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83B1 - 원터치 행거너트 - Google Patents

원터치 행거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83B1
KR102619883B1 KR1020230064428A KR20230064428A KR102619883B1 KR 102619883 B1 KR102619883 B1 KR 102619883B1 KR 1020230064428 A KR1020230064428 A KR 1020230064428A KR 20230064428 A KR20230064428 A KR 20230064428A KR 102619883 B1 KR102619883 B1 KR 10261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uide
nut
elastic mem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숙
Original Assignee
이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숙 filed Critical 이지숙
Priority to KR102023006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16B37/04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with resilient means for urging the nut inside the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행거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립 또는 노출되도록 시공되어 형성된 매립홈에 별도의 도구 및 장비 없이 간편하게 탈착하여 다양한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원터치 행거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행거너트{One-touch hanger nut}
본 발명은 원터치 행거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립 또는 노출되도록 시공되어 형성된 매립홈에 별도의 도구 및 장비 없이 간편하게 탈착하여 다양한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원터치 행거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상,하수도, 전기배선, 덕트 및 마감재 등을 시공하기 위한 앵커 등이 설치하기 위해 천장에 전산볼트가 결합된 앵커를 압입하고, 전산볼트에 와이어, 행거를 결합하여 다양한 시설물을 시공하고 있다.
이때, 마감재를 통해 천장에 시공된 다양한 시설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통상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사회에서는 인테리어 효과 및 비용절감을 위해 별도의 마감재 없이 각종 시설물이 노출되는 다양한 방식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시설물과 함께, 내부 인테리어 등을 위한 다양한 실내장식 등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행거설치용앵커고정구"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단면상 천정에 부분매설된 바닥판(데크 플레이트 DECK PLATE)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에 각종 배관을 고정시키는 행거를 설치는데 있어, 평면상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과 톱니부를 갖춘 몸체를 삽입시켜서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몸체내에 나선부를 갖춘 수직상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행거를 직접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한 천정용 행거 설치용 앵커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몸체가 플레이트의 요홈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탈거가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재설치, 재활용이 어려우며, 초기 설치시 많은 주위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고정구가 고정되는 구조로서 유동성이 전혀 없어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에 개별구성을 순차적으로 설치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 않아 작업시간이 증가하며, 일반인이 별도의 공구, 장비 없이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928호(2022.01.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시공된 홈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탈착되어 다양한 시설물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원터치 행거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너트를 간편하게 조립한 후, 요홈에 체결하여 시공시간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킨 원터치 행거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를 통해 스토퍼를 요홈에 가압시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 및 진동을 완충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 행거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설물에 맞춰 다양한 규격, 형상의 앵커를 사용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 원터치 행거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에 결합되며, 노출된 일면에서 내측을 향해 확장되는 요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요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앵커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너트는, 상단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 삽입되고 하단에 파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1체결홈이 형성된 가이드레버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중앙에 상기 제1체결홈과 대응하는 제2체결홈이 형성되며, 양측단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확장되어 상기 요홈의 내면에 밀착되는 스토퍼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버에 삽입된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레버에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과 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버의 외주면에는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측방향으로 절곡된 유도홈과, 상기 유도홈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시의 상기 연결홈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도홈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시의 양측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에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의 양측단의 모서리에는 호형상의 굴곡면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버의 상기 파지부 상단면과, 상기 가이드부시의 하단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양 끝단은 상단과 하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고정되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행거너트에 따르면, 천장에 시공된 플레이트에 다양한 앵커를 고정할 수 있는 앵커너트를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게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여 다양한 시설물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너트를 조립 후, 플레이트의 요홈에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시간, 비용을 절감하고, 누구나 쉽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를 통해 요홈에 고정 및 이탈시 발생되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충격 및 진동을 완충하여 안정성을 확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형성된 요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앵커너트를 다양한 간격에 맞춰 설치하며, 앵커너트에 다양한 규격, 형상의 앵커를 결합하여 다양한 시설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행거너트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너트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행거너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행거너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너트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터치 행거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립 또는 노출되도록 시공되어 형성된 매립홈에 별도의 도구 및 장비 없이 간편하게 탈착하여 다양한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원터치 행거너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천장에 시공된 후,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설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10) 및 앵커너트(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천장에 결합되며, 노출된 일면에서 내측을 향해 확장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너트(20)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상기 요홈(1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상기 앵커너트(20)에 앵커를 간편하게 체결하여 다양한 시설물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너트(20)는 상기 플레이트(10)에 간편하게 탈착하여 다양한 시설물을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플레이트(10)는 천장에 시공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10)는 일정 폭 및 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가지는 판재에서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서서히 확장되는 "
Figure 112023055354573-pat00001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플레이트(10)는 상기 요홈(11)이 천장에 매립되도록 시공하거나, 별도의 프레임, 목재 등을 통해 천장에 돌출되도록 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0)는 시설물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 다양한 패턴,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앵커너트(20)가 상기 요홈(1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앵커너트(20)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상기 요홈(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가 설치되도록 가이드레버(30), 스토퍼(40), 탄성부재(50) 및 가이드부시(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버(30)는 상단에 삽입홈(31)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11)에 삽입되고 하단에 파지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1체결홈(33)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레버(30)는 상기 요홈(11)에 삽입되는 원형, 다각형상의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버(3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파지부(32)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상기 스토퍼(4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홈(33)은 상기 가이드레버(30)의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편리하게 앵커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버(30)는 상단부분이 상기 요홈(11)에 삽입되고, 하단부분이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파지부(32)를 통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홈(33)에 앵커를 편리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구성의 앵커를 통해 시설물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지부(32)의 하단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회전방향과 회전시 고정 및 이탈 상태를 표시한 글자, 도형 등이 음각, 양각 및 부착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32)의 표시된 글자, 도형 등을 통해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되고 중앙에 상기 제1체결홈(33)과 대응하는 제2체결홈(41)이 형성되며, 양측단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확장되어 상기 요홈(11)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40)는 양측단이 상기 플레이트(10)의 상기 요홈(11)에 대응하는 "
Figure 112023055354573-pat00002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의 중앙에는 상기 제1체결홈(33)과 대응하는 상기 제2체결홈(41)이 형성되어 앵커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버(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0)의 양측단 모서리에는 호형상의 굴곡면(42)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가압돌기(4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굴곡면(42)을 통해 상기 요홈(11) 내부에서 용이하게 회전 및 고정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돌기(43)는 상기 스토퍼(40)의 양측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이격 돌출되어 상기 요홈(11)의 내부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43)의 끝단에는 상기 스토퍼(40)와 같은 재질 또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마찰력 및 탄성을 가지는 금속, 비철금속 및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요홈(11)에 용이하게 접촉되어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가이드레버(30)를 상기 요홈(11)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파지부(32)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버(3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5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요홈(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파지부(32)를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해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요홈(11)의 입구측을 가압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요홈(11)과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외부충격 등에 의해 발생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시(60)는 상기 가이드레버(30)에 삽입되는 연결홈(61)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50)의 상단과 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10)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시(60)는 상기 가이드레버(30)에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10)와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시(60)와 상기 파지부(32)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50)가 배치되어 탄성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버(30)의 외주면에는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측방향으로 절곡된 유도홈(34)과, 상기 유도홈(34)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홈(35)과, 상기 가이드부시(60)의 상기 연결홈(61)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도홈(34)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홈(35)에 체결되는 고정돌기(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레버(30)에는 상기 가이드부시(60)를 간편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홈(34)과 상기 고정홈(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홈(34)은 상기 가이드레버(30)의 외주면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측면을 향해 절곡진 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홈(35)은 상기 유도홈(34)의 하부 끝단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고정돌기(6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62)는 상기 가이드부시(60)가 상기 가이드레버(30)에 삽입 시, 상기 유도홈(34)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시(60)를 유도한 후, 상기 고정홈(35)에 삽입된 후,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버(3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시(60)는 상기 유도홈(34)을 따라 이동 후, 상기 고정홈(35)에 체결되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시(60)의 양측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11)에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돌기(63)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63)는 상기 요홈(1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시(6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63)는 상기 가이드부시(60)가 상기 고정홈(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63)는 다수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기 요홈(11)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시(6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요홈(11)에 끼움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버(30)의 상기 파지부(32) 상단면과, 상기 가이드부시(60)의 하단면에 끼움홈(5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의 양 끝단은 상단과 하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52)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끼움부재(5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50)의 양측 끝단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 끝단의 끼움부재는 하부로 절곡되고, 상부 끝단의 상기 끼움부재(51)는 상부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32) 상단면과 및 상기 가이드부시(60)의 하단면에는 상기 끼움부재(51)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끼움홈(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끼움부재(51)를 통해 양끝단이 상기 파지부(32)와 상기 가이드부시(6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파지부(3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요홈(11)에 체결되면, 탄성력을 발생하는 회전방향이 확장되어 강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파지부(32)를 역회전시켜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요홈(11)에서 이탈되면 수축되어 약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파지부(32)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확장 및 수축하여 상기 스토퍼(40)가 용이하게 고정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가이드레버(30)에 상기 탄성부재(50)를 삽입 한 후, 상기 가이드부시(6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시(60)는 상기 고정돌기(62)가 상기 유도홈(34) 및 상기 고정홈(35)을 따라 삽입되어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의 양끝단은 상기 파지부(32) 및 상기 가이드부시(60)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52)에 삽입된다.
이 후, 상기 삽입홈(31)에 상기 스토퍼(40)를 삽입하여 상기 앵커너트(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버(30)와 상기 스토퍼(40)에는 앵커를 통해 상호 체결하여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너트(20)가 조립된 후, 천장에 시공된 상기 플레이트(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앵커너트(20)는 상기 파지부(32)를 파지한 후,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요홈의 길이방향에 맞춰 배치시켜 상기 가이드레버(30)의 상단을 상기 요홈(11)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43)가 상기 요홈(1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시(60)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32)를 90°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스토퍼(40)의 양측단이 상기 요홈(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요홈(11)과 상기 스토퍼(4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확장되는 마름모꼴 단면형상을 통해 앵커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시(60)는 상기 고정돌기(62)가 상기 유도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63)가 상기 요홈(11)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버(3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시(60)는 상기 유도홈(34)을 따라 유도된 후, 상기 고정홈(35)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버(30)를 고정하여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는 양측단이 상기 파지부(32)와 상기 가이드부시(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32)를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부재(50)가 확장되어 탄성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요홈(11)의 하부 방향으로 하중을 받아 용이하게 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3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부재(50)는 초기 위치로 수축되어 증가된 탄성력이 줄어들어 상기 스토퍼(40)를 상기 요홈(11)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너트(20)는 어려움 없이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너트(20)에는 다양한 형태의 앵커를 설치하여, 상,하수도, 전기배선, 덕트 및 마감재 등을 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장에 시공된 상기 플레이트(10)에 상기 앵커너트(20)를 탈착 가능한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너트(20)는 상기 요홈(11)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고정설치가 가능하며, 외부에서 전달된 충격 및 진동을 완충하여 시설물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너트(20)에 다양한 규격, 형상의 앵커를 체결하여 시설물의 구조에 맞춰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앵커너트(20)는 상기 요홈(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시설물에 맞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위치조정이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플레이트 11: 요홈
20: 앵커너트
30: 가이드레버 31: 삽입홈 32: 파지부
33: 제1체결홈 34: 유도홈
35: 고정홈
40: 스토퍼 41: 제2체결홈 42: 굴곡면
43: 가압돌기
50: 탄성부재 51: 끼움부재 52: 끼움홈
60: 가이드부시 61: 연결홈 62: 고정돌기
63: 지지돌기

Claims (5)

  1. 천장에 결합되며, 노출된 일면에서 내측을 향해 확장되는 요홈(11)이 형성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상기 요홈(1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앵커너트(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너트(20)는,
    상단에 삽입홈(31)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11)에 삽입되고 하단에 파지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1체결홈(33)이 형성된 가이드레버(30)와,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되고 중앙에 상기 제1체결홈(33)과 대응하는 제2체결홈(41)이 형성되며, 양측단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확장되어 상기 요홈(11)의 내면에 밀착되는 스토퍼(40)와,
    상기 파지부(32)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버(30)에 삽입된 탄성부재(50)와,
    상기 가이드레버(30)에 삽입되는 연결홈(61)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50)의 상단과 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10)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시(6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시(60)의 양측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11)에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돌기(63)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레버(30)의 외주면에는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측방향으로 절곡된 유도홈(34)과, 상기 유도홈(34)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홈(3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시(60)의 상기 연결홈(61)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도홈(34)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홈(35)에 체결되는 고정돌기(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너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의 양측단의 모서리에는 호형상의 굴곡면(42)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가압돌기(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버(30)의 상기 파지부(32)의 상단면과, 상기 가이드부시(60)의 하단면에 끼움홈(5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의 양 끝단은 상단과 하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52)에 삽입고정되는 끼움부재(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너트.
KR1020230064428A 2023-05-18 2023-05-18 원터치 행거너트 KR10261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428A KR102619883B1 (ko) 2023-05-18 2023-05-18 원터치 행거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428A KR102619883B1 (ko) 2023-05-18 2023-05-18 원터치 행거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883B1 true KR102619883B1 (ko) 2023-12-29

Family

ID=8933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428A KR102619883B1 (ko) 2023-05-18 2023-05-18 원터치 행거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8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928Y1 (ko) 1998-11-06 2002-05-13 도회만 행거설치용앵커고정구
KR102055789B1 (ko) * 2018-02-06 2019-12-13 주식회사 솔라테크 프로파일의 볼트 체결구조
KR102118997B1 (ko) * 2019-09-24 2020-06-04 삼성물산 주식회사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4300B1 (ko) * 2019-07-15 2021-03-05 김재은 채널연결용 스프링너트
JP2022051563A (ja) * 2020-09-18 2022-03-31 イョット.シュマル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板状の、少なくとも2つの要素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システム、そのような接続システムを備える構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928Y1 (ko) 1998-11-06 2002-05-13 도회만 행거설치용앵커고정구
KR102055789B1 (ko) * 2018-02-06 2019-12-13 주식회사 솔라테크 프로파일의 볼트 체결구조
KR102224300B1 (ko) * 2019-07-15 2021-03-05 김재은 채널연결용 스프링너트
KR102118997B1 (ko) * 2019-09-24 2020-06-04 삼성물산 주식회사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2051563A (ja) * 2020-09-18 2022-03-31 イョット.シュマル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板状の、少なくとも2つの要素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システム、そのような接続システムを備える構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1856C (en) Track mounting clip for a track lighting system
UA75103C2 (en) Fixation system for fastening plates and / or facing tiles
KR102619883B1 (ko) 원터치 행거너트
KR20090008961U (ko) 케이블트레이
KR20070020227A (ko) 공구용 어댑터
KR200446638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ES2096513B1 (es) Tope aislante para union de rail de ferrocarril.
KR101234526B1 (ko) 엠바용 클립바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KR20220169176A (ko) 트래퍼조이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200435566Y1 (ko) 앵커볼트에 천장설비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20230018047A (ko) 클립을 포함하는 데크재
JP5968058B2 (ja) レール固定構造
JP5117870B2 (ja) 軒樋支持具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US4712256A (en) Cover plate and mounting clip assembly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CN215888734U (zh) 一种用于装配式墙板的安装装置
CN214889695U (zh) 一种便于安装的抗震支架
KR200334803Y1 (ko) 건축용 대리석 고정구
KR101792634B1 (ko) 설치 작업성이 향상된 인공암벽
JP3591984B2 (ja) 手摺杆の連結兼取付装置
JP3382798B2 (ja) 複数配管用サドル
KR200289187Y1 (ko) 안내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