(13c)이 형성된 연결바(13)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1)의 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바(10)와,
    상기 장공(13b)과 대응되는 체결공(21a)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a)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연결공(21b-1)을 갖는 연결바(21b)가 돌출 구비된 체결구(21)와, 상기 연결공(21b-1)과 대응되는 삽입공(22a)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공(22b-1)이 형성된 지지막대(22b)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면에는 통신케이블(2)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안착구(22c)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체결구(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2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바(20)와,
    상기 벽체(1)와 마주보게 연결바(13)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연결롤러(31)와, 상기 연결롤러(31)와 대향되게 연결바(13)의 외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지지롤러(32)와, 상기 하부고정바(12)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3)와,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33)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13c)을 관통하며 연결롤러(31)를 따라 거치공(13a)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롤러(32)의 안내에 따라 상기 삽입공(22a)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33)의 작동 시, 연결와이어(34)를 당겨, 케이블고정바(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2)의 하단에는 연결홈(22d)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2d)에는 상기 지지바(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바(20)가 상기 조절장치(30)의 작동에 따라 지지바(10)의 전면으로 밀착되게 위치될 시, 상기 지지바(10)의 전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2)을 연결하는 고정바(4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34)에는 조절볼(34a)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13)에는 상기 조절볼(34a)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35)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0200027002A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13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02A KR102133704B1 (ko)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02A KR102133704B1 (ko)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04B1 true KR102133704B1 (ko) 2020-07-14

Family

ID=7152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02A KR102133704B1 (ko)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75B1 (ko) *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234816B1 (ko) * 2020-11-27 2021-04-01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273242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KR102313572B1 (ko) *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다단식 케이블 트레이
CN114784735A (zh) * 2022-04-27 2022-07-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曹县供电公司 一种用于电线电缆的举线装置
KR20220149034A (ko) * 2021-04-30 2022-11-08 (주)네오티엔씨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085B1 (ko) * 2019-02-01 2019-06-10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93607B1 (ko) * 2019-02-01 2019-06-27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케이블 트레이 안전장치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20266B1 (ko) * 2019-06-21 2019-09-10 이경미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35037B1 (ko) * 2019-04-23 2019-11-08 주식회사 삼덕엔지니어링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085B1 (ko) * 2019-02-01 2019-06-10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93607B1 (ko) * 2019-02-01 2019-06-27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케이블 트레이 안전장치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35037B1 (ko) * 2019-04-23 2019-11-08 주식회사 삼덕엔지니어링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0266B1 (ko) * 2019-06-21 2019-09-10 이경미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75B1 (ko) *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273242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KR102234816B1 (ko) * 2020-11-27 2021-04-01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313572B1 (ko) *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다단식 케이블 트레이
KR20220149034A (ko) * 2021-04-30 2022-11-08 (주)네오티엔씨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2630088B1 (ko) * 2021-04-30 2024-01-29 (주)네오티엔씨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CN114784735A (zh) * 2022-04-27 2022-07-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曹县供电公司 一种用于电线电缆的举线装置
CN114784735B (zh) * 2022-04-27 2023-06-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曹县供电公司 一种用于电线电缆的举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704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83195B1 (ko)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456680B1 (ko)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KR102225875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313572B1 (ko) 건축용 다단식 케이블 트레이
KR10223481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28675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0691394B1 (ko)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2019192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KR102201489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420700Y1 (ko)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0728313B1 (ko)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20230120248A (ko) Cctv 3단 높이조절 등주
JP4341618B2 (ja) 浴室換気乾燥装置
KR102526408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20190096846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KR101967166B1 (ko) 공동주택용 천장형 케이블트레이
KR200283224Y1 (ko)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
KR200307537Y1 (ko) 벽면 부착형 행거의 걸이대 각도 조절구조
KR10103637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200459368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KR19990022561U (ko) 케이블트레이지지용브래킷의길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