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192B1 -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 Google Patents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192B1
KR102077192B1 KR1020170097983A KR20170097983A KR102077192B1 KR 102077192 B1 KR102077192 B1 KR 102077192B1 KR 1020170097983 A KR1020170097983 A KR 1020170097983A KR 20170097983 A KR20170097983 A KR 20170097983A KR 102077192 B1 KR102077192 B1 KR 10207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lip
ceiling
bolt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329A (ko
Inventor
지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Priority to KR102017009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설치물의 지지를 위해 천장 슬래브(Slab)에 상하방향으로 정착 가능한 천장용 내진 행거와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을 개시한다. 상기 내진 행거는: 행거 클립(Hanger Clip); 상기 행거 클립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클립을 지지하는 행거 볼트(Hanger Bolt); 그리고 상기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에 구비되는 클립 내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설치물의 좌우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천장 설치물 예를 들면 천장틀과 천장 패널 또는 천장 배관의 이탈 및/또는 흔들림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고, 지진 등에 의해 건물에 충격이 가해질 때 천장 설치물의 낙하나 붕괴가 최소화되거나 지연 또는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Vibration-resistant Hanger For Ceiling Supporting Ceiling Facility And Seismic-resistant Ceiling Fram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장 설치물을 지지하는 천장용 행거(달대) 및 이를 갖는 천장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마감재(천장 패널)의 설치를 위한 패널 지지용 프레임이나 배관이나 덕트 등과 같은 천장 설치물을 지지하도록,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진성이 향상된 구조의 천장용 행거(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상가 건물이나 고층 빌딩이나 학교 등과 같은 건물의 천장에는, 콘크리트 슬래브(천장 슬래브)에는 천장 설치물, 예를 들면 천장 마감재(천장 패널) 설치를 위한 패널 지지용 프레임이나 배관이나 덕트 등이 설치된다.
상술한 천장 설치물은 달대라 불리는 행거(Hanger)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행거는 상기 천장 슬래브(Slab)에 정착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거의 상단부는 상기 천장 슬래브에 정착되고, 상기 행거의 하단부에는 상술한 천장 설치물이 장착된다.
상기 패널 지지용 프레임은 상술한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는 다수의 행거에 의해 지지되어서 천장틀을 형성하며, 상기 천장틀에는 천장 슬래브를 차폐하는 동시에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선이나 환기덕트의 노출을 방지하는 천장 마감재 즉 천장 패널(천장 마감판)이 설치된다.
즉, 상기 천장 마감재는 슬래브에 고정되는 천장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천장틀의 예로서 근래에는 경량철골 천장틀(Lightweight Steel Frame)이라 불리는 천장틀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틀은, 천장 슬래브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달대 즉 행거에 반자대(Ceiling Joist)가 직접 연결되는 직접현수 방식의 천장틀과, 반자대 받이 즉 캐링 채널(Carring Channel)을 이용해서 상기 반자대를 지지하는 간접현수 방식의 천장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반자대는, 반자대의 단면 형상에 따라, 엠바(M-Bar)와 티바(T-Bar)와 클립바(Clip-Bar) 등으로 분류되며, 상기 반자대는 상기 캐링 채널('캐링' 또는 '캐링 찬넬'이라고도 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반자대 클립이라 불리는 커플러(Coupler)에 의해 상기 캐링 채널에 고정된다.
근래에는, 일본과 중국과 남미 국가를 포함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 지진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이나 폭격이나 폭발 등과 같은 인위적인 충격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기 위해 내진 설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종래의 천장틀 예를 들면 종래의 경량철골 천장틀은, 건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진동을 견디기 어렵고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나 충격 흡수력이 약하므로, 천장이 무너지거나 상술한 천장 패널 등과 같은 천장재의 낙하로 인해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장틀 등의 천장 설치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달대(행거)가 건물의 흔들림(진동)으로 인해 상하 및/또는 좌우로 흔들리게 되면,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에 의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면서 실내 거주자에게 공포감을 주고, 천장 설치물이 상기 행거에서 이탈되고 아래로 추락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258,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2007년 7월 5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320568호, 천장구조물용 행거, 2013년 10월 15일 등록
본 발명은, 내진성 강화된 천장용 행거,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충격에 의한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천장 설치물 지지용 행거 즉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천장 설치물의 지지를 위해 천장 슬래브(Slab)에 상하방향으로 정착 가능한 천장용 내진 행거로서: 행거 클립(Hanger Clip); 상기 행거 클립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클립을 지지하는 행거 볼트(Hanger Bolt); 그리고 상기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에 구비되는 클립 내진부재를 포함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를 제공한다.
상기 클립 내진부재는; 상기 천장 설치물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행거 클립에 겹쳐져서 상기 행거 클립에 일체화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행거 클립은,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홀을 갖는 클립 상판과, 상기 클립 상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클립 측판을 가지며, 상기 천장 설치물을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의 일측부는 상기 클립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측부는 상기 클립 측판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클립 상판과 상기 클립 측판에 겹쳐지도록, 상기 클립 상판과 상기 클립 측판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게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진 행거는, 상기 천장 설치물의 상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을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행거 볼트에 장착되어서 상기 행거 클립을 상기 행거 볼트의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며,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거 클립은,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홀을 갖는 클립 상판과, 상기 클립 상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클립 측판을 가지며 상기 천장 설치물을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볼트에는 상기 행거 클립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스토퍼와 클립 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내진 행거는,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거 볼트는 상기 완충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과, 상기 볼트 관통홀의 외측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홀을 갖는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진 행거는, 상기 클립 상판의 볼트홀에 삽입되는 볼트 삽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삽입관은, 상기 행거 클립의 클립 상판에 형성되는 상기 볼트홀과 상기 행거 볼트의 유격을 감소시켜서 상기 행거 볼트와 행거 클립의 상대적 유동을 억제하며, 상기 클립 상판에 고정되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볼트 삽입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관에 체결되어서 상기 클립 상판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부 너트와 상기 볼트 삽입관에 체결되어서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을 가압하는 하부 너트에 의해, 상기 볼트 삽입관이 상기 클립 상판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너트는 상기 클립 내진부재를 가압해서 상기 클립 상판에 고정한다. 즉, 상기 클립 상판과 상기 상부 너트 사이에 상기 클립 내진부재의 베이스부(Base Portion)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진 행거는, 상기 하부 너트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너트를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거 볼트에는,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받치는 클립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행거 클립의 낙하를 방지하는 받침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행거 볼트에 체결되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너트이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부 너트와 받침 너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립 상판에 탄성 지지력을 가한다.
상기 행거 볼트에는,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받치는 클립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행거 클립의 낙하를 방지하는 받침 너트와, 상기 클립 상판의 상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가압하는 고정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클립 상판과 받침 너트의 사이와 상기 클립 상판과 고정 너트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과, 상기 볼트 관통홀의 외측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홀을 갖는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천장 슬래브(Slab)에 상하방향으로 정착 가능한 내진 행거; 및 천장을 마감하는 천장 패널의 지지를 위해 상기 내진 행거에 걸려서 설치되는 패널 지지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내진 천장틀을 제공한다. 상기 내진 행거는: 상기 패널 지지용 프레임을 받치는 행거 클립(Hanger Clip); 상기 행거 클립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클립을 지지하는 행거 볼트(Hanger Bolt); 및 상기 천장 패널이나 패널 지지용 프레임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에 구비되는 클립 내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 내진부재는; 상기 행거 클립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진 행거는; 상기 행거 클립을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설치물의 좌우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천장 설치물 예를 들면 천장틀과 천장 패널 또는 천장 배관의 이탈 및/또는 흔들림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고, 지진 등에 의해 건물에 흔들림(진동)이 발생할 때 천장 설치물의 낙하나 붕괴가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설치물의 좌우 흔들림과 함께 상하 흔들림이 억제 예를 들면 완화될 수 있으므로, 천장 설치물에 갑작스런 충격 발생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 내지 완화될 수 있고, 지진이나 태풍이나 전시 등에 의해 건물에 가해지는 진동에 대한 천장 설치물의 저항력이 강화될 수 있으며, 천장의 낙하나 붕괴가 최대한 지연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행거(내진 행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행거를 위한 완충부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내진 행거를 갖는 내진 천장틀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내진 행거의 다른 실시 예를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행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행거의 측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천장용 내진 행거를 갖는 내진 천장틀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은 내진성이 향상된 내진 천장틀 및 이를 위한 천장용 행거(내지 행거)로서, 건물에 가해지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충격에 의한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구조, 즉 천장 설치물에 가해지는 진동(흔들림)을 완화하거나 진동을 흡수/감쇠하는 구조를 갖는 내진 천장틀 및 이를 위한 천장용 행거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행거(내진 행거) 및 이를 이용한 천장틀의 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행거(내진 행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행거를 위한 완충부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내진 행거를 갖는 내진 천장틀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행거(Hanger) 즉 내진 행거(100; 이하 '천장 행거'라 칭함)는, 천장에 설치되는 배관이나 덕트나 천장 패널 지지용 프레임을 천장 슬래브에 매다는 데 사용된다.
상기 천장 행거(100)는 달대라고도 불리며, 상기 천장 행거(100)는 천장 설치물의 지지를 위해 천장 슬래브(Slab)에 정착(고정)되며, 천장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장 행거(100)의 상단부는 상기 천장 슬래브에 정착되고, 상기 천장 행거(100)의 하단부에는 상술한 천장 설치물이 장착되어서 상기 천장 행거(100)에 상기 천장 설치물이 매달려서 지지된다. 상기 천장 행거 자체의 기본적 기능이나 설치 방식은 천장 시공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100)는, 지진이나 강풍(태풍) 등과 같은 자연적 충격이나 폭격이나 포격이나 폭발 등 인위적 충격에 의해 천장 설치물에 가해지는 진동(흔들림)을 완화하거나 진동을 흡수/감쇠하는 방진성 지지장치 즉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내진 행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 행거(100)는 천장 설치물의 지하방향으로 정착 가능한 천장용 내진 행거로서, 행거 클립(110; Hanger Clip)과, 상기 행거 클립(110)에 결합되는 행거 볼트(120; Hanger Bolt)와, 상기 행거 클립에 구비되는 클립 내진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 클립(110)과 행거 볼트(120)는 공지된 구성으로서, 상기 행거 볼트(120)는 상기 행거 클립(110)을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거 볼트(120)는, 상기 행거 클립(110)에 장착되는 천장 설치물 예를 들면 천장 배관이나 후술되는 반자대 받이 등과 같은 패널 지지용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행거 볼트(1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수나사)가 형성된다. 즉, 상기 행거 볼트(1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타입의 바(Bar)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행거 클립(110)은 상기 행거 볼트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는, 상술한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행거 클립(110)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는 상기 천장 설치물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 다시 말해서 천장 설치물의 좌우방향 진동(상기 앵커 볼트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의 흔들림)을 완화하거나 진동을 흡수/감쇠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는, 상기 행거 클립(110)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를 위한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이하 클립 내진부재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130)은, 상기 행거 클립(110)에 겹쳐져서 상기 행거 클립(110)에 일체화되는 구성 즉 상기 행거 클립(110)에 덧대어지는 덧판 타입의 탄성체이다.
그리고, 상기 행거 클립(110)은, 상기 행거 볼트(120)와 결합되는 클립 상판(111)과, 상기 클립 상판(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홀더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112)에 상술한 천장 설치물이 장착된다.
상기 클립 상판(111)에는 상기 행거 볼트(120)와의 결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볼트홀(111a)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112)는 상기 클립 상판(111)에서 하향 연장되는 클립 측판(112a)을 갖는다. 상기 클립 측판(112a)은 상기 클립 상판(11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된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판 스프링(130)의 일측부는 상기 클립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판 스프링(130)의 타측부는 상기 클립 측판(112a)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판 스프링(130)은, 상기 클립 상판(111)과 클립 측판(112a)에 겹쳐지도록, 상기 클립 상판(111)과 상기 클립 측판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게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립 상판(111)과 상기 클립 측판(112a)은 90도를 이루며,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를 위한 판 스프링(130) 역시 90도 꺽인 구조 즉 'ㄱ' 형상의 꺽쇠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판 스프링(130)은, 상기 클립 상판(111)에 겹쳐지는 스프링 상판(131)과, 상기 클립 측판(112a)에 겹쳐지는 스프링 측판(132)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 상판(131)에는 상기 행거 볼트(120)가 삽입되는 홀(131a) 즉 볼트 설치홀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판 스프링(130)은 상기 행거 클립(110)의 외측면에 적층된다.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 즉 판 스프링은 리벳이나 용접 등 다양한 종류의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행거 클립(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행거(100)는, 상기 천장 설치물의 상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110)을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140)는 상기 천장 설치물의 상하 흔들림을 억제하는 구성, 즉 상기 행거 클립(110)의 상하방향 진동(흔들림)을 완화하거나 상기 행거 클립(110)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감쇠하는 구성이다.
상기 방진부재(140)는, 상기 행거 볼트(120)에 장착되어서 상기 행거 클립(110)을 상기 행거 볼트(120)의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방진부재(140)는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코일 스프링(141)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141)의 내부에 상기 행거 볼트(120)가 끼워지며, 상기 행거 볼트(120)에는 상기 판 스프링(1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120a)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120a)는 상기 행거 클립(110)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스토퍼(120a)는 상기 클립 상판(111)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41)의 설치를 위한 간격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를 위한 스토퍼(120a)는 상기 행거 볼트(120)에 체결되는 너트(Nut) 타입의 스프링 지지구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141)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행거 볼트(12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행거 볼트(120)가 상기 스토퍼(120a)를 관통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141)은 상기 스토퍼(120a)와 클립 상판(111)의 사이에서 상기 클립 상판(111)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스토퍼(120a)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코일 스프링(141)의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방진부재(140)의 다른 예로서, 상기 클립 상판(111)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111)을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142)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42)의 재질에는 탄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142)에는 볼트 관통홀(142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관통홀(142a)에 상기 행거 볼트(120)가 상하 관통하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142)는 상기 볼트 관통홀(142a)의 외측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홀(142b)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홀(142b)은 상기 완충부재(142)의 완충력 향상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볼트 관통홀(142a)의 주변에 복수의 충격 흡수홀(142b)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 흡수홀(142b)들은 상기 볼트 관통홀(142a)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진 행거(100)는 상기 클립 상판(111)의 볼트홀(111a)에 삽입되는 볼트 삽입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삽입관(150)은, 상기 클립 상판의 볼트홀(111a)과 상기 행거 볼트(120) 간의 유격을 감소시켜서 상기 행거 볼트(120)와 행거 클립(110)의 상대적 유동(움직임)을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 삽입관(150)은 상기 행거 클립(110)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볼트 삽입관(150)은, 상기 클립 상판의 볼트홀(111a)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클립 상판(111)에 고정되며, 상기 행거 볼트(120)는 상기 볼트 삽입관(150)을 관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볼트 삽입관(150)에는 상하 방향으로 볼트 유도홀(15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볼트 삽입관(15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 삽입관(150)은, 상기 클립 상판(111)의 볼트홀(111a)과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의 스프링 상판에 형성되는 홀(131a)을 관통해서 상기 행거 클립(110)에 고정된다.
상기 볼트 유도홀(151)에 상기 행거 볼트(120)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행거 볼트(120)가 상기 볼트 유도홀(151)을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로 관통하며, 좌우 흔들림 억제를 위해 상기 볼트 유도홀(151)과 행거 볼트(120) 사이의 틈새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볼트 삽입관(150)에는 상기 볼트 삽입관(151)을 상기 행거 클립(110)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들(150a, 150b)이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볼트 삽입관(150)에는 상부 너트(150a)와 하부 너트(150b)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 너트(150a)는 상기 클립 상판(111)의 상측을 아래로 가압하고, 상기 하부 너트(150b)는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을 받치며, 상기 볼트 삽입관(150)이 상기 상부 너트(150a)와 하부 너트(150b)에 의해 상기 행거 클립(110) 특히 상기 클립 상판(11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상부 너트(150a)와 하부 너트(150b)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상부 너트(150a)가 상기 클립 상판(111)의 상측면을 가압하고, 상기 하부 너트(150b)는 상기 클립 상판(111)의 저면을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너트(150a)는,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를 상기 클립 상판(111)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너트(150a)는 상기 스프링 상판(131)을 가압한다. 즉, 상기 클립 상판(111)과 상기 상부 너트(150a) 사이에,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의 베이스부(Base Portion) 즉 상기 스프링 상판(131)이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클립 상판(111)의 저면에 상기 하부 너트(150b)가 접촉되며, 상기 스프링 상판(131)의 상측면에 상기 상부 너트(150a)가 접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완충부재(142)는 상기 하부 너트(150b)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너트(150b)를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나, 상기 완충부재(142)의 위치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하부 너트(150b)와 상기 클립 상판(111) 사이 및/또는 상기 상부 너트(150a)와 상기 클립 내진부재(130)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142)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행거 볼트(120)에는 상기 행거 클립(110)의 낙하를 방지하는 받침 너트(120b)가 체결된다. 상기 받침 너트(120b)는 상기 행거 클립(110)을 받치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립 상판(111)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111)을 받치는 클립 받침턱을 형성한다.
상기 완충부재(142)는, 상기 하부 너트(150b)와 받침 너트(120b)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부 너트(150b)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클립 상판(111)에 탄성 지지력을 가하게 된다.
상술한 천장 행거(100) 즉 내진 행거에 의해 구현되는 내진 천장틀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틀은 경량철골 천장틀의 일 예로서, 천장 슬래브(Slab)에 상하방향으로 정착 가능한 천장 행거(100)와, 천장을 마감하는 마감재 즉 천장 패널의 지지를 위해 상기 천장 행거(100)에 걸려서 설치되는 패널 지지용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 천장 행거(100)에는, 상술한 천장 행거의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립 내진부재(130) 예를 들면 상기 행거 클립(110)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판 스프링)가 적용되며, 상기 행거 클립(110)을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140)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141) 및/또는 완충부재(142)가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틀은 간접현수식 천장틀의 일 예로서, 상기 패널 지지용 프레임(10)은 소위 캐링이라 불리는 반자대 받이이며, 상기 패널 지지용 프레임(10) 즉 반자대 받이에는 천장 패널의 고정을 위한 엠바(M-bar)나 티바(T-bar)나 클립 바(Clip-bar)와 같은 반자대(Ceiling Joist)가 결합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천장 패널에 반자대가 직접 장착되는 직접현수식 천장틀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천장 배관이나 덕트를 지지하는 행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행거 클립의 구조는 천장 설치물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행거의 다른 실시 예(제2실시 예)와 이를 갖는 천장틀의 예가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내진 행거의 다른 실시 예를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행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천장용 내진 행거를 갖는 내진 천장틀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A)는, 행거 클립(110)과 행거 볼트(120)와 클립 내진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 클립(110)과 행거 볼트(120)와 클립 내진부재(130)에는 전술한 실시 예(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A)는, 상기 천장 설치물의 상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110)을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행거 볼트(120)에는 고정 너트(120c)와 받침 너트(120d)가 체결된다. 상기 받침 너트(120d)는 상기 행거 클립(110)을 받치는 구성으로서, 상기 행거 클립(110) 특히 상기 행거 클립의 클립 상판(111)을 받치는 클립 받침턱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너트(120c)는, 상기 행거 클립(110)의 고정을 위해, 상기 행거 클립(110)의 상측에서 상기 행거 클립(110)을 가압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 너트(120d)는 상기 클립 상판(111)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111)을 받침으로써, 상기 행거 클립(110)의 낙하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너트(120c)는 상기 클립 상판(111)의 상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가압한다.
상기 행거 클립(110)과 고정 너트(120c) 사이 및/또는 상기 행거 클립(110)과 받침 너트(120d)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는, 상술한 방진부재(160)로서 완충부재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를 위한 완충부재(160)로는, 상기 클립 상판(111)과 고정 너트(120c)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완충부재(161)와, 상기 클립 상판(111)과 받침 너트(120d)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 완충부재(162)가 예시된다.
상기 완충부재(161, 162)는,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과, 상기 볼트 관통홀의 외측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홀을 갖는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완충부재(142)의 구조가 본 실시 예의 완충부재(16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행거(100A)에 의해 구현 가능한 천장틀의 일 예로서 간접현수식 천장틀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틀에서 상기 천장 행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전술한 실시 예의 천장틀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패널 지지용 프레임(반자대 받이)
100, 100A: 천장 행거(내진 행거)
110: 행거 클립 111: 클립 상판
112: 홀더부 112a: 클립 측판
120: 행거 볼트 120a: 스토퍼
120b: 받침 너트 130: 클립 내진부재(판 스프링)
140: 방진부재 141: 코일 스프링
142: 완충부재 150: 볼트 삽입관
150a: 상부 너트 150b: 하부 너트
160: 방진부재(완충부재) 161: 상부 완충부재
162: 하부 완충부재

Claims (19)

  1. 천장 설치물의 지지를 위해 천장 슬래브(Slab)에 상하방향으로 정착 가능한 천장용 내진 행거로서:
    행거 클립(Hanger Clip);
    상기 행거 클립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클립을 지지하는 행거 볼트(Hanger Bolt);
    상기 천장 설치물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에 구비되는 클립 내진부재;
    상기 천장 설치물의 상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을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 및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볼트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행거 볼트에 장착되어서 상기 행거 클립을 상기 행거 볼트의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며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행거 클립은,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홀을 갖는 클립 상판과, 상기 클립 상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클립 측판을 가지며 상기 천장 설치물을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볼트에는 상기 행거 클립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스토퍼와 클립 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볼트 삽입관은, 상기 행거 클립의 클립 상판에 형성되는 상기 볼트홀과 상기 행거 볼트의 유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립 상판의 볼트홀에 삽입되고, 상기 클립 상판에 고정되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내진부재는;
    상기 천장 설치물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행거 클립에 겹쳐져서 상기 행거 클립에 일체화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일측부는 상기 클립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측부는 상기 클립 측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볼트는 상기 완충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과, 상기 볼트 관통홀의 외측에 형성되는 충격흡수홀을 갖는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천장용 내진 행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삽입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관에 체결되어서 상기 클립 상판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부 너트와 상기 볼트 삽입관에 체결되어서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을 가압하는 하부 너트에 의해, 상기 볼트 삽입관이 상기 클립 상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너트는 상기 클립 내진부재를 가압해서 상기 클립 상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너트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너트를 탄력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는, 상기 클립 상판의 하측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받치는 클립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행거 클립의 낙하를 방지하는 받침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행거 볼트에 체결되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너트이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부 너트와 받침 너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립 상판에 탄성 지지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는, 상기 행거 클립을 받치는 클립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행거 클립의 낙하를 방지하는 받침 너트와, 상기 행거 클립을 상측에서 가압하는 고정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행거 클립과 받침 너트의 사이 및 상기 행거 클립과 고정 너트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내진 행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과,
    상기 볼트 관통홀의 외측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홀을 갖는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천장용 내진 행거.
  17. 천장 슬래브(Slab)에 상하방향으로 정착 가능한 내진 행거; 및
    천장을 마감하는 천장 패널의 지지를 위해 상기 내진 행거에 걸려서 설치되는 패널 지지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내진 천장틀로서:
    상기 내진 행거는;
    상기 패널 지지용 프레임을 받치는 행거 클립(Hanger Clip);
    상기 행거 클립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클립을 지지하는 행거 볼트(Hanger Bolt);
    상기 천장 패널이나 패널 지지용 프레임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행거 클립에 구비되는 클립 내진부재;
    상기 행거 클립을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 및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볼트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행거 볼트에 장착되어서 상기 행거 클립을 상기 행거 볼트의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며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행거 클립은, 상기 행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홀을 갖는 클립 상판과, 상기 클립 상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클립 측판을 가지며 상기 패널 지지용 프레임을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볼트에는 상기 행거 클립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스토퍼와 클립 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클립 상판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볼트 삽입관은, 상기 행거 클립의 클립 상판에 형성되는 상기 볼트홀과 상기 행거 볼트의 유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립 상판의 볼트홀에 삽입되고, 상기 클립 상판에 고정되어서 상기 행거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천장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내진부재는;
    상기 행거 클립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천장틀.
  19. 삭제
KR1020170097983A 2017-08-02 2017-08-02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KR10207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83A KR102077192B1 (ko) 2017-08-02 2017-08-02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83A KR102077192B1 (ko) 2017-08-02 2017-08-02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329A KR20190014329A (ko) 2019-02-12
KR102077192B1 true KR102077192B1 (ko) 2020-02-14

Family

ID=6536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983A KR102077192B1 (ko) 2017-08-02 2017-08-02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569A (zh) * 2020-05-26 2020-10-13 深圳凯捷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天花吊顶结构及其bim快速建模方法
KR20210103649A (ko) 2020-02-14 2021-08-24 김점성 건축용 내외장 패널 및 태양광 모듈 융합 철물구조물 벽고정 내진 성능을 가진 하스너 볼브라켓
KR102293854B1 (ko) * 2021-03-1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93850B1 (ko) * 2021-03-2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97B1 (ko) * 2019-09-24 2020-06-04 삼성물산 주식회사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4542B1 (ko) * 2020-11-16 2021-04-27 제이앤티 주식회사 내진, 내화성과 흡음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킨 천장구조 시스템
CN114215258A (zh) * 2021-12-27 2022-03-22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减震型吊顶轻钢龙骨连接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943A (ja) * 2014-03-31 2015-11-09 倉敷化工株式会社 吊りハンガ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304A (ja) * 1995-04-13 1996-10-29 Hitachi Lighting Ltd 天井工法及び工法を実施するための器具
KR200436258Y1 (ko) 2007-04-19 2007-07-11 문재성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KR101179575B1 (ko) * 2009-10-27 2012-09-04 (주)엔에스브이 스프링상수 조절이 가능한 방진행거
KR101320568B1 (ko) 2011-08-19 2013-10-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천장구조물용 행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943A (ja) * 2014-03-31 2015-11-09 倉敷化工株式会社 吊りハンガ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49A (ko) 2020-02-14 2021-08-24 김점성 건축용 내외장 패널 및 태양광 모듈 융합 철물구조물 벽고정 내진 성능을 가진 하스너 볼브라켓
CN111764569A (zh) * 2020-05-26 2020-10-13 深圳凯捷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天花吊顶结构及其bim快速建模方法
KR102293854B1 (ko) * 2021-03-1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93850B1 (ko) * 2021-03-2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329A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192B1 (ko)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JP5238245B2 (ja) 床構造
KR101578438B1 (ko) 천장판넬 내진시공장치
KR101531411B1 (ko) 행거형 방진장치
JP6900606B2 (ja) 天井型耐震衝撃緩衝ユニット
JP5442359B2 (ja) 吊り天井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00022881A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행거
KR101573849B1 (ko) 통신케이블 트레이용 방진구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JP6470514B2 (ja) 耐震天井
US20080148667A1 (en) Acoustical mounting bracket for attaching ceiling suspension to floor joists
KR102139093B1 (ko) 마감재 부착용 내진 브래킷
JP5906101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JP5027490B2 (ja) 耐震天井構造、天井制震装置及び天井制震装置の取付方法
KR102208662B1 (ko)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JP4392567B2 (ja) 耐震防振装置
JP5639766B2 (ja) 床構造
JP5917182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20180006739A (ko) 내진용 행거
KR20200000026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WO2014199790A1 (ja) 天井構成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建築物
JP2013256991A (ja) 減震構造体
KR20130020346A (ko) 천장구조물용 행거
JP6837872B2 (ja) 建物の天井構造
JP4953713B2 (ja) 免震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