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266B1 -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266B1
KR102648266B1 KR1020210136797A KR20210136797A KR102648266B1 KR 102648266 B1 KR102648266 B1 KR 102648266B1 KR 1020210136797 A KR1020210136797 A KR 1020210136797A KR 20210136797 A KR20210136797 A KR 20210136797A KR 102648266 B1 KR102648266 B1 KR 10264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frame
moving body
targe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784A (ko
Inventor
최국현
Original Assignee
최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국현 filed Critical 최국현
Priority to KR102021013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2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2Land-based targets, e.g. inflatable targets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41J1/10Target stands; Target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이동경로가 마련된 레일 프레임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에 설치되며, 사격용 표적지가 세팅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바디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과, 상기 이동바디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바디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은 이탈방지유닛을 통해 표적지가 세팅된 이동바디가 레일 프레임에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다양하게 이동방향이 전환되도록 레일 프레임을 세팅할 수 있고, 레일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해당 단위부재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표적지의 이동경로를 변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Rail type target driving system}
본 발명은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표적지를 이동시킬 수 있를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연습장에는 표적판이 부착된 표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수는 표적판의 과녁을 조준하여 격발한 후 표적판에 부착된 충격센서의 동작에 의해 표적판이 젖혀지도록 하여 사격 훈련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측정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사격연습장에는 거리별(100m, 200m, 250m 등)로 다양한 크기의 표적판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발된 탄환이 표적판을 관통하는 경우 표적판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사격연습장에는 해당 표적판을 설정된 경로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레일을 따라 표적판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수단은 연습장 내 기설치된 레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어 방향 전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당 레일이 연습장 내에 고정되어 있어 표적판의 이동경로를 변경하는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981호: 비비탄용 표적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탈방지유닛을 통해 표적지가 세팅된 이동바디가 레일 프레임의 이동경로를 따라 보다 다양하게 이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은 소정의 이동경로가 마련된 레일 프레임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에 설치되며, 사격용 표적지가 세팅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바디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과, 상기 이동바디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바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레일 프레임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바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외주면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파지롤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롤러 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부분이 인입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롤러 부재는 상기 이동바디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이동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주면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인입슬롯이 마련된 롤러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레일 프레임에 따라 상기 파지롤러 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바디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각각 상기 레일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파지롤러 부재의 지지축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가이드 로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호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부재와, 상기 단위부재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부재들이 결합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레일과,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부재들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위부재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단위부재는 내부에, 상기 구속유닛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각각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호 인접된 상기 단위부재들의 내부공간에 인입되는 것으로서,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인접된 상기 단위부재들의 구속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각각 복수의 구속돌기가 마련된 제1 및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격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은 이탈방지유닛을 통해 표적지가 세팅된 이동바디가 레일 프레임에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다양하게 이동방향이 전환되도록 레일 프레임을 세팅할 수 있고, 레일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해당 단위부재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표적지의 이동경로를 변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의 레일 프레임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일 프레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에 마련된 표적지 고정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표적지 고정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표적지 고정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표적지 고정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10)은 소정의 이동경로가 마련된 레일 프레임(20)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사격용 표적지가 세팅되는 이동바디(30)와, 상기 이동바디(30)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바다기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레일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40)과, 상기 이동바디(30)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바디 구동부(50)를 구비한다.
레일 프레임(20)은 상호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부재(21)와, 상기 단위부재(21)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부재(21)들이 결합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레일(22)과,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부재(21)들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위부재(21)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유닛(230)을 구비한다.
상기 단위부재(21)는 소정길이 연장되는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부공간(24)이 형성된다. 이때, 단위부재(21)는 구속유닛(23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단부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단위부재(21)는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각각 구속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속홈(25)은 단위부재(21)의 전후단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구속홈(25)들은 각 단위부재(21)의 상면 및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위부재(21)는 일측에, 내부공간(24)에 인입된 구속유닛(230)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조작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구(26)는 단위부재(21)의 전후단부 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조작구(26)는 단위부재(21)들이 상호 결합시 인접된 단위부재(21)의 조작구(26)와 연통될 수 있도록 단위부재(21)의 전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선 단위부재(21)가 직선형으로 연장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단위부재(2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만곡되거나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단위부재(21)들은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레일(22)은 각 단위부재(21)의 상면에 설치되며, 설치된 단위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단위레일(22)은 단위부재(21)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바디 구동부(50)의 구동 스포로킷이 치합될 수 있게 다수의 맞물림홈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체인이 적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단위부재(21)들을 상호 결합한 다음, 해당 단위부재(21)들에 마련된 단위레일(22)들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킨다. 상호 연결된 다수의 단위레일(22)은 이동바디(3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구속유닛(230)은 상호 인접된 상기 단위부재(21)들의 내부공간(24)에 인입되는 것으로서,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인접된 상기 단위부재(21)들의 구속홈(2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각각 복수의 구속돌기(236)가 마련된 제1 및 제2플레이트(231,232)와,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231,23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구속플레이트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격 스프링(233)을 구비한다.
제1플레이트(23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단위부재(21)의 내부공간(24)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24)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플레이트(231)의 상면 전후단부에는 단위부재(21)의 구속홈(25)에 인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속돌기(236)가 형성된다. 여기서, 구속돌기(236)는 제1플레이트(231)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복수개가 구속홈(25)들의 좌우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플레이트(231)의 하면 중앙부에는 제2플레이트(232)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보조로드(2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로드(23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제2플레이트(232)를 관통하여 기둥부재(235)에 설치된다. 상기 기둥부재(23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플레이트(231)가 단위부재(21)에 결합될 경우, 단위부재(21)들의 조작구(26)를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위부재(2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한다. 기둥부재(235)의 하단부에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기둥부재(235)를 통해 레일 프레인은 단위부재(21)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둥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로드(234)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기둥부재(235)의 상면에는 해당 보조로드(23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어 기둥부재(235)를 선택적으로 보조로드(234)에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도 있다.
제2플레이트(23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단위부재(21)의 내부공간(24)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24)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232)의 하면 전후단부에는 단위부재(21)의 구속홈(25)에 인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속돌기(236)가 형성된다. 여기서, 구속돌기(236)는 제2플레이트(232)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복수개가 구속홈(25)들의 좌우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레이트(232)는 보조로드(23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관통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는 보조로드(234)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스프링(233)은 제1 및 제2플레이트(231,232) 사이의 보조로드(234)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플레이트(231,232)에 접하도록 세팅된다. 여기서, 이격 스프링(233)은 해당 제1 및 제2플레이트(231,232)들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다. 한편, 이격 스프링(233)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플레이트(231,23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 제공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작업자는 제2플레이트(232)를 제1플레이트(231)에 밀착된 상태로 단위부재(21)들의 내부공간(24)에 해당 구속유닛(230)은 인입한 다음, 상호 인접된 단위부재(21)들의 상측 구속홈(25)들에, 제1플레이트(231)의 구속돌기(236)를 인입시킨 다음, 제1플레이트(231)에 대해 제2플레이트(232)의 밀착 상태를 해제하면 이격 스프링(233)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플레이트(232)는 단위부재(21)들의 하측 내측면에 밀착되고, 제2플레이트(232)의 구속돌기(236)들이 단위부재(21)들의 하측 구속홈(25)에 인입되어 구속유닛(230)이 단위부재(21)들에 결합된다. 해당 구속유닛(230)들에 의해 인접된 단위부재(21)들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위부재(21)들을 분리할 경우, 작업자는 조작구(26)를 통해 제2플레이트(232)를 제1플레이트(231)에 밀착시킨 다음, 제1플레이트(231)의 구속돌기(236)를 단위부재(21)들의 구속홈(25)들로부터 분리시키고, 단위부재(21)들에서 구속유닛(23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동바디(30)는 내부에 바디 구동부(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31)이 마련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된다. 여기서, 이동바디(3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바디(30)는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바디 구동부(50)의 구동 스프로킷(51)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작동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바디(30)가 단위부재(21)의 상측에 세팅시 해당 작동구(32)가 단위레일(22)에 대향되도록 이동바디(30)가 단위부재(21)에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유닛(40)은 상기 레일 프레임(20)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바디(3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외주면이 상기 레일 프레임(20)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파지롤러 부재(41)와, 상기 파지롤러 부재(41)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디(30)에 대해 상기 파지롤러 부재(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42)를 구비한다.
파지롤러 부재(41)는 상기 이동바디(30)에 설치되는 지지축(43)과, 상기 이동바디(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주면이 상기 레일 프레임(20)의 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43)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바디(44)를 구비한다.
지지축(4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이동바디(30)의 설치공간(31)에 인입될 수 있도록 이동바디(30)의 하면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지지축(43)은 이동바디(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축(43)은 상단부에, 이동바디(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바디(30)의 내측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헤드부재(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재(45)는 지지축(43)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돌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바디(44)는 이동바디(30) 외측의 지지축(43)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바디(44)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레일 프레임(20)의 일부분이 인입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슬롯(46)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슬롯(46)은 단위부재(21)의 상하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롤러바디(44)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롤러 부재(41)는 상기 인입슬롯(46)에 단위부재(21)의 측면이 인입되도록 이동부재에 설치된다. 이때, 파지롤러 부재(41)는 단위부재(21)의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단위레일(22)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이동바디(30)에 설치된다. 여기서, 파지롤러 부재(41)는 복수개가 이동바디(30)의 작동구(3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롤러 부재(41)는 다수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42)는 양단이 각각 헤드부재(45) 및 이동바디(30)의 바닥면에 접할 수 있도록 지지축(43)에 설치되며, 압축된 길이만큼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다. 해당 탄성부재(42)는 파지롤러 부재(41)에 설치되어 이동바디(30)에 대해 상기 파지롤러 부재(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이탈방지유닛(40)은 레일 프레임(20)에 따라 파지롤러 부재(41)들의 사이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파지롤러 부재(41)들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47)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로드(47)는 이동바디(30)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로드(47)는 양단부에 각각 레일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파지롤러 부재(41)의 지지축(43)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는 지지축(43)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축(4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삽입구는 가이드 로드(47)가 지지축(43)의 헤드부재(45)에 간섭될 수 있도록 헤드부재(45)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가이드 로드(47)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파지롤러 부재(41)들에 설치되어 해당 파지롤러 부재(41)들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파지롤러 부재(41)들이 해당 단위부재(21)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어 이동바디(30)가 이동방향이 변경되더라도 보다 안정적으로 레일 프레임(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디 구동부(50)는 상기 작동구(32)를 통해 이동바디(30)의 외부로 돌출되어 단위레일(22)에 치합될 수 있도록 이동바디(3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51)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5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피동 스프로킷(52)과, 이동바디(3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53)와, 구동모터(53)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2피동 스프로킷(54)과, 구동모터(53)의 구동력을 구동 스프로킷(51)에 전달하기 위해 제1 및 제2피동 스프로킷(54)에 연결된 전달체인(55)을 구비한다. 구동모터(53)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전달체인(55)을 통해 구동 스프로킷(51)에 전달되고, 구동 스프로킷(51)은 회전하며, 단위레일(22)을 따라 이동바디(30)를 레일 프레임(20)을 따라 이동시킨다. 한편, 바디 구동부(5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된 단위레일(22)을 따라 상기 이동바디(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10)은 이탈방지유닛(40)을 통해 표적지가 세팅된 이동바디(30)가 레일 프레임(20)에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다양하게 이동방향이 전환되도록 레일 프레임(20)을 세팅할 수 있고, 레일 프레임(20)이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부재(21)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해당 단위부재(21)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표적지의 이동경로를 변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10)은 이동바디(30)의 상부에 설치된 표적지 고정 장치를 통해 표적지를 이동바디(30)에 세팅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표적지 고정 장치(100)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표적지 고정 장치(100)는 이동바디(3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암(120)과, 상기 회동 암(120)에 설치되며, 표적지(15)가 분리가능하게 세팅되는 표적 세팅부재(130)와, 상기 표적 세팅부재(130)에 마련되어 상기 표적 세팅부재(130)에 상기 표적지(15)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표적지(15)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140)과, 상기 표적 세팅부재(130)에 세팅된 상기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 여부 또는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 위치를 판별하는 탄착 감지부(150)와, 상기 회동암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마련된 구동부(160)와, 상기 표적지(15)가 상기 본체(110)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탄착 감지부(150)에서 상기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된 것으로 판별될 경우, 해당 표적지(15)가 직립된 상태에서 눕혀질 수 있도록 상기 회동암이 회동되게 상기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구동부(160)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111)이 마련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레일 프레임(2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디(30)와 함께 이동된다.
또한, 본체(110) 상면에는, 표적지(15)에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명램프(1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명램프(115)는 본체(110) 후방 상측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조명램프(115)에 의해 야간 상황에 대한 사격 훈련을 실시 할 수 있다.
회동 암(120)은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축(121)과, 회동축(121)에 연결되어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단위로드(122)와, 상기 제1단위로드(122)의 후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제2단위로드(123)와, 상기 제2단위로드(123)의 상단부에, 본체(110)의 내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된 제3단위로드(124)를 구비한다.
회동축(12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본체(1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회동축(121)은 좌측 단부가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어 제1단위로드(122)에 연결된다. 상기 제1단위로드(122)는 일단이 본체(110) 외부로 돌출된 회동축(121)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어 본체(110)의 좌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2단위로드(123)는 제1단위로드(122)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된다. 제3단위로드(124)는 제2단위로드(123)의 상단부에, 우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3단위로드(124)의 상부에는 표적 세팅부재(130)가 설치된다.
한편, 회동 암(120)은 표적지(15)가 눕혀진 상태에서, 직립상태로 회동시 구동부(16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제1단위로드(122)의 하단부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부재(1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량부재(125)는 제1단위로드(122)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별도의 무게추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표적 세팅부재(130)는 회동 암(120)의 제3단위로드(124) 상부에 고정된 축 부재(131)와, 상기 축 부재(131)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132)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32)에 설치되며, 표적지(15)가 세팅되는 다수의 세팅판(133)을 구비한다.
축 부재(131)는 제3단위로드(124)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축 부재(131)는 본체(110)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제3단위로드(12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축 부재(131)는 훈련상황에 따라 표적지(15)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3단위로드(1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 부재(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32)는 축 부재(131)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된다.
세팅판(13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 플레이트(132)에 설치된다. 여기서, 세팅판(133)은 전면에, 표적지(15)가 세팅될 수 있도록 평편한 세팅면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표적 세팅부재(130)는 상기 축 부재(1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3단위로드(124)에 설치되는 회전모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해당 회전모터는 인가된 전기에 의해 해당 축 부재(131)를 회전시킨다.
클램핑 유닛(140)은 상기 세팅면에 인접된 상기 표적 세팅부재(130)에 설치되는 다수의 브라켓(141)과, 일단이 상기 세팅면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브라켓(141)들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파지부재(142)와, 상기 파지부재(142)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재(142)가 상기 세팅면에 세팅된 표적지(15)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재(142)의 일단이 상기 세팅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해당 파지부재(142)가 회동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141)은 세팅판(133)의 세팅면 즉, 전면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세팅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해당 브라켓(141)을 세팅판(133)들에 각각 설치된다.
파지부재(142)는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앙부가 브라켓(141)의 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파지부재(142)는 일단부가 세팅판(133)의 전면 즉, 세팅면에 대향되도록 브라켓(14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재(142)의 일단부에는 세팅면에 세팅된 표적지(15)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체(1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체(143)는 단부가 세팅판(133)에 인접되도록 파지부재(14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부재(142)의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44)는 작업자가 파지시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스프링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파지부재(142)의 회동축(121)에 설치되어 파지부재(142)의 일단부가 세팅판(133)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해당 파지부재(14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클램핑 유닛(140)은 탄성 스프링 대신에, 해당 파지부재(142)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회동모터는 파지부재(14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해당 파지부재(1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탄착 감지부(150)는 상기 파지부재(142)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표적지(15)에 충돌하는 탄환의 탄착음을 감지하는 다수의 소리감지센서(151)와, 상기 소리감지센서(151)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모듈(152)을 구비한다.
소리감지센서(151)는 다수개가 파지부재(142)들의 접촉체(143)에 각각 설치되어 표적지(15)에 탄환이 충돌하는 탄착음을 감지한다. 해당 소리감지센서(151)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탄착음을 감지하며, 감지 정보를 판별모듈(152)에 전달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리감지센서(151)는 표적지(15)에 탄착된 탄환의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도록 추가로 파지부재(142)들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추가로 설치되는 소리감지센서(151)는 파지부재(142)들 중 중앙에 위치된 파지부재(142) 전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탄착 감지부(150)는 소리감지센서(151)에서 측정된 탄착음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판별모듈(152)은 소리감지센서(151)들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표적지(15)로부터 탄착음이 발생되면, 해당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된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판별모듈(152)은 해당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소리감지센서(151)들의 감지 정보를 토대로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판별모듈(152)은 각 소리감지센서(151)들에서 수신된 탄착음의 시간 차 및 소리감지센서(151)들의 위치 등의 정보를 토대로 탄착음의 발생위치 즉, 탄착점 또는 탄환의 속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한편, 탄착 감지부(15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판별모듈(152)에서 산출된 탄착음의 발생위치를 사수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판별모듈(152)은 통신모듈(미도시)을 토대로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 여부 및 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수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동부(16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161)와, 구동모터(161)의 회전력을 회동축에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어 표적지(15)가 직립된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회동축이 회동하도록 해당 회동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한다.
구동모터(16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모터가 적용된다. 감속기는 구동모터(161)의 회전축 및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치합된 다수의 기어(미도시)를 구비하여 구동모터(161)에 발생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회동축에 전달한다. 상기 감속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속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귀 스프링은 회동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토션 스프링이 적용된다.
제어부(170)는 회동암을 회동시키도록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표적지(15)가 본체(110)에 대해 직립된 상태 즉, 표적지(15)가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동부(160)의 구동모터(161)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탄착 감지부(150)의 판별모듈(152)을 통해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된 것으로 판별될 경우, 해당 표적지(15)가 직립된 상태에서 눕혀질 수 있도록 회동암이 회동되게 구동부(160)의 구동모터(161)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판별모듈(152)에서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된 것으로 판별되면, 표적지(15)가 본체(1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회동암이 후방으로 회동되게 구동모터(161)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표적지 고정 장치(100)는 클램핑 유닛(140)에 의해 표적 세팅부재(130)에 세팅된 표적지(15)를 파지하므로 클램핑 유닛(140)을 조작하여 해당 표적지(15)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탄착 감지부(150)를 통해 표적지(15)에 대한 탄착 또는 탄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착 감지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탄착 감지부(210)는 상기 파지부재(142)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표적지(15)에 충돌하는 탄환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진동감지센서(211)와, 상기 진동감지센서(211)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 여부를 판별하되, 해당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된 경우, 해당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위치를 산출하는 판별모듈(212)을 구비한다.
진동감지센서(211)는 파지부재(142)들의 접촉체(143)에 각각 설치되어 표적지(15)에 탄환이 충돌시 발생되는 진동을 접촉체(143)를 통해 감지한다. 해당 진동감지센서(211)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진동 및 진동의 크기 등을 감지하며, 감지 정보를 판별모듈(212)에 전달한다.
판별모듈(212)은 진동감지센서(211)들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표적지(15)에 기설정된 기준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된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판별모듈(212)은 각 진동감지센서(211)들에서 수신된 진동의 감지 시간 차, 진동 세기 및 진동감지센서(211)들의 이격 위치 등의 정보를 토대로 표적지(15)에 대한 탄환의 탄착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적지 고정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표적지 고정 장치(300)는 상기 표적지(15)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해당 표적지(15)의 외형 변형을 감지하는 외형 감지센서부(3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외형 감지센서부(310)는 광섬유 격자 센서(311)와 측정유닛(312)을 구비한다.
광섬유 격자 센서(311)는 표적지(15)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광섬유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격자가 새겨져 있다. 이때, 광섬유 격자 센서(311) 표적지(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표적지(15)와 함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해당 표적지(1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격자는 광섬유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성하는 방식 등 공지된 방식으로 형성하면 된다.
측정유닛(312)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섬유 격자 센서(311)에 광을 송출하고, 광섬유 격자 센서(311)의 격자에 의해 브래그 파장변화로부터 표적지(15)의 변위를 산출하여 표적지(15)의 구부러짐 정도를 판별하는 것으로서, 광원, 광분배기, 산출부를 구비한다.
광원은 광섬유 격자 센서(311)에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일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가 적용될 수 있다. 광분배기는 써큘레이터가 적용되며, 광원에서 출사된 입력광을 광섬유 격자 센서(311)로 전송하고, 광섬유 격자 센서(311)로부터 반사된 광의 경로를 광입사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출력한다. 또한, 광분배기로서 써큘레이터 대신 광섬유커플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출부는 광원으로부터 송출된 후 광섬유 격자 센서(311)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광의 스펙트럼으로부터 격자에 의한 브래그 파장 변화로부터 광섬유 격자 센서(311)에 전달되는 표적지(15)의 변위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부는 산출된 표적지(15)의 변위에 대한 데이터를 판별모듈(212)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판별모듈(212)은 상기 외형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표적지(15)가 기설정된 변형 기준 이상으로 변형될 경우, 바람에 의한 상기 표적지(15)의 변형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적지(15)에 탄환이 미탄착된 것으로 판별한다.
즉, 판별모듈(212)은 산출부에서 산출된 표적지(15)의 변위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표적지(15)의 구부러짐 정도를 산출한다. 이때, 판별모듈(212)은 해당 표적지(15)의 구부러짐 정도가 기설정된 변형 기준 값 이상으로 구부러질 경우, 해당 표적지(15)는 탄환의 탄착이 아니라 바람에 의해 구부러진 것으로 판단하고, 소리감지센서(151) 또는 진동감지센서(211)에서, 소리 및 진동이 감지되더라도 표적지(15)에 탄환이 미탄착된 것으로 판별한다. 해당 변형 기준 값은 관리자가 표적지(15)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판별모듈(212)에 기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표적지 고정 장치(300)는 표적지(15)의 변형 정도를 토대로 표적지(15)에 탄환이 탄착되는 상황과 탄환이 미착탄된 상태에서 바람에 의해 표적지(15)가 변형되는 상황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탄착 판별에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20: 레일 프레임
21: 단위부재
22: 단위레일
30: 이동바디
31: 설치공간
32: 작동구
40: 이탈방지유닛
41: 파지롤러 부재
42: 탄성부재
43: 지지축
44: 롤러바디
45: 헤드부재
46: 인입슬롯
47: 가이드 로드
50: 바디 구동부
51: 구동 스프로킷
52: 제1피동 스프로킷
53: 구동모터
54: 제2피동 스프로킷
55: 전달체인

Claims (5)

  1. 소정의 이동경로가 마련된 레일 프레임;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에 설치되며, 사격용 표적지가 세팅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바디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 및
    상기 이동바디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바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레일 프레임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바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외주면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파지롤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롤러 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부분이 인입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슬롯이 형성된,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롤러 부재는
    상기 이동바디에 설치되는 지지축; 및
    상기 이동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주면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인입슬롯이 마련된 롤러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레일 프레임에 따라 상기 파지롤러 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바디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각각 상기 레일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파지롤러 부재의 지지축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가이드 로드;를 더 구비하는,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호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부재;
    상기 단위부재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부재들이 결합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레일; 및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부재들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위부재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유닛;을 구비하는,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5. 소정의 이동경로가 마련된 레일 프레임;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에 설치되며, 사격용 표적지가 세팅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바디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 및
    상기 이동바디를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바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호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부재;
    상기 단위부재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부재들이 결합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레일; 및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부재들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위부재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부재는 내부에, 상기 구속유닛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각각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호 인접된 상기 단위부재들의 내부공간에 인입되는 것으로서,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인접된 상기 단위부재들의 구속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각각 복수의 구속돌기가 마련된 제1 및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격 스프링;을 구비하는,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KR1020210136797A 2021-10-14 2021-10-14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KR10264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97A KR102648266B1 (ko) 2021-10-14 2021-10-14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97A KR102648266B1 (ko) 2021-10-14 2021-10-14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784A KR20230053784A (ko) 2023-04-24
KR102648266B1 true KR102648266B1 (ko) 2024-03-15

Family

ID=8614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797A KR102648266B1 (ko) 2021-10-14 2021-10-14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9154B (zh) * 2023-08-24 2024-05-17 东莞东晟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移动靶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27B1 (ko) * 2013-11-06 2014-12-01 주식회사 홍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253B1 (ko) * 2011-12-13 2013-12-19 중원사격장비(주)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KR200491981Y1 (ko) 2020-01-31 2020-07-10 홍순교 비비탄용 표적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27B1 (ko) * 2013-11-06 2014-12-01 주식회사 홍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784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266B1 (ko)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AU2014301264B2 (en) Aerial lift with secure control console
CA2441300C (en) Target system
EP2659288A1 (de) Handgehaltenes laserentfernungsmessgerät
US9004229B2 (en) Marking device in elevator system
US20140367628A1 (en) Support apparatus for barrier means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712689B1 (en) Telescopic linear handling module
CN102341325B (zh) 移动架设备
US7540545B1 (en) Vehicle-to-vehicle grasping apparatus
WO2006103655A3 (en) Fiber laser device for neutralizing unexploded ordinance
CA2424441A1 (en) Position-sensing device for 3-d profilometers
MY137170A (en) Elevator
KR101088505B1 (ko) 모노레일 표적 이송시스템
CN207313066U (zh) 隧道作业平台
KR102648267B1 (ko) 표적지 고정 장치
US20070039748A1 (en) Electric post driver
KR101270998B1 (ko) 고가 사다리 장착 차량
DE20002604U1 (de) Laserpointer
GB2395186A (en) Sensor/indicator load-handling means
WO2008086111A3 (en) Laser beam align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U2001294350A1 (en) Device for moving a platform along a facade and building provided with such a device
JP7018613B2 (ja) 矢印板
CN109356008B (zh) 连续测量路面弯沉的落锤式弯沉仪
CN2716794Y (zh) 全自动靶车
CN2648388Y (zh) 前后移动式精度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