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253B1 -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253B1
KR101343253B1 KR1020110133573A KR20110133573A KR101343253B1 KR 101343253 B1 KR101343253 B1 KR 101343253B1 KR 1020110133573 A KR1020110133573 A KR 1020110133573A KR 20110133573 A KR20110133573 A KR 20110133573A KR 101343253 B1 KR101343253 B1 KR 101343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unit
rotation
driv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341A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중원사격장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사격장비(주) filed Critical 중원사격장비(주)
Priority to KR102011013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2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2Land-based targets, e.g. inflatable targets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41J1/10Target stands; Target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회동 구동부가 설치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회동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연결되어 회동암과 함께 회동되며, 내부에 회전 구동부가 설치되는 보조본체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표적이 설치되는 표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TARGET SYSTEM HAVING MULTIPLE FUNCTION}
본 고안은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이하, "표적 장치"라 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 연습 시스템에는 사격 능률 향상을 위해 표적을 이동시키는 표적 이동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표적 이동장치는 직선 적으로 이동되며, 일반적으로 사격 연습을 위해 표적을 갖는 표적 프레임이 이동 프레임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이 와이어와, 이를 지지 수용하는 도르레에 연결되어 전,후 또는 좌,우 이동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표적 이동 장치는 전,후 또는 좌,우 직선으로만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거나, 일정 거리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사수가 몇번의 반복적인 연습만으로 표적의 움직임을 숙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경찰특공대 또는 군인들과 같이 실전상황에서 움직이는 표적을 상대로 하는 사수들에게는 사격 능률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표적 이동장치는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적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로 상호 바뀌어 위치될 수 없기 때문에 표적을 복수개의 열로 배치하여 원거리와 근거리 사격 연습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설치가 번거롭고 표적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사격 능률을 향상시키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적을 구동하여 표적의 움직임을 실전상황에서 움직이는 표적과 유사하게 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표적의 구동 방향을 다양화하여 실전상황과 유사한 표적의 상황을 재현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은 표적의 구동방식을 다양화하여 실전상황에서의 표적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표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본 고안은 곡선 주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표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회동 구동부가 설치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회동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연결되어 회동암과 함께 회동되며, 내부에 회전 구동부가 설치되는 보조본체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표적이 설치되는 표적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본체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을 회전시키는 상기 회동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회동암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동 구동원과, 상기 회동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회동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 구동부는 상기 회동축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부와, 상기 회동축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부의 끝단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암은 일단이 상기 회동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본체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본체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상기 회전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원과, 상기 회전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의 끝단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적부는 상기 보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적 프레임과, 상기 표적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표적 프레임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표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회동 구동부와 회전 구동부를 통해 표적부를 구동시켜 표적의 구동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으므로, 실전상황에서의 표적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표적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에 구비되는 장치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에 구비되는 보조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에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주행 구동유닛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의 주행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고안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에 구비되는 장치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에 구비되는 보조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100)는 장치본체(120), 회동암(140), 보조본체(160), 표적부(180) 및 주행 구동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120)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200)에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220)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회동 구동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장치본체(12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22)와,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동암(140)을 회전시키는 회동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2)는 정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덮개를 가진 두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22)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동 구동부(130)는 회동 구동원(131), 동력전달부(132), 회동축(133), 캠부(134) 및 센서(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 구동부(130)는 복수개가 케이스(122)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 구동원(131)은 케이스(122) 내부에 설치되어 회동암(140)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회동 구동원(131)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 구동원(131)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회동 구동원(131)을 제어하여 회동축(13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표적부(180)의 회동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엔코더가 회동 구동원(13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더하여 제어부는 회동 구동원(131)의 회전방향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132)는 회동 구동원(13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동력전달부(132)는 기어박스 내부에 윔휠과 윔기어로 구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회동축(133)으로 회동 구동원(131)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력전달부(132)는 기어박스 내부에 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회동축(133)으로 회동 구동원(131)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 구동원(131)과 회동축(133)이 직교하도록 배치되더라도 구동력이 회동축(133)으로 전달되어 회동축(133)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회동축(133)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32)에 연결되어 회동 구동원(131)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캠부(134)는 회동축(133)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회동축(133)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즉, 캠부(134)는 회동축(133)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되며,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센서(135)는 회동축(133)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동축(133)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부(134)의 끝단을 감지한다. 그리고 센서(135)는 요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캠부(134)의 회전시 캠부(134)의 돌출된 일측이 센서(135)의 요부에 삽입되는 경우 센서(135)가 캠부(134)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캠부(134)가 센서(135)에 감지되는 경우 센서(135)에 연결된 제어부가 회동 구동원(13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센서(135)가 캠부(134)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는 회동 구동원(131)의 회동방향을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동 구동원(131)을 제어한다.
회동암(140)은 회동 구동부(130)에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즉, 회동암(140)은 일단이 회동 구동부(130)의 회동축(133)에 연결되고 타단이 보조본체(160)에 연결되어 회동축(133)의 회전시 보조본체(160)를 회동시킨다.
또한, 회동암(140)은 회동 구동부(1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암(140)이 장치본체(120)의 양측에 2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동암(140)은 하나 또는 셋 이상 장치본체(12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회동암(140)은 보조본체(160)의 회전각이 90도가 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동 구동원(131)은 회동암(140)의 회전각이 90도가 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본체(160)는 회동암(140)에 의해 90도로 회동되며, 결국 보조본체(160)에 설치되는 표적부(180)가 90도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적부(180)가 누웠다가 일어서는 구동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보조본체(160)는 회동암(140)에 연결되어 회동암(140)과 함께 회동되며, 내부에 회전 구동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본체(160)는 하우징(162)과 회전 구동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구동부(170)는 회전 구동원(171), 동력전달부(172), 회전축(173), 캠(174) 및 센서(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보조본체(160)에 구비되는 하우징(162)은 상기한 장치본체(120)에 구비되는 케이스(1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해당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상기한 케이스(132)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그리고, 회전 구동부(170)의 회전 구동원(171), 동력전달부(172), 회전축(173), 캠(174) 및 센서(175)의 구성도 상기한 회동 구동부(130)의 회동 구동원(131), 동력전달부(132), 회동축(133), 캠부(134) 및 센서(135)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해당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상기한 회동 구동부(13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173)이 90도의 각도로 회전되어 표적부(180)가 90도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적부(180)의 앞면이 전방을 향하거나 측면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표적부(180)는 회전 구동부(170)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표적(184)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표적부(180)는 보조본체(1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적 프레임(182)과, 표적 프레임(182)에 고정 설치되어 표적 프레임(182)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표적(18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적 프레임(182)는 회전축(173)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표적(184)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정구(182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표적(184)은 사람의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행 구동유닛(200)은 레일(10) 상을 따라 주행되도록 구성되며 장치본체(120)가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즉, 표적(184)은 주행 구동유닛(200)에 의해 레일(10) 상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주행 구동유닛(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에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주행 구동유닛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의 주행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장치에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주행 구동유닛(200)은 일예로서, 본체 프레임(220), 구동부(240), 주행 가이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20)은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며, 상면에 장치 본체(120)가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체 프레임(220)에는 장치 본체(120)의 설치를 위한 설치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체 프레임(22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동부(240)가 설치되는 구동부 장착부(222)와, 주행 가이드부(260)가 설치되는 주행 가이드부 장착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정의를 하면, 측부 방향은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주행 가이드부 장착부(224)는 측부 방향에 배치되도록 본체 프레임(2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가이드부 장착부(224)에는 주행 가이드부(260)의 설치를 위한 장착홀(22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 장착부(222)는 본체 프레임(2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구동부 장착부(222)에는 구동부(240)의 고정 결합을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체 프레임(220)의 타측에는 본체 프레임(220)의 이동을 위한 종동차륜(202)이 설치되기 위한 바 형상의 장착홀(226)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40)는 본체 프레임(220)에 설치되어 본체 프레임(22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240)는 일예로서, 구동부 프레임(242), 구동원(244) 및 구동차륜(2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 프레임(242)는 본체 프레임(2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구동부 프레임(242)은 본체 프레임(220)의 구동부 장착부(22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 프레임(242)은 구동원(244)이 설치되는 박스형 프레임(242a)과 박스형 프레임(242a)과 본체 프레임(2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42b) 및 일단이 연결부재(242b)에 지지되고 타단이 박스형 프레임(242a)에 지지되어 외부 충격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부재(242c)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박스형 프레임(242a)은 소정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과 하부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박스형 프레임(242a)에는 댐퍼부재(242c)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허브(242d)를 구비할 수 있다.
허브(242d)는 박스형 프레임(242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도록 박스형 프레임(242a)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42b)는 박스형 프레임(242a)을 구동부 장착부(222)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42b)의 양끝단에는 너트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부(242e)가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연결부재(242b)를 설치하는 경우 볼트부(242e)에는 와셔(242f)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댐퍼부재(242c)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242b)는 댐퍼부재(242c)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댐퍼부재(242c)는 일단이 연결부재(242b)에 설치되는 와셔(242f)에 지지되고 타단이 박스형 프레임(242a)의 허브(242d)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댐퍼부재(242c)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표적장치(200)가 안정적으로 주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원(244)은 회전축(미도시)이 박스형 프레임(24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박스형 프레임(242a)에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원(244)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원(244)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구동원(244)을 제어하여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표적의 이동을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엔코어가 구동원(24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구동원(244)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차륜(246)은 구동원(244)에 연결되며 레일(10)의 상부 플랜지(22)의 저면에 밀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구동차륜(246)은 구동원(244)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회전되고, 레일(10)의 상부 플랜지(220)의 저면에 밀착되어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본체 프레임(220)을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한 종동차륜(202)는 구동차륜(246)과 함께 본체 프레임(220)이 레일(10) 상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차륜(246)이 레일(10)의 상부 플랜지(22)의 저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차륜(246)은 레일(10)의 하부 플랜지(2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차륜(246)이 레일(10)의 상부 플랜지(22)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므로, 본체 프레임(220)의 이동시 진동발섶萱?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 프레임(220)과 인접하게 구동차륜(246)이 본체 프레임(220)을 지지하므로 본체 프레임(220)의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레일(10)은 가볍고 경고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압출,사출 성형법 등으로 원근을 이루도록 요부와 철부의 굴곡을 갖는 H 또는 I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10)은 골국이 연이어진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원형이나 다양한 형상의 곡선 레일(10)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곡선 세그먼트(segment)로 제작하여 연결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레일(10)의 양단 측에는 본체 프레임(22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주행 가이드부(260)는 본체 프레임(220)이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며, 본체 프레임(220)이 곡선 레일을 주행하는 경우 원활한 주행을 위해 본체 프레임(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주행 가이드부(260)는 가이드부 프레임(262), 설치부재(264), 가이드차륜(266)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 프레임(262)는 회동축(262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 프레임(262)은 본체 프레임(220)의 전,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 프레임(262)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가이드부 프레임(262)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에 회동축(262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 프레임(262)에는 주행 가이드부 장착부(224)에 형성된 장착홀(224a)에 삽입되는 원형의 돌기(262b)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축(262a)은 돌기(262b)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가이드부 프레임(262)에는 가이드차륜(266)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관통부(262c, 262d)가 설치될 수 있으며, 관통부(262c)는 원형의 홀 형상을 가지며, 또 다른 관통부(262d)는 가이드 차륜(266)의 폭 조정을 위해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262)이 설치되는 레일(10)의 종류에 따라 가이드 차륜(266)의 사이 간격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레일(10)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이드 차륜(266)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부(262c,262d) 중 어느 하나는 가이드 차륜(266)의 폭 조정을 위해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치부재(264)는 회동축(262a)에 설치되며, 가이드부 프레임(262)이 본체 프레임(2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설치부재(264)는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설치부재(264)는 원반형상을 가지는 경우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차륜(266)은 가이드부 프레임(262)에 설치되며 레일(10)의 상부 플랜지(22) 양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차륜(266)은 가이드부 프레임(26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차륜(266)에는 레일(10)의 상부 플랜지(22)가 삽입되는 삽입홈(266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차륜(266)은 상부 플랜지(22)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부 플랜지(22)를 따라 주행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차륜(266)이 상부 플랜지(22)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부 플랜지(22)를 따라 주행되며, 가이드 프레임(262)이 본체 프레임(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로, 본체 프레임(220)이 곡선 레일(10)을 따라 주행되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다.
즉, 주행 가이드부(260)를 통해 곡선 주행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 가이드부(260)를 통해 곡선 레일을 보다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더하여, 주행 가이드부(260)가 본체 프레임(220)의 전,후방 모두에 설치되므로 곡선 레일의 주행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 구동부(130)를 통해 보조본체(160)를 구동시키고, 회전 구동부(170)를 통해 표적부(180)를 구동시켜 표적(184)의 구동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으므로, 실전상황에서 표적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표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 가이드부(260)를 통해 곡선 레일(10)을 보다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보조본체(160) 중 하나는 회동암(140)의 회동에 의해 회동된 상태이고, 나머지 보조본체(160)는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이다.
즉, 장치본체(120)에 설치되는 회동 구동부(130) 중 어느 하나의 회동 구동부(130)가 구동되어 보조본체(160) 중 하나만을 회동시켜 표적부(180)의 표적(184)이 누워있는 상태로, 나머지 하나의 표적(184)이 일어선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구동된 회동 구동부(130)의 회동축(133)은 센서(135)가 캠부(134)의 끝단을 감지할 때까지 회전되며, 이에 따라 보조본체(160)는 회동암(140)과 같이 정위치에서 90도 회동된다.
결국, 보조본체(160)의 회동에 의해 보조본체(160)에 설치되는 표적부(180)도 함께 회동되어 표적(184)이 누워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보조본체(160)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170)가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적부(180)의 표적(184) 전면은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보조본체(170)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170)가 구동되어 표적부(18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표적부(180)의 표적 전면이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회전 구동부(170)의 회전축(173)은 센서(175)가 캠(174)의 끝단을 감지할 때까지 회전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1730에 설치되는 표적부(180)가 90도 회전된다.
결국, 회전 구동부(170)의 회전축(173)의 회전에 의해 표적부(180)의 표적이 회전되어 전면이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보조본체(17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각각의 보조본체(170)에 설치되는 표적부(18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이를 구동시키는 회동 구동부(130)와 회전 구동부(170)를 제어하여 다양한 방식의 표적(184)의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전상황에서의 표적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표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100 : 표적장치 120 : 장치본체
140 : 회동암 160 : 보조본체
180 : 표적부 200 : 주행 구동유닛
220 : 본체 프레임 240 : 구동부
260 : 주행 가이드부

Claims (9)

  1.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행 구동유닛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회동 구동부가 설치되는 장치본체;
    상기 회동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연결되어 회동암과 함께 회동되며, 내부에 회전 구동부가 설치되는 보조본체;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표적이 설치되는 표적부;
    를 포함하는 표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을 회전시키는 상기 회동 구동부;
    를 구비하는 표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회동암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동 구동원;
    상기 회동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회동축;
    을 구비하는 표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동부는
    상기 회동축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부와, 상기 회동축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부의 끝단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표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은 일단이 상기 회동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본체를 회동시키는 표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본체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상기 회전 구동부;
    를 구비하는 표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원;
    상기 회전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을 구비하는 표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의 끝단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표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부는
    상기 보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적 프레임과, 상기 표적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표적 프레임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표적을 구비하는 표적장치.
KR1020110133573A 2011-12-13 2011-12-13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KR101343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73A KR101343253B1 (ko) 2011-12-13 2011-12-13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73A KR101343253B1 (ko) 2011-12-13 2011-12-13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341A KR20130067341A (ko) 2013-06-24
KR101343253B1 true KR101343253B1 (ko) 2013-12-19

Family

ID=4886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573A KR101343253B1 (ko) 2011-12-13 2011-12-13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796A (ko) 2014-12-03 2016-06-1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복합 구동형 표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95B1 (ko) * 2016-11-28 2019-06-17 (주)에프티에스 도심지역 군사작전 훈련용 표적장치
KR102648267B1 (ko) * 2021-10-14 2024-03-15 최국현 표적지 고정 장치
KR102648266B1 (ko) * 2021-10-14 2024-03-15 최국현 레일식 표적지 주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824Y1 (ko) 2000-03-27 2000-08-16 박희태 유동 타켓장치
JP2004177021A (ja) 2002-11-28 2004-06-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標的装置
JP2009165561A (ja) 2008-01-11 2009-07-30 Tokyo Marui:Kk ソフトエアガン用スイングターゲット装置
JP2011058756A (ja) 2009-09-11 2011-03-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標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824Y1 (ko) 2000-03-27 2000-08-16 박희태 유동 타켓장치
JP2004177021A (ja) 2002-11-28 2004-06-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標的装置
JP2009165561A (ja) 2008-01-11 2009-07-30 Tokyo Marui:Kk ソフトエアガン用スイングターゲット装置
JP2011058756A (ja) 2009-09-11 2011-03-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標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796A (ko) 2014-12-03 2016-06-1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복합 구동형 표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341A (ko)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253B1 (ko) 복수의 회전 및 올림, 내림 기능을 갖는 표적시스템
CN104819421B (zh) 具有固定光源的转动式照明和/或信号指示模块
KR101432046B1 (ko) 추력을 이용하는 구형로봇
KR102123995B1 (ko) 위치변경가능 전기공사 조명 시스템
KR101002947B1 (ko) 이동표적용 레일 및 이송장치
KR101558699B1 (ko)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CN105235756A (zh) 可零半径转弯的带减震的紧凑型agv小车
KR20110127561A (ko) 회전 및 이동 가능한 표적장치
EP3232536B1 (en) Coil positioning device
CN209579581U (zh) 一种云台与底盘均可360度旋转的移动射击机器人
KR101893730B1 (ko) 자석을 이용한 사격용 표적장치
KR101343193B1 (ko) 곡선주행 기능을 갖는 표적이동장치
CA2944050C (en) Car with rotatably mounted wheel axle for a fairground ri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tatably mounted wheel axle of such a car
CN109854695B (zh) 一种偏心轮同步转动驱动机构
KR20140013349A (ko) 차량용 헤드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00004883U (ko) 곡선주행 기능을 갖는 표적 이동장치
JP6096741B2 (ja) 天井走行標的システム
KR101986448B1 (ko) 볼타이어 구동 시스템
CA2819923C (en) Slot car and multi-slot track combined raceway
KR101289605B1 (ko) 총포 장치
CN104896084A (zh) 紧凑型电动车amt换挡机构
CN204713944U (zh) 输送装置
US20180335139A1 (en) Detent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KR102306552B1 (ko) 타이어구동 겐트리크레인의 조향센서 장치
KR101020540B1 (ko)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