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98B1 -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98B1
KR101978498B1 KR1020180045204A KR20180045204A KR101978498B1 KR 101978498 B1 KR101978498 B1 KR 101978498B1 KR 1020180045204 A KR1020180045204 A KR 1020180045204A KR 20180045204 A KR20180045204 A KR 20180045204A KR 101978498 B1 KR101978498 B1 KR 10197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ter box
meter
moun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4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한 상태에서 메인 간선을 각 세대별로 분기하기 위한 전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ELECTRIC METER BOX ADN A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집합 건물 내의 각 층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한 상태에서 메인 간선을 각 세대별로 분기하기 위한 전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여러 층으로 구성된 빌딩,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의 집합 건물에서 각 층에는 각 세대 또는 각 실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EPS실에는 상기 케이블 등을 원활히 배치 및 분배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 등으로부터 각 세대 또는 각 실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세대 또는 각 실별로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데 이 전기계량기들은 그 내부에 각 층별 또는 구간별로 하나 이상의 전기계량기를 수용하는 전기계량기함체에 수용되어 있다 통상 상기 전기계량기함은 상기 EPS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설치한다.
종래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1단계로 EPS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트레이에 설치대를 설치하고 설치대에 슬리브단자대를 설치한다. 그리고, 2단계로 메인 간선을 각 세대별로 분기하기 위해, 케이블트레이를 따라 설치되는 메인 간선을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한다. 그리고, 3단계로 상기 설치대에 내부에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한다. 그리고, 4단계로 상기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된 메인 간선을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된 계량기 및 차단기의 1차측과 결선하여 전기계량기함의 설치를 완료한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방법은 상술한 1단계에서 4단계까지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1단계 및 3단계의 계량기함설비작업과 2단계 및 4단계의 케이블연결작업을 교대로 수행해야 했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데에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2단계 및 4단계의 케이블연결작업은 전문가인 전기기술자를 필요로 하는 데, 전기계량기함 설치를 위해 2번에 걸쳐 전기기술자를 별도로 작업에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상승되어 전체적으로 전기계량기함의 설치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1단계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설비작업을 모두 완료하고, 2단계로 전기계량기함에 메인 간선을 분기하는 케이블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이 2단계만으로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슬리브 단자대가 형성되되, 전면 일측에는 회동고정구가 구성되는 설치대와,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면에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되는 설치판이 결합되되, 후면 일측에는 상기 회동고정구에 회동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동핀부재가 구성되어 설치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계량기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대를 통해 계량기함체를 설치하는 설비작업을 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대에서 계량기함체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계량기함체 내부에 설치된 슬리브단자대에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들어오는 케이블을 분기 연결하고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된 케이블을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된 계량기 및 차단기의 1차측과 결선하는 케이블연결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브 단자대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 회동고정구가 구성된 설치대를 볼트를 통해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체결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면에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되는 설치판이 결합되되, 후면 일측에 회동핀부재가 설치된 계량기함체를 상기 회동고정구에 상기 회동핀부재를 끼움 결합시켜 상기 설치대에 계량기함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량기함설비공정; 및 상기 설치대에서 계량기함체를 회동시켜 열고 상기 설치대의 전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따라 설치되는 메인 간선을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된 메인 간선을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된 계량기 및 차단기의 1차측과 결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연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의 설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은 1단계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설비작업을 모두 완료하고, 2단계로 전기계량기함에 메인 간선을 분기하는 케이블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이 2단계만으로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에서 계량기함체와 설치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에서 회동고정구 및 회동핀부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따른 회동고정구 및 회동핀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에서 열림시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함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에서 계량기함체와 설치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한 상태에서 메인 간선을 각 세대별로 분기하기 위한 전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은 EPS실과 연결되는 케이블 트레이(10)에 설치된다. 즉, 여러 층으로 구성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의 집합 건물에서 각 층에는 각 세대 또는 각 실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EPS실에는 상기 케이블 등을 원활히 배치 및 분배하기 위하여 EPS실에서 케이블(C)이 가이드되는 케이블 트레이(1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데, 이를 위해,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면에는 설치대(1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대(100)는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면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10)를 통해 가이드되는 케이블(C)이 연결되는 슬리브 단자대(110)가 설치되되, 전면 일측에는 회동고정구(12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설치대(100)는 케이블 트레이(10)를 통해 가이드되는 케이블(C)을 연결하는 슬리브 단자대(110)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전방에 후술하는 계량기함체(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는 후면판(11)과, 상기 후면판(11)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측면판(12)과, 상기 측면판(12)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돌출되는 설치편(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100)는 상기 설치편(13)에 각각 볼트(B)를 통해 결합되되 상측 및 하측 양단부에 결합돌기(101a)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전면판(101)과, 상기 전면판(101)의 양단에서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판(102)과, 상기 절곡판(102) 중 내측에 위치한 절곡판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전면에 상기 슬리브 단자대(110)를 상기 전면판(101)보다 후측으로 요입 수용되게 장착시키는 장착판(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대의 전면판(101)에는 상기 설치대를 제작할 때 미리 결합공(101b)을 형성시키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편(13)에는 현장에서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공(101b)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3a)을 형성하여, 볼트(B)를 통해 케이블 트레이(10)에 설치대(100)가 설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면에 설치된 설치대(100)에는 계량기함체(2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계량기함체(200)은 전면에 개방부(210)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2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220)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면에 계량기(M) 및 차단기(B)가 설치되는 설치판(23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기함체(200)의 후면 일측에는 상기 회동고정구(120)에 회동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동핀부재(240)가 구성되어 설치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계량기함체(200)는 회동핀부재(240)가 설치대(100)의 회동고정구(120)에 회동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설치대(100)에서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계량기함체(200)의 후면판(201)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가 노출되는 노출공(25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101a)와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공(260)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260)에 결합돌기(101a)가 끼워진 다음 결합돌기(101a)에 체결되는 너트(N)를 통해 설치대(1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되고, 양측 상하단부에 수나사부(27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출공(250)은 케이블 트레이(10)로 가이드되는 케이블(C)이 통과되어 계량기(M) 및 차단기(B)에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230)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110)가 노출되는 개구공(231)이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27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3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32)에 상기 수나사부(270)가 끼워진 다음 수나사부(270)에 체결되는 너트(N)를 통해, 상기 설치판(230)이 계량기함체의 후면판(201)에 설치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설치판의 관통공(312)에 계량기함체의 수나사부(270)가 끼워진 다음 수나사부(270)에 체결되는 너트(N)를 통해, 상기 설치판(230)이 계량기함체의 후면판(20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N)는 체결이 용이하도록 나비형 너트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공(231)은 케이블 트레이(10)로 가이드되는 케이블(C)이 통과되어 계량기(M) 및 차단기(B)에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220)는 그 일측이 계량기함체(200)에 힌지 결합된 구조로 계량기함체의 개방부(210)를 개폐시키게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의 양측에 마련되는 잠금장치(L)에 의하여 계량기함체(200)의 개방부(210)에 취부 또는 탈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대를 통해 계량기함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들어오는 메인 간선을 각 세대별로 분기하기 위한 전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대(100)에서 계량기함체(200)가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계량기함체(200)의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계량기함체(200)의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대(100)에 설치되는 회동고정구(120)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고정하우징(121)과, 상기 고정하우징(121)의 중앙에 형성되고 축공(122a)이 형성된 지지구(122)와, 상기 지지구(122)의 일측에 형성되고 후측으로 오목한 스토퍼홈(123a)이 형성된 닫힘스토퍼(123)와, 상기 지지구(122)의 타측 전방으로 형성되고 자석부재로 마련되되 충격흡수부재(124a)가 부착된 열림스토퍼(124)와, 상기 닫힘스토퍼(123) 및 열림스토퍼(124) 사이에 형성되는 회동공간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기함체(200)에 설치되는 상기 회동핀부재(24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하우징(121)의 상면에 밀착되는 회동하우징(241)과, 상기 회동하우징(241)의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축공(122a)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242)과, 상기 회동축(242)의 일측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원통형의 완충부재(243a)가 결합되며 회동축(2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공간부(125)를 따라 이동되게 구성되되, 상기 닫힘스토퍼의 스토퍼홈(123a)에 수용되어 계량기함체(200)의 닫힘이 제한되고 상기 열림스토퍼(124)에 부착 지지되어 계량기함체(200)의 열림이 제한되는 회동제한편(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100)에 계량기함체(200)가 닫힌 상태이면, 회동제한편(243)이 닫힘스토퍼(123)의 스토퍼홈(123a)에 수용되어 지지되고, 이때 설치대(100)에서 계량기함체(200)가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100)에서 계량기함체(200)를 열게 되면, 회동하우징(241)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축(242)이 회전되고 동시에 회동제한편(243)이 회동공간부(125)를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제한편(243)이 열림스토퍼(124)에 밀착되고, 이때 회동제한편(243)이 열림스토퍼(124)에 부착 지지되면서 설치대(100)에 대해 계량기함체(200)가 열려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대(100)에서 계량기함체(200)가 열림스토퍼(124)와 닫힘스토퍼(123) 사이에서만 회동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계량기함체가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회동축(242)이 지지구의 축공(122a)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제한편(243)이 회동공간부(125)를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대(100)에서 계량기함체(200)의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계량기함체(200)가 열리면 회동제한편(243)이 열림스토퍼(124)에 부착 지지되기 때문에 계량기함체(2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계량기함체의 내부에 케이블공사를 용이할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설치대에서 계량기함체가 열려질 때, 용이하게 회동되면서 열려질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열림시동수단(280)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림시동수단(280)은 상기 회동제한편(243)의 내부에 결합되고 후측으로 관통공(281a)이 형성되는 챔버(281)와, 상기 챔버의 관통공(281a)을 통해 하단부가 챔버 내부에 수용되게 구성되되, 후단에 지지편(282a)이 일체로 형성되고 전단에 상기 스토퍼홈(123a)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스토퍼홈에 밀착 수용되는 라운드지지편(282b)이 형성된 지지봉(282)과, 상기 챔버(281)의 내부에 설치되고 챔버(281)의 전면과 지지편(282a)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2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100)에서 계량기함체(200)가 열림될 때, 눌려되어 있던 스프링(283)이 팽창되고 동시에 스토퍼홈(123a)에 밀착되어 있던 라운드지지편(282b)이 스토퍼홈을 탄성적으로 밀면서 회동제한편(243)이 이동될 수 있도록 시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대에서 계량기함체가 열림이 시작될 때 열림시동수단(280)에 의해 계량기함체(200)가 회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시동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대에서 계량기함체가 용이하게 회동되면서 열려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은 전기계량기함의 설치가 계량기함설비공정 및 케이블연결공정의 2단계만으로 이루어져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다.
먼저, 계량기함설비공정을 설명하면, 슬리브 단자대(110)가 설치되고 전면 일측에 회동고정구(120)가 구성된 설치대(100)를 볼트(B)를 통해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면에 체결하여 케이블 트레이(10)에 설치대(100)를 설치한다. 즉, 도 8과 같이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방에 설치대(100)를 위치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면에 볼트(B)를 체결하여 설치대(1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대의 전면판(101)에는 상기 설치대(100)를 제작할 때 미리 결합공(101b)을 형성시키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편(13)에는 현장에서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공(101b)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3a)을 형성하여, 볼트(B)를 통해 케이블트레이(10)에 설치대(100)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방부(210)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220)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면에 계량기(M) 및 차단기(B)가 설치되는 설치판(230)이 결합되되, 후면 일측에 회동핀부재(240)가 설치된 계량기함체(200)를 상기 회동고정구(120)에 상기 회동핀부재(240)를 끼움 결합시켜 상기 설치대에 계량기함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는 후면판(11)과, 상기 후면판(11)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측면판(12)과, 상기 측면판(12)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돌출되는 설치편(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100)는 상기 설치편(13)에 각각 볼트(B)를 통해 결합되되 상측 및 하측 양단부에 결합돌기(101a)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전면판(101)과, 상기 전면판(101)의 양단에서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판(102)과, 상기 절곡판(102) 중 내측에 위치한 절곡판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전면에 상기 슬리브 단자대(110)를 상기 전면판(101)보다 후측으로 요입 수용되게 장착시키는 장착판(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기함체(200)의 후면판(201)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가 노출되는 노출공(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230)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110)가 노출되는 개구공(231)이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27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3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32)에 상기 수나사부(270)가 끼워진 다음 수나사부(270)에 체결되는 너트(N)를 통해, 상기 설치판(230)이 계량기함체의 후면판(201)에 설치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연결공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대(100)에서 계량기함체(200)를 회동시켜 열고 상기 설치대(100)의 전면에 슬리브 단자대(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트레이(10)를 따라 가이드되는 메인 간선(C)을 상기 슬리브단자대(110)에 분기 연결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단자대(110)에 분기 연결된 메인 간선(C)을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된 계량기(M) 및 차단기(C)의 1차측과 결선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함체(200)에 커버(220)를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단계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설비작업을 모두 완료하고, 2단계로 전기계량기함에 메인 간선을 분기하는 케이블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공정이 2단계만으로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계량기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전문가인 전기기술자를 필요로 하는 케이블연결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전기계량기함의 설치 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블 트레이 100: 설치대
200: 계량기함체 C: 케이블

Claims (5)

  1.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슬리브 단자대가 형성되되, 전면 일측에는 회동고정구가 구성되는 설치대와,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면에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되는 설치판이 결합되되, 후면 일측에는 상기 회동고정구에 회동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동핀부재가 구성되어 설치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계량기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대를 통해 계량기함체를 설치하는 설비작업을 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대에서 계량기함체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계량기함체 내부에 설치된 슬리브단자대에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들어오는 케이블을 분기 연결하고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된 케이블을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된 계량기 및 차단기의 1차측과 결선하는 케이블연결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돌출되는 설치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설치편에 각각 볼트를 통해 결합되되 상측 및 하측 양단부에 결합돌기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단에서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 중 내측에 위치한 절곡판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전면에 상기 슬리브 단자대를 상기 전면판보다 후측으로 요입 수용되게 장착시키는 장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량기함체의 후면판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에 결합돌기가 끼워진 다음 결합돌기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설치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되고, 양측 상하단부에 수나사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가 노출되는 개구공이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상기 수나사부가 끼워진 다음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상기 설치판이 계량기함체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구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되고 축공이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일측에 형성되고 후측으로 오목한 스토퍼홈이 형성된 닫힘스토퍼와, 상기 지지구의 타측 전방으로 형성되고 자석부재로 마련되되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 열림스토퍼와, 상기 닫힘스토퍼 및 열림스토퍼 사이에 형성되는 회동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동핀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하우징의 상면에 밀착되는 회동하우징과, 상기 회동하우징의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축공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일측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원통형의 완충부재가 결합되며 회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공간부를 따라 이동되게 구성되되, 상기 닫힘스토퍼의 스토퍼홈에 수용되어 계량기함체의 닫힘이 제한되고 상기 열림스토퍼에 부착 지지되어 계량기함체의 열림이 제한되는 회동제한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제한편에는 계량기함체가 닫혀진 상태에서 계량기함체가 열림될 때 회동 탄성력을 제공하는 열림시동수단이 더 구성되되, 상기 열림시동수단은 상기 회동제한편의 내부에 결합되고 후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관통공을 통해 하단부가 챔버 내부에 수용되게 구성되되, 후단에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전단에 상기 스토퍼홈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스토퍼홈에 밀착 수용되는 라운드지지편이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챔버의 전면과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4. 슬리브 단자대가 설치되고 전면 일측에 회동고정구가 구성된 설치대를 볼트를 통해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체결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면에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되는 설치판이 결합되되, 후면 일측에 회동핀부재가 설치된 계량기함체를 상기 회동고정구에 상기 회동핀부재를 끼움 결합시켜 상기 설치대에 계량기함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량기함설비공정; 및
    상기 설치대에서 계량기함체를 회동시켜 열고 상기 설치대의 전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따라 설치되는 메인 간선을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단자대에 분기 연결된 메인 간선을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된 계량기 및 차단기의 1차측과 결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연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의 설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돌출되는 설치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설치편에 각각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한쌍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단에서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 중 내측에 위치한 절곡판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전면에 상기 슬리브 단자대를 상기 전면판보다 후측으로 요입 수용되게 장착시키는 장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계량기함체의 후면판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되, 양측 상하단부에 수나사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설치판에는 중앙부분 상하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단자대가 노출되는 개구공이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상기 수나사부가 끼워진 다음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상기 설치판이 계량기함체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의 설치방법.
KR1020180045204A 2018-04-18 2018-04-18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10197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04A KR101978498B1 (ko) 2018-04-18 2018-04-18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04A KR101978498B1 (ko) 2018-04-18 2018-04-18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498B1 true KR101978498B1 (ko) 2019-08-28

Family

ID=6777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204A KR101978498B1 (ko) 2018-04-18 2018-04-18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0416A (zh) * 2022-12-28 2023-04-18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供电服务中心 一种高寒地区电表固定安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381303A (zh) * 2023-04-27 2023-07-04 深圳市先行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电能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79Y1 (ko) * 2006-10-25 2008-03-26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부피 축소형 계량기 함체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101375798B1 (ko) * 2013-12-11 2014-03-1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101427406B1 (ko) * 2014-04-15 2014-08-0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20170063106A (ko) * 2015-11-30 2017-06-08 윤명관 회전국솥의 덮개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79Y1 (ko) * 2006-10-25 2008-03-26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부피 축소형 계량기 함체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101375798B1 (ko) * 2013-12-11 2014-03-1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101427406B1 (ko) * 2014-04-15 2014-08-0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20170063106A (ko) * 2015-11-30 2017-06-08 윤명관 회전국솥의 덮개 힌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0416A (zh) * 2022-12-28 2023-04-18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供电服务中心 一种高寒地区电表固定安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381303A (zh) * 2023-04-27 2023-07-04 深圳市先行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电能表
CN116381303B (zh) * 2023-04-27 2024-02-23 深圳市先行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电能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498B1 (ko)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US782978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KR101456680B1 (ko)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US20130045624A1 (en) Pre-wired electrical device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1375798B1 (ko)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US6414240B1 (en) Generator transfer switch having a compartment with exposed wire leads for interconnection with a power input
KR1019858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지지구
JP4835777B1 (ja) 充電スタンド
WO2013043530A1 (en) Swing out mount
GB2448422A (en) A wall mountable box and a method for securing a wall mountable box recessed in a wall
KR10096807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 배전 박스 구조
JP5747405B2 (ja) 分電盤
KR100814721B1 (ko)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0660133B1 (ko) 벽면에 설치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 보호덕트
KR20090095324A (ko) 방폭형 배전함
US20030054680A1 (en) Assemly for an outlet
KR101004046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WO2001061815A1 (en) Assembly for an outlet
KR102139800B1 (ko) 건축물용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함
JP3131308B2 (ja) アンテナ線引込み用の配線器具
KR102398983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 방향 조절 콘센트
CN220604517U (zh) 一种开关底盒
TR201702939U5 (tr) Di̇key yüzeylere di̇afon türü ci̇haz montaji i̇çi̇n kark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