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28Y1 -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 Google Patents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28Y1
KR200492628Y1 KR2020190001585U KR20190001585U KR200492628Y1 KR 200492628 Y1 KR200492628 Y1 KR 200492628Y1 KR 2020190001585 U KR2020190001585 U KR 2020190001585U KR 20190001585 U KR20190001585 U KR 20190001585U KR 200492628 Y1 KR200492628 Y1 KR 200492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ing equipment
coupled
wir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59U (ko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2020190001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2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블의 배선 작업이 용이하고, 외부 설비유닛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단순화된 구조에도 불구하고 내구성과 설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좌측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우측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단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기 좌측프레임과 상기 우측프레임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펜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외부 구조물이 결합되는 걸림부가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중앙부가 상기 걸림부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공간부가 마련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DUCT FOR WIRING AND LIGHTING STRUCTURE ASSEMBLY USING THEREOF AND CATENARY STRUCTURE EQUIPMENT COMBINING THE SAME}
본 고안은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 지하나 옥내에 설치되어 전선 등의 각종 케이블을 보호하는 동시에 조명설비의 설치 및 관리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배선용 덕트와 조명설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덕트와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지진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내진형 현수선 구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의 지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노출된 천장에는 각종 배선의 설치 위치를 안내, 지지,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레이스웨이(Raceway)라고 불리는 배선용 덕트 구조물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실내 천장면에 행거를 설치한 다음 행거의 하단에 레이스웨이를 매다는 형태로 설치하여 행거가 레이스웨이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기존 레이스웨이의 설치구조에서는 지진과 같은 진동이 발생했을 경우 이러한 진동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행거가 천장면에서 분리되거나 레이스웨이가 행거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레이스웨이는 각 행거 위치에 따라 레이스웨이를 접속시켜야 하기 때문에, 적재적소에 레이스웨이를 배치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에는 조명설비를 포함한 방범용 카메라, 음향, 통신설비 등의 다양한 설비 유닛들이 부착될 수 있는데, 기존 레이스웨이는 지지력의 문제로 인하여 상기한 많은 수의 설비 유닛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많은 수의 설비 유닛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누적된 배선 작업으로 인하여 배선 덕트 내부에 케이블이 복잡하게 꼬여있고, 이러한 배선 상태나 설비유닛들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이스웨이나 각종 설비유닛의 분리와 결합이 원활하지 못해 관리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6026호(2017.09.07.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블의 배선 작업이 용이하고, 외부 설비유닛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단순화된 구조에도 불구하고 내구성과 설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는, 좌측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우측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단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프레임; 와이어결합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프레임 및 상기 우측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는 와이어결합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기 좌측프레임과 상기 우측프레임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펜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외부 구조물이 결합되는 걸림부가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중앙부가 상기 걸림부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재는, 상기 좌측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펜스부재 및 상기 우측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펜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펜스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스확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펜스확장부재는, 수직확장부; 상기 수직확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 걸림 지지되는 제1 클램프;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 걸림 지지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수직확장부와 상기 제2 클램프를 연결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명설비 어셈블리는, 앞에서 설명된 배선용 덕트; 상기 하부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조명모듈;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모듈을 보호하는 조명설비 보호커버;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조명모듈 보호커버의 양단에 결합되는 조명설비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조명설비 어셈블리는,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펜스부재와 상기 제2 펜스부재 사이공간에 삽입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건물의 내부공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둥부재;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를 연결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평와이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에서 설명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상기 조명설비 어셈블리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결합홈부에 삽입된 상기 수평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 끝단이 상기 와이어결합홈부의 내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와이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 중 어느 하나의 기둥부재와 상기 수평와이어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턴버클유닛은, 상기 수평와이어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는 턴버클브래킷; 및 상기 수평와이어와 상기 턴버클브래킷을 연결하며, 외력에 따라 상기 턴버클브래킷 상에서 상기 수평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는, 배선용 덕트의 하부프레임이 오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공간부에 조명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명어셈블리의 전체높이를 줄임과 동시에 조명모듈의 하부 조사각도를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배선용 덕트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배선용 덕트 내부에 응축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집수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펜스부재 및 펜스확장부재를 통하여, 배선되는 케이블의 분할 시공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배선 시공 및 배선 정리를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설비 어셈블리는, 배선용 덕트를 포함한 각종 설비유닛들의 원터치식 결합 구조를 통하여, 설치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과 분리가 손쉬워 유지보수 등 관리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수평와이어를 통하여 내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와이어에 결합되는 조명설비 어셈블리의 단순화된 구조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설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덕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스부재와 펜스확장부재의 구조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설비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명설비 어셈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평와이어와 조명설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덕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100)는 좌측프레임(110), 우측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프레임(110)과 상기 우측프레임(120)은 대향하며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130)을 매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프레임(110) 및 상기 우측프레임(120)은 하단이 하부프레임(130)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상기 좌측프레임(110)의 하단부와 상기 우측프레임(120)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프레임(110), 상기 우측프레임(120) 및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양단에는 외부 구조물이 결합되는 걸림부(13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측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볼록 형성된 중앙부가 상기 걸림부(13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걸림부(131)의 사이공간에는 외부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는 오목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하부프레임(130)은 하측에 결합되는 외부 구조물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배선용 덕트(100)의 내부에 습기 등으로 인한 수분이 발생될 경우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이 위치한 양측으로 수분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덕트 내부에 응축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집수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30)에는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의 사이공간과 연통되는 관통공(1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33)은 하측에 결합되는 외부 구조물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관통시킬 수 있고, 하측에 결합되는 외부 구조물의 일부를 관통시켜 외부 구조물의 일부가 배선용 덕트(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100)는 와이어결합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결합프레임(140)은 좌측프레임(110)의 상단에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결합홈부(141)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결합홈부(141)는 후술되는 수평와이어(2000:도 7)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와이어결합프레임(140)은 수평와이어(2000:도 7)가 측방에서 진입하여 와이어결합홈부(141)에 삽입 안착되도록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스부재와 펜스확장부재의 구조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100)는 펜스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부재(160)는 배선용 덕트(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부프레임(130)의 상면에서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재(160)는 하부프레임(130)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재(160)는 하부프레임(130)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160a)와, 상기 수직부(160a)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의 펜스부재(160)를 통하여, 하부프레임(130)의 상부에 배선된 케이블을 분리하여 배선할 수 있다.
또한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수직부(160a)의 끝단에 수평부(160b)를 배치함으로써, 배선된 케이블이 펜스부재(160)를 넘어 이웃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100)는 펜스확장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확장부재(170)는 상기 펜스부재(16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펜스부재(160)의 높이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배선되는 케이블의 양에 따라 상기 펜스확장부재(170)를 상기 펜스부재(160)에 추가적으로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펜스확장부재(170)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확장부(170a)와, 상기 수직확장부(170a)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160b)의 일단에 걸림 지지되는 제1 클램프(170b)와, 상기 수평부(160b)의 타단에 걸림 지지되는 제2 클램프(170c), 및 상기 수직확장부(170a)와 상기 제2 클램프(170c)를 연결하는 탄성변형부(17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170b)와, 제2 클램프(170c), 탄성변형부(170d)를 통하여 상기 펜스부재(160)에 대해 펜스확장부재(17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펜스부재(160)는 제1 펜스부재(161)와 제2 펜스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펜스부재(161)는 좌측프레임(1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펜스부재(162)는 우측프레임(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프레임(130)의 상측 공간은 제1 펜스부재(161)와 제2 펜스부재(162)의 사이공간인 중앙영역과, 좌측프레임(110)과 제1 펜스부재(161)의 사이공간인 좌측영역, 그리고 제2 펜스부재(162)와 우측프레임(120)의 사이공간인 우측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이렇게 구획된 공간은 상기 제1 펜스부재(161) 및 상기 제2 펜스부재(162)에 상기 펜스확장부재(170)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구획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획된 공간에는 예를 들어 동력케이블, 통신케이블, 음향케이블 등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과정에서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시공 후 유지보수 등의 관리가 편리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100)는 상부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50)은 좌측프레임(110)의 상단부와 우측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양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상부프레임(150)의 하면에는 끼움구(15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좌측프레임(110)의 상단부와 우측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프레임(150)을 안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끼움구(151)는 좌측프레임(110)과 우측프레임(120)의 사이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좌측프레임(110)의 상단부와 우측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된다.
이와 같이 탈부착 구조의 상부프레임(150)을 통하여 배선용 덕트(100)의 상측 공간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배선과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100)는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결합되는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일부분은 상기 제1 덕트의 하부프레임(130)과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 덕트의 하부프레임(130)과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덕트(100)는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직연결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설비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명설비 어셈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배선용 덕트(100)를 이용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는 배선용 덕트(100),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 조명모듈(300), 조명설비 보호커버(400), 조명설비 캡부재(500), 전원공급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용 덕트(100)는 상술한 배선용 덕트(100)가 이용된다.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은 상기 배선용 덕트(100)에 결합되며, 각종 조명설비들을 고정 지지한다. 즉, 조명모듈(300), 조명설비 보호커버(400), 조명설비 캡부재(500), 전원공급유닛(600)의 조립 위치가 마련된다.
이를 위한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은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와 베이스프레임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는 조명모듈(300)과 전원공급유닛(600)의 조립 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 중앙에는 상기 조명모듈(300)이 결합되는 조명모듈 결합부(211)가 구비되고,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전원공급유닛(600)이 결합되는 전원공급유닛 결합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 결합부(211)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 결합부(21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명모듈(300)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600)은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300)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600)만을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명모듈(300)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600)에 대한 유지보수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는 상기 조명모듈 결합부(300)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 결합부(211)가 배치되는 중앙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오목 형성된 하측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모듈(300)을 중심으로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의 양단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치 전등갓과 같이 조명모듈(300)에서 발산되는 빛을 하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매입 구조를 이루는 조명모듈(300)로 인하여 눈부심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고조도와 눈부심 방지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에는 조명설비 캡부재(500)가 결합되는 체결공(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 결합부(2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본체부(2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하부프레임(130)의 걸림부(131)와 결합되는 상부걸게(221)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조명설비 보호커버(400)가 결합되는 하부걸게(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걸림부(131)는 하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을 하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조립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30)의 걸림부(131)로부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300)은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조명모듈(300) 결합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조명모듈(300)은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빛을 발산하며, 엘이디 램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600)은 조명모듈(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전원공급유닛 결합부(21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유닛(600)은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의 전원공급유닛 결합부(2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하부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펜스부재(161)와 상기 제2 펜스부재(162) 사이공간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유닛(6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배선용 덕트(100)의 내부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전원공급유닛(600)과 연결되는 케이블의 설치 및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명설비 보호커버(400)는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모듈(30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조명설비 보호커버(400)는 조명모듈(300)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산시키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조명모듈(30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설비 보호커버(400)의 양단에는 베이스프레임 결합부(220)에 형성된 하부걸게(222)와 결합되는 커버걸림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설비 캡부재(500)는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 및 조명모듈 보호커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조명설비 캡부재(500)는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과 조명모듈 보호커버(400)의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체결구(B)를 통하여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20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건물 내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지진 등의 진동이 발생했을 경우 구조물로부터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설비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기둥부재(1000), 수평와이어(2000),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재(1000)는 건물 내부공간에 수평와이어(20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부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둥부재(10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기둥부재(1000)는 건물 내부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천장면에 별도의 고정 장치에 의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기둥부재(1000)는 건물 내부공간의 바닥면이나 측면에 별도의 고정 장치로 고정될 수도 있다.
수평와이어(2000)는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를 지지하며, 건물 및 기둥부재(10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흡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일예로 수평와이어(2000)는 건물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한 쌍의 기둥부재(1000)를 수평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와이어(2000)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수평와이어(2000)는 서로 동일한 높이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한 쌍의 기둥부재(1000)를 연결한다. 물론 3개 이상의 수평와이어(20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와이어(2000)를 구성하는 부재는 와이어로프(20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재료 특성상 진동을 흡수하거나 유연성을 갖는 구조이면 어떠한 부재로도 대체 가능하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기둥부재(1000)와 수평와이어(2000)를 연결하며, 수평와이어(20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장치(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장치(4000)는 턴버클유닛(4100)과 댐퍼유닛(4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유닛(4100)은 한 쌍의 기둥부재개(4100) 중 어느 하나의 기둥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한 쌍의 기둥부재(410)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턴버클유닛(410)은 턴버클브래킷(4110)과, 장력조절부(4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브래킷(4110)은 수평와이어(2000)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일단이 기둥부재(1000)와 회전축부재(4150)로 연결되고, 타단은 장력조절부(4130)를 매개로 수평와이어(2000)와 연결된다.
상기 턴버클브래킷(4110)은 제1 턴버클플레이트(4111)와, 상기 제1 턴버클플레이트(411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턴버클플레이트(4113)와, 상기 제1 턴버클플레이트(4111)와 상기 제2 턴버클플레이트(4113)를 연결하는 제3 턴버클플레이트(4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턴버클플레이트(4111)는 수평와이어(2000)의 연장선상에서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턴버클플레이트(4113)는 수평와이어(2000)의 연장선상에서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3 턴버클플레이트(4115)는 수평와이어(2000)의 연장선상에 그 중심이 배치된다.
상기 장력조절부(4130)는 수평와이어(2000)와 상기 턴버클브래킷(4110)을 연결하며 외부 조작에 따라 수평와이어(20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부(4130)는 턴버클스크류(4131)와 턴버클조절부재(4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스크류(4131)는 일단이 수평와이어(20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턴버클브래킷(4110:제3 턴버클플레이트)을 관통하여 수평와이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턴버클스크류(4131)의 일단에는 수평와이어(2000)를 연결하기 위한 턴버클걸림구(4132)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턴버클조절부재(4133)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공부가 구비된다.
상기 턴버클조절부재(4133)는 상기 턴버클스크류(4131)와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턴버클조절부재(4133)는 상기 제3 턴버클플레이트(4115)를 관통한 상기 턴버클스크류(4131)의 끝단과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턴버클플레이트(4115)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턴버클조절부재(4133)를 회전시킴에 따라, 턴버클스크류(4131)는 턴버클브래킷(4110) 상에서 수평와이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평와이어(2000)를 긴장시키거나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턴버클유닛(4110)은 수평와이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선상에서 기둥부재(100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에 의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정확한 장력조절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함께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댐퍼유닛(4200)은 수평와이어(2000)와 턴버클유닛(4300)을 연결하며, 수평와이어(2000)와 턴버클유닛(4300)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댐퍼유닛(4200)은 코일 형태의 댐퍼스프링(4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스프링(4210)의 일단에는 턴버클유닛과 연결되는 제1 댐핑걸림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수평와이어(2000)와 결합되는 제2 댐핑걸림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댐퍼유닛은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린더는 댐퍼스프링(4210)의 일측에 지지되며 댐퍼스프링(4210)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제1 댐핑걸림부(4211)가 관통하는 제1 실린더관통부(42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실린더(4250)는 댐퍼스프링(4210)의 타측에 지지되며 댐퍼스프링(4210)의 타단부를 감싸도록 제2 댐핑걸림부(4213)가 관통하는 제2 실린더관통부(425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실린더(4230)와 상기 제2 실린더(4250)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린더(4230)와 상기 제2 실린더(4250)는 댐퍼스프링(4210)이 긴장되거나 수축되는 것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짧아지거나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린더(4230) 또는 상기 제2실린더(4250)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실린더(4230)와 상기 제2실린더(4250)의 결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스프링(4210)의 탄성 변형에 따라 변화되는 눈금표시부를 통하여 댐퍼스프링(4210)의 탄성 변위량을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댐퍼유닛(4200)과 턴버클유닛(4100)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눈금표시부에서 확인된 댐퍼스프링(4210)의 탄성 변형 정도에 따라, 턴버클유닛의 턴버클조절부재를 회전시키며, 수평와이어(200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유닛(4200)은 턴버클유닛(4100)과 수평와이어(20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댐퍼유닛(4200)은 턴버클유닛(4100)이 설치되지 않은 기둥부재(1000)와 수평와이어(20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평와이어와 조명설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와이어고정부재(5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부재(5000)는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결합홈부(141)에 삽입된 수평와이어(20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 끝단이 와이어결합홈부(141)의 내측으로 연장 배치된다.
이러한 와이어고정부재(5000)는 고정부재 본체부(5100)와, 상기 고정부재 본체부(5100)의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부재 걸림부(5300), 및 상기 고정부재 본체부(5100)와 상기 고정부재 걸림부(5300)를 연결하는 고정부재 탄성변형부(5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 걸림부(5300)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고정부재(5000)는 상부프레임(150)의 상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비스듬하게 경사진 고정부재 걸림부(5300)가 외측으로 슬립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부재 탄성변형부(5500)가 벌어지면서 변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와이어고정부재(5000)를 하방으로 계속 가압하면, 고정부재 본체부(5100)는 상부프레임(150)에 밀착되고, 고정부재 걸림부(5300)는 와이어결합프레임(140)에 결속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결합프레임(140)에 결속된 고정부재 걸림부(5300)의 끝단은 와이어결합홈부(141)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배치된 상태를 이룬다.
즉, 와이어결합프레임(140)에 수평와이어(2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고정부재(5000)를 체결하면, 고정부재 걸림부(5300)의 끝단이 와이어결합홈부(141)의 내측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와이어(2000)가 와이어결합홈부(1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부재(5000)는 자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박판 구조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어셈블리홀딩유닛(6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홀딩유닛(6000)은 한 쌍의 기둥부재(1000)에 양단이 결합되는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벽과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와 결합되는 상기 어셈블리홀딩유닛(6000)의 하단에는 별도의 브래킷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홀딩유닛(6000)을 구성하는 부재로는 와이어로프(20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재료 특성상 진동을 흡수하거나 유연성을 갖는 구조이면 어떠한 부재로도 대체 가능하다.
이러한 어셈블리홀딩유닛(6000)을 통하여,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진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현수선 구조설비는 한 쌍의 기둥부재(1000)와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를 연결하는 서포터 어셈블리(30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3000A)는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되, 한 쌍의 기둥부재(1000)와 연결된 수평와이어(2000) 및 장력조절장치(40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설비 어셈블리(3000)보다 낮은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배선용 덕트 110: 좌측프레임
120: 우측프레임 130: 하부프레임
140: 와이어결합프레임 150: 상부프레임
160: 펜스부재 170: 펜스확장부재
200: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 300: 조명모듈
400: 조명설비 보호커버 500: 조명설비 캡부재
600: 전원공급유닛 1000: 기둥부재
2000: 수평와이어 3000: 조명설비 어셈블리
4000: 장력조절장치 4100: 턴버클유닛
4200: 댐퍼유닛 5000: 와이어고정부재

Claims (8)

  1. 좌측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우측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단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우측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프레임;
    와이어결합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프레임 및 상기 우측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는 와이어결합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기 좌측프레임과 상기 우측프레임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펜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외부 구조물이 결합되는 걸림부가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중앙부가 상기 걸림부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재는,
    상기 좌측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펜스부재; 및
    상기 우측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펜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펜스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스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펜스확장부재는,
    수직확장부; 상기 수직확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 걸림 지지되는 제1 클램프;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 걸림 지지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수직확장부와 상기 제2 클램프를 연결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배선용 덕트;
    상기 하부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조명모듈;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모듈을 보호하는 조명설비 보호커버;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조명설비 보호커버의 양단에 결합되는 조명설비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설비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상기 조명설비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펜스부재와 상기 제2 펜스부재 사이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설비 어셈블리.
  7. 건물의 내부공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둥부재;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를 연결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평와이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항에 기재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상기 조명설비 어셈블리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결합홈부에 삽입된 상기 수평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 끝단이 상기 와이어결합홈부의 내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와이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선 구조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 중 어느 하나의 기둥부재와 상기 수평와이어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턴버클유닛은,
    상기 수평와이어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는 턴버클브래킷; 및
    상기 수평와이어와 상기 턴버클브래킷을 연결하며, 외력에 따라 상기 턴버클브래킷 상에서 상기 수평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2020190001585U 2019-04-17 2019-04-17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200492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85U KR200492628Y1 (ko) 2019-04-17 2019-04-17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85U KR200492628Y1 (ko) 2019-04-17 2019-04-17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59U KR20200002359U (ko) 2020-10-27
KR200492628Y1 true KR200492628Y1 (ko) 2020-11-12

Family

ID=7300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85U KR200492628Y1 (ko) 2019-04-17 2019-04-17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86U (ko) *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세홍 조명 설비용 배선 덕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3588A (zh) 2000-06-05 2002-01-30 潘都依特有限公司 配线管道系统中的铰接装置
KR200262937Y1 (ko) 2001-10-29 2002-03-18 김경미 배선덕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3265B1 (en) * 2004-05-27 2005-06-07 Panduit Corp. Hinged and latched raceway
KR100653332B1 (ko) * 2004-10-05 2006-12-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가요성 배선덕트의 배선기구 고정구 결합구조
KR101776026B1 (ko) 2017-01-24 2017-09-07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3588A (zh) 2000-06-05 2002-01-30 潘都依特有限公司 配线管道系统中的铰接装置
KR200262937Y1 (ko) 2001-10-29 2002-03-18 김경미 배선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86U (ko) *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세홍 조명 설비용 배선 덕트
KR200497803Y1 (ko) 2021-11-08 2024-03-05 주식회사 세홍 조명 설비용 배선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59U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26B1 (ko)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US20180216701A1 (en) Tens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catenary structure equipment
AU2017202673B2 (en) Unit attaching device and indoor unit
KR200492628Y1 (ko)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20190014329A (ko)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JP2017193886A (ja) 天井システム
KR20120030224A (ko) 건축설비 내진 및 면진 가대
KR101843778B1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KR101833820B1 (ko) 천장틀 및 이를 위한 내진부재
KR101781433B1 (ko) 천정 설비용 면진 연결구
KR20200071904A (ko)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KR101713634B1 (ko) 내진설계 무대장치
KR10169772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KR20200000026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JP4460874B2 (ja) 天井装置
KR20110107026A (ko) 스크린 루바 시공용 행거장치
KR101786547B1 (ko) 현수선 구조설비 거치용 기구장치와 현수선 구조설비 거치용 기구장치의 시공방법
KR102534106B1 (ko) 내진 현수 장치
KR102462734B1 (ko) 내진 현수 장치
KR101536121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KR102158084B1 (ko) 와이어웨이 장치
KR20200002358U (ko) 배선용 덕트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