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346A - 천장구조물용 행거 - Google Patents

천장구조물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346A
KR20130020346A KR1020110082935A KR20110082935A KR20130020346A KR 20130020346 A KR20130020346 A KR 20130020346A KR 1020110082935 A KR1020110082935 A KR 1020110082935A KR 20110082935 A KR20110082935 A KR 20110082935A KR 20130020346 A KR20130020346 A KR 2013002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pport
hanger
supporting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568B1 (ko
Inventor
정미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5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행거는,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감싸면서 일측에서 형성되는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일측에 연결된 다른 일측에서 지지력이 발생토록 구성되는 자체지지형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공의 천공작업 없이 절곡만으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 관통작업 없이 거치부에 거치부재를 끼워넣기만 하면 절곡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거치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고정작업이 용이하며, 내진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있다.

Description

천장구조물용 행거{HANGER FOR STRUCTURE OF CEILING}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어 거치부재, 예컨대 채널부재를 거치할 수 있는 천장구조물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에는 상당한 수량의 현수식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하기 위한 천장 패널의 시공에도 많은 양의 현수식 구조물(또는 패널 설치용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수식 구조물은 천장 슬래브에 매입 시공되는 고정 구조물이나 기타 구조물에 행거를 매달아 설치하고, 상기 행거에 목적 구조물을 지지 고정시킨 다음 목적 구조물을 필요한 용도에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행거의 일 실시예 및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행거(100)는 판상 띠 형태의 금속 소재를 절곡시켜 상, 하단에 체결부(110)와 거치부(120)를 각각 형성하고, 구조물의 거치를 위한 거치부(120)에 고정공(122)이 형성된다.
상기한 행거(100)는 체결부(110)에 마련되는 체결공에 앵커볼트(130)를 결합한 다음 앵커볼트를 천장구조물 또는 기타 구조물에 결합시켜 행거(100)를 매달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거치부(120)에는 구조물(200)을 결합시킨 다음 거치부의 고정공(122)에 관통된 고정부재(140)를 통하여 구조물(200)의 상하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행거(100)는 상기 고정부재(140)를 통하여 구조물의 상하방향의 이동만 제한할 뿐,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치가 없어 상기 구조물이 좌우방향으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구조물(200)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할 뿐 구조물을 하부로 가압하는 기능은 없으므로, 건축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지진 등으로 인해 구조물(200)에 가해지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구조물에 전달되어 구조물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거치부(120)에 구조물(200)을 고정시키기 위해, 거치부(120)에 고정공(122)을 천공하는 작업과 고정공(122)에 고정부재(140)를 관통하는 작업 등을 요구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이로 인해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고정공의 천공작업 없이 절곡만으로 형성하여 작업이 용이하면서, 또한 절곡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하여 거치부재 예컨대 채널부재를 지지토록 함으로써 채널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천장구조물용 행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구조물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구조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진 등에 의해 종방향 전후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강한 외부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천장 등에 고정된 구조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천장구조물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감싸면서 일측에서 형성되는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일측에 연결된 다른 일측에서 상기 거치부재에 대한 지지력이 발생토록 구성되는 자체지지형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장구조물용 행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체지지형 거치부는, 상기 체결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부재와, 제3 부재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부재 중 적어도 제3 부재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시 상기 제3 부재의 변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거치부재에 접촉되어 지지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체지지형 거치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부재 중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재의 외측에 상기 부재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제3 부재 사이의 절곡부분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제3 부재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절곡부분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제3 부재 사이의 절곡부분과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거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시 상기 거치부재에 접촉되어 지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행거에 의하면, 고정공의 천공작업 없이 절곡만으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 관통작업 없이 거치부에 거치부재를 끼워넣기만 하면 절곡에 따른 탄성력 및 이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거치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고정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부의 각 부재가 구조물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구조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천장구조물용 행거는 거치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고정하므로, 지진 등에 의해 종방향 전후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강한 외부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천장 등에 고정된 구조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행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행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행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행거(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들에 받침부재(25a)(25b)가 각각 추가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행거(1)는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10)와 체결부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자체지지형 거치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체결부(10)에는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체결홀(1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천장구조물용 행거(1)는 체결홀(12)에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앵커볼트가 체결홀(12)에 관통되고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천장구조물용 행거(1)는 앵커볼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자체지지형 거치부(20)는 체결부(10)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거치되는 거치부재(2)를 감싸면서 일측에서 형성되는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일측에 연결된 다른 일측에서 지지력이 발생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행거에 구비되는 고정공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거치부재(2)인 채널부재를 고정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공 및 고정부재 없이 자체지지형 거치부(20) 자체의 구조에 따라 발생하는 탄성력 및 지지력에 의해 채널부재를 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자체지지형 거치부(20)는 제1 부재(21), 제2 부재(22), 제3 부재(23) 및 지지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1)는 체결부(10)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부재(22)는 제1 부재(21)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 부재(23)는 제2 부재(22)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부재(24)는 제3 부재(23)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체지지형 거치부(20)는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거치부재(2)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는 제1 부재(21)가 체결부(10)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제3 부재(23)가 생략되어 지지부재(24)가 제2 부재(22)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수평한 체결부(10)가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1 부재(21)가 형성되고, 제1 부재(21)가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2 부재(22)가 형성되며, 제2 부재(22)가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3 부재(23)가 형성되고, 제3 부재(23)가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지지부재(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0)의 수평방향과 제2 부재(22)의 수평방향은 필요에 따라 동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부재(21)(22)(23) 중 적어도 제3 부재(23)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거치부재(2)의 거치시 제3 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24)가 거치부재(2)에 접촉되어 거치부재(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부재(21)(22)(23)와 지지부재(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거치부재(2)가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재(2)는 예컨대 상기한 ㄷ자형 채널부재로서 개방측이 제1 부재(21) 또는 제3 부재(23)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제3 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24)의 지지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방측이 제1 부재(21)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3 부재(23)는 내측방향으로, 즉 상기 공간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그리고, 거치부재(2)의 거치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제3 부재(23)와 지지부재(24)에 변형이 발생하여 지지부재(24)가 거치부재(2)를 가압하여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3 부재(23)가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자체지지형 거치부(20)에 거치부재(2)가 거치시, 제3 부재(23)의 볼록한 부분과 거치부재(2)가 접촉하여 서로 힘을 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부재(21)와 제3 부재(23) 사이에 거치부재(2)가 끼워졌을 때, 제3 부재(23)의 볼록한 부분에서의 탄성력에 의해 거치부재(2)를 가압하고, 이에 대한 반발력으로서 거치부재(2)는 제3 부재(23)를 가압한다.
그리고, 이때 제2 부재(22)와 제3 부재(23)를 연결하는 절곡부분의 강성에 의해, 제3 부재(23)가 거치부재(2)의 반발력에 의해 젖혀지지 않고, 제3 부재(23)의 볼록한 부분이 보다 평평하게 변형된다.
이와 같이 제3 부재(23)의 볼록한 부분이 평평하게 변형됨에 따라, 지지부재(24)는 대략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부재(2)에 접촉하면서 거치부재(2)를 지지하게 된다.
정리하면, 거치부재(2)가 자체지지형 거치부(20)에 거치되어 제3 부재(23)를 가압할 때, 제3 부재(23)는 제2 부재(22)와 연결되는 절곡부분의 강성에 의해 뒤로 젖혀지지 않아 볼록한 부분이 보다 평평하게 변형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부재(2)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행거(1)는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거치부재(2)가 거치되었을 때 제3 부재(23)가 탄성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제 3 부재와 지지부재(24)가 거치부재(2)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1 부재(21) 및 제3 부재(23)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부재(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면서, 이에 더하여 제1 부재(21)가 탄성력에 의해 거치부재(2)를 가압하여 거치부재(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거치부재(2)인 ㄷ자형 채널부재의 개방측이 제1 부재(21)를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부재(21)의 탄성력에 의한 지지 효과가 경감될 수 있다.
반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거치부재(2)가 사각형 부재인 경우에는 제1 부재(21)에 의해서도 부재가 지지되어 거치부재(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제2 부재(22) 및 제3 부재(23)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부재(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되, 제2 부재(22)의 탄성력에 영향을 받아 거치부재(2)를 더욱 가압하여 거치부재(2)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부재(2)가 자체지지형 거치부(20)에 거치시, 거치부재(2)의 자중에 의해 제2 부재(22)를 가압하게 되어 제2 부재(22)의 볼록한 부분이 보다 평평하게 변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 부재(22)가 평평하게 변형되면 제3 부재(23)는 제2 부재(22)와의 절곡부분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여 거치부재(2)를 가압한다.
즉, 도 2의 (a)의 경우 제3 부재(23)는 단독으로 거치부재(2)를 가압하는 반면, 도 2의 (c)의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제2 부재(22)의 변형에 따라 제3 부재(23)가 거치부재(2)를 더욱 가압하게 된다.
또한, 제3 부재(23)가 거치부재(2)를 가압하는 힘이 커, 거치부재(2)가 제3 부재(23)를 가압하는 힘 또한 크다. 이에 따라, 제3 부재(23)가 더욱 평평하게 변형되어 지지부재(24)는 제3 부재(23)와 사이의 절곡부분을 중심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어 거치부재(2)를 더욱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제1 부재(21) 내지 제3 부재(23) 모두가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에도 상기한 작용과 동일하게 볼록한 부분의 탄성력 및 이에 의한 변형이 다른 부분에서의 지지력을 강화시켜 거치부재(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 자체지지형 거치부(20)는 제1 내지 제3 부재(21)(22)(23) 중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재의 외측에 상기 부재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받침부재(25a)(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자체지지형 거치부(20)는 각 부재들을 연결하는 절곡부분에서의 강성에 의해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2)가 자체지지형 거치부(20)에 거치시, 각 부재들이 젖혀지지 않고 거치부재(2)를 지지하게 되어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지지부재(24)가 거치부재(2)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절곡부분에서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부재가 젖혀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때에는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지지부재(24)가 거치부재(2)를 가압하는 힘이 약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분에 큰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5a)(25b)가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재의 외측에 마련되어 지지함으로써 부재들이 젖혀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5a)는 제2 부재(22)와 제3 부재(23) 사이의 절곡부분에 연결되면서 제3 부재(23)와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25a)의 일단은 제2 부재(22)와 제3 부재(23)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받침부재(25a)는 제3 부재(23)와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과는 접합되지 않고 접촉만 되게 형성되어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2)가 자체지지형 거치부(20)에 거치되어 거치부재(2)가 제3 부재(23)를 가압할 때, 제3 부재(23)는 받침부재(25a)의 지지에 의해 젖혀지지 않고 평평한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이때 제3 부재(23)와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이 받침부재(25a)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부재(24)가 상기 절곡부분을 중심으로 대략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거치부재(2)를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22)와 제3 부재(23)가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받침부재(25b)는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 사이의 절곡부분에 연결되면서 제2 부재(22)와 제3 부재(23) 사이의 절곡부분과 제3 부재(23)와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25b)의 일단은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받침부재(25b)는 제2 부재(22)와 제3 부재(23) 사이의 절곡부분과 제3 부재(23)와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과는 접합되지 않고 접촉만 되게 형성되어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2)가 자체지지형 거치부(20)에 거치되어 거치부재(2)가 제1 내지 제3 부재(23)를 가압할 때, 부재들은 받침부재(25b)의 지지에 의해 젖혀지지 않고 평평한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때, 제2 부재(22)와 제3 부재(23) 사이의 절곡부분은 받침부재(25b)에 접촉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받침부재(25b)와 제3 부재(23)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절곡부분의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부재(23)와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은 받침부재(2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24)가 상기 절곡부분을 중심으로 대략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거치부재(2)를 가압하게 된다.
즉, 받침부재(2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자체지지형 거치부(20)가 거치부재(2)를 고정하는 힘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부재(21)의 외측에도 받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도 2 및 3의 실시예에 대해 받침부재(25a)(25b)가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자체지지형 거치부(20)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볼록한 부재들이 자체지지형 거치부(20) 내측에 구비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5a)(25b)는 예를 들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제2부재(22)와 제3부재(23)의 절곡부분 또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절곡부분에 접합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지지부재(24)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거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거치부재(2)의 거치시 거치부재(2)에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끝단이 거치부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볼록하게 형성되어 볼록한 부분이 거치부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 거치부재(2)를 자체지지형 거치부(20)의 개방된 상측에서 끼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4)가 다른 부재들에 비해 짧으면서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천장구조물용 행거 10 ... 체결부
20 ... 자체지지형 거치부 21, 22, 23 ... 제1, 제2, 제3 부재
24 ... 지지부재 25a, 25b ... 받침부재

Claims (6)

  1.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10); 및
    상기 체결부(10)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감싸면서 일측에서 형성되는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일측에 연결된 다른 일측에서 상기 거치부재에 대한 지지력이 발생토록 구성되는 자체지지형 거치부(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장구조물용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지지형 거치부(20)는, 상기 체결부(10)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부재(21)와, 상기 제1 부재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부재(22)와, 상기 제2 부재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부재(23)와, 제3 부재에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부재 중 적어도 제3 부재(23)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시 상기 제3 부재의 변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4)가 상기 거치부재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지지형 거치부(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부재 중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재의 외측에 상기 부재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 행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5a)는, 상기 제2 부재(22)와 상기 제3 부재(23) 사이의 절곡부분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3 부재(23)와 상기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행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22)와 상기 제3 부재(23)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25b)는, 상기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 사이의 절곡부분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 부재(22)와 상기 제3 부재(23) 사이의 절곡부분과 상기 제3 부재(23)와 상기 지지부재(24) 사이의 절곡부분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 행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거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시 상기 거치부재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행거.
KR1020110082935A 2011-08-19 2011-08-19 천장구조물용 행거 KR10132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35A KR101320568B1 (ko) 2011-08-19 2011-08-19 천장구조물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35A KR101320568B1 (ko) 2011-08-19 2011-08-19 천장구조물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46A true KR20130020346A (ko) 2013-02-27
KR101320568B1 KR101320568B1 (ko) 2013-10-28

Family

ID=4789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935A KR101320568B1 (ko) 2011-08-19 2011-08-19 천장구조물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273B1 (ko) * 2016-02-05 2016-07-18 유한회사 이음건설 천정 마감용 패널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92B1 (ko) 2017-08-02 2020-02-14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KR102208662B1 (ko) 2018-12-11 2021-01-29 임현택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49Y1 (ko) 2004-05-31 2004-08-26 한국스틸산업 주식회사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0847675B1 (ko) 2007-05-29 2008-07-22 김남영 경량철골용 텍스 행거
KR20100006837U (ko) * 2008-12-26 2010-07-06 권정길 건축 구조물 시공용 행거
KR200454283Y1 (ko) * 2009-04-15 2011-06-24 진선영 천장 시설물 고정용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273B1 (ko) * 2016-02-05 2016-07-18 유한회사 이음건설 천정 마감용 패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568B1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9584C1 (ru) Резинов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KR102173314B1 (ko) 경량 천장틀용 연결클립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KR101320568B1 (ko) 천장구조물용 행거
JP2012162873A (ja) 天井構造およびブレース材と天井仕上板の固定金具
JP6412664B2 (ja) 天井下地構造
KR20110092991A (ko) 케이블 거치대
JP2016014288A (ja) 耐震天井
KR100562998B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6214041B2 (ja) 吊り天井構造
KR101458198B1 (ko) 천정마감장치
JP6804714B2 (ja) 耐震用軽量鉄骨フレームの構造
JP3180376U (ja) 野縁と野縁受交差部の緊結吊り金物
JP4832073B2 (ja) 天井材の防振吊木金具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JP2017197932A (ja) 天井下地構造及び吊り部材
JP4782536B2 (ja) 天井下地部材の取付け構造
JP2021025352A (ja) 野縁取付構造
JP7152754B2 (ja) 野縁受けハンガー
JP5723817B2 (ja) 野縁の取り付け方法
JP3177138U (ja) 天井周りカバー
JP6457174B2 (ja) 壁材留具
JP6813883B2 (ja) 受枠の固定構造
JP2018150676A (ja) 建物の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