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680B1 -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680B1
KR101456680B1 KR1020140058851A KR20140058851A KR101456680B1 KR 101456680 B1 KR101456680 B1 KR 101456680B1 KR 1020140058851 A KR1020140058851 A KR 1020140058851A KR 20140058851 A KR20140058851 A KR 20140058851A KR 101456680 B1 KR101456680 B1 KR 10145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wiring
wall
locker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성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성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5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천정의 모서리부를 케이블(전기, 통신, 방송 등)의 배선 공간으로 활용하여 모서리부의 미관도 개선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다수의 케이블을 신속하게 확인 가능하고 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는, 공동주택의 천정과 벽체가 연계하는 모서리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배선 공간이 구비되어 전기 통신 케이블이 배선되는 케이블 트레이(1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기 통신 케이블이 안착 배선되는 복수의 배선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4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에 탄성패드(11a)를 통해 지지되는 천정 지지부(11), 상기 천정 지지부의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에 탄성패드(12a)를 통해 지지되는 벽체 지지부(12), 일측은 상기 벽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천정 지지부 및 벽체 지지부와 함께 배선 공간(14)을 마련하면서 상기 배선 공간을 개폐하는 경사형 커버부(13), 상기 천정 지지부의 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커버부를 구속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거나 상기 경사형 커버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개방토록 하는 록커(15)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커버부는, 상기 벽체 지지부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이 구비된 제1커버판(13a), 상기 제1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3b), 일측이 상기 제1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록커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는 제2커버판(13c)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WIRING GUIDE OF POWER AND OPTICAL CABLE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전기와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천정의 모서리부를 케이블(전기, 통신, 방송 등)의 배선 공간으로 활용하여 모서리부의 미관도 개선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다수의 케이블을 신속하게 확인 가능하고 보수 작업이 가능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한편, 공동주택 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통신 케이블과 유선 방송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근래에는 이러한 케이블을 천정에 매달기식으로 배선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배선구조는, 케이블을 천정 슬래브에 배선하기 위하여 천정 슬래브에 다수의 체결볼트를 체결하고, 이 체결볼트에 봉 형상의 지지대를 각각 고정하며, 지지대의 하부에 트레이를 너트 체결하여 전기 케이블을 트레이에 안착함으로써 배선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공동주택의 천정 전기 케이블 배선구조에 의하면, 트레이가 천정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시각적으로 좋지 못한 단점이 있고 다수의 전기 케이블이 트레이의 바닥에 일렬로 수납되는 형태로 배선되기 때문에 다수의 전기 케이블을 일일이 꺼내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846617호 등록특허 제10-066723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천정의 모서리부를 케이블(전기, 통신, 방송 등)의 배선 공간으로 활용하여 모서리부의 미관도 개선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다수의 케이블을 신속하게 확인 가능하고 보수 작업이 가능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는, 공동주택의 천정과 벽체가 연계하는 모서리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배선 공간이 구비되어 전기 통신 케이블이 배선되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기 통신 케이블이 안착 배선되는 복수의 배선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에 지지되는 천정 지지부, 상기 천정 지지부의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에 지지되는 벽체 지지부, 일측은 상기 벽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천정 지지부 및 벽체 지지부와 함께 배선 공간을 마련하면서 상기 배선 공간을 개폐하는 경사형 커버부, 상기 천정 지지부의 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커버부를 구속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거나 상기 경사형 커버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개방토록 하는 록커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커버부는, 상기 벽체 지지부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이 구비된 제1커버판, 상기 제1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일측이 상기 제1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록커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는 제2커버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가 천정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모서리부의 몰딩 기능을 함으로써 실내를 수려하게 인테리어할 수 있고 수납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선구를 천정쪽과 벽체쪽에 형성함과 아울러 이동 가능하게 하여 다수의 케이블을 신속하게 육안 확인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신속한 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에 적용된 벽체측 배선구의 다른 설치 상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는, 공동주택의 천정측 모서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전기 통신 케이블(전기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이며 이하 "케이블"이라 약칭함)이 배선되는 케이블 트레이(10), 케이블 트레이(10) 내부의 배선 공간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의 배선구로서 천정측 배선구(20)와 벽체측 배선구(30), 케이블 트레이(10)를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40)로 구성된다.
케이블 트레이(10)는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천정측 모서리부의 공간을 최소로 점유하면서도 많은 수의 케이블(1)을 배선하도록 구성되며, 공동주택의 천정(2)에 지지되는 천정 지지부(11), 천정 지지부(11)의 일측에 연결되며 벽체(3)에 지지되는 벽체 지지부(12), 천정 지지부(11)와 벽체 지지부(12)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천정 지지부(11) 및 벽체 지지부(12)와 함께 배선 공간(14)을 형성하는 경사형 커버부(13), 경사형 커버부(13)의 록킹과 록킹 해제를 통해 배선 공간(14)을 폐쇄하거나 개방토록 하는 록커(15)로 구성된다.
천정 지지부(11)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이며 천정의 레벨이 맞지 않아 울퉁불퉁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상면에는 다수의 탄성패드(11a)가 부착된다.
천정 지지부(11)는 록커(15)의 설치를 위하여 볼트체결홈(11b) 및 가이드홈(11c)이 구성된다. 볼트 체결홈(11b)의 내부에 나사선을 가공하지 않는 경우 볼트 체결홈(11b)의 앞에는 록커(15)의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너트(11d)가 고정된다.
벽체 지지부(12)는 천정 지지부(11)와 동일한 재질의 판재이며 벽체(3)의 레벨이 맞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다수의 탄성패드(12a)가 부착되어 사용된다.
벽체 지지부(12)는 상단부가 천정 지지부(11)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즉, 천정(2)과 벽체(3)가 직각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천정(2)과 벽체(3)의 각도에 맞도록 각도 조절된 후 사용된다.
경사형 커버부(13)는 천정 지지부(11) 및 벽체 지지부(12)와 동일한 재질이면서 동일한 면적의 판재이며 단 배선 공간(14)의 개폐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경사형 커버부(13)는 벽체 지지부(12)에 일측 단부가 회전축이나 경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이 구비된 제1커버판(13a), 제1커버판(13a)의 스프링 장착홈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3b), 일측이 제1커버판(13a)의 스프링 장착홈에 스프링(13b)의 탄성력을 매개로 하여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록커(15)에 의해 지지되어 배선 공간을 폐쇄하는 제2커버판(13c)으로 구성된다. 제2커버판(13c)의 외부에는 손잡이(13d)가 형성된다. 손잡이(13d)는 홈의 형태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사형 커버부(13)는 제2커버판(13c)이 스프링(13b)의 탄성력에 의해 천정 지지부(11)를 향해 탄성 지지되고 록커(15)의 지지를 받아 배선 공간(14)을 폐쇄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커버판(13a)의 내부에 삽입되어 록커(15)가 록킹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선 공간(14)을 개방할 수 있다. 물론, 제2커버판(13c)은 록커(15)가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도 배선 공간(14)을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형 커버부(13)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전술한 것처럼 천정(2)과 벽체(3)가 직각으로 시공되지 않은 경우 천정 지지부(11)와 벽체 지지부(12)가 직각을 벗어나더라도 경사형 커버부(13)는 배선 공간(14)을 폐쇄할 수 있다.
록커(15)는 천정 지지부(11)의 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며 경사형 커버부(13)를 구속하여 배선 공간(14)을 폐쇄하거나 경사형 커버부(13)의 구속을 해제하여 배선 공간(14)을 개방토록 하는 것이며, 록커 본체(15a), 고정 볼트(15b), 가이드봉(15c)으로 구성된다.
록커 본체(15a)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는 천정 지지부(11)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평부는 경사형 커버부(13)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한다.
고정 볼트(15b)는 록커 본체(15a)의 수직부에 관통되면서 너트(11d)에 나사 체결되어 볼트 체결홈(11b)에 삽입 또는 인출되고 이를 통해 록커(15)가 전후진[전진은 벽체(3)를 향하는 방향이며 후진은 벽체(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하도록 한다.
가이드봉(15c)은 록커 본체(15)의 수직부에 형성되며 천정 지지부(11)의 가이드홈(11c)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록커 본체(15)가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전후진하도록 하고 따라서 2개 이상이 형성된다.
록커(15)의 단부에는 경사형 커버부(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5d)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15d)은 록커 본체(15a)의 수평부보다 큰 단면적의 판재이며 상기 수평부에 회전축을 통해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경사형 커버부(13)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정측 배선구(20)와 벽체측 배선구(30)는 각각 케이블(1)이 안착되는 곡선형(예컨대 반원형)의 배선홈이 구비되며 또한 케이블(1)의 이탈 방지를 위한 턱이 구성된다.
천정측 배선구(20)와 벽체측 배선구(30)는 각각 천정 지지부(11)와 벽체 지지부(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지만 유지보수를 감안하여 단품으로 형성된 후 천정 지지부(11)와 벽체 지지부(12)에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정측 배선구(20)는 벽체측 배선구(30)의 앞에 설치되어 케이블(1)을 벽체측 배선구(30)에 배선할 때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천정 지지부(11)의 저면에는 전후진 방향의 레일(16)이 설치되고 천정측 배선구(20)는 상부에 레일(16)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1)가 갖추어진다.
한편 벽체측 배선구(30)는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벽체 지지부(12)의 안쪽면에는 다단의 배선구 설치홈(17a)이 구비된 상하 종방향의 배선구 설치대(17)가 고정되고, 벽체측 배선구(30)는 다단의 배선구 설치홈(17a) 중에 선택되어 설치됨으로써 케이블(1)의 배선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선구 설치대(17)에 다수의 배선구 설치홈(17a)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벽체측 배선구(30)의 증설이 가능하므로 더 많은 수량의 케이블(1)의 배선이 가능하다.
천정측 배선구(20)와 벽체측 배선구(30)는 다수개가 적용되지만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배선 공간(14)을 개방하면 모든 케이블(1)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앵커(40)는 천정 지지부(11) 또는 천정 지지부(11) 및 벽체 지지부(12) 모두에 설치되어 케이블 트레이(10)를 안정적으로 설치한다. 아울러, 케이블 트레이(1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벽체(3) 등에는 케이블 트레이(10)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이 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옥내 배선 장치는 공동주택의 주거 공간, 복도 등의 천정측 모서리부(또는 바닥측 모서리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인 외형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점유 공간이 작고 모서리부의 사공간을 이용함에 따라 실내의 수납공간을 널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경사형 커버부(13)만 노출되어 모서리부의 각진 부분이 숨겨지므로 인테리어측 효과도 도출한다.
도 4는 케이블(1)을 배선하기 위하여 배선 공간(14)을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며, 배선 공간(14)이 개방됨에 따라 천정측 배선구(20)와 벽체측 배선구(30) 모두가 외부로 노출된다.
케이블(1)을 천정측 배선구(20)와 벽체측 배선구(30)의 필요한 곳에 안착 배선한다.
케이블(1)의 배선이 완료되면, 배선 공간(14)을 폐쇄하여야 하며, 경사형 커버부(13)의 손잡이(13d)를 잡고 도면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경사형 커버부(13)의 자유단부가 록커(15)에 의해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배선 공간(14)을 폐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록커 본체(15a)를 경사형 커버부(13)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 위치로 후진시킨 상태에서 경사형 커버부(13)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경사형 커버부(13)를 폐쇄 위치로 한 후 록커 본체(15a)를 전진시키면 록커 본체(15a)가 경사형 커버부(13)를 저부에서 받치 지지하므로 경사형 커버부(13)가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록커 본체(15a)를 전진시킨 후 고정볼트(15b)를 체결하여 록커 본체(15a)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제2커버판(13c)을 제1커버판(13a) 안에 삽입하여 경사형 커버부(13)의 크기를 축소한 상태에서 경사형 커버부(13)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경사형 커버부(13)가 록커 본체(15a)를 통과한 후 제2커버판(13c)에서 손을 놓으면 스프링(13b)의 탄성력에 의해 제2커버판(13c)이 제1커버판(13a)에서 인출됨으로써 록커 본체(15a)에 지지되어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케이블(1)의 증설이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고정 볼트(15b)를 풀어 후진시킨 후 록커 본체(15a)를 후진시키면 경사형 커버부(13)가 자연스럽게 도면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선 공간(14)이 개방된다.
또는 제2커버판(13c)을 제1커버판(13a)의 내부에 삽입하여 록커 본체(15a)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축소한 후 회전시켜 배선 공간(14)을 개방할 수도 있다.
10 : 케이블 트레이, 11 : 천정 지지부
12 : 벽체 지지부, 13 : 경사형 커버부
13a : 제1커버판, 13b : 스프링
13c : 제2커버판, 14 : 배선 공간
15 : 록커, 15a : 록커 본체
15b : 고정볼트, 15c : 가이드봉
16 : 레일, 17 : 배선구 설치대
20 : 천정측 배선구, 30 : 벽체측 배선구
40 : 앵커,

Claims (3)

  1. 공동주택의 천정과 벽체가 연계하는 모서리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배선 공간이 구비되어 전기 통신 케이블이 배선되는 케이블 트레이(1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기 통신 케이블이 안착 배선되는 복수의 배선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4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에 탄성패드(11a)를 통해 지지되는 천정 지지부(11), 상기 천정 지지부의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에 탄성패드(12a)를 통해 지지되는 벽체 지지부(12), 일측은 상기 벽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천정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천정 지지부 및 벽체 지지부와 함께 배선 공간(14)을 마련하면서 상기 배선 공간을 개폐하는 경사형 커버부(13), 상기 천정 지지부의 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커버부를 구속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거나 상기 경사형 커버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배선 공간을 개방토록 하는 록커(15)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커버부는, 상기 벽체 지지부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이 구비된 제1커버판(13a), 상기 제1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3b), 일측이 상기 제1커버판의 스프링 장착홈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록커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선 공간을 폐쇄하는 한편 상기 록커의 록킹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1커버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선 공간을 개방하고 상기 록커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상기 배선 공간을 개방하는 제2커버판(13c)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선구는 상기 벽체 지지부에 형성되는 벽체측 배선구(30)와 상기 천정 지지부에 형성되는 천정측 배선구(20)로 구분되면서 상기 천정측 배선구는 상기 천정 지지부에 설치되는 레일(16)을 통해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록커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직부가 상기 천정 지지부에 나사 체결되어 전후진하는 고정 볼트(15b)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경사형 커버부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록커 본체(15a), 상기 록커 본체의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천정 지지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봉(15c), 상기 록커 본체(15a)의 수평부보다 큰 단면적의 판재로서 상기 록커 본체의 수평부에 회전축을 통해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되며 다양한 각도에서 상기 경사형 커버부(13)를 지지하는 지지판(15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058851A 2014-05-16 2014-05-16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KR10145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851A KR101456680B1 (ko) 2014-05-16 2014-05-16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851A KR101456680B1 (ko) 2014-05-16 2014-05-16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680B1 true KR101456680B1 (ko) 2014-11-04

Family

ID=5228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851A KR101456680B1 (ko) 2014-05-16 2014-05-16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680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500B1 (ko) * 2015-08-31 2016-03-03 (주)선진이엔지 통신 및 전기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1715252B1 (ko) * 2016-08-31 2017-03-13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 실내 전기공급 배전단자
KR101717157B1 (ko) * 2016-08-25 2017-03-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1781915B1 (ko) 2017-08-02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1781916B1 (ko) 2017-07-12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의 배선 트레이
KR101781920B1 (ko) 2017-07-13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공동주택용 전선 고정기구
KR101781919B1 (ko) 2017-07-31 2017-10-23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완충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기구
CN109244955A (zh) * 2018-09-29 2019-01-18 镇江镓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电网用室内布线装置
KR102015851B1 (ko) * 2019-02-18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천장 케이블 트레이
KR102019192B1 (ko) * 2019-03-22 2019-09-06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KR102091359B1 (ko) * 2019-10-15 2020-03-19 한정화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케이블 포설방법
KR102105899B1 (ko) 2020-03-02 2020-05-0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수평 배선구조
KR102207747B1 (ko) 2020-04-27 2021-01-26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KR102225875B1 (ko) *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CN113847084A (zh) * 2021-10-15 2021-12-28 楚雄佑琳生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uhpc地铁疏散平台
KR20220149034A (ko) * 2021-04-30 2022-11-08 (주)네오티엔씨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2573574B1 (ko) * 2023-05-26 2023-09-01 (주)조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물 외부설치형 케이블 트레이
KR102595515B1 (ko) 2023-05-31 2023-10-30 주식회사 조이테크 방열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수평배선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682Y1 (ko) * 1995-10-10 1999-05-15 김경미 다목적 배선몰드
JP2000253535A (ja) * 1999-02-25 2000-09-14 Aikyo:Kk ケーブルダクトおよびその接続構造
KR101039828B1 (ko) * 2011-03-18 2011-06-09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682Y1 (ko) * 1995-10-10 1999-05-15 김경미 다목적 배선몰드
JP2000253535A (ja) * 1999-02-25 2000-09-14 Aikyo:Kk ケーブルダクトおよびその接続構造
KR101039828B1 (ko) * 2011-03-18 2011-06-09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500B1 (ko) * 2015-08-31 2016-03-03 (주)선진이엔지 통신 및 전기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1717157B1 (ko) * 2016-08-25 2017-03-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1715252B1 (ko) * 2016-08-31 2017-03-13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 실내 전기공급 배전단자
KR101781916B1 (ko) 2017-07-12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의 배선 트레이
KR101781920B1 (ko) 2017-07-13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공동주택용 전선 고정기구
KR101781919B1 (ko) 2017-07-31 2017-10-23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완충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기구
KR101781915B1 (ko) 2017-08-02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CN109244955B (zh) * 2018-09-29 2024-04-19 镇江镓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电网用室内布线装置
CN109244955A (zh) * 2018-09-29 2019-01-18 镇江镓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电网用室内布线装置
KR102015851B1 (ko) * 2019-02-18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천장 케이블 트레이
KR102019192B1 (ko) * 2019-03-22 2019-09-06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KR102091359B1 (ko) * 2019-10-15 2020-03-19 한정화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케이블 포설방법
KR102105899B1 (ko) 2020-03-02 2020-05-0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수평 배선구조
KR102207747B1 (ko) 2020-04-27 2021-01-26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KR102225875B1 (ko) *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20220149034A (ko) * 2021-04-30 2022-11-08 (주)네오티엔씨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2630088B1 (ko) * 2021-04-30 2024-01-29 (주)네오티엔씨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CN113847084A (zh) * 2021-10-15 2021-12-28 楚雄佑琳生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uhpc地铁疏散平台
KR102573574B1 (ko) * 2023-05-26 2023-09-01 (주)조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물 외부설치형 케이블 트레이
KR102595515B1 (ko) 2023-05-31 2023-10-30 주식회사 조이테크 방열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수평배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680B1 (ko)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CN104509093B (zh) 电视机安装系统
KR100846617B1 (ko)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US8130328B2 (en) Mounted rotatable television unit
KR102133704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US7501576B2 (en) Ceiling raceway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DK3218998T3 (en) Linear actuator system
US20080289264A1 (en) Closet system
EP3218996A1 (en) Linear actuator system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0876418B1 (ko)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101184191B1 (ko)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9858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지지구
KR101978498B1 (ko)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100937490B1 (ko) 이동 조명장치
KR101534396B1 (ko) 마감품질을 위해 높낮이 조절되는 가변형 분전함
KR10096807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 배전 박스 구조
US6783298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control mechanism to an end of a support arm system
US3267332A (en) Adapter wall construction
KR102419213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KR101270448B1 (ko)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용 각도조절 받침대
KR20090095324A (ko) 방폭형 배전함
JP3988493B2 (ja) 床用配線器具の取付構造
JP2000102145A (ja) 配線装置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