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27B1 -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27B1
KR101465727B1 KR1020130134266A KR20130134266A KR101465727B1 KR 101465727 B1 KR101465727 B1 KR 101465727B1 KR 1020130134266 A KR1020130134266 A KR 1020130134266A KR 20130134266 A KR20130134266 A KR 20130134266A KR 101465727 B1 KR101465727 B1 KR 10146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rails
hook
fixing
cable tr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인
Priority to KR102013013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9Temporary rivets, e.g. with a spring-loaded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 등에서 케이블을 안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트레이를 볼트나 기타 고정수단 없으며 상하 방향성 없이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구가 임의로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웃하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의 사이드레일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을 통해서 상호 연결구성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이드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며 결합구멍에 내입되는 고리가 형성된 고정연결부재와;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고정축이 돌출 형성된 하부고정부재와;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형성되고 하부고정부재에 겹쳐지도록 단이진 결합편이 형성되며, 결합편에는 상기 고정축이 끼워지는 고정구멍을 형성한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고정축에 축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Cable tray connector}
본 발명은 산업현장 등에서 케이블을 안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트레이를 볼트나 기타 고정수단이 없으며 상하 방향성 없이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구가 임의로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산업현장 등에서 케이블을 안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케이블 트레이는 양측 사이드레일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 해서 수직하중에 의해 사이드레일의 연결부분이 벌어지면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을 함께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경우 사이드레일의 바깥면에 연결판을 덧대고, 사이드레일과 연결판에 고정구멍을 천공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는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케이블 트레이의 경우 주로 건물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는 구성으로 고소에서 많은 수의 볼트 너트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트와 너트를 조립하는 작업 없이 사이드레일을 결합하는 구성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816296호(2008.03.24.)의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및 10-0993138호(2010.10.09.)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등이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사이드레일의 내측으로 연결부재를 덧대고, 연결부재에 형성된 고리돌기부가 사이드레일에 형성된 천공부를 통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사이드레일의 외부에서 고정부재의 돌기부를 고리돌기부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케이블트레이 연결구조의 경우 볼트와 너트 체결 없이 사이드레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작업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고정부재를 반드시 위쪽(천장 쪽)에서 내리 꽂아야 하는 구성으로, 특히 케이블트레이와 천장간 간격이 협소한 지역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부재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 산업현장에서의 기계진동 등에 의해 고리돌기부에서 고정부재의 돌기부가 분리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KR 100816296 B1 2008.03.24. KR 100993138 B1 2010.10.09.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케이블 트레이 연결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트레이를 볼트나 기타 고정수단 없으며 상하 방향성 없이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구가 임의로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의 사이드레일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을 통해서 상호 연결구성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이드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며 결합구멍에 내입되는 고리가 형성된 고정연결부재와;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고정축이 돌출 형성된 하부고정부재와;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형성되고 하부고정부재에 겹쳐지도록 단이진 결합편이 형성되며, 결합편에는 상기 고정축이 끼워지는 고정구멍을 형성한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고정축에 축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의 사이드레일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을 통해서 상호 연결구성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이드레일 내부에 위치하며 결합구멍에 내입되는 고리가 형성된 고정연결부재와;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고정연결부재에 형성된 고리에 결합되는 훅이 형성된 훅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훅어셈블리는 2개의 사이드레일에 각각 결합되도록,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는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하우징의 하측으로 결합되어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하부에 구비된 하부훅부재와; 상기 스프링하우징에 내입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승강부재 및 승강부재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상부에 구비된 상부훅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의 사이드레일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을 통해서 상호 연결구성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이드레일 내부에 위치하며 결합구멍에 내입되는 고리가 형성된 고정연결부재와;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고정연결부재에 형성된 고리에 결합되는 훅이 형성된 훅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훅어셈블리는 2개의 사이드레일에 함께 결합되도록, 사이드레일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는 덮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2개 또는 3개의 스프링하우징들과; 상기 스프링하우징들의 하측이 함께 결합되며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하부에 구비된 하부훅부재와; 상기 스프링하우징들에 내입된 스프링들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승강부재들 및 승강부재들의 상측이 함께 결합되며 사이드레일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에 끼워지는 훅이 상부에 구비된 상부훅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이드레일을 볼트나 기타 고정수단 없이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이드레일의 상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고리에 서로 반대방향에서 훅이 끼워지는 구성이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고리에서 훅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례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부훅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승강부재가 스프링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성이므로 탈착시 상부훅부재를 단순히 가압하는 수고로움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로서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례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로서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런(rung;3)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철판을 ㄷ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사이드레일(4)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2)로 구성하고, 이들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2)의 사이드레일(4)을 이웃하는 사이드레일(4')과 연결장치(10)로 상호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0)의 제1실시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4)(4')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연결부재(11)와, 사이드레일(4)(4')의 외부에 위치하는 하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3)로 대분된다.
상기 고정연결부재(11)는 ㄷ으로 절곡 구성되는 사이드레일(4)(4')의 내부에 위치되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사이드레일(4)(4')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41)(41')에 내입되도록 고리(111)가 프레싱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레일(4)(4')의 단부에는 상하 2개씩 4개의 결합구멍(41)(41')이 형성되므로 고정연결부재(11)에는 양측 사이드레일(4)(4')의 결합구멍(41)(41')에 조립될 수 있도록 총 8개의 고리(111)가 형성된 예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3)는 사이드레일(4)(4')의 바깥쪽에서 고정연결부재(11)의 고리(111)에 결합되는 부재들이다.
하부고정부재(12)는 개략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고리(111)에 끼워지는 4개의 훅(12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고정부재(12)의 중간 부분에는 훅(121)과 직각으로 돌출되도록 고정축(14)을 결합한다.
상부고정부재(13)는 아래쪽으로 하부고정부재(12)에 겹쳐지도록 단이진 결합편(131)이 형성되도록 개략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윗쪽으로 고리(111)에 끼워지는 4개의 훅(1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고정부재(13)의 아래쪽 결합편(131) 쪽에는 상기 고정축(14)이 결합되는 장타원의 고정구멍(133)을 형성하며, 고정구멍(133)의 양측으로는 후술할 고정핀(15)을 지지하는 핀지지편(13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부재(12)에 결합된 고정축(14)에는 상부고정부재(13)를 결합상태로 고정하도록 축직각방향으로 핀조립공(141)을 형성하고 이에 고정핀(15)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조립은 먼저 이웃하는 2개의 사이드레일(4)(4') 단부가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연결부재(11)에 형성되는 고리(111)가 사이드레일(4)(4')에 형성된 결합구멍(41)(41')에 내입되도록 사이드레일(4)(4') 내측에서 결합하여 고리(111)가 사이드레일(4)(4')의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연결부재(11)의 고리(111)가 사이드레일(4)(4')에 형성된 결합구멍(41)(41')을 통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먼저 하부고정부재(12)에 형성된 훅(121)을 고리(111)에 끼우고, 다음으로 하부고정부재(1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축(14)에 상부고정부재(13)의 고정구멍(133)이 결합되도록 상부고정부재(13)에 형성된 훅(132)을 고리(111)에 끼운 후 고정축(14)에 고정핀(15)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를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조립할 경우 하부고정부재(12)와 상부고정부재(13)에 형성되어 있는 훅(121)(13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리(111)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 방향성 없이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의 제2실시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4)(4')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연결부재(11)와, 사이드레일(4)(4')의 외부에 위치하는 훅어셈블리(16)로 대분된다.
상기 고정연결부재(11)는 제1실시례와 같이 ㄷ으로 절곡 구성되는 사이드레일(4)(4')의 내부에 위치되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사이드레일(4)(4')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41)(41')에 내입되도록 고리(111)가 프레싱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 훅어셈블리(16)는 스프링하우징(17)과, 스프링하우징(17)의 하측 결합되는 하부훅부재(18)와, 스프링하우징(17)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상부훅부재(19)로 구성되며, 양측 사이드레일(4)(4')에 각각 결합되도록 독립되게 구성한다.
스프링하우징(17)은 사이드레일(4)(4')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스프링내장공간(171)을 형성하여 스프링(172)을 내장하고, 개구된 전방에는 덮개(173)를 씌우며, 스프링하우징(17)과 덮개(173)의 양측으로는 고정편(17a)(173a)을 돌출형성하고, 이들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볼트(174)를 조립하여 덮개(173)를 고정토록 한다.
하부훅부재(18)는 스프링하우징(17)의 아래쪽 후방에 고정되며, 아래쪽으로 2개의 훅(181)을 형성한다.
상부훅부재(19)는 스프링하우징(17)의 상부에 배치되며, 위쪽으로 2개의 훅(191)을 형성한다. 상부훅부재(19)의 아래쪽으로는 승강부재(192)가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재(192)는 스프링하우징(17)에 형성된 작동공(17b)을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편(192a)과, 스프링하우징(17)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프링(172)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지지판(192b)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의 제3실시례는 상기 제2실시례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훅어셈블리(20)의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즉, 본 발명 제3실시례에서의 훅어셈블리(20)는 2개의 사이드레일(4)(4')에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사이드레일(4)(4')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스프링(172)이 내장되는 2개 또는 3개의 스프링하우징(17)들을 덮개(173)를 이용하여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며, 또한 스프링하우징(17)들을 하부훅부재(18)에 함께 결합하며, 상기 스프링하우징(17)들에 내입된 스프링(172)들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승강부재(192)들을 상부훅부재(19)에 함께 결합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3실시례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를 설치코자 할 시에는 먼저 이웃하는 2개의 사이드레일(4)(4') 단부가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연결부재(11)에 형성되는 고리(111)가 사이드레일(4)(4')에 형성된 결합구멍(41)(41')에 내입되도록 사이드레일(4)(4') 내측에서 결합하여 고리(111)가 사이드레일(4)(4')의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연결부재(11)의 고리(111)가 사이드레일(4)(4')에 형성된 결합구멍(41)(41')을 통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먼저 하부훅부재(18)에 형성된 훅(181)을 고리(111)에 끼우고, 다음으로 상부훅부재(19)를 손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부훅부재(19)에 결합되어 있는 훅(191)은 고리(111) 하측에 위치하며, 승강부재(192)는 스프링하우징(17) 내부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72)을 가압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승강부재(192)와 함께 상부훅부재(19)가 상승하면서 훅(191)이 고리(111)에 끼워지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2:케이블 트레이 단위체
3:런(rung) 4,4':사이드레일
41,41':결합구멍 10:연결장치
11:고정연결부재 111:고리
12:하부고정부재 121:훅
13:상부고정부재 14:고정축
131:결합편 132:훅
133:고정구멍 15:고정핀
16:훅어셈블리 17:스프링하우징
17a,173a:고정편 171:스프링내장공간
172:스프링 173:덮개
18:하부훅부재 181:훅
19:상부훅부재 191:훅
192:승강부재 192a:승강편
192b:스프링지지판

Claims (3)

  1. 사이드레일(4)(4')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연결부재(11)에 형성된 고리(111)를 사이드레일(4)(4')에 형성한 결합구멍(41)(41')에 내입한 상태에서 사이드레일(4)(4') 외부로 위치하는 고정부재에 형성된 훅(121)(131)을 사이드레일(4)(4') 외부로 노출된 고리(111)에 끼워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웃하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2)의 사이드레일(4)(4') 상호 연결구성하는 연결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고정부재(12)와 상부고정부재(13)로 구성하며;
    상기 하부고정부재(12)에는 훅(121)과 직각으로 고정축(14)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13)에는 하부고정부재(12)에 겹쳐지도록 단이진 결합편(131)을 형성하고, 결합편(131)에는 상기 고정축(14)이 끼워지는 고정구멍(133)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멍(133)으로 끼워져 노출된 고정축(14)에는 축직각방향으로 고정핀(15)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2. 이웃하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2)의 사이드레일(4)(4')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41)(41')을 통해서 상호 연결구성하는 연결장치(10)에 있어서;
    사이드레일(4)(4') 내부에 위치하며 결합구멍(41)(41')에 내입되는 고리(111)가 형성된 고정연결부재(11)와;
    사이드레일(4)(4') 외부에 위치하며 고정연결부재(11)에 형성된 고리(111)에 결합되는 훅(181)(191)이 형성된 훅어셈블리(16)를 포함하되;
    상기 훅어셈블리(16)는 양측 사이드레일(4)(4')에 각각 결합되도록, 사이드레일(4)(4')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스프링(172)이 내장되는 스프링하우징(17)과;
    상기 스프링하우징(17)의 하측으로 결합되어 사이드레일(4)(4')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111)에 끼워지는 훅(181)이 하부에 구비된 하부훅부재(18)와;
    상기 스프링하우징(17)에 내입된 스프링(172)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승강부재(192) 및 승강부재(192)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사이드레일(4)(50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111)에 끼워지는 훅(191)이 상부에 구비된 상부훅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3. 이웃하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2)의 사이드레일(4)(4')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41)(41')을 통해서 상호 연결구성하는 연결장치(10)에 있어서;
    사이드레일(4)(4') 내부에 위치하며 결합구멍(41)(41')에 내입되는 고리(111)가 형성된 고정연결부재(11)와;
    사이드레일(4)(4') 외부에 위치하며 고정연결부재(11)에 형성된 고리(111)에 결합되는 훅(181)(191)이 형성된 훅어셈블리(20)를 포함하되;
    상기 훅어셈블리(20)는 2개의 사이드레일(4)(4')에 함께 결합되도록, 사이드레일(4)(4')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스프링(172)이 내장되는 덮개(17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2개 또는 3개의 스프링하우징(17)들과;
    상기 스프링하우징(17)들 하측이 함께 결합되며 사이드레일(4)(4')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111)에 끼워지는 훅(181)이 하부에 구비된 하부훅부재(18)와;
    상기 스프링하우징(17)들에 내입된 스프링(172)들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승강부재(192)들 및 승강부재(192)들의 상측이 함께 결합되며 사이드레일(4)(4')의 외부로 노출된 고리(111)에 끼워지는 훅(191)이 상부에 구비된 상부훅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20130134266A 2013-11-06 2013-11-06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46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66A KR101465727B1 (ko) 2013-11-06 2013-11-06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66A KR101465727B1 (ko) 2013-11-06 2013-11-06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727B1 true KR101465727B1 (ko) 2014-12-01

Family

ID=5267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266A KR101465727B1 (ko) 2013-11-06 2013-11-06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891B1 (ko) * 2018-05-31 2018-10-24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20190000181U (ko) 2017-07-11 2019-01-21 손지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101973031B1 (ko) * 2018-08-17 2019-04-2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32239B1 (ko) * 2020-09-11 2021-03-26 ㈜석영엔터프라이즈 내진성이 향상된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230053784A (ko) * 2021-10-14 2023-04-24 최국현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38B1 (ko) *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286664B1 (ko) * 2013-02-15 2013-07-16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38B1 (ko) *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286664B1 (ko) * 2013-02-15 2013-07-16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81U (ko) 2017-07-11 2019-01-21 손지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101910891B1 (ko) * 2018-05-31 2018-10-24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1973031B1 (ko) * 2018-08-17 2019-04-2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32239B1 (ko) * 2020-09-11 2021-03-26 ㈜석영엔터프라이즈 내진성이 향상된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230053784A (ko) * 2021-10-14 2023-04-24 최국현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KR102648266B1 (ko) * 2021-10-14 2024-03-15 최국현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27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2159105B1 (ko) 건축물의 외부 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2101825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JP2014122544A (ja) ソーラーモジュールを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けシステム
KR101767563B1 (ko)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20180108444A (ko) 전자 장치를 지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0816295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44983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44055B1 (ko)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0641814B1 (ko)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20170126229A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KR101783661B1 (ko) 대각형 제품 조립용 고정 플레이트
KR200465966Y1 (ko) 케이블트레이의 연결장치
JP6738199B2 (ja) パネル連結構造
US20120036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Objects on and Above a Ceiling with Unattached Ceiling Panels and Ceiling Beams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101136755B1 (ko)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JP6522415B2 (ja) 分離型のled照明器具の接続構造
KR200490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102043013B1 (ko) 레이스 웨이 설치용 조명기구의 탄성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