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68Y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68Y1
KR200459368Y1 KR2020110001193U KR20110001193U KR200459368Y1 KR 200459368 Y1 KR200459368 Y1 KR 200459368Y1 KR 2020110001193 U KR2020110001193 U KR 2020110001193U KR 20110001193 U KR20110001193 U KR 20110001193U KR 200459368 Y1 KR200459368 Y1 KR 200459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ngle
support bracket
speak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경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이엠엘시스템
Priority to KR2020110001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Abstract

하중체를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하중체의 일측에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이 연결되어 연장되며, 소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요홈부의 아래쪽에 연장형성된 가이드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요홈부 중의 어느 하나의 요홈부에 이동 결합가능하며, 결합되는 요홈부의 위치에 따른 상기 하중체의 기울기 조절 및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 및 상기 하중체의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상기 지지 브라켓 및 상기 각도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가이드부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요홈부에 상기 각도 조절부를 이동 결합가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천장에 단지 하나의 통공만을 형성하고서도 브라켓에서의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에 따라 하중체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bracket enabling the angle regulation to be available}
본 고안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부착되어 하중체, 예컨대 스피커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당이나 강의실과 같은 실내공간의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스피커는 스피커를 천장 고정 시 천장에서 삼각형 모양의 3포인트에 체인을 내려 스피커를 매달고 있다.
이것은 앞쪽의 2포인트로 좌우의 각도를 맞추고, 뒤쪽의 1포인트로 상하 각도를 맞추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시 한번 체인을 내리면 좌우 각도 조정이 불가능하며, 천장 안쪽 상황이 체인을 내릴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천장에 스피커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시공시 3포인트에 원형볼트를 박아야 하는데 천장 내부 상황이 원하는 위치에 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원형볼트를 옮겨서 박으면 천장 면에 구멍이 생겨 인테리어를 망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장에 하나의 통공 만을 형성하여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에 따라 하중체, 예컨대 스피커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의하면, 하중체를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하중체의 일측에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에 일측이 연결되어 연장되며, 소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의 아래쪽에 연장형성된 가이드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 중의 어느 하나의 요홈부에 이동 결합가능하며, 결합되는 요홈부의 위치에 따른 상기 하중체의 기울기 조절 및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 및 상기 하중체의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상기 지지 브라켓 및 상기 각도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가이드부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에 상기 각도 조절부를 이동 결합가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이 제공된다. 상기 결합부는 예컨대,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체결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요홈부와 쐐기 형태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끼움 및 고정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상기 지지 브라켓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중체는 스피커 장치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천장에 단지 하나의 통공만을 형성하고서도 브라켓에서의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에 따라 하중체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하중체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주변의 흔들림에도 고정하고자 하는 하중체를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하중체에 고정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이 각각 결합될 수 있음에 따라 간단하고 쉽게 조립하면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위치를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요홈부들중에서 임의의 요홈부에 각도 조절부가 체결되어 하중체의 설치 각도가 지정된 상태에서, 하중체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통해 결합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른 요홈부에 바꾸어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하중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하중체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서 고정 브라켓 및 지지 브라켓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스피커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이 스피커에 결합된 정면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이 스피커에 결합된 배면 구조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이 스피커에 결합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서 고정 브라켓 및 지지 브라켓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서 고정 브라켓 및 지지 브라켓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100)은 고정 브라켓(110), 지지 브라켓(120), 각도 조절부(130),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은 하중체의 일측에 결합가능하도록 예컨대, 바닥 수평면 양측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공(112)은 결합 부재, 예컨대 육각볼트(114)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110)을 상기 하중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하중체에 형성된 플라잉 포인트 홀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중체'라 함은 자신 또는 함께 결합된 부속물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형성된 하중(weight)을 가지고 있으며 예컨대, 스피커와 같은 음향기기, 조명, 전시물, 조형물, 시설물, 설치물과 같이 예컨대 공중에 매달 수 있는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공(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하중체, 예컨대 스피커의 사양에 따라 플라잉 포인트 홀의 위치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잉 포인트의 위치 변화에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라잉 포인트 홀의 위치에 상응하여 결합부재, 예컨대 육각 볼트(114)가 상기 결합공(112)내에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예컨대 'ㄴ'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하중체의 상단부 전방측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일측이 연결되며, 복수개의 각도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면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 브라켓(120)은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130)는 상기 지지 브라켓(120)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각도 조절공(122)에 이동 결합가능하여 하중체의 기울기 조절 및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부(130)는 예컨대, 나사와 후크(132)가 각도 조절공(122)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무게중심의 변화를 이용하여 하중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지지 브라켓(120)의 타측 및 상기 하중체의 타측에 결합가능하여 서로 연결하며 하중체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지지 브라켓(120)의 후방에서 예컨대, 나사와 결합되면서 예컨대, 하중체의 후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는 지지 연결고리(142)를 예컨대 체인(144)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하중체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이 결합되고, 지지 브라켓(120)에 후크(132)가 장착된 상태로, 고정 브라켓(110)을 하중체에 결합시키면, 하중체를 매달아 설치할 천장의 위치에 하나의 통공 만을 형성시켜 고정된 원형볼트에 후크(132)가 체결 고정됨으로써 하중체를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100)을 이용하면, 천장에 하나의 통공만을 형성하여 하중체를 매달 수 있으며,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위치 조정에 따라 하중체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ㄴ'자 형태를 가져 바닥 수평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공(112)을 형성한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면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0)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의 결합 모양이 'T'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자 형태를 가지면서 바닥 수평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공(112)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공(112)은 고정 브라켓(110)을 스피커(10)의 상단부에 결합하기 위해 스피커(10)에 형성된 플라잉 포인트 홀(12)의 해당 부위를 따라 결합공(112)내에서 결합 부재, 예컨대 육각 볼트(114)가 좌우 이동하여 플라잉 포인트 홀(12) 위치에 결합하도록 위치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브라켓(12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서로 간에 인접하는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각도 조절공(12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면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0)이 나란히 각각 결합되어 'T'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은 예컨대 음향 장치의 대표적인 예인 스피커를 천장에 설치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하여 스피커를 천장에 설치 시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이용하면, 천장에 필요로 하는 하나의 통공 만을 형성하여 후크와 연결 고정되어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에 따라 스피커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이 각각 결합 됨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조립하면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위치를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스피커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이 'T'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에 설치할 스피커(10)의 상단부 전방 측에 형성되어 있는 플라잉 포인트 홀(12)에 고정 브라켓(110)의 결합공(112)이 겹치도록 위치시킨다.
즉, 스피커(10)의 사양이 다름으로 인해 스피커(10)의 상단에 형성된 플라잉 포인트 홀의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결합공(11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스피커(10)의 상단에 형성된 플라잉 포인트 홀(12)의 좌우 간격 폭에 상관없이 길게 형성된 결합공(112)을 이용하여 결합 부재, 예컨대 육각 볼트(114)로 플라잉 포인트 홀(12)에 정확하게 결합하여 스피커(10) 상단에 고정 브라켓(110)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이 스피커에 결합된 정면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이 스피커에 결합된 배면 구조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한 쌍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서로 연통되는 각도 조절공(122)을 형성하되, 상기 각도 조절공(122)의 소정 간격 사이에 나사로 후크(13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132)는 예컨대, 천장에 하나의 포인트로 통공되어 구비된 원형볼트에 결합시켜 스피커(10)를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132)로 천장에 설치된 스피커(10)의 지지 브라켓(120) 후방 하단에 형성된 지지 연결고리(142)에 체인(144)이 연결되어 상단에 위치하는 지지 브라켓(120)에 나사로 체결 고정된다.
후크(132)가 장착된 지지 브라켓(120)이 후방에서 나사와 결합되면서 스피커(10)의 후측 하단에 형성된 지지 연결고리(142)를 체인(144)으로 연결하여 스피커(10)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면서 스피커(10)의 하중을 지탱하는 연결부(140)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120)의 각도 조절공(122)에 체인(144)이 연결 고정되고 지지되어, 스피커(1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체인(144)의 길이를 팽팽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40)는 필요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40)의 체인(144)은 스피커(10)가 스피커 브라켓(10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변의 흔들림에도 고정하고자 하는 스피커(10)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10)에 부착된 지지 연결고리(142)와 체인(144)이 결합되어 지지 브라켓(12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같이, 고정 브라켓(110)과 후크(132)가 장착된 지지 브라켓(120)이 스피커(10)의 상단에 장착 구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120)의 후방에서 체인(144)으로 지지 브라켓(120)과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브라켓(100)이 스피커(10)에 준비되어 천장에 위치한 원형볼트에 후크(132)가 결합되면서 스피커(10)가 천장에 설치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후크(132)는 360°회전이 가능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고, 잠금부(133)가 구비되는 안전 후크장치일 수 있다.
상기 후크(132)의 회전 기능으로 천장에 장착된 스피커(10)의 수평 좌우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10)의 상하로 각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130)로는 지지 브라켓(120)에 나사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각도 조절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와 후크(132)가 각도 조절공(122)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무게중심이 변하여 상기 스피커(10)의 기울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이것은, 상기 후크(132)와 결합된 나사가 지지 브라켓(120)의 각도 조절공(122)에서 전측으로 이동시 무게 중심이 뒤에 있어 스피커(10)가 위를 보도록 되며, 나사가 지지 브라켓(120)의 각도 조절공(122)에서 후측으로 이동하면 무게 중심이 앞에 있어 스피커(10)가 아래를 보게 되는 각도 조절이다.
아울러, 상기 스피커(10)에 장착된 스피커 브라켓(100)의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을 이용하여 스피커(1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피커(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10)를 건물의 천장에 설치될 곳으로 정해진 천장에 각각 하나의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상태로 있는 원형볼트에 후크(132)가 연결 고정되고,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에서 제공하는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에 따라 스피커(10)의 상하 좌우 자유롭게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피커(10)의 지향각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정확하게 스피커(10)의 지향각을 확인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스피커(10)의 지향각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천장의 설치 위치에 따라 스피커(10)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천장에 하나의 통공 만을 형성하여 스피커(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후크(132)와 연결 고정되어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에 따라 스피커(10)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정하는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이 각각 결합 됨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조립하면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위치를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의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서 고정 브라켓 및 지지 브라켓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일측이 연결되며, 복수개의 요홈부(123)와, 요홈부(123)의 아래쪽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 연결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복수개의 요홈부(123)와, 상기 가이드부(124)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상기 지지 브라켓(120)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4개의 요홈부(123)와 하나의 가이드부(124)가 4개의 세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요홈부(123)의 개수와 상기 세트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 요홈부(123)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지만, 요홈부(123)의 형태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부(130)는 상기 지지 브라켓(120)에 형성된 가이드부(124)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요홈부(123)중에서 어느 하나에 이동 결합가능하여, 결합되는 요홈부(123)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10)의 기울기 조절 및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부(130)는 예컨대, 나사와 후크(132)가 요홈부(123)에 따라 가이드부(124)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무게중심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피커(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지지 브라켓(12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홈(125) 및 상기 스피커(10)의 타측에 결합가능하여 서로 연결하며 스피커(10)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지지 브라켓(120)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홈(125)에서 예컨대, 나사와 결합되면서 예컨대, 스피커(10)의 후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는 지지 연결고리(142)를 예컨대 체인(144)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스피커(1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이 결합되고, 지지 브라켓(120)의 요홈부(123)에 후크(132)가 장착된 상태로, 고정 브라켓(110)을 스피커(10)에 결합시키면, 스피커(10)를 매달아 설치할 천장의 위치에 하나의 통공 만을 형성시켜 고정된 원형볼트에 후크(132)가 체결 고정됨으로써 스피커(10)를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100)을 이용하면, 천장에 하나의 통공만을 형성하여 스피커(10)를 매달 수 있으며,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위치 조정에 따라 스피커(10)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ㄴ'자 형태를 가져 바닥 수평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112)을 형성한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면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0)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의 결합 모양이 'T'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 브라켓(120)은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지지 브라켓(12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서로 간에 인접하는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복수개의 요홈부(123)와, 요홈부(123)의 아래쪽에 가이드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면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0)이 나란히 각각 결합되어 'T'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120)은 한 쌍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요홈부(123)와 요홈부(123)의 아래쪽에 가이드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123)에 나사로 후크(132)(도 7 및 도 8을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132)는 예컨대, 천장에 하나의 포인트로 통공되어 구비된 원형볼트에 결합시켜 스피커(10)를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132)로 천장에 설치된 스피커(10)의 지지 브라켓(120) 후방 하단에 형성된 지지 연결고리(142)에 체인(144)이 연결되어 상단에 위치하는 지지 브라켓(120)의 연결홈(125)에 나사로 체결 고정된다.
후크(132)가 장착된 지지 브라켓(120)이 후방에서 연결홈(125)를 통해 나사와 결합되면서 스피커(10)의 후측 하단에 형성된 지지 연결고리(142)를 체인(144)으로 연결하여 스피커(10)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면서 스피커(10)의 하중을 지탱하는 연결부(140)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천장에 하나의 통공 만을 형성하여 스피커(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후크(132)와 연결 고정되어 무게 중심 위치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에 따라 스피커(10)의 상하 및 수평 좌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정하는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 브라켓(120)이 각각 결합 됨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조립하면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위치를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20)에 형성된 요홈부들(123)중에서 임의의 요홈부(123)에 각도 조절부(130)가 체결되어 스피커(10)의 설치 각도가 지정된 상태에서, 스피커(10)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 지지 브라켓(120)과 각도 조절부(130)의 후크(132)를 연결하는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지지 브라켓(120)에 형성된 가이드부(124)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른 요홈부(123)에 바꾸어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스피커(10)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스피커(1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너트외에도 요홈부(123)와 쐐기 형태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끼움 및 고정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결합부재에 의해 각도 조절부(130)가 요홈부(123)에 체결되는 경우 스피커(10)의 하중에 의해 각도 조절부(130)와 요홈부(123)의 체결이 자연스럽게 견고해지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이하에 청구하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설명함에 있어 음향 장치의 일예로서 스피커 장치를 천장에 설치하는 것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스피커 장치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임의의 결합면에 설치되어 매달릴 수 있는 어떠한 하중체에도 다양하게 적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체는 공기 뿐만 아니라 물 또는 기름과 같은 유체내에서 임의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거나, 굳이 각도 조절을 요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임의의 물체를 매달아 설치하는 예컨대, 다양한 건설 현장, 선박 건조 현장, 및 조명등과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각종 공연 현장, 조형물, 전시물이 전시되는 전시장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천장에 하나의 포인트로 통공되어 구비된 원형볼트에 결합시켜 스피커를 천장에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천장에 반드시 하나의 포인트만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이 분리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을 일체로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이 "T" 형태로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지지 브라켓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또는 다양한 형태로 또는 다양한 개수로, 다양한 결합위치에서 결합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의 형상을 "ㄴ"자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그 형상에 있어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브라켓의 형상,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들의 형상,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각도 조절공들의 형상, 지지 브라켓에 형성되는 요홈부의 형상, 지지 브라켓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공들, 각도 조절공들, 또는 요홈부를 복수개 형성함에 있어 그 형성되는 간격들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연결부를 형성함에 있어 지지 브라켓의 후방과 하중체의 후측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예컨대 지지 브라켓의 후방과 하중체의 상부 후측, 하중체의 상부 중간지점, 하중체의 후측 상부, 하중체의 후측 중간지점 등 그 연결 위치에 있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10:스피커 12:플라잉 포인트 홀
100:스피커 브라켓 110:고정 브라켓
112:결합공 114:육각 볼트
120:지지 브라켓 122:각도 조절공
123 : 요홈부 124 : 가이드부
125 : 연결홈 130:각도 조절부
132:후크 133:잠금부
140:연결부 142:지지 연결고리
144:체인

Claims (3)

  1. 하중체를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하중체의 일측에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이 연결되어 연장되며, 소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요홈부의 아래쪽에 연장형성된 가이드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요홈부 중의 어느 하나의 요홈부에 이동 결합가능하며, 결합되는 요홈부의 위치에 따른 상기 하중체의 기울기 조절 및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 및 상기 하중체의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 및 상기 각도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가이드부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 의 요홈부에 상기 각도 조절부를 이동 결합가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요홈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상기 지지 브라켓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2020110001193U 2011-02-11 2011-02-11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200459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93U KR200459368Y1 (ko) 2011-02-11 2011-02-11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93U KR200459368Y1 (ko) 2011-02-11 2011-02-11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368Y1 true KR200459368Y1 (ko) 2012-03-23

Family

ID=4762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193U KR200459368Y1 (ko) 2011-02-11 2011-02-11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805B1 (ko) * 2016-05-18 2016-11-15 삼건세기(주) 배관용 내외면 코팅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코팅배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49Y1 (ko) 2006-10-18 2007-10-30 이헌 대형 스피커용 행거
KR100867964B1 (ko) 2007-04-05 2008-11-10 심영호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
KR100867965B1 (ko) 2007-04-17 2008-11-10 심영호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
KR101036375B1 (ko) 2009-08-26 2011-06-01 (주)에이엠엘시스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49Y1 (ko) 2006-10-18 2007-10-30 이헌 대형 스피커용 행거
KR100867964B1 (ko) 2007-04-05 2008-11-10 심영호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
KR100867965B1 (ko) 2007-04-17 2008-11-10 심영호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
KR101036375B1 (ko) 2009-08-26 2011-06-01 (주)에이엠엘시스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805B1 (ko) * 2016-05-18 2016-11-15 삼건세기(주) 배관용 내외면 코팅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코팅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70308A (ja) ブラケット組立体及び方法
US9133981B2 (en) Hanger system for suspendible illuminated fixtures
KR102133704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US5937073A (en) Hanging, positionable, speaker enclosure
KR10223481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40035100A (ko) 빔 클램프
AU2014371802B2 (en) Unit attaching device and indoor unit
CN101888800A (zh) 可变换的显示器台座系统和方法
KR200459368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10103637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US11608969B2 (en) Luminaire structures
RU129966U1 (ru) Монтажный профиль и панельная шина
CA3050232A1 (en) Ceiling system and hanger for suspending ceiling tiles or panels therefrom
CA2888544C (en) Primary and intermediate horizontal leveler
CN202094564U (zh) 母线安装支架
KR20180061707A (ko)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KR100728313B1 (ko)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SE535604C2 (sv) Upphängningsanordning
CN214739194U (zh) 一种吊顶摆叶的吊装结构
US20080278933A1 (en) Lamp with sail-like overhead element, preferably for improving acoustics, room formation, and indirect lighting of workplaces
JP6562622B2 (ja) 吊り天井装置
KR200492628Y1 (ko)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JP6120115B1 (ja) 屋内又は屋外空間部用のネット体、及び該屋内又は屋外空間部用のネット体の吊り張り方法
AU2003256509A1 (en) Mounting bracket, and method therefor
CN210536212U (zh) 一种电缆桥架用托臂及具有该托臂的电缆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