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32B1 -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32B1
KR102104832B1 KR1020190155116A KR20190155116A KR102104832B1 KR 102104832 B1 KR102104832 B1 KR 102104832B1 KR 1020190155116 A KR1020190155116 A KR 1020190155116A KR 20190155116 A KR20190155116 A KR 20190155116A KR 102104832 B1 KR102104832 B1 KR 10210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cable tray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15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하여 벽체를 따라 각종 케이블의 배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건축물의 수직벽체에 설치되어, 설치패널과 렁부재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돌출된 전면, 좌측면,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몸체로 구성되어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직벽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과, 상기 수직패널의 일측에 탈착 결합되어 설치패널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고리 형상의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구로 구성된 트레이지지구와,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장형의 연결공이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에는 하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지지구의 상부에 놓이는 설치패널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하여 벽체를 따라 각종 케이블의 배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란,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패널과, 상기 설치패널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렁부재의 상부로는 각종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는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 주택 단지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개는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 공간에 각종 케이블이 많이 사용됨으로, 이러한 주거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예로, 각종 케이블의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로 각종 케이블의 배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건축물의 형태나 각종 케이블의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케이블을 고정 시킬 수 있는 구정구나, 이와 유사한 다양한 구성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배선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의 케이블 트레이와 같이, 천정에 설치되는 행거의 하단으로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도록 하여 각종 케이블의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구성들은 건축물의 내, 외벽에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 평평한 형상을 이루는 벽체의 일면에는 설치를 이룰 수 있으나, 벽체의 굴곡진 부위나 모서리 부위에는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로 배선되는 각종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2003-00960(2003.01.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내, 외벽으로 각종 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직패널, 트레이지지구, 지지패널의 간단한 결합 구조만으로도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와 고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몸체의 구성을 통하여 마주보게 위치된 벽체의 일면은 물론이고, 벽체의 모서리 부위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중 손상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확보함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재설치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수평지지구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가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수직벽체에 설치되어, 설치패널과 렁부재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돌출된 전면, 좌측면,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몸체로 구성되어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직벽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과, 상기 수직패널의 일측에 탈착 결합되어 설치패널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고리 형상의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구로 구성된 트레이지지구와,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장형의 연결공이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에는 하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지지구의 상부에 놓이는 설치패널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렁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체와 연결되는 천정벽체에는 수평지지구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구는 상기 천정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수직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단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내공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안내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수평구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안내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과 연결공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연결공에 결합되는 연결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탄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구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내, 외벽으로 각종 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직패널, 트레이지지구, 지지패널의 간단한 결합 구조만으로도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와 고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셋째,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몸체의 구성을 통하여 마주보게 위치된 벽체의 일면은 물론이고, 벽체의 모서리 부위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를 이룰 수 있다.
넷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중 손상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확보함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재설치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수평지지구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가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의 다른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다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수직벽체(1)에 설치되어, 설치패널(3a)과 렁부재(3b)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3)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된 밀착판(11)과, 상기 밀착판(1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고, 돌출된 전면, 좌측면,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12b)이 형성된 연결몸체(12)로 구성되어 케이블 트레이(3)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직벽체(1)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10)과, 상기 수직패널(10)의 일측에 탈착 결합되어 설치패널(3a)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삽입공(12b)에 삽입되며 단부에는 걸림돌기(21a)가 구비된 고리 형상의 걸림구(21)와, 상기 걸림구(2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구(22)와, 상기 지지구(22)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구(23)로 구성된 트레이지지구(20)와, 상기 결합공(12a)과 대응되는 장형의 연결공(31)이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에는 하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2)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지지구(20)의 상부에 놓이는 설치패널(3a)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지지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3)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케이블(4)을 배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패널(3a) 사이로 렁부재(3b)가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렁부재(3b)의 상부로 케이블(4)이 배선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3)의 기능 및 구성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패널(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4)을 배선하기 위한 위치 즉, 건축물의 수직벽체(1)에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패널(10)은 수직벽체(1)에 설치되는 밀착판(11)과, 상기 밀착판(11)의 전면에 구비되는 연결몸체(12)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판(11)은 수직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체결공(11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1a)에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수직벽체(1)의 일측에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11)은 마주보게 위치되는 수직벽체(1)에 한 쌍의 밀착판(11)이 동일 수평 선상을 이루도록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12)는 상기 수직벽체(1)에 설치된 연결몸체(12)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는 볼트(P)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공(12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돌출이 이루어지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12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연결몸체(12)의 결합공(1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지지패널(30)이 연결몸체(12)의 상부에 결합 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공(12b)으로는 케이블 트레이(3)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지지구(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패널(10)을 이루는 밀착판(11)과 연결몸체(12)는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하여 상기 수직벽체(1)에 수직패널(10)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 의하여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지지구(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패널(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 트레이(3)를 이루는 설치패널(3a)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수직패널(10)은 상기 연결몸체(12)의 삽입공(12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는 걸림돌기(21a)가 구비된 걸림구(21)와, 상기 걸림구(2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구(22)와, 상기 지지구(22)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구(23)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구(2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몸체(12)의 삽입공(12b)에 삽입된 후, 단부에 구비된 걸림돌기(21a)가 삽입공(12b)의 내측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삽입공(12b)에 걸림구(21)를 삽입하는 경우, 트레이지지구(20)의 하중에 의하여 걸림구(21)가 삽입공(12b)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구(21)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돌기(21a)가 삽입공(12b)의 내측부에 걸려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22)는 상기 삽입공(12b)과 걸림구(21)가 결합을 이룰 시, 연결몸체(12)의 일면에 밀착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삽입공(12b)과 걸림구(21)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구(23)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구(22)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로 케이블 트레이(3)의 설치패널(3a)이 안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몸체(12)의 삽입공(12b)에 걸림구(21)가 견고하게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22)의 일면과 수평구(23)의 상면으로 설치패널(3a)의 일면과 하면이 밀착되게 결합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30)은 상기 연결몸체(12)의 결합공(12a)과 대응되는 장형의 연결공(31)이 길이 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31)과 대향되는 단부에는 하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밀착돌기(32)가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공(1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지지구(20)의 상부에 놓이는 설치패널(3a)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지지구(20)를 이루는 지지구(22)의 일면과 수평구(23)의 상면으로 설치패널(3a)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지지패널(30)의 연결공(31)이 상기 연결몸체(12)의 결합공(12a)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위치시켜 상기 연결공(31)에 체결되는 볼트(P)가 결합공(12a)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몸체(12)의 상부로 지지패널(30)이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지지패널(30)의 밀착돌기(32)가 설치패널(3a)의 상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지지구(22)의 일면과 수평구(23)의 상면에 밀착되게 위치된 설치패널(3a)이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트레이지지구(20)의 상부에 놓이는 설치패널(3a)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설치패널(3a)을 연결하는 렁부재(3b)의 상부로 각종 케이블(4)이 배선되는 경우에도 설치패널(3a)과 렁부재(3b)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케이블(4)의 배선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패널(10)을 수직벽체(1)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벽체(1)에 수직패널(10)을 설치한 후, 상기 수직패널(10)을 이루는 연결몸체(1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2b)으로 트레이지지구(20)를 연결 구성하여, 수직벽체(1)의 모서리 부위로, 상기 수직패널(10), 트레이지지구(20), 지지패널(30)을 설치하여 케이블 트레이(3)의 설치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렁부재(3b)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3b-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직벽체(1)와 연결되는 천정벽체(2)에는 수평지지구(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구(40)는 상기 수직벽체(1)와 연결되는 천정벽체(2)에 설치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수직패널(10), 트레이지지구(20), 지지패널(30)과, 위 구성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3)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지지구(40)는 상기 천정벽체(2)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수직공(41a)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42)와, 상기 지지바(42)의 하단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내공(43a)이 형성된 연결판(43)과, 상기 안내공(4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볼트(44)와, 상기 수평구(23)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안내공(43a)과 대응되는 연결공(45a)이 형성된 지지판(45)과, 상기 조절볼트(44)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3b-1)과 연결공(45a)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와이어(46)와, 상기 연결공(45a)에 결합되는 연결와이어(46)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45)에 스프링(48)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탄성판(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판(41)은 상기 천정벽체(2)의 하단에 상기 수직공(41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바(42)는 상기 고정판(41)과 연결판(43)을 연결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43)은 상기 지지바(42)를 통하여 고정판(41)의 하단에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구비된 복수개의 안내공(43a)으로 조절볼트(44)의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볼트(44)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내공(43a)에 체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을 이루는 것이며, 단부에는 연결와이어(46)가 연결 구성되어 상기 조절볼트(44)의 체결 상태 조절에 따라 연결와이어(46)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45)은 상기 트레이지지구(20)의 수평구(23)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연결공(45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볼트(44)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와이어(46)가 상기 렁부재(3b)의 관통공(3b-1)과 지지판(45)의 연결공(45a)을 관통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관통공(3b-1)과 연결공(45a)을 관통한 연결와이어(46)의 단부에는 탄성판(47)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와이어(46)와 탄성판(47)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45)과 탄성판(47)의 사이로 스프링(48)이 위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판(43)의 안내공(43a)에 체결되는 조절볼트(44)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조절볼트(44)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와이어(46)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와이어(46)에 연결된 탄성판(47)의 이동에 따라 지지판(45)이 이동되어 트레이지지구(20)의 하단을 상기 지지판(45)이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트레이지지구(20)가 케이블 트레이(3)의 하중으로 인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구(23)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삽입홈(23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45)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홈(23a)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45b)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트레이지지구(20)의 하단을 상기 지지판(45)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케이블 트레이(3)의 하중으로 인하여 트레이지지구(2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내, 외벽으로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루며 사용할 수 있고, 수직패널이 설치되는 수직벽체의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수직벽체 2: 천정벽체
3: 케이블 트레이 3a: 설치패널
3b: 렁부재 3b-1: 관통공
10: 수직패널 11: 밀착판
11a: 체결공 12: 연결몸체
12a: 결합공 12b: 삽입공
20: 트레이지지구 21: 걸림구
21a: 걸림돌기 22: 지지구
23: 수평구 23a: 삽입홈
40: 수평지지구 41: 고정판
41a: 수직공 42: 지지바
43: 연결판 43a: 안내공
44: 조절볼트 45: 지지판
45a: 연결공 45b: 삽입돌기
46: 연결와이어 47: 탄성판
48: 스프링 P: 볼트

Claims (3)

  1. 건축물의 수직벽체(1)에 설치되어, 설치패널(3a)과 렁부재(3b)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3)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된 밀착판(11)과, 상기 밀착판(1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고, 돌출된 전면, 좌측면,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12b)이 형성된 연결몸체(12)로 구성되어 케이블 트레이(3)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직벽체(1)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10)과,
    상기 수직패널(10)의 일측에 탈착 결합되어 설치패널(3a)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삽입공(12b)에 삽입되며 단부에는 걸림돌기(21a)가 구비된 고리 형상의 걸림구(21)와, 상기 걸림구(2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구(22)와, 상기 지지구(22)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구(23)로 구성된 트레이지지구(20)와,
    상기 결합공(12a)과 대응되는 장형의 연결공(31)이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에는 하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착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지지구(20)의 상부에 놓이는 설치패널(3a)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지지패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렁부재(3b)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3b-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체(1)와 연결되는 천정벽체(2)에는 수평지지구(40)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구(40)는
    상기 천정벽체(2)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수직공(41a)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42)와,
    상기 지지바(42)의 하단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내공(43a)이 형성된 연결판(43)과,
    상기 안내공(4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볼트(44)와,
    상기 수평구(23)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안내공(43a)과 대응되는 연결공(45a)이 형성된 지지판(45)과,
    상기 조절볼트(44)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3b-1)과 연결공(45a)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와이어(46)와,
    상기 연결공(45a)에 결합되는 연결와이어(46)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45)에 스프링(48)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탄성판(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23)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삽입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45)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홈(23a)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45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0190155116A 2019-11-28 2019-11-28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0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16A KR102104832B1 (ko) 2019-11-28 2019-11-28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16A KR102104832B1 (ko) 2019-11-28 2019-11-28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832B1 true KR102104832B1 (ko) 2020-05-29

Family

ID=7091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116A KR102104832B1 (ko) 2019-11-28 2019-11-28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89B1 (ko) * 2020-06-10 2021-01-12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225875B1 (ko) *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273242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KR102288018B1 (ko) * 2020-12-03 2021-08-1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404307B1 (ko) * 2021-07-13 2022-06-07 배인영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33B1 (ko) * 2006-10-04 2007-01-12 (주)수양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케이블 지지 트레이
KR101053030B1 (ko) * 2011-04-05 2011-08-01 한인택 적층이 가능한 배전 케이블 행거 구조
KR101499023B1 (ko) * 2015-02-03 2015-03-05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1983634B1 (ko) * 2019-03-25 2019-05-29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 배선 트레이
KR101985204B1 (ko) * 2019-01-07 2019-06-03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87085B1 (ko) * 2019-02-01 2019-06-10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93607B1 (ko) * 2019-02-01 2019-06-27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케이블 트레이 안전장치
KR102015853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20266B1 (ko) * 2019-06-21 2019-09-10 이경미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33B1 (ko) * 2006-10-04 2007-01-12 (주)수양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케이블 지지 트레이
KR101053030B1 (ko) * 2011-04-05 2011-08-01 한인택 적층이 가능한 배전 케이블 행거 구조
KR101499023B1 (ko) * 2015-02-03 2015-03-05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1985204B1 (ko) * 2019-01-07 2019-06-03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87085B1 (ko) * 2019-02-01 2019-06-10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93607B1 (ko) * 2019-02-01 2019-06-27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케이블 트레이 안전장치
KR102015853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83634B1 (ko) * 2019-03-25 2019-05-29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 배선 트레이
KR102020266B1 (ko) * 2019-06-21 2019-09-10 이경미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89B1 (ko) * 2020-06-10 2021-01-12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225875B1 (ko) *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273242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KR102288018B1 (ko) * 2020-12-03 2021-08-1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404307B1 (ko) * 2021-07-13 2022-06-07 배인영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01585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59105B1 (ko) 건축물의 외부 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01822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RU2543015C2 (ru) Сейсмоустойчивый зажим
US11447945B2 (en) Panel system and support member for use with the same
US8297579B1 (en) Electrical box hanger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102249951B1 (ko)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20220020186A (ko) 무타공식 벽걸이 tv 거치장치
KR100982474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465727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00066539A (ko) 서스펜션 장치
KR20170078233A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2083191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A2939876A1 (en) Floor box assembly with retainer
KR20180079691A (ko)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US3212741A (en) Mounting devices for busway
KR102011794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KR20180095761A (ko) 클립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장치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KR102404337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