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625A -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625A
KR20140013625A KR1020120081455A KR20120081455A KR20140013625A KR 20140013625 A KR20140013625 A KR 20140013625A KR 1020120081455 A KR1020120081455 A KR 1020120081455A KR 20120081455 A KR20120081455 A KR 20120081455A KR 20140013625 A KR20140013625 A KR 20140013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bolt shaft
base
support
n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복
Original Assignee
박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복 filed Critical 박태복
Priority to KR102012008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625A/ko
Publication of KR2014001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중마루용 지지장치는: 바닥면에 접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와 이격되고, 이중마루의 저면에 접하는 헤드부와, 베이스에 구비되는 지지파이프와, 지지파이프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헤드부와 결합되는 볼트축 및 볼트축이 지지파이프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마루용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OF DOUBLE FLOOR TYPE}
본 발명은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의 감소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조립성이 용이하고, 설치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마루구조란, 건축물의 바닥위에 기둥을 세우고 그 상면에 패널을 설치하여 새로운 바닥을 설치한 것으로, 기존 건축물의 바닥과 이중마루 패널 사이의 공간에 각종 배관이나 전선 또는 설비 등을 매립하고, 냉난방과 공기정화들을 위한 닥트 등을 설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 건축구조로 대량의 전선이 사용되는 방송국, 전산센터, 호텔의 로비나 카지노, 각종 연구소와 크린룸 등의 건축에 사용되는 건축구조이며,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패널은 사용하중이 500kg이상인 건축물에 상용되고,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패널은 공기유통공이 없는 블라인드 패널과 공기유통공의 투영면적이 패널면적의 18~20%인 퍼포레이트 패널과 공기유통공의 투영면적이 45~55%인 그레이팅 패널로 분류된다.
이러한 이중마루는 지지장치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위에 지지된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0-000342호(공고일:1980.04.02)에는 "이중마루 받침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 의한 이중마루 받침구는 이중마루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헤드가 회전됨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며, 이중마루를 상호 연결하도록 지지바를 연결하는 스프링거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벽면에 설치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축과 너트의 접촉부위가 작아 유격이 발생되어 횡으로 오는 하중에 의해 전복되는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너트의 높이를 높게하면, 볼트축의 길이가 제한적이므로 길이가변의 범위가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헤드부의 회전이 방지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벽면 설치시 정렬불량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볼트축과 너트부재의 연결부위가 확대하고, 각 부품의 접촉면적을 넓혀 유격을 최소화하므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이중마루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는: 바닥면에 접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고, 이중마루의 저면에 접하는 헤드부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볼트축 및 상기 볼트축이 상기 지지파이프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강도와 평면도를 유지하도록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은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볼트축은 상기 헤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상기 지지파이프와 상기 베이스, 상기 볼트축과 상기 헤드부는 상호 회전되지 않도록 대응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둘레면에는 만입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부에는 이웃하는 헤드부와 지지빔에 의해 연결되도록 스트링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아답터 및 상기 볼트축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축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아답터에 접촉되어 상기 볼트축의 인출길이를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볼트축과 나사결합 범위를 확대하도록 상기 아답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축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삽입되도록 상기 아답터의 내경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답터와 상기 너트부재에는 상호 접촉에 의하여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아답터에 형성되는 요철 및 상기 아답터와 상기 너트부재의 접촉시 상기 요철이 결합되도록 상기 너트부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는 헤드부의 회전방지로 인해 설치작업의 효율을 향상되고, 보강부에 의해 볼트축과 너트부재의 나사연결범위를 확대함으로써, 너트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너트부재와 아답터의 접촉부위를 넓게하여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 설치시 스트링거의 제거에 의해 발생되는 거스러미가 헤드부의 수용홈부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정렬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지지파이프와 베이스 구조에 의해 현장에서 지지파이프를 절단하여 적용할 수 있어 설치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의 저면에 리브가 형성되어 만입된 형상이 제공되므로 접착제를 이용한 설치시 깔끔한 접착이 가능하고,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향상되며, 베이스의 상면은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청소가 용이하여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베이스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스트링거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회전방지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베이스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스트링거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회전방지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100)는 베이스(110), 헤드부(120), 지지파이프(140), 볼트축(150) 및 길이조절부(17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바닥면에 접하며, 상면에는 관형상으로 돌출되어 지지파이프(14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12)가 구비된다.
베이스(110)의 저면에는 베이스(110)의 강도와 평면도를 유지하도록 리브(116)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바닥면에 볼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116)에 의해 베이스(110)는 만입된 형상을 제공하게 되므로 볼팅이 아닌 접착제를 이용하여 설치할 경우 접착제가 베이스(110) 밖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깨끗하고,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향상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110)의 상면은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이중마루(10)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가 쌓일 경우, 청소가 용이하다.
헤드부(12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중마루(10)의 저면에 접하여 이중마루(10)를 지지한다. 헤드부(120)의 저면에는 볼트축(15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이중마루(10)의 리브가 접하여 이동이 방지되도록 안착돌기(126)가 형성되고, 이중마루(10)와 볼팅되도록 결합공(124)이 형성된다.
또한, 헤드부(120)의 둘레면에는 이웃하는 헤드부(120)와 지지빔(20)에 의해 연결되도록 스트링거(135)가 구비된다. 스트링거(135)는 지지빔(20)의 단부에 볼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헤드부(120)의 사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헤드부(120)의 둘레면에는 만입되는 수용홈부(130)가 형성되고, 스트링거(135)는 수용홈부(130)에 형성된다.
이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100)가 벽면에 인접하여 설치될 경우, 일측 스트링거(135)를 제거하게 되는데, 스트링거(135)의 절단시 발생하는 거스러미가 수용홈부(130)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벽면 설치시 정렬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헤드부(120)와 베이스(110) 사이에는 지지파이프(140)와 볼트축(150)이 구비된다. 지지파이프(140)는 베이스(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볼트축(150)은 헤드부(120)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지지파이프(140)와 베이스(110), 볼트축(150)과 헤드부(120)는 상호 회전되지 않도록 대응되는 고정부(160)가 구비된다. 지지파이프(140)는 베이스(110)의 삽입홈부(112)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고, 볼트축(150)은 헤드부(120)의 결합홈부(122)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부(160)는 고정돌기(162)와 고정홈(164)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돌기(162)는 삽입홈부(112) 내경과, 볼트축(150)의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고정홈(164)은 지지파이프(140)의 둘레면과, 결합홈부(122)의 내경에 형성되어 고정돌기(162)와 대응된다.
그리고, 볼트축(150)의 하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지지파이프(140)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된다.
길이조절부(170)는 볼트축(150)이 지지파이프(140)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지지파이프(140)에 결합되는 아답터(171) 및 볼트축(15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볼트축(150)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며, 아답터(171)에 접촉되어 볼트축(150)의 인출길이를 고정하는 너트부재(175)를 포함한다.
아답터(171)는 지지파이프(140)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아답터(171)의 하면에는 지지파이프(14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지지강성을 향상시키는 지지리브(172)가 구비된다. 지지리브(172)는 방사형상으로 이루어져 내경에 접한다. 그리고, 지지파이프(140)의 내경에는 걸림돌기(142)가 형성되고, 아답터(171)에는 걸림돌기(142)가 수용되는 걸림홈(173)이 형성되어 대응되므로 아답터(171)는 지지파이프(140) 상단에서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너트부재(175)는 볼트축(150)과 나사결합되는 범위를 확대하도록 아답터(17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177)가 구비된다. 보강부(177)는 너트부재(175)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아답터(17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너트부재(175)의 저면 가장자리는 아답터(171)의 상단에 접하게 된다.
보강부(177)에 의해 너트부재(175)는 볼트축(150)과 나사결합 범위가 넓어지고, 너트부재(175)와 아답터(171)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볼트축(150)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52)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52)이 삽입되도록 아답터(171)의 내경에는 가이드돌기(174)가 형성된다. 이는 너트부재(175)의 회전에 의해 볼트축(150)이 지지파이프(140)로부터 인출시 회전되지 않고 직선으로 안내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볼트축(1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120)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아답터(171)와 너트부재(175)에는 상호 접촉에 의하여 너트부재(175)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80)가 구비된다. 회전방지부(180)는 너트부재(175)의 회전을 구속하여 볼트축(150)의 인출된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아답터(171)에 형성되는 요철(182) 및 아답터(171)와 너트부재(175)의 접촉시 요철(182)이 결합되도록 너트부재(175)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홈(184)을 포함한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182)은 아답터(171)의 내부에 형성되고, 요홈(184)은 너트부재(175)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보강부(177)의 저면에 형성된다.
즉, 너트부재(175)가 아답터(171)의 선단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되면, 볼트축(150)에서 너트부재(175)의 위치가 가변되고, 위치가 가변된 상태에서 너트부재(175)가 아답터(171)의 선단에 접촉되면, 요철(182)과 요홈(184)의 결합에 의해 너트부재(175)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너트부재(175)는 지지파이프(140)로부터 볼트축(150)의 인출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베이스(110)의 삽입홈부(112)에 지지파이프(14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삽입홈부(112)의 내경에는 고정돌기(162)가 형성되어 지지파이프(14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64)이 대응되므로 지지파이프(140)는 삽입홈부(112)에서 회전되지 않는다.
지지파이프(140)의 상단에는 아답터(171)가 결합된다. 아답터(171)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리브(172)가 구비되어 지지리브(172)가 지지파이프(140)의 내경으로 삽입되므로 아답터(171)는 지지파이프(140)의 선단에 안착된다. 이때, 지지파이프(140)의 내경에는 걸림돌기(142)가 형성되고, 아답터(171)의 걸림홈(173)에 수용되므로 아답터(171)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볼트축(150)에 너트부재(175)를 나사결합한 후 너트부재(175)의 하측으로 돌출된 볼트축(150)의 하단부는 아답터(171)를 관통하여 지지파이프(140)의 내경에 삽입한다. 볼트축(150)의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52)이 형성되고, 지지파이프(140)의 내경에는 가이드홈(152)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74)가 형성되어 조립방향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지지파이프(140)로부터 볼트축(150)은 회전되지 않고 직선으로 인출된다.
이후, 볼트축(150)의 상단부를 헤드부(1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부(122)에 끼워 결합한다. 볼트축(150)의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62)는 결합홈부(122)의 내경에 형성되는 고정홈(164)에 결합되므로 헤드부(120)는 볼트축(150)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조립방향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립이 완료된 지지장치(100)는 바닥면과 이중마루(10)의 간격에 따라 길이조절부(17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지지장치(100)의 길이조절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축(150)을 지지파이프(140)로부터 인출하여 너트부재(175)가 아답터(171)로부터 이격되게 한 후 너트부재(175)를 회전시키면, 너트부재(175)의 이동에 따라 볼트축(150)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너트부재(175)와 아답터(171)에 접하게되면, 볼트축(150)의 인출길이는 고정된다.
이는 아답터(171)의 요철(182)과 너트부재(175)의 요홈(184)이 결속되므로 너트부재(175)의 회전을 방지하고 볼트축(150)의 인출길이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너트부재(175)는 아답터(171)의 내경으로 연장되는 보강부(177)가 형성되어 볼트축(150)과 너트부재(175)의 나사결합 범위가 확대되며, 보강부(177)에 의해 아답터(171)와 너트부재(175)의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횡으로 오는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어 점복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177)에 의해 볼트축(150)과 너트부재(175)의 나사결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너트부재(175)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볼트축(150)의 길이가변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품들은 상호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니므로, 불량 및 파손이 발생될 경우, 해당부품만 교체하면 되므로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지지파이프(140)의 경우, 임의의 지지파이프(140)를 절단하더라도 즉시 사용할 수 있어 설치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길이조절이 완료된 지지장치(100)를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고정한다. 지지장치(100)는 베이스(110)의 관통홀(114)을 통해 바닥면에 볼팅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바닥면과 베이스(110)를 접착제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접착제에 의한 고정시 베이스(110)의 저면에는 리브(116)가 형성되어 만입된 형상을 이루므로 접착제가 베이스(110) 밖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상면은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므로, 청소가 용이하므로 청결한 크린룸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장치(100)의 정렬시 스트링거(135)를 이용하여 지지빔(20)으로 상호 연결되게 되는데, 벽체에 인접한 지지장치(100)의 경우 헤드부(120)에서 스트링거(135)를 제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스트링거(135)의 제거에 의해 제거된 부위에는 거스러미가 발생되는데, 거스러미는 헤드부(120)의 수용홈부(130)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벽면설치시 정렬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정렬된 지지장치(100)의 헤드부(120)에 이중마루(10)를 안착시키고, 결합공(124)을 통해 볼팅하여 결합하면 된다.
헤드부(120)의 상면에는 안착돌기(126)가 형성되어 이중마루(1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지지장치에 의하면, 헤드부의 회전방지로 인해 설치작업의 효율을 향상되고, 볼트축과 너트부재의 나사연결범위가 확대되고, 너트부재와 아답터의 접촉부위를 넓게 형성하므로써, 유격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110 : 베이스
112 : 삽입홈부 114 : 관통홀
116 : 리브 120 : 헤드부
122 : 결합홈부 124 : 결합공
126 : 안착돌기 130 : 수용홈부
135 : 스트링거 140 : 지지파이프
142 : 걸림돌기 150 : 볼트축
160 : 고정부 162 : 고정돌기
164 : 고정홈 170 : 길이조절부
171 : 아답터 172 : 지지리브
173 : 걸림홈 174 : 가이드돌기
175 : 너트부재 177 : 보강부
180 : 회전방지부 182 : 요철
184 : 요홈

Claims (8)

  1. 바닥면에 접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고, 이중마루의 저면에 접하는 헤드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볼트축; 및
    상기 볼트축이 상기 지지파이프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강도와 평면도를 유지하도록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은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볼트축은 상기 헤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상기 지지파이프와 상기 베이스, 상기 볼트축과 상기 헤드부는 상호 회전되지 않도록 대응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둘레면에는 만입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부에는 이웃하는 헤드부와 지지빔에 의해 연결되도록 스트링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아답터; 및
    상기 볼트축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축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아답터에 접촉되어 상기 볼트축의 인출길이를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아답터의 하면에는 지지파이프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지지강성을 향상시키는 지지리브가 구비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볼트축과 나사결합 범위를 확대하도록 상기 아답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축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삽입되도록 상기 아답터의 내경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와 상기 너트부재에는 상호 접촉에 의하여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아답터에 형성되는 요철; 및
    상기 아답터와 상기 너트부재의 접촉시 상기 요철이 결합되도록 상기 너트부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KR1020120081455A 2012-07-25 2012-07-25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KR20140013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55A KR20140013625A (ko) 2012-07-25 2012-07-25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55A KR20140013625A (ko) 2012-07-25 2012-07-25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25A true KR20140013625A (ko) 2014-02-05

Family

ID=5026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55A KR20140013625A (ko) 2012-07-25 2012-07-25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62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80B1 (ko) * 2014-05-28 2015-06-09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설치용 지주대
KR101658951B1 (ko)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억세스 플로어의 프레임 설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58947B1 (ko)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KR20160136978A (ko) 2015-05-22 2016-11-30 정태연 에어바운스 슬라이드
KR20160136977A (ko) 2015-05-22 2016-11-30 정태연 복합 에어바운스 슬라이드
KR20230002460U (ko) *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우석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80B1 (ko) * 2014-05-28 2015-06-09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설치용 지주대
KR101658951B1 (ko)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억세스 플로어의 프레임 설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58947B1 (ko)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KR20160136978A (ko) 2015-05-22 2016-11-30 정태연 에어바운스 슬라이드
KR20160136977A (ko) 2015-05-22 2016-11-30 정태연 복합 에어바운스 슬라이드
KR20230002460U (ko) *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우석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098B1 (ko)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지지장치
KR20140013625A (ko)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US9206593B2 (en) Adjustable drain
KR102118997B1 (ko)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EP3208398B1 (en) Base member for an anch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090079024A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1686480B1 (ko) 마루용 패널 받침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011716B1 (ko)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KR200461108Y1 (ko)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JP6030852B2 (ja) 床材の固定具
WO2024007452A1 (zh) 固定装置、固定装置安装方法及墙体施工方法
KR100941005B1 (ko) 헤파필터박스 고정장치
JP6964427B2 (ja) 床の施工方法
KR20200046824A (ko) 클램프
KR101194263B1 (ko)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JP2010196989A (ja) エアコン室外機の設置台
KR101796853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JP5940322B2 (ja) 柱の据え付け具
KR20110040228A (ko) 사용이 편리한 케이블 트레이
KR100964198B1 (ko)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2067558B1 (ko) 조립식 선반의 결합구조
JP6534346B2 (ja) 浴室部材の締結構造
JP7496852B2 (ja) フロアパネルの固定具
KR200454108Y1 (ko) 씽크대의 볼 고정용 받침대
JP6627118B2 (ja) 浴室用床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