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528A -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528A
KR20070103528A KR1020060035184A KR20060035184A KR20070103528A KR 20070103528 A KR20070103528 A KR 20070103528A KR 1020060035184 A KR1020060035184 A KR 1020060035184A KR 20060035184 A KR20060035184 A KR 20060035184A KR 20070103528 A KR20070103528 A KR 20070103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d frame
frames
sid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130B1 (ko
Inventor
조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3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13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들의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들의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 헤드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20)들의 받침턱(21)에 거푸집용 패널(10)들이 놓여져 지지되고, 프레임(20)들이 만나는 연결 부위에는 헤드프레임(30)이 결합되어 프레임(20)들을 고정시키며, 헤드프레임(30)은 지주의 상부에 장착되어 프레임(20)들과 패널(10)들의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의 헤드프레임(30)에 있어서, 하부가 트여진 사각형 관으로 구성된 가이드부재(31)의 저면 중앙에는 수직편(32)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수직편(32)의 하부 전,후방에는 다각형의 걸림홈(33)이 형성되며, 수직편(32)의 저면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된 헤드프레임(30)과; 상기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30a)이 형성되고,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 결합되는 프레임(20)의 하부 전,후방에도 다각형의 걸림홈(22)이 형성되며, 헤드프레임(30)과 프레임(20)의 전,후방 걸림홈(33)(22)들에는 다각형 연결봉(50)이 결합되어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을 관통하는 고정구(60)에 의하여 고정되고, 헤드프레임(30)의 저면 결합홈(34)에는 지주(40)의 상부가 결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a prop head frame for form panel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프레임 부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부위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둘레에 설치되는 벽 패널을 예시한 일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 20 : 프레임
21, 71a : 바침턱 22, 33 : 걸림홈
30 : 헤드프레임 30a : 경사면
31 : 가이드부재 32 : 수직편
33a : 돌출부 34 : 결합홈
40 : 지주 50 : 연결봉
60 : 고정구 61 : 고정봉
61a : 장공 62 : 쐐기편
70 : 벽 패널 71 : 테두리프레임
본 발명은 천장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들의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들의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 헤드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를 갖는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임시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현대에는 5회 정도 재사용 할 수 있는 합판 보다 약 100회 정도 재사용 할 수 있는 알루미늄 패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천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용 패널들은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의 받침턱에 놓여진 상태에서 지지되고, 프레임들이 만나는 연결 부위에는 헤드프레임이 결합되어 프레임들을 고정시키며, 헤드프레임은 지주의 상부에 장착되어 프레임들과 패널들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프레임은 하부가 트여진 관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별도의 결합용 부재들을 사용해야만 지주를 헤드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지주의 결합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하부가 트여진 사각형 관으로 구성된 헤드프레임은 구조의 견고성을 높여줄 수 없었으므로 프레임과 패널들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게 어려웠을 뿐 아니라 쉽게 변형을 일으켜 장기간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들의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20)들의 받침턱(21)에 거푸집용 패널(10)들이 놓여져 지지되고, 프레임(20)들이 만나는 연결 부위에는 헤드프레임(30)이 결합되어 프레임(20)들을 고정시키며, 헤드프레임(30)은 지주의 상부에 장착되어 프레임(20)들과 패널(10)들의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의 헤드프레임(30)에 있어서, 하부가 트여진 사각형 관으로 구성된 가이드부재(31)의 저면 중앙에는 수직편(32)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수직편(32)의 하부 전,후방에는 다각형의 걸림홈(33)이 형성되며, 수직편(32)의 저면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된 헤드프레임(30)과; 상기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30a)이 형성되고,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 결합되는 프레임(20)의 하부 전,후방에도 다각형의 걸림홈(22)이 형성되며, 헤드프레임(30)과 프레임(20)의 전,후방 걸림홈(33)(22)들에는 다각형 연결봉(50)이 결합되어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을 관통하는 고정구(60)에 의하여 고정되고, 헤 드프레임(30)의 저면 결합홈(34)에는 지주(40)의 상부가 결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20)들의 받침턱(21)에는 거푸집용 패널(10)들이 놓여져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20)들이 만나는 연결 부위에는 헤드프레임(30)이 결합되어 프레임(20)들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프레임(30)은 지주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고, 헤드프레임(30)은 프레임(20)들과 패널(10)들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천장 패널(10)들의 결합구조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프레임(20)들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프레임(20)들을 고정시키는 헤드프레임(30)의 구조에 있다.
즉, 하부가 트여진 사각형 관으로 구성된 가이드부재(31)의 저면 중앙에는 수직편(32)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편(32)의 하부 전,후방에는 다각형의 걸림홈(33)들이 각각 형성되 어 있고, 수직편(32)의 저면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전체적인 헤드프레임(30)의 구성을 이룬다.
상기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3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 결합되는 프레임(20)들의 하부 전,후방에도 다각형의 걸림홈(2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헤드프레임(30)과 프레임(20)의 전,후방 걸림홈(33)(22)들에는 다각형 연결봉(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에는 고정구(60)가 관통 결합되어 양측 프레임(20)이 헤드프레임(30)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프레임(30)의 저면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34)에는 지주(40)의 상부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0은 벽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는 거푸집용 벽 패널이고, 벽 패널(70)의 상부에 장착된 테두리프레임(71)의 내측에도 받침턱(71a)이 형성되어 천장 패널(10)들이 놓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주(40)의 상부에 헤드프레임(30)의 결합홈(34)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 프레임(20)들을 위치시킨 후 헤드프레임(30)과 양측 프레임(20)의 전,후방에 형성된 걸림홈(33)(22)들에 다각형 연결봉(50)을 삽입하여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에 고정구(60)를 관통시켜 결합하면 양측 프레임(20)이 헤드프레임(30)에 고정되고 이를 연속 반복하여 프레임(20)들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프레임(20)의 받침턱(21)들에 패널(10)들이 놓여지도록 하여 천장용 거푸집 패널(1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므로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 프레임(20)들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이후, 천장 패널(10)들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養生)이 완료되면 연결봉(50)의 양측에 관통 결합된 고정구(60)를 분리시킨 후 헤드프레임(30)의 양측 경사면(30a)과 프레임(20)들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공구를 사용하여 프레임(20)들을 하부로 젖히면 프레임(20)들과 함께 패널(10)들이 분리되는 것이므로 프레임(20) 및 패널(10)들의 분리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완료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1)의 저면 중앙에는 수직편(32)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수직에 대한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헤드프레임(30)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직편(32)의 전,후방에 걸림홈(33)을 형성하기 위하여 걸림홈(33)의 상,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3a)들은 보강용 리브의 역할을 수행하여 헤드프레임(30)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헤드프레임(30)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어 헤드프레임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수직편(32)의 하부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용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주(40)의 상부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헤드프레임(30)을 지주(40)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구(6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을 관통하는 고정봉(61)에는 장공(61a)이 뚫려지고, 장공(61a)에는 경사진 쐐기편(62)이 결합되어 고정봉(61)을 당기면서 연결봉(5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주(40)의 상부에 장착된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 프레임(20)들을 위치시킨 후 헤드프레임(30)과 양측 프레임(20)의 전,후방에 형성된 걸림홈(33)(22)들에 다각형 연결봉(50)을 삽입한 후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에 고정구(60)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면 양측 프레임(20)이 헤드프레임(3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므로 헤드프레임(30)에 프레임(20)들을 결합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천장 패널(10)들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養生)이 완료되면 연결봉(50)에 관통 결합된 고정구(60)를 분리하고 헤드프레임(30)의 양측 경사면(30a)과 프레임(20)들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공구를 삽입하여 프레임(20)들을 하부로 젖히면 프레임(20)들과 함께 패널(10) 들이 간편하게 분리되는 것이므로 프레임(20) 및 패널(10)들의 분리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완료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1)의 저면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 수직편(32)은 수직에 대한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패널(10) 및 프레임(20)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헤드프레임(30)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직편(32)의 하부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용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주(40)의 상부를 결합홈(34)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헤드프레임(30)을 지주(40)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헤드프레임(30)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연속 결합되는 프레임(20)들의 받침턱(21)에 거푸집용 패널(10)들이 놓여져 지지되고, 프레임(20)들이 만나는 연결 부위에는 헤드프레임(30)이 결합되어 프레임(20)들을 고정시키며, 헤드프레임(30)은 지주의 상부에 장착되어 프레임(20)들과 패널(10)들의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의 헤드프레임(30)에 있어서,
    하부가 트여진 사각형 관으로 구성된 가이드부재(31)의 저면 중앙에는 수직편(32)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수직편(32)의 하부 전,후방에는 다각형의 걸림홈(33)이 형성되며, 수직편(32)의 저면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된 헤드프레임(30)과;
    상기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30a)이 형성되고, 헤드프레임(30)의 양측에 결합되는 프레임(20)의 하부 전,후방에도 다각형의 걸림홈(22)이 형성되며, 헤드프레임(30)과 프레임(20)의 전,후방 걸림홈(33)(22)들에는 다각형 연결봉(50)이 결합되어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을 관통하는 고정구(60)에 의하여 고정되고, 헤드프레임(30)의 저면 결합홈(34)에는 지주(40)의 상부가 결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는 연결봉(50)의 양측과 양측 프레임(20)을 관통하는 고정봉(61)에는 장공(61a)이 뚫려지고, 장공(61a)에는 경사진 쐐기편(62)이 결합되어 고정봉(61)을 당기면서 연결봉(5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0060035184A 2006-04-19 2006-04-19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77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184A KR100777130B1 (ko) 2006-04-19 2006-04-19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184A KR100777130B1 (ko) 2006-04-19 2006-04-19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528A true KR20070103528A (ko) 2007-10-24
KR100777130B1 KR100777130B1 (ko) 2007-11-19

Family

ID=3881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184A KR100777130B1 (ko) 2006-04-19 2006-04-19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82Y1 (ko) * 2009-09-09 2009-12-23 윤병주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KR100946192B1 (ko) * 2008-03-06 2010-03-09 윤병주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23A1 (ko) * 2018-04-02 2019-10-10 (주) 혜성산업개발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188U (ko) * 1996-10-18 1998-07-15 김용현 천정 콘크리트 거푸집의 지지장치
KR200215977Y1 (ko) * 2000-10-18 2001-03-15 권택철 슬래브 시공용 필러
KR200397219Y1 (ko) * 2005-06-30 2005-09-29 삼목정공주식회사 거푸집의 스라브 횡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92B1 (ko) * 2008-03-06 2010-03-09 윤병주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KR200447082Y1 (ko) * 2009-09-09 2009-12-23 윤병주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130B1 (ko) 2007-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716Y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2118997B1 (ko)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131191A (ko)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2146338B1 (ko) 비노출형 체결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
KR100777130B1 (ko)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424942Y1 (ko)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20070111597A (ko) 건축용 비계
KR200424416Y1 (ko) 건축용 비계
CN104328875B (zh) 一种护栏
KR100655507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JP2005290786A (ja) 吊り治具
KR20140020583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TW201420847A (zh) 組立件及其安裝構造
JP5648998B2 (ja) サッシ
JP6666812B2 (ja) 建物ユニットの天井パネル取付け方法
JP2015218576A (ja) 足場拡幅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306744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200430776Y1 (ko) 판넬 탈착이 가능한 파티션 구조
KR200392012Y1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JP2010077645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構造
JP2007303103A (ja) 型枠の構築方法
JP6908821B2 (ja) スタンションポールの取付装置及び当該取付装置の設置構造
KR200344388Y1 (ko) 건설용 이동작업틀의 설치구조
JP3199629U (ja) 足場用手摺取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