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904A -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 Google Patents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904A
KR20200071904A KR1020180159034A KR20180159034A KR20200071904A KR 20200071904 A KR20200071904 A KR 20200071904A KR 1020180159034 A KR1020180159034 A KR 1020180159034A KR 20180159034 A KR20180159034 A KR 20180159034A KR 20200071904 A KR20200071904 A KR 20200071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rame
hanger
bol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662B1 (ko
Inventor
임현택
Original Assignee
임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택 filed Critical 임현택
Priority to KR102018015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는 행거 볼트에 결합되어서 천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천장틀을 개시한다. 상기 천장 행거는: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 결합부; 및 상기 천장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 결합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결합부는;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볼트 삽입공을 갖는 제1결합부, 그리고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볼트 삽입공의 직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볼트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프레임 예를 들면 캐링 채널(반자대 받이)이 천장 행거에 조립될 때 천장 행거의 좌우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캐링 채널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고 천장틀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Ceiling Hanger And Light Weight Steel Type Ceiling Fram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천장 행거(달대) 및 이를 갖는 천장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마감재(천장 패널)의 설치를 위한 패널 지지용 프레임 예를 들면 반자대 받이(캐링 채널)를 지지하도록,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상가 건물이나 고층 빌딩이나 학교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의 천장, 예를 들면 콘크리트 슬래브(천장 슬래브)에는 천장 마감재(천장 패널) 설치를 위한 패널 지지용 프레임이나 배관이나 덕트 등과 같은 천장 설비가 설치된다.
상술한 천장 설비는 행거 볼트(전산 볼트나 장볼트라고도 함)라 불리는 긴 볼트 형태의 지주에 고정되는 행거(Hanger)에 설치되며, 상기 행거 볼트는 상기 천장 슬래브(Slab)에 정착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거 볼트의 상단부는 상기 천장 슬래브에 정착되고, 상기 행거는 상기 행거 볼트에 고정되며, 상기 행거에는 상술한 패널 지지용 프레임 등과 같은 천장 설비가 장착된다.
상기 패널 지지용 프레임은 상술한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는 다수의 행거에 의해 지지되어서 천장틀을 형성하며, 상기 천장틀에는 천장 슬래브를 차폐하는 동시에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선이나 환기덕트의 노출을 방지하는 천장 마감재 즉 천장 패널(천장 마감판)이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천장 마감재는 슬래브(Slab)에 고정되는 천장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천장틀의 예로서 근래에는 경량철골 천장틀(Lightweight Steel Frame)이라 불리는 천장틀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천장틀은,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달대 즉 다수의 행거에 반자대(Ceiling Joist)라 불리는 천장 프레임이 직접 연결되는 직접 현수 방식의 천장틀과, 반자대 받이 즉 캐링 채널(Carring Channel)이라 불리는 천장 프레임을 이용해서 상기 반자대를 지지하는 간접 현수 방식의 천장틀(간접 현수식 천장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반자대는, 반자대의 단면 형상에 따라, 엠바(M-Bar)와 티바(T-Bar)와 클립바(Clip-Bar) 등으로 분류되며, 상기 반자대는 상기 캐링 채널('캐링' 또는 '캐링 찬넬'이라고도 함)라 불리는 반자대 받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바 클립(Bar Clip) 또는 천장틀 클립 등의 명칭으로 불리는 커플러(Coupler)에 의해 상기 캐링 채널에 고정된다.
도 1을 참조해서 상술한 간접 현수식 천장틀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아.
상기 천장틀의 시공을 위해, 작업자는 먼저 너트를 이용해서 행거 볼트(1)에 행거(2)를 가조립한 후에, 상기 슬래브를 드릴로 천공해서 상기 행거 볼트(1)의 상단을 슬래브의 드릴공에 끼우고, 가조립 상태의 행거(2)에 상술한 천장 프레임 예를 들면 상기 반자대 받이(3)를 장착한 다음, 상술한 바 클립을 이용해서 반자대를 반자대 받이(3)에 조립/결속한다.
상기 행거에 상술한 천장 프레임을 장착할 때 상기 행거 볼트(1)에 가조립 상태의 행거(2)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행거(2)를 단단히 잡고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천장 프레임 예를 들면 상술한 반자대 받이(3)를 상기 행거(2)에 장착해야 한다. 상기 반자대 받이가 가조립 상태의 행거에 조립되는 이유는 상기 반자대 받이의 조립 후에 천장틀의 수평/높이 즉 레벨링(Levelling)을 맞추기 위함이다.
일반적인 행거의 경우, 상기 반자대 받이(3)는 상기 행거(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행거(2)에 결합되는 나사 피스(4)나 와이어나 핀 클립 등에 의해 상기 행거의 바 장착부 즉 수용홈에 구속되는데, 이러한 방식의 작업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전체적인 시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근래에는 반자대 받이의 장착 후에 행거의 소정부위를 구부려서 천장 프레임의 이탈을 막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
한편, 근래에는 일본과 중국과 남미 국가 등의 다른 나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의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이나 폭격이나 폭발 등과 같은 인위적인 충격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기 위해 내진 설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종래의 행거(2)를 이용한 천장틀 예를 들면 종래의 경량철골 천장틀에는 진동 발생시 상하 방향 완충을 위해 행거(2)를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적용되기도 하나, 지진 등의 상황에서 행거의 좌우 흔들림으로 인해 스프링에 의한 상하 진동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적용/조립해야 하므로 비용 증가와 작업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0568호, 천장구조물용 행거, 2013년 10월 15일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182650호, 천장지지용 완충행거, 2000년 3월 8일 등록
본 발명은 천장 프레임이 행거에 조립될 때 상기 행거의 좌우 움직이 억제될 수 있는 구조의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천장 프레임의 장착이 가능하며 천장 프레임의 장착 후에 천장 프레임의 구속을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구조의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는 행거 볼트에 결합되어서 천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천장 행거로서: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 결합부; 및 상기 천장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 결합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결합부는;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볼트 삽입공을 갖는 제1결합부, 그리고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볼트 삽입공의 직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볼트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를 제공한다.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두고 상호 나란한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제2결합부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트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볼트 결합부가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직상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볼트 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천장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측벽부, 상기 천장 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마주하는 제2측벽부, 그리고 상기 천장 프레임의 저면을 받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천장 프레임이 끼워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상측부는, 상기 천장 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입구를 형성하도록 개방된 구조, 즉 상기 천장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상측에서 진입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의 상단은 자유단(Free End)이며, 상기 천장 프레임의 진입을 위해 상기 제2측벽부의 상단은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천장 행거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서 상기 천장 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천장 프레임을 구속하는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프레임이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속작업이 없더라도 상기 천장 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 삽입된 후에 자동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편의 하단이 상기 천장 프레임의 상측면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제2측벽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측벽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하부 구간과, 상기 하부 구간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구간보다 상기 제2측벽부와의 거리가 먼 확장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프레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간과 확장 구간은 내측면이 경사진 경사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경사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측벽부 사이의 거리가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고; 상기 걸림편은 하향 경사지게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편의 상단은 상기 제2측벽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편의 하단은 상기 하부 구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면에서 상기 걸림편의 하단까지 높이는 상기 천장 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걸림편의 하단과 상기 확장 구간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 구간과 상기 제2측벽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천장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측벽부, 상기 천장 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마주하며, 상기 제2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 그리고 상기 천장 프레임의 저면을 받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천장 프레임이 끼워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및 천장을 마감하는 천장 패널의 지지를 위해 상기 천장 행거에 걸려서 설치되는 천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량철골 천장틀을 제공한다.
상기 경량철골 천장틀은; 상기 행거 볼트에 구비되며 상기 천장 행거를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프레임 예를 들면 캐링 채널(반자대 받이)이 천장 행거에 조립될 때 천장 행거의 좌우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캐링 채널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고 천장틀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프레임이 천장 행거에 삽입(안착)된 후에 자동으로 구속되므로 천장 프레임에 대한 별도의 고정작업(나사 피스나 핀클립의 체결, 걸림편 형성을 위한 후속 벤딩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천장틀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 등의 상황에서 천장 설비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하 진동이 원활하게 흡수될 수 있으므로, 건물에 흔들림(진동)이 발생할 때 천장 설치물의 낙하나 붕괴 또는 소음 발생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종래의 천장 행거에 천장 프레임(캐링 채널)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천장 프레임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행거 볼트와 천장 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천장 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천장 설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천장 행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천장 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천장 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추가적인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제1"과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동일 명칭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할 때 이들을 상호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의 수를 정의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연결 관계 즉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즉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는 천장 설비와 결합되며 상기 천장 설비를 행거 볼트(달대 볼트나 전산 볼트 또는 장볼트라고도 함)와 연결하는 장치로서 달대라고도 불린다. 상기 행거 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타입의 바(Bar)이다.
상기 천장 행거는 천장 설비의 지지를 위해 천장 슬래브(Slab)에 정착(고정)되는 행거 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볼트와 함께 천장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천장 행거에는 천장 설비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천장 행거에 상기 천장 설비가 매달려서 지지된다. 상기 천장 행거 자체의 기본적 기능이나 설치 방식은 천장 시공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기본적 기능 및 설치 방식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일 실시 예(제1실시 예) 및 이를 갖는 천장틀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량철골 천장틀의 일 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들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행거 볼트와 천장 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들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천장 프레임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천장 행거에 천장 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천장 설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는, 천장 설비 예를 들면 반자대 받이(20) 등과 같은 천장 프레임을 천장 슬래브에 매달아서 지지하는 기구,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는 행거 볼트(10)에 결합되어서 천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천장 설비용 행거(Hanger)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틀 보다 구체적으로 경량철골 천장틀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와, 상기 천장 행거(100)에 걸려서 설치되는 천장 프레임(20) 예를 들면 경량철골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예로는 캐링 채널이라고 불리는 반자대 받이를 들 수 있다.
상기 천장 프레임 지지용 행거 즉 천장 행거(100)는, 상기 행거 볼트(1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 결합부(110)와, 상기 천장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 결합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는, 상기 볼트 결합부(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볼트 결합부(110)에 의해 상기 행거 볼트(10)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장착된다.
상기 볼트 결합부(110)는, 상기 행거 볼트(10)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볼트 삽입공(111a)을 갖는 제1결합부(111)와, 상기 제1결합부(11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111)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결합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112)는,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의 직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볼트 삽입공(112a)을 가지며, 상기 행거 볼트(10)가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과 제2볼트 삽입공(112a)에 삽입되어서 상기 볼트 결합부(110)와 체결된다.
즉, 상기 행거 볼트(10)는 상기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천장 행거(100)와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에 각각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두고 상호 나란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는 상기 제2결합부(112)의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천장 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프레임 받침을 형성한다.
상기 제1결합부(111)의 일측 가장자리와 제2결합부(112)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의 측면 연결부(12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과 제2볼트 삽입공(112a)는 동축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 연결부(123)는 수직 판 구조이며, 상기 볼트 결합부(110)가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 특히 상기 볼트 결합부(110)는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행거 볼트(10)와 체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천장 프레임(20) 예를 들면 반자대 받이가 상기 천장 행거 특히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장착될 때, 상기 천장 행거(100)와 상기 행거 볼트(10)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천장 행거(100)의 좌우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볼트 결합부(110)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예처럼 상기 볼트 결합부가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직상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볼트 결합부(110)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가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로서, 상기 볼트 결합부(110)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직상방 영역에서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는,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 및 베이스부(1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제1측벽부(121)는, 상기 볼트 결합부(110)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일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벽부(122)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121)와 마주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부(123)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저면을 받치도록 상기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끼워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가 상기 제2결합부(112)에 직접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다른 실시 예처럼 제1결합부(111)에 직접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23)는 상기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는 상측이 개방된 구조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상측 영역(상측부)은, 상기 천장 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입구를 형성하도록 개방된 구조이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진입(삽입)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측벽부(121)는 상기 제2결합부(112)의 타측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측벽부(121)의 상단이 상기 제2결합부(11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측벽부(121)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부(123)와 일체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112)가 상기 제1측벽부(121)의 상단에서 상기 제1측벽부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123)가 상기 제1측벽부(121)의 하단에서 상기 제1측벽부의 타측, 다시 말해서 상기 제2결합부(112)의 반대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벽부(122)의 상단은 자유단(Free End)이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상기 제2측벽부의 상단(122a)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외측으로 꺾인 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천장 프레임(20)을 구속하는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상술한 천장 프레임(20)이 장착된 후에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기존처럼 나사 피스나 클립 등의 체결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일체로 구비되는 걸림편(1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기존처럼 나사나 클립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한 별도의 결속작업이 없더라도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삽입된 후에 자동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130)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내측(천장 프레임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상측면이 상기 걸림편(130)의 하단에 걸려서 구속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편(130)은 상기 제2측벽부(122)에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후술되는 다른 예처럼 제1측벽부(12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측벽부(121)는, 상기 베이스부(123)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하부 구간(121a)과, 상기 하부 구간(121a)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구간보다 상기 제2측벽부(122)와의 거리가 먼 확장 구간(121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하부 구간(121a)과 상기 제2측벽부(122) 사이의 폭이 상기 확장 구간(121b)과 상기 제2측벽부(122) 사이의 폭보다 좁다. 따라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때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조립 작업 즉 끼움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상기 하부 구간(121a)과 상기 제2측벽부(122) 사이에 끼워져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하부 구간(121a)과 상기 제2측벽부(122) 사이의 폭은 대략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폭과 동일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구간(121a)과 확장 구간(121b)은 내측면이 경사진 경사부(121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21c)의 내측면과 상기 제2측벽부(122) 사이의 거리가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고, 상기 걸림편(130)은 하향 경사지게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편(130)의 상단은 상기 제2측벽부(122)에 일체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림편(130)의 하단은 상기 하부 구간(121a)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123)의 상측면에서 상기 걸림편(130)의 하단까지 높이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높이(두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130)의 하단과 상기 확장 구간(121b)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 구간(121a)과 상기 제2측벽부(122) 사이의 거리(폭)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걸림편(130)의 하단이 상기 경사부(121c)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편(130)의 하단과 상기 확장 구간(121b)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 구간(121a)과 상기 제2측벽부(122) 사이의 거리(폭)와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폭과 동일한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편(130)은 상기 제2측벽부(122)에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측벽부(122)에 절개부(124)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124)를 내측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걸림편(130)이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편(130)은,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 장착되기 이전부터 이미 프레임 거치부(12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기성의 프레임 고정부이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제1측면부(121)와 제2측면부(122) 및 베이스부(123)는 판(Plate) 형상이며, 금속판의 판금 가공에 의해 본 실시 예 및 후술되는 다른 실시 예들의 천장 행거(100)가 제조될 수 있으나, 천장 행거의 제조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상술한 구조의 천장 행거(100)에 천장 프레임(20) 예를 들면 상술한 받자대 받이(20)를 장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경량철골 천장틀의 천장 프레임(20)은, 상측면의 폭이 수축 가능한 구조로서 예를 들면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상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슬롯(21; Slot)이 형성되어서 상측면이 좌우로 갈라진 중공형의 사각 봉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 예에서의 천장 프레임은 도 3에 예시된 방식으로 프레임 거치부(120)에 끼워져서 상기 걸림편(13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하단이 상기 제1측벽부(121)의 하부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상기 걸림편(130)에 의해 눌려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상측부가 폭방향으로 수축되고,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123)에 안착되면 상기 걸림편(130)에 의해 눌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원형으로 복원되고, 그 결과 상기 걸림편(130)의 아래에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상측면이 걸리게 된다.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원활한 수축을 위해, 상기 천장 프레임(20)가 상기 천장 행거(100)보다 얇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강성이 상기 천장 행거 특히 상기 걸림편보다 강한 경우에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장착시에 상기 걸림편(130) 및/또는 제2측벽부(122)가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행거(100)는 너트(11, 12)에 의해 행거 볼트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111)의 상측에 체결되는 상부 너트(11)와 상기 제2결합부(112)의 하측에 체결되는 하부 너트(12)에 의해 상기 행거 볼트(10)에 결속된다.
그리고, 천장틀에 가해지는 진동 흡수를 위해 상기 행거 볼트(10)에는 완충 부재(13),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완충 부재(13)는 상기 행거 볼트(10)에 구비되며 상기 천장 행거(100)를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행거 볼트(10)는 상기 완충 부재(1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부재(13)는, 상기 상부 너트(11)와 상기 제1결합부(111) 사이 및/또는 상기 하부 너트(12)와 상기 제2결합부(1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상기 완충 부재(13)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행거 볼트(10)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틀은 간접현수식 천장틀의 일 예로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은 소위 캐링 채널이라 불리는 반자대 받이이며, 상기 천장 프레임(20) 특히 상기 반자대 받이에는 천장 패널의 고정을 위한 엠바(M-bar)나 티바(T-bar)나 클립 바(Clip-bar)와 같은 반자대(30; Ceiling Joist)가 결합된다. 상기 반자대(30)는 다양한 형태의 바 클립(40)에 의해 상기 반자대 받이(20)에 결속된다.
상기 반자대 받이와 반자대 및 이들의 결속을 위한 바 클립(천장틀 클립)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와 이를 갖는 천장틀(경량철골 천장틀)의 다른 실시 예(제2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부가적인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제2실시 예(100A)는 볼트 결합부(110A)와 프레임 거치부(120A)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결합부(110A)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A)의 직상방에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볼트 결합부(110A)는, 상기 행거 볼트(10)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볼트 삽입공(111a)을 갖는 제1결합부(111)와, 상기 제1결합부(11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111)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결합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112)는,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의 직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볼트 삽입공(112a)을 가지며, 상기 행거 볼트(10)가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과 제2볼트 삽입공(112a)에 삽입되어서 상기 볼트 결합부(110A)와 체결된다.
상기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두고 상호 나란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A)는 상기 제2결합부(112)의 하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결합부(112)의 직하방에 구비되어서 상기 천장 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프레임 받침을 형성한다.
상기 제1결합부(111)의 일측 가장자리와 제2결합부(112)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의 측면 연결부(12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과 제2볼트 삽입공(112a)는 동축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 연결부(123)는 수직 판 구조이다. 즉 상기 볼트 결합부(110A)가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전술한 제1실시 예의 볼트 결합부(110)와 동일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A)는,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 및 베이스부(1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프레임 거치부(120A) 역시 천장 프레임(20)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제1측벽부(121)는, 상기 볼트 결합부(110)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일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벽부(122)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121)와 마주한다.
상기 베이스부(123)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저면을 받치도록 상기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끼워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A)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A)가 상기 제2결합부(112)에 직접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제1결합부(111)에 직접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23)는 상기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는 상측은 천장 프레임(20)의 조립을 위해 개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1측벽부(121)의 상단은 상기 제2결합부(11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측벽부(121)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부(123)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2측벽부(122)의 상단은 자유단(Free End)이고,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상기 제2측벽부(122)의 상단은 전술한 제1실시 예처럼 외측으로 꺾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112)가 상기 제1측벽부(121)의 상단에서 상기 제1측벽부(121)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123) 역시 상기 제1측벽부(121)의 하단에서 상기 제1측벽부(121)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결합부(112)와 베이스부(123)가 상기 제1측벽부(121)에서 서로 나란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상술한 천장 프레임(20)이 장착된 후에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서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 예의 천장 행거(100)는 천장 프레임(20)을 구속하는 프레임 고정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림편(130)을 포함하나, 본 실시 예(100A)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에 나사 피스(S)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물론, 본 실시 예에도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걸림편(130)과 프레임 거치부(120)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 거치부(120A)에 상기 나사 피스(S)의 체결을 위한 나사홀(H)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H)은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 프레임(20) 예를 들면 반자대 받이가 천장 행거의 프레임 거치부(120A)에 끼워진 후에 상기 나사 피스(S)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상측을 구속하고, 상기 천장 프레임 즉 반자대 받이(20)에는 반자대(30)가 바 클립(40)에 의해 결합된다.
전술한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완충 부재(13) 등과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본 실시 예와 상충되지 않는 한 본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되고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와 이를 갖는 천장틀(경량철골 천장틀)의 또 다른 실시 예(제3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부가적인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제2실시 예(100B)는 볼트 결합부(110B)와 프레임 거치부(120B)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 결합부(110B)는, 상기 행거 볼트(10)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볼트 삽입공(111a)을 갖는 제1결합부(111)와, 상기 제1결합부(11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111)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결합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112)는,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의 직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볼트 삽입공(112a)을 가지며, 상기 행거 볼트(10)가 상기 제1볼트 삽입공(111a)과 제2볼트 삽입공(112a)에 삽입되어서 상기 볼트 결합부(110B)와 체결된다.
상기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두고 상호 나란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이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B)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B)는 상기 볼트 결합부(110B)의 직하방에 천장 프레임(20)의 장착을 위한 프레임 받침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B)는,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 및 베이스부(1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프레임 거치부(120B) 역시 천장 프레임(20)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제1측벽부(121)는, 상기 볼트 결합부(110)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일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벽부(122)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121)와 마주한다.
상기 베이스부(123)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저면을 받치도록 상기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천장 프레임(20)이 끼워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B)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측벽부(121)는 상기 제1결합부(111)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일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벽부(122)는,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121)와 마주하며, 상기 제2결합부(11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측벽부(121)는 수직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판 형상 구조이며, 상기 제1측벽부(121)의 상단에 상기 제1결합부(111)가 직접 연결되어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측벽부(121)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123)의 일측 가장자리가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벽부(122) 역시 수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판 형상 구조이며, 상기 제2측벽부(122)의 상단에 상기 제2결합부(112)가 직접 연결되어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측벽부(121)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123)의 타측 가장자리가 일체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23)의 직상방에 상기 제2결합부(112)가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112)의 직상방에 상기 제1결합부(111)가 나란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 거치부(120B)에 상기 나사 피스(S)의 체결을 위한 나사홀(H)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H)은 제1측벽부(121)와 제2측벽부(122)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 프레임(20) 예를 들면 반자대 받이가 천장 행거의 프레임 거치부(120B)에 거치된 후에, 상기 나사 피스(S)가 상기 프레임 거치부(120B)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천장 프레임(20)의 상측을 구속하고, 전술한 실시 예들처럼 상기 천장 프레임 즉 반자대 받이(20)에는 반자대(30)가 바 클립(40)에 의해 결합된다.
전술한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 설명된 완충 부재(13) 등과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본 실시 예와 상충되지 않는 한 본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되고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다른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먼저, 도 12의 (a)는, 제1실시 예(100)에서 설명된 프레임 거치부의 제1측벽부(121)가 제1실시 예의 볼트 결합부(110) 중 제1결합부(111)에 직접 연결된 구조의 천장 행거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의 (b)는, 제2실시 예의 천장 행거(100A)에서 설명된 프레임 거치부(120A)가 제1실시 예(100)에서 설명된 프레임 거치부(120)로 대체된 구조의 천장 행거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도 13의 (a)는, 제1실시 예(100)에서 설명된 프레임 거치부(120)의 제1측벽부(121)가 제2실시 예의 볼트 결합부(110A) 중 제1결합부(111)에 직접 연결된 구조의 천장 행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3의 (b)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에서 프레임 거치부(120)의 좌우 구조가 바꾼 형태, 즉 볼트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측벽부(121)에 걸림편(프레임 고정부)가 형성되고, 제2측벽부(122)에 경사부와 확장 구간이 형성된 구조의 천장 행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볼트 결합부가 2개의 나란한 판 형상 결합부를 갖는 구조가 설명되었으나, 볼트 결합부가 다단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굽힘)되어서 3개 이상의 결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행거 볼트 11, 12: 너트
13: 완충 부재 20: 천장 프레임(캐링 채널)
30: 반자대 40: 바 클립
100, 100A, 100B: 천장 행거 110, 110A, 110B: 볼트 결합부
111: 제1결합부 111a: 제1볼트 삽입공
112: 제2결합부 112a: 제2볼트 삽입공
113: 측면 연결부 120, 120A, 120B: 프레임 거치부
121: 제1측벽부 122: 제2측벽부
123: 베이스부 130: 걸림편

Claims (16)

  1.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는 행거 볼트에 결합되어서 천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천장 행거로서: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 결합부; 및
    상기 천장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 결합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결합부는;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볼트 삽입공을 갖는 제1결합부, 그리고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볼트 삽입공의 직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볼트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두고 상호 나란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제2결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직상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천장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볼트 결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
    상기 천장 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마주하는 제2측벽부, 그리고
    상기 천장 프레임의 저면을 받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상측부는, 상기 천장 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입구를 형성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부의 상단은 자유단(Free End)이며, 상기 천장 프레임의 진입을 위해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서 상기 천장 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천장 프레임을 구속하는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제2측벽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측벽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하부 구간과, 상기 하부 구간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구간보다 상기 제2측벽부와의 거리가 먼 확장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간과 확장 구간은 내측면이 경사진 경사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경사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측벽부 사이의 거리가 상방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걸림편은 하향 경사지게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편의 상단은 상기 제2측벽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하단은 상기 하부 구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면에서 상기 걸림편의 하단까지 높이는 상기 천장 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걸림편의 하단과 상기 확장 구간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 구간과 상기 제2측벽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천장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측벽부,
    상기 천장 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마주하며, 상기 제2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 그리고
    상기 천장 프레임의 저면을 받치도록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천장 프레임이 끼워지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지지용 천장 행거.
  15.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는 행거 볼트에 결합되는 천장 행거; 및
    천장을 마감하는 천장 패널의 지지를 위해 상기 천장 행거에 걸려서 설치되는 천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량철골 천장틀로서:
    상기 천장 행거는: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 결합부; 및
    상기 천장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 결합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결합부는;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볼트 삽입공을 갖는 제1결합부, 그리고
    상기 행거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볼트 삽입공의 직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볼트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경량철골 천장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 구비되며 상기 천장 행거를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 천장틀.

KR1020180159034A 2018-12-11 2018-12-11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KR10220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34A KR102208662B1 (ko) 2018-12-11 2018-12-11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34A KR102208662B1 (ko) 2018-12-11 2018-12-11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04A true KR20200071904A (ko) 2020-06-22
KR102208662B1 KR102208662B1 (ko) 2021-01-29

Family

ID=7114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034A KR102208662B1 (ko) 2018-12-11 2018-12-11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258A (zh) * 2021-12-27 2022-03-22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减震型吊顶轻钢龙骨连接结构
CN115198953A (zh) * 2022-08-11 2022-10-18 广州优智保智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天花吊装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26U (ja) * 1993-10-18 1995-05-19 エムエ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下地材吊りハンガー
KR200182650Y1 (ko) 1998-12-15 2000-05-15 주식회사협신건영 천정지지용 완충행거
KR20100010420U (ko) * 2009-04-15 2010-10-25 진선영 천장 시설물 고정용 행거
CN202767323U (zh) * 2012-08-23 2013-03-06 南通市建筑装饰装璜有限公司 装饰吊顶组合式反撑型吊杆
KR101320568B1 (ko) 2011-08-19 2013-10-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천장구조물용 행거
JP2015196943A (ja) * 2014-03-31 2015-11-09 倉敷化工株式会社 吊りハンガ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26U (ja) * 1993-10-18 1995-05-19 エムエ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下地材吊りハンガー
KR200182650Y1 (ko) 1998-12-15 2000-05-15 주식회사협신건영 천정지지용 완충행거
KR20100010420U (ko) * 2009-04-15 2010-10-25 진선영 천장 시설물 고정용 행거
KR101320568B1 (ko) 2011-08-19 2013-10-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천장구조물용 행거
CN202767323U (zh) * 2012-08-23 2013-03-06 南通市建筑装饰装璜有限公司 装饰吊顶组合式反撑型吊杆
JP2015196943A (ja) * 2014-03-31 2015-11-09 倉敷化工株式会社 吊りハンガ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258A (zh) * 2021-12-27 2022-03-22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减震型吊顶轻钢龙骨连接结构
CN115198953A (zh) * 2022-08-11 2022-10-18 广州优智保智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天花吊装系统
CN115198953B (zh) * 2022-08-11 2024-03-15 广州优智保智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天花吊装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62B1 (ko) 202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0458C2 (ru) Подвесная потолочная система, крепежные элементы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подвесной потолочной системы
KR102077192B1 (ko)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KR101709057B1 (ko) 배관 지지 행거
KR102153885B1 (ko)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AU2017202673B2 (en) Unit attaching device and indoor unit
KR102208662B1 (ko)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KR102417604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KR101833820B1 (ko) 천장틀 및 이를 위한 내진부재
KR20190095738A (ko) 경량 천창틀용 연결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33822B1 (ko) 천장틀 및 이를 위한 내진부재
KR102072056B1 (ko)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KR101984612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KR101733211B1 (ko) 내진형 와이어 웨이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8526547A (ja) 吊り天井構造の一部分を形成するための縁形材及び吊り天井構造
KR102173311B1 (ko) 댐핑브래킷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26096B1 (ko) 내진용 경량철골틀의 구조
KR200492628Y1 (ko)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JP6837872B2 (ja) 建物の天井構造
KR102018001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JP6782144B2 (ja) 野縁固定部材、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構築方法
KR102616862B1 (ko)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KR20190090437A (ko) 경량철골틀의 내진장치
KR102575620B1 (ko) 내진기능이 적용된 건물 천장 마감재용 천장틀 시스템
KR102621874B1 (ko) 무달대 천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