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213B1 -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 Google Patents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213B1
KR102419213B1 KR1020210130942A KR20210130942A KR102419213B1 KR 102419213 B1 KR102419213 B1 KR 102419213B1 KR 1020210130942 A KR1020210130942 A KR 1020210130942A KR 20210130942 A KR20210130942 A KR 20210130942A KR 102419213 B1 KR102419213 B1 KR 10241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shelf
building
cradle
various fun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3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W)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가설되는 배전선(L)을 개별적으로 수용해 지지하거나 배전선(L)을 수용하지 않을 시에는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함으로 전환이 가능한 거치대(10); 제1힌지축(h1)을 매개로 거치대(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치대(10)를 통한 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화분, 액자, 작업도구 등을 거치해 놓기 위한 거치대의 용도로 사용되는 커버(20); 장착대(13)의 측면에 설치되어 선반(2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회전을 제한하면서 선반(21)이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일방향클러치(30); 선반(21)에 설치되며 ON/OFF 스위치를 갖춘 조명수단(40);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바디에 설치되는 판재에 의해 배전선을 수용해 지지하는 용도로 이용하거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함으로 전환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용상의 편의성 및 범용성이 상당히 뛰어나다.

Description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Distribution line tray of buildings with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와 업무 및 생활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와 대형 건축물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은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는 각종 전자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건축물을 시공시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층 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단순히 배전선을 지지하는 용도 이외에는 별 다른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 사용상에 제약이 있으며, 특히 주변에 배전선과 관련된 자재나 물건 등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납함을 따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148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선을 거치해 두기 위한 용도와 물건 등을 수납해 두기 위한 용도로 필요에 따라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전선을 구분해 거치할 수 있어 전선 간의 꼬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조사되는 조명을 통해 간접 및 직접조명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일방향클러치에 의한 커버의 위치고정을 통해 화분이나 액자 등을 거치해 두거나 작업도구 등을 임시로 거치해둘 수 있어 인테리어효과 및 작업공간의 확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배전선을 지지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고정부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되, 상면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폐구용 홀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폐구용 홀 사이에는 한 쌍의 분할용 홀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지지부, 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바디와,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블록을 매개로 폐구용 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바디의 양단을 폐구해 바디와 함께 함을 형성하거나 분할용 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배전선이 개별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바디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한 쌍의 판재와,
연결부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배전선의 가설방향으로 돌출된 축핀을 구비하는 장착대로 구성된 거치대;
제1힌지축을 매개로 장착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대의 상부를 개폐하며, 일면에 수용홈이 마련된 선반과, 제2힌지축을 매개로 수용홈에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걸이대로 구성된 커버;
제1힌지축의 양단에 고정되어 선반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래칫휠과, 축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휠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일방향클러치;
선반을 기준으로 걸이대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조작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디에 설치되는 판재에 의해 배전선을 수용해 지지하는 용도로 이용하거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함으로 전환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용상의 편의성 및 범용성이 상당히 뛰어나다.
또한, 판재를 매개로 분할된 공간에 전선을 구분해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 간의 꼬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조사되는 조명을 통해 간접조명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화분이나 액자 등을 거치해 두거나 작업도구 등을 임시로 거치해둘 수 있어 인테리어효과 및 작업공간의 확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다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는 거치대(10)와 커버(20), 일방향클러치(30) 및 조명수단(4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배전선(L)을 거치해 두기 위한 용도와 물건 등을 수납해 두기 위한 용도로 필요에 따라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특히 배전선(L)을 구분해 거치할 수 있어 배전선(L) 간의 꼬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벽면(W) 또는 바닥면으로 조사되는 조명을 통해 간접 및 직접조명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화분이나 액자 등을 거치해 두거나 작업도구 등을 임시로 거치해둘 수 있어 인테리어효과 및 작업공간의 확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 거치대(10)는 바디(11)와 한 쌍의 판재(12) 및 장착대(1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건축물의 벽면(W)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가설되는 배전선(L)을 개별적으로 수용해 지지하거나 배전선(L)을 수용하지 않을 시에는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함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바디(11)는 고정부(11a)와 지지부(11b) 및 연결부(11c)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디(11)는 내부가 배전선(L)의 가설방향과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1a)는 직사각형상의 판으로, 건축물의 벽면(W)에 밀착되어 고정수단(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11a)의 하단에는 고정부(11a)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부(11b)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11b)의 말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부(11a)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11c)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b)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폐구용 홀(11b-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한 쌍의 폐구용 홀(11b-1) 사이에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분할용 홀(11b-2)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서, 상기 폐구용 홀(11b-1)과 분할용 홀(11b-2)에는 판재(12)의 끼움블록(12a)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데, 판재(12)의 끼움블록(12a)을 폐구용 홀(11b-1)에 끼워넣게 되면 바디(11)의 양단이 자연스럽게 막힘(폐구)에 따라 바디(11)와 함께 물건 등을 수납해 둘 수 있는 함을 형성하게 되고, 판재(12)의 끼움블록(12a)을 분할용 홀(11b-2)에 끼워넣게 되면 바디(11)의 내부 공간이 자연스럽게 분할됨에 따라 배전선(L)을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11)에 설치되는 판재(12)에 의해 배전선(L)을 수용해 지지하는 용도로 이용하거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함으로 전환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용상의 편의성 및 범용성이 상당히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배전선(L)을 구분해 거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전선(L) 간의 꼬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볼 수 있다.
상기 장착대(13)는 연결부(11c)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대(13)에는 제1힌지축(h1)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구비되고, 이 구멍의 일측에는 배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돌출된 축핀(13a)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축핀(13a)에는 스토퍼(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축핀(13a)의 상측으로 회전방지핀(P)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회전방지핀(P)은 스토퍼(32)가 자중에 의해 항시 래칫휠(31)에 걸려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토퍼(32)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20)는 선반(21)과 걸이대(2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힌지축(h1)을 매개로 거치대(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치대(10)를 통한 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화분, 액자, 작업도구 등을 거치해 놓기 위한 거치대의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선반(21)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일단부가 제1힌지축(h1)을 매개로 거치대(10)의 장착대(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선반(21)을 기준으로 타단부 상면과 하면에는 조명수단(40)과 수용홈(21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홈(21a)은 선반(21)이 회동되어 거치대(10)의 상면에 배치되었을 때는 바디(11)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가 선반(21)이 회동되어 펼치게 되면 상방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수용홈(21a)의 내부에는 걸이대(22)가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걸이대(22)는 제2힌지축(h2)을 매개로 선반(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선반(21)의 양측면에는 배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돌기는 추후 판재(12)가 폐구용 홀(11b-1)에 설치되었을 때 판재(12)의 상부에 맞대어져 판재(12)의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걸이대(22)는 일종에 후크 및 스토퍼로 이용되는데, 일 예로 선반(21)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상태에 걸이대(22)를 수용홈(21a)으로부터 인출한 다음 선반(21)의 상면으로 가설될 배전선(L)을 거치해 주게 되면, 걸이대(22)가 배전선(L)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전선교체 작업시 임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해지고, 작업공간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상기 선반(21)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늘어트린 상태에서 걸이대(22)를 펼쳐주게 되면, 걸이대(22)에 액자나 공구가방 등을 걸어둘 수 있는 후크로 이용이 가능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일방향클러치(30)는 래칫휠(31)과 스토퍼(3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대(13)의 측면에 설치되어 선반(2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회전을 제한하면서 선반(21)이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래칫휠(31)은 외주면을 따라 특별한 형태를 갖는 치(齒)가 형성된 톱니바퀴로, 장착대(13)에 관통되게 설치된 제1힌지축(h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축핀(13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32)와 맞물려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선반(21)과 제1힌지축(h1) 및 래칫휠(31)은 상호 결합되어 일체형 구조를 이룸에 따라 선반(21)의 회전시 제1힌지축(h1)과 래칫휠(31)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32)는 장착대(13)의 축핀(13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휠(31)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토퍼(32)의 일단부는 래칫휠(31)의 치(齒) 사이에 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래칫휠(31)의 회전을 제한한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휠(31)의 치(齒) 사이에 마련된 홈에 스토퍼(32)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무단으로 커버(20)가 회전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치(齒) 사이에 삽입된 스토퍼(32)를 축핀(13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면 비로소 선반(2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시킨 선반(2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스토퍼(32)가 치(齒)를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아무런 저항 없이 회전이 가능하며, 이때 적당한 위치(각도)에 선반(21)을 배치하게 되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일방향클러치(30)가 잡아줌에 따라 선반(21)을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일방향클러치(30)는 거치대(10)의 상면에 커버(20)가 배치된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 기능과, 커버(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해주는 스토퍼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조명수단(40)은 ON/OFF 스위치를 갖춘 전등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선반(21)에 설치된다.
일 예로서, 상기 선반(21)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늘어트린 상태에서 걸이대(22)를 펼쳐준 다음 걸이대(22)에 액자 등을 걸어주고 건축물의 벽면(W)을 향해 빛을 조사하게 되면, 액자 주변이 도드라져 보이게 되는 시각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물의 벽면(W) 또는 바닥면을 향해 조명을 직접 조사해 줌으로서 간접 및 직접조명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의 내부에 배전선(L)을 거치하고자 할 경우, 먼저 거치대(1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선반(21)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거치대(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면 된다.
그런데 일방향클러치(30)를 구성하는 래칫휠(31)의 치(齒) 사이에 마련된 홈에 스토퍼(32)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다.
이때는 래칫휠(31)의 치(齒) 사이에 삽입된 스토퍼(32)를 축핀(13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면 비로소 선반(2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무단으로 커버(20)가 회전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선반(21)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늘어트린 상태에서 걸이대(22)를 펼쳐준 다음 걸이대(22)에 액자 등을 걸어주고 조명수단(40)을 이용해 건축물의 벽면(W)을 향해 빛을 조사해 주면, 액자 주변이 도드라져 보이게 되면서 액자가 실질적으로 부각되는 시각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킨 선반(2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스토퍼(32)가 래칫휠(31)의 치(齒)를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아무런 저항 없이 회전이 가능하며, 이때 적당한 위치(각도)에 선반(21)을 배치하게 되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일방향클러치(30)의 스토퍼(32)가 잡아줌에 따라 선반(21)을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선반(21)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조명수단(40)의 조명을 건축물의 벽면(W) 또는 바닥면을 향해 조명을 직접 조사해 주면 간접조명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의 다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는 가설되는 배전선(L)을 지지하기 위한 용도 외에도 다른 용도로도 이용 가능한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판재(12)를 분할용 홀(11b-2)로부터 각각 인출한 다음, 인출된 판재(12)를 폐구용 홀(11b-1)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판재(12)를 끼움블록(12a)을 매개로 폐구용 홀(11b-1)에 끼워넣게 되면 바디(11)의 양단이 자연스럽게 막힘(폐구)에 따라 바디(11)와 함께 물건 등을 수납해 둘 수 있는 함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20)를 제1힌지축(h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거치대(10)의 개방된 상부는 커버(20)에 의해 폐쇄되며, 특히 커버(20)는 일방향클러치(3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되므로 커버(20)의 무단 개방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부에 수용되는 물건 등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거치대 11: 바디 11a: 고정부
11b: 지지부 11b-1: 폐구용 홀 11b-2: 분할용 홀
11c: 연결부 12: 판재 12a: 끼움블록
13: 장착대 13a: 축핀 20: 커버
21: 선반 21a: 수용홈 22: 걸이대
30: 일방향클러치 31: 래칫휠 32: 스토퍼
40: 조명수단 h1: 제1힌지축 h2: 제2힌지축

Claims (1)

  1. 건축물의 벽면(W)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배전선(L)을 지지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면(W)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11a), 고정부(11a)의 하단으로부터 고정부(11a)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되, 상면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폐구용 홀(11b-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폐구용 홀(11b-1) 사이에는 한 쌍의 분할용 홀(11b-2)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말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부(11a)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11c)로 이루어진 바디(11)와,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블록(12a)을 매개로 폐구용 홀(11b-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바디(11)의 양단을 폐구해 바디(11)와 함께 함을 형성하거나 분할용 홀(11b-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배전선(L)이 개별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바디(1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한 쌍의 판재(12)와,
    연결부(11c)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배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돌출된 축핀(13a)을 구비하는 장착대(13)로 구성된 거치대(10);
    제1힌지축(h1)을 매개로 장착대(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대(12)의 상부를 개폐하며, 일면에 수용홈(21a)이 마련된 선반(21)과, 제2힌지축(h2)을 매개로 수용홈(21a)에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걸이대(22)로 구성된 커버(20);
    제1힌지축(h1)의 양단에 고정되어 선반(2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래칫휠(31)과, 축핀(13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휠(31)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32)로 구성된 일방향클러치(30);
    선반(21)을 기준으로 걸이대(22)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조작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KR1020210130942A 2021-10-01 2021-10-0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KR10241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42A KR102419213B1 (ko) 2021-10-01 2021-10-0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42A KR102419213B1 (ko) 2021-10-01 2021-10-0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213B1 true KR102419213B1 (ko) 2022-07-08

Family

ID=8240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942A KR102419213B1 (ko) 2021-10-01 2021-10-0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2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693Y1 (ko) * 2002-03-16 2002-06-26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 타이
KR102114812B1 (ko)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고정트레이
KR102133703B1 (ko) *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693Y1 (ko) * 2002-03-16 2002-06-26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 타이
KR102114812B1 (ko)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고정트레이
KR102133703B1 (ko) *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680B1 (ko)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US6669041B2 (en) Telecommunication and electrical service box for mounting in a floor
KR20020074587A (ko) 이동식 회전공구함
JP4247766B2 (ja) テーブル用配線ダクト装置
US6509524B1 (en) Prepackaged mounting assembly
JP6182860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KR102419213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전선트레이
US20050231080A1 (en) Cable organizer cabinet
US20020095890A1 (en) Wall rack for an office workstation
US8967742B1 (en) Roof shoe storage attic
KR102426764B1 (ko) 전선충돌방지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서포팅기구
JP3186431B2 (ja) デスクトップ用コンセント装置
KR102419212B1 (ko) 감전사고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전선트레이
KR102426766B1 (ko) 감전사고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행거기구
KR20150072396A (ko) 공중화장실용 도어잠김 표시장치
JP6854623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US6783298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control mechanism to an end of a support arm system
JP4237857B2 (ja) テーブルにおける配線装置
JP2014144225A (ja) 家具における配線装置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KR200296958Y1 (ko) 화장대를 갖춘 코너장
JP2566735Y2 (ja) 間仕切のコンセント装置
JPH04327180A (ja) 受取り容器
US11744360B1 (en) Table with cable passageways
KR20200074722A (ko) 다용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