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997B1 -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997B1
KR102118997B1 KR1020190117317A KR20190117317A KR102118997B1 KR 102118997 B1 KR102118997 B1 KR 102118997B1 KR 1020190117317 A KR1020190117317 A KR 1020190117317A KR 20190117317 A KR20190117317 A KR 20190117317A KR 102118997 B1 KR102118997 B1 KR 10211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late
anchor
installat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영
김성종
이준승
박현일
문광호
문경호
문성호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문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문광호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인 하측은 좁고 내부인 상측은 넓도록 요홈이 길게 요입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요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상기 요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둘레에 나사가 형성된 설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안내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요홈의 입구를 통해 내부에 삽입된 후, 90°회전하여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저면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결합이 신속 용이하고 동시에 외력에 의한 이탈이 방지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의 몸체가 플레이트 요홈에 회전결합될 때, 상기 몸체의 측면 전체가 요홈 내부의 플레이트 내면에 면접촉되므로 안정성을 도모함 물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 요홈 내부 상측으로 앵커가 이동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90°회전하면서 플레이트 요홈에 설치 및 해체되므로 앵커의 재설치 및 재활용이 가능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Anch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asier Attaching and Detaching}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에 매립되거나 매달린 플레이트의 요홈에 별도의 도구나 장비없이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등에는 상,하수도나 소화용 배관 파이프, 전기배선 파이프,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환풍기용 덕트, 천정 마감재 등과 같은 다양한 물건들이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건들은 천정에 부분 매설되거나 이격 설치된 플레이트의 요홈에 결합되는 앵커에 결합 설치되게 된다..
상기 앵커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928호에 '행거설치용 앵커고정구'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평면상 직사각을 이루는 몸체의 하측에 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한 고정구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의 중앙에 수직방향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측과 하측에 경사돌기와 조임너트를 접합시켜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고정구를 플레이트의 요홈에 끼워 회전결합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몸체(12)는 평면상으로 직사각을 이루면서 대각선상의 양 모서리가 반드시 타원형의 곡면을 갖추어야함으로써 곡면만큼 플레이트 요홈과의 접촉면적이 좁아지므로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요홈에서 몸체가 90°회전되면, 지지판(16)의 경사돌기(22)가 요홈의 입구에 걸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상기 경사돌기가 요홈의 입구에 걸려 분리되기 어려워 재설치나 재활용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몸체와 지지판 사이에 플레이트의 양측이 삽입되는 구조로서 몸체와 지지판 사이의 형상과 플레이트의 형상이 정밀하지 못한 경우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와 고정구(10)가 강결 고정되는 구조로서 유동성이 전혀 없어 행거 등에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없고, 따라서 앵커 등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종래기술은 결합너트(9)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서, 앵커의 설치와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플레이트에 강결되는 구조로서 유동성이 부족하여 지진 등과 같은 큰 수평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9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앵커 몸체의 측면 전체가 요홈 내부의 플레이트 내면에 면접촉됨으로써, 안정감있게 설치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플레이트 요홈 내부에 삽입한 후 회전하는 것 만으로 설치되거나 해체됨으로써, 앵커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용이한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탄성력으로 가압부재가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안정되게 고정됨과 동시에, 지진과 같은 큰 외력에 대해 일정 부분 유동함으로써 파손이 방지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가압부재 상측의 리브가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의 과도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는, 입구인 하측은 좁고 내부인 상측이 넓은 요홈이 길게 요입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요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상기 요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설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안내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요홈의 입구를 통해 내부에 삽입된 후, 90°회전하여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저면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결합이 신속 용이하고 동시에 외력에 의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수평면상에서 길이가 짧은 단축과 그 직각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장축의 양단부 하측은 절취되어 상기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 대응하여 면접촉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가압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에 결합되어 상호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판체; 상기 가압판체 내부에 관통된 통공; 및 상기 통공 상부의 가압판체 상면에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요홈으로 삽입되어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 내부에 나사로 형성된 연결공; 상기 연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설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돌출 설치됨으로써 상기 앵커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인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시공방법은, 입구인 하측은 좁고 내부인 상측은 넓도록 요홈이 길게 요입 형성된 플레이트를 천정에 설치하는 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요홈의 하부에서 상부로 설치부를 이동시켜 설치부의 몸체가 요홈 내부에 삽입되고, 동시에 가압부재가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설치부 삽입단계; 지지부재로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면서 설치부를 상승시켜 설치부의 몸체가 요홈 내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설치부 상승단계; 상기 요홈 내부의 상측에 위치한 몸체가 요홈과 직교되도록 설치부를 90°회전시키는 설치부 회전단계; 및 상기 지지부재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되면, 설치부가 하강하면서 몸체의 양측면이 요홈의 플레이트 내면에 면접촉되어 걸려 고정되는 설치부 고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된 복원력으로 지지부재를 밀어 복원시키면서 지지부재에 연결된 설치부를 당겨 몸체의 양측면이 요홈의 플레이트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동시에 가압부재를 밀어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가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될 때, 가압부재의 리브가 요홈으로 삽입되어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몸체의 측면 전체가 요홈 내부의 플레이트 내면에 면접촉됨으로써, 안정감있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 요홈 내부에 삽입한 후 회전하는 것 만으로 설치되거나 해체됨으로써, 앵커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으로 가압부재가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안정되게 고정됨과 동시에, 지진과 같은 큰 외력에 대해 일정 부분 유동함으로써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재 상측의 리브가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의 과도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시공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가압부재 다른례를 나타낸 설치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탈착이 용이한 앵커는, 플레이트(10)의 요홈(11)에 삽입된 후 90°회전하여 설치 및 해체되는 앵커(100)로서, 몸체와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부(110), 가압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는 천정 바닥판의 하측에 매립 설치되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이거나 또는 천정에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플레이트(10)에는 입구인 하측은 좁고 내부인 상측이 넓은 요홈(11)이 길게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앵커(100)는 플레이트(10)의 요홈(1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착탈 가능한 구성이다. 즉, 파이프, 천정 마감재 등을 설치하고자 할 때 앵커(100)를 플레이트(10)의 요홈(11)에 삽입 결합한 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천정 마감재 등을 철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앵커(100)는 몸체(111) 및 설치안내부재(112)를 포함하는 설치부(110)와, 가압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1)는 플레이트(10)의 요홈(11)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면상에서 길이가 짧은 단축과 그 직각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축을 포함할 수 있다. 단축은 요홈(11)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축은 몸체(111)가 요홈(11)에 삽입된 후 회전하였을 때 걸리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축의 양단부 하측은 절취되어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에 면접촉 결합될 수 있다. 장축의 양단부 하측은 요홈(11)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요홈(11)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이 경사진 경우 장축의 양단 부 하측도 경사지게 절취될 수 있다. 또한 요홈(11)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이 호 형상 등의 곡면으로 경사진 경우 장축의 양단 부 하측도 곡면으로 경사지게 절취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11)가 요홈(11) 내부에 삽입된 후 회전하는 경우 플레이트(10)의 양 측면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12)는 몸체(111)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12)는 몸체(1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된 후 용접 등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된 후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12)의 둘레 전체 또는 하측 일부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에 후술하는 지지부재(1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120)는 설치안내부재(112)를 따라 승강하여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가압판체(121), 통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체(121)는 와셔와 같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요홈(1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플레이트(10)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통공(122)은 가압판체(121) 내부에 관통되는 것으로, 설치안내부재(112)에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다. 즉, 가압판체(121)는 통공(122)에 설치안내부재(112)가 삽입되게 설치된 후 상하 승강할 수 있다.
가압부재(120)는 리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23)는 통공(122) 상부의 가압판체(121) 상면에 돌출될 수 있다. 리브(123)는 가압판체(121)가 플레이트(10) 저면에 밀착될 때, 플레이트(10)의 요홈(11)에 삽입될 수 있다. 요홈(11)으로 삽입되는 리브(123)는 요홈(11)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100)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123)는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밀착되거나 여유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가압부재(120) 하측에 구비되고, 설치안내부재(112)에 설치되어 가압부재(12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코일스프링 등일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가압부재(12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가 설치되도록 가압판체(121) 저면 및 하기의 지지판체(141) 상면에 안내리브(13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안내리브(131)는 탄성부재(130)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게 하여 가압부재(120)를 정확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앵커(100)가 정확하게 연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란에 기재된 종래기술의 종래기술은 가압부재가 결합너트로 구성되어 결합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즉, 많은 물건들을 설치하는 현장 작업에서 앵커의 설치나 잘못 설치된 앵커의 재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종래기술은 결합너트에 의해 완전히 고정됨으로써 지진과 같은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앵커에 파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가압부재(120)의 하측을 탄성부재(130)가 지지하여,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설치하거나 해체가 완료되고, 또한 지진 등과 같은 큰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일정 부분 유동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성부재(130)를 지지하도록 설치안내부재(112)의 하측에 지지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설치안내부재(112) 하측의 나사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지지판체(141), 나사 체결공(14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체(141)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탄성부재(130)의 직경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체(141)는 탄성부재(130)를 상측으로 지지함으로써, 가압부재(120)가 플레이트(10) 저면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지지판체(141)는 전체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측은 회전 작업이 용이하게 도면 1 등과 같이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설치안내부재(112)의 나사에 나사 체결되어 승강됨으로써,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0)는 설치안내부재(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와 같이 나사 체결된 후 용접되거나, 결합부위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140)는 설치안내부재(112)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40)에 의해 몸체(111)의 설치방향 즉,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요홈(11) 내부에 삽입된 몸체(111)의 방향을 알 수 없어 설치 하자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지지부재(140)에 의해 요홈(11) 내부에 삽입된 몸체(111)의 방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앵커(100)의 정확한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설치부(110) 내부에 나사로 형성된 연결공(150), 연결공(150)에 나사 체결되는 연결부재(160') 및 연결부재(160')에 설치되는 설치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재(160)는 전산볼트, 와이어, 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산볼트인 설치부재(160)는 그 상측이 연결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산볼트인 설치부재(160)는 연결공(150)에 직접 체결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고리 등의 설치부재(160)는 별도의 연결부재(160')로 연결하여 연결공(150)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설치부재(160)는 CCTV, 전구 등도 가능하다.
연결공(150)에 나사 체결되는 연결부재(160')는 몸체(11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몸체(111)가 플레이트(10)의 내측에 안착된 후 연결부재(160')를 회전시켜 상측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예상하지 않은 진동 등에 의해 몸체(111)의 과도한 상승과 회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설계 도면에 따라 판체를 절곡하여 입구인 하측은 좁고 내부인 상측이 넓도록 하부가 개방된 요홈(11)을 판상의 플레이트(10)에 길게 요입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천정에 매립시공되거나 천정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의 요홈(11) 하부에 앵커(100)를 도 4와 같이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앵커(10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도 5와 같이, 설치부(110)의 몸체(111)는 요홈(11) 내부로 삽입되고, 동시에 가압부재(120) 상면이 플레이트(10)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20)가 플레이트(10)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40)는 도 6과 같이, 외력에 의해 상부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40)의 지지판체(141)는 가압부재(120) 저면에 상부가 밀착된 탄성부재(130)의 하부를 가압하고,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30)는 압축되어 복원력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가압판체(121) 저면 및 지지판체(141) 상면에 돌출형성된 안내리브(131)에 결합되어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설치부(110)를 탄력있고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40)가 나사체결된 설치부(110)의 설치안내부재(112)는 가압부재(120)의 통공(122)으로 이동하여 상승하고, 동시에 상기 설치안내부재(112)에 연결된 몸체(111)는 요홈(11) 내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몸체(111)의 회전시 요홈(11) 내부의 플레이트(10) 내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요홈(11) 내부의 상측에 몸체(111)가 위치하면, 도 7과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90°회전시켜 몸체(111)의 장축이 길이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요홈(11)과 직교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과 같이, 상기 몸체(111)의 마주보는 모서리를 만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1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요홈(11) 내부의 플레이트(10) 내면과의 간섭을 줄여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111)의 장축이 요홈(11)과 직교되면, 상기 지지부재(14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40)는 도 9와 같이,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으로 하향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40)가 나사체결된 설치안내부재(112) 및 몸체(111)가 하향 이동하면서 몸체(111)의 양단부에 절취된 측면이 요홈(11)이 형성된 플레이트(10) 내면에 걸려 면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으로 당겨지는 설치부(110)의 몸체(111)는 요홈(11) 내부의 플레이트(10) 내면에 면접촉되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가압력으로 밀리는 가압부재(120)는 플레이트(10)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앵커(10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과 같이, 상기 가압부재(120)의 가압판체(121) 상면에 돌출된 리브(123)가 요홈(11) 내부로 삽입되고, 동시에 요홈(11) 양측의 플레이트(10)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123)는 요홈(11)의 양측에 완전 밀착되거나 일정 부분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완전 밀착되는 경우 앵커(100)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일정 부분 여유를 가지는 경우 일정 부분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정·역방향 회전으로 설치안내부재(112)의 나사를 따라 승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판체(141)가 가압하는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앵커(100)의 설치과정을 역순하여 플레이트(10)의 요홈(11)으로부터 앵커(100)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고, 플레이트(10)의 요홈(11)에 앵커(100)의 재설치가 가능함을 물론 설치와 재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앵커(100)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플레이트(10) 요홈(11)에 복수의 앵커(100)를 설치하고, 상기 앵커(100)의 설치부(110)에 나사로 형성된 연결공(150)에 연결부재(16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재(160)는 도 11과 같이, 전산볼트 일 수 있고, 도 12 내지 도 13과 같이, 고리 또는 와이어 등의 설치부재(160)는 연결부재(160')로 연결하여 연결공(15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공(150)에 연결부재(160')가 나사체결됨으로써,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설치된 설치부재(160)에 각종 배관 또는 천정마감재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앵커 110: 설치부
120: 가압부재 130: 탄성부재
140: 지지부재 150: 연결공
160: 설치부재

Claims (10)

  1. 입구인 하측은 좁고 내부인 상측이 넓은 요홈이 길게 요입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요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상기 요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설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안내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요홈의 입구를 통해 내부에 삽입된 후, 90°회전하여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저면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결합이 신속 용이하고 동시에 외력에 의한 이탈이 방지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수평면상에서 길이가 짧은 단축과 그 직각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장축의 양단부 하측은 절취되어 상기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내면 대응하여 면접촉 결합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가압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에 결합되어 상호 회전이 방지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판체;
    상기 가압판체 내부에 관통된 통공; 및
    상기 통공 상부의 가압판체 상면에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요홈으로 삽입되어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의 유동이 방지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 내부에 나사로 형성된 연결공;
    상기 연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돌출 설치됨으로써 상기 앵커의 이탈이 방지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9. 입구인 하측은 좁고 내부인 상측은 넓도록 요홈이 길게 요입 형성된 플레이트를 천정에 설치하는 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요홈의 하부에서 상부로 설치부를 이동시켜 설치부의 몸체가 요홈 내부에 삽입되고, 동시에 가압부재가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설치부 삽입단계;
    지지부재로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면서 설치부를 상승시켜 설치부의 몸체가 요홈 내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설치부 상승단계;
    상기 요홈 내부의 상측에 위치한 몸체가 요홈과 직교되도록 설치부를 90°회전시키는 설치부 회전단계; 및
    상기 지지부재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되면, 설치부가 하강하면서 몸체의 양측면이 요홈의 플레이트 내면에 면접촉되어 걸려 고정되는 설치부 고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된 복원력으로 지지부재를 밀어 복원시키면서 지지부재에 연결된 설치부를 당겨 몸체의 양측면이 요홈의 플레이트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동시에 가압부재를 밀어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가 플레이트 저면에 밀착될 때, 가압부재의 리브가 요홈으로 삽입되어 요홈 양측의 플레이트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앵커의 유동이 방지되는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90117317A 2019-09-24 2019-09-24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17A KR102118997B1 (ko) 2019-09-24 2019-09-24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17A KR102118997B1 (ko) 2019-09-24 2019-09-24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997B1 true KR102118997B1 (ko) 2020-06-04

Family

ID=7108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317A KR102118997B1 (ko) 2019-09-24 2019-09-24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99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854B1 (ko) * 2021-03-1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93850B1 (ko) * 2021-03-2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20220169176A (ko) 2021-06-18 2022-12-27 삼성물산 주식회사 트래퍼조이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20230116258A (ko)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WO2023177101A1 (ko) * 2022-03-17 2023-09-21 최환령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KR102619883B1 (ko) * 2023-05-18 2023-12-29 이지숙 원터치 행거너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805U (ja) * 1983-08-04 1985-02-28 株式会社 ブレスト工業研究所 床版プレ−ト用インサ−ト具
JPH0410620U (ko) * 1990-05-17 1992-01-29
JPH0549915U (ja) * 1991-11-28 1993-07-02 株式会社リープ 吊りボルトの取付金具
JPH07189395A (ja) * 1993-12-27 1995-07-28 Akagi:Kk デッキプレート用吊り金具、その取り付け用治具及び両者の組み合わせセット
KR20000009556U (ko) * 1998-11-06 2000-06-05 정홍열 행거 설치용 앵커고정구
KR200296090Y1 (ko) * 2002-08-09 2002-11-23 정광희 슬래브용 행거의 고정구
KR20190014329A (ko) *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805U (ja) * 1983-08-04 1985-02-28 株式会社 ブレスト工業研究所 床版プレ−ト用インサ−ト具
JPH0410620U (ko) * 1990-05-17 1992-01-29
JPH0549915U (ja) * 1991-11-28 1993-07-02 株式会社リープ 吊りボルトの取付金具
JPH07189395A (ja) * 1993-12-27 1995-07-28 Akagi:Kk デッキプレート用吊り金具、その取り付け用治具及び両者の組み合わせセット
KR20000009556U (ko) * 1998-11-06 2000-06-05 정홍열 행거 설치용 앵커고정구
KR200261928Y1 (ko) 1998-11-06 2002-05-13 도회만 행거설치용앵커고정구
KR200296090Y1 (ko) * 2002-08-09 2002-11-23 정광희 슬래브용 행거의 고정구
KR20190014329A (ko) *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854B1 (ko) * 2021-03-1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93850B1 (ko) * 2021-03-2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20220169176A (ko) 2021-06-18 2022-12-27 삼성물산 주식회사 트래퍼조이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102584251B1 (ko) * 2021-06-18 2023-10-05 삼성물산(주) 트래퍼조이드 앵커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20230116258A (ko)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WO2023177101A1 (ko) * 2022-03-17 2023-09-21 최환령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KR102619883B1 (ko) * 2023-05-18 2023-12-29 이지숙 원터치 행거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997B1 (ko)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2879B1 (ko) 매입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CN109680895B (zh) 一种插卡方式固定上钩头的插入式挂件
CA2922273A1 (en) A mounting assembly for glass balustrade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CN110439249B (zh) 一种悬挑承力架及其安装方法
KR20140013625A (ko)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KR20150022502A (ko) 빔용 클램프
US8714506B2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KR20190098408A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20110009836A (ko) 도로시설물 지주 연결장치
KR20130129151A (ko) 건설용 시스템서포트의 클램프
KR101058410B1 (ko) 받침대 부착판과 관람석 의자받침대의 결합구조
KR20180057092A (ko)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체결장치
KR101242716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20070103528A (ko)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JP6782144B2 (ja) 野縁固定部材、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構築方法
KR101918932B1 (ko) 가설 비계용 조인트 장치
US9085910B2 (en) Plaster ceiling support device
CN212317500U (zh) 一种紧固装置、标高控制支架和高低跨模模板支架
KR101377209B1 (ko) 건축 내외장재 교체용 상부 고정브래킷
KR102633364B1 (ko)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전체 탈부착 유지보수형 투명방음벽
JP7409945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吊り金具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