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983B1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983B1
KR101844983B1 KR1020170115117A KR20170115117A KR101844983B1 KR 101844983 B1 KR101844983 B1 KR 101844983B1 KR 1020170115117 A KR1020170115117 A KR 1020170115117A KR 20170115117 A KR20170115117 A KR 20170115117A KR 101844983 B1 KR101844983 B1 KR 10184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restricting
suppor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섭
Original Assignee
권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2017011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싱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Cable supporting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들을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이드레일과 가로연결부재의 끝단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용접 등으로 직접 고정하거나, 조립과 해체 등의 편리를 위해 결합구조들이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가 시공된 장소에 지진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가 천장(RF)에서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서 케이블 트레이는 가로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처럼 진동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가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에 온전하게 고정되지 못하면, 케이블이 절단되거나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매우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와이어와 같은 강선을 이용하여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 발명되고 있으나, 강선을 적용하기 위해 체결볼트와 같은 부수적인 부품이 많이 필요하여 조립의 복잡화, 시공의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진기능이 구현되되,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싱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내진기능이 구현되되,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제한부의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로 전달되는 상기 지지부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속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연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에 상기 케이블을 설치할 시,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내진부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내진부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가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은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 함 - 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한모듈은 외력에 의해 제1 형상으로부터 제2 형상으로 변형되며, 상기 제1 형상인 경우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어 상기 내진부의 내진기능 구현을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형상인 경우 경우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접촉 해지되어 상기 내진부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모듈은,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어 상기 구속부를 제한하는 상측부;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를 제한하는 하측부; 및 상기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를 연결하는 제한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모듈은, 상기 상측부가 상기 구속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한위치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제한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5에서,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평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10)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건물, 다리 등과 같은 건축, 토목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이 설치되는 모든 건축, 토목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구조물의 천정, 벽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하는 지지부(100)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를 지지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지지부(100)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케이블(C)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조물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은 상기 고정부(200)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고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1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측벽부(120)에 연결 또는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측벽부(120)를 따라 복수 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C)은 상기 바닥부(110) 상에 안착 또는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20)는 상기 바닥부(11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이 외력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벽부(120)는 상기 지지부(100)를 기준으로 좌, 우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10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케이블(C)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210),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20) 및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앵커 또는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천장, 벽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상기 높이 방향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지지부(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된 결합부재(K)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지지부(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높이 방향의 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진부(230)는 지진 발생 시 상기 구조물의 진동이 상기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은 지진 발생 시 상기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내진부(230)는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상기 연결부(220)로 전달되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속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내진부(230)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내진부(230)는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는 회전부(231) 및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연계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31)는 외력에 의해 상기 연계부(233) 상에서 회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31)는 전체적으로 구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연계부(233)와 접촉될 수 있는 회전본체부(231a) 및 상기 구속부(210)와 연결되는 회전연결부(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회전연결부(231b)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연결부(231b)와 연결되는 구속연결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연결부(231b) 및 상기 구속연결부(211)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회전부(231)는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회전부(231) 간의 연결은 나사 결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결림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나아가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회전부(2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회전부(231)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회전공간(S1)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233)는 일 방향으로는 상기 회전부(231)가 삽입/이탈될 수 있도록 하되, 타 방향으로는 상기 회전부(231)가 삽입/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회전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회전공간(S1)을 형성하는 연계본체부(233a) 및 상기 연계본체부(233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공간(S1) 상에서 상기 회전부(231)가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연계연장부(23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회전공간(S1) 상에서 상기 연계연장부(233b)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연계연장부(233b)는 상기 구속부(210)가 상기 회전공간(S1) 상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부(231)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구속부(210)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되는 연계연결부(233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연계연결부(233c)와 대응되도록 상기 연계연결부(233c)와 연결되는 연결체결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연결부(233c) 및 상기 연결체결부(221)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연계부(233)는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연계부(233) 간의 연결은 나사 결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결림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나아가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연계부(2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2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회전부(231)와 상기 구속부(210)를 결합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상기 구속부(210)가 상기 연계부(233)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계부(233)의 상기 회전공간(S1)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계부(233)를 조립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상기 연계부(233)와 상기 연결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조립이 완성된 상기 고정부(2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진 발생 시, 상기 구조물에 고정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진동되나,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계부(233)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연계부(233)에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진동 전달이 제한되며, 그 결과, 상기 연계부(233)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220)에도 진동 전달이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된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고 상기 연계부(233)가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계부(233)가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역전(상하 반전)시켜 보자면, 원래의 상기 구속부(210)가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220)가 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220)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상기 구속부(210)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은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지지부(100)에 상기 케이블(C)을 설치할 시 외력에 의한 상기 지지부(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는 제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300)는 제한모듈로도 통칭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구조물에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고정부(200)를 설치하고 난 후, 상기 케이블(C)을 상기 지지부(100)상에 배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C)을 상기 지지부(10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100)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내진부(230)에 의해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구조물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100) 상에 상기 케이블(C)을 안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100)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C)이 낙하되거나 작업자는 위치 이동되는 지지부(100)에 의해 부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300)는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100)에 상기 케이블(C)을 설치할 시, 임시적으로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에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지지부(100)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계부(233) 상에서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한부(3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제1 형상인 경우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고, 제2 형상인 경우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7은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1 형상인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1 형상인 경우,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연결부(220)를 구속하여 상기 구속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220)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2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1 형상인 경우,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연계부(233)를 구속하여, 상기 구속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연계부(233)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계부(233)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에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지지부(100)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구속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220)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2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6(b)는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2 형상인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변형된 경우,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연결부(220)를 구속하지 못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지지부(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내진부(230)에 의해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구속부(21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내진부(230)에 상기 케이블(C)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한부(300)를 상기 제1 형상으로 하여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내진부(230)에 상기 케이블(C)을 모두 설치한 경우 상기 제한부(300)를 상기 제2 형상으로 변형하여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구속부(210)를 구속하는 상측부(310), 상기 연결부(220) 또는 상기 연계부(233)를 구속하는 하측부(320) 및 상기 상측부(310)와 상기 하측부(320)를 연결하는 제한본체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부(310)는 상기 구속부(210)와 접촉되어 상기 구속부(2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320)는 상기 연결부(220) 또는 상기 연계부(233)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220) 또는 상기 연계부(233)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부(310)는 상기 구속부(210)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H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320)는 상기 연결부(220) 또는 상기 연계부(233)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H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본체부(330)는 상기 내진부(23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는 포위공간(S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측부(31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측부(320)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하측부(32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본체부(330)는 제1 제한본체부(331) 및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제2 제한본체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는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제한부(300)와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간의 고정을 구현하는 제한고정부(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고정부(340)는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한고정돌출부(341) 및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로부터 함입 또는 관통되어 형성된 제한고정수용부(34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고정돌출부(341)가 상기 제한고정수용부(343)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간은 상호 고정되고, 상기 제한고정돌출부(341)가 상기 제한고정수용부(343)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간은 상호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형상은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간이 상호 고정된 상태의 형상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형상은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간이 상호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는 경첩과 같은 동일한 원리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에는 연결핀(P)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가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1 형상인 경우,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는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 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1 형상인 경우,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는 면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부(310)는 상기 제1제한본체부(330)와 연결되는 제1 상측부(311) 및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상측부(311)로부터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제2 상측부(3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상측부(311) 및 상기 제2 상측부(313)는,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가 고정된 경우 상기 구속부(210)를 구속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구속부(210)를 구속하지 못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측부(320)는 상기 제1제한본체부(330)와 연결되는 제1 하측부(321) 및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측부(321)로부터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제2 하측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하측부(321) 및 상기 제2 하측부(323)는,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가 고정된 경우 상기 연결부(220) 또는 상기 연계부(233)를 구속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한본체부(331)와 상기 제2 제한본체부(333)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결부(220) 또는 상기 연계부(233)를 구속하지 못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상측부(310)가 상기 구속부(210)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한위치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위치부(350)는 상기 제한본체부(330)로부터 상기 포위공간(S3)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계부(233)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상측부(310)가 상기 구속부(210)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300)는, 상기 제 1 형상인 경우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계부(233)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을 구현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계부(233)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아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지지부(100)에 상기 케이블(C)을 설치할 시, 상기 제한부(300)를 상기 제1 형상으로 설치하여,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100)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업자는 상기 지지부(100)에 상기 케이블(C)을 모두 설치한 경우, 상기 제한부(300)를 상기 제2 형상으로 변형하여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300)가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상측부(310)가 상기 구속부(210)를 구속하지 않고, 상기 하측부(320)가 상기 연결부(220) 또는 상기 연계부(233)를 구속하지 않아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한부(300)는 경첩과 동일한 원리도 상기 제1 형상 및 상기 제2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한부(300) 자체가 탄성을 가져,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형상이 유지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한부(300)는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에 설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내진부(230)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10)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은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지지부
200: 고정부
300: 제한부
C: 케이블

Claims (7)

  1.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에 상기 케이블을 설치할 시,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내진부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연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내진부의 내진기능 구현을 제한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로 전달되는 상기 지지부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속부로 전달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가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7.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시공방법.
KR1020170115117A 2017-09-08 2017-09-0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4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17A KR101844983B1 (ko) 2017-09-08 2017-09-0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17A KR101844983B1 (ko) 2017-09-08 2017-09-0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199A Division KR20190028265A (ko) 2018-03-27 2018-03-27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983B1 true KR101844983B1 (ko) 2018-04-03

Family

ID=6197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117A KR101844983B1 (ko) 2017-09-08 2017-09-0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9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32B1 (ko) * 2018-08-17 2019-04-2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021357B1 (ko) * 2018-06-05 2019-09-16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1360B1 (ko) * 2018-12-14 2019-09-16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83297B1 (ko) * 2024-02-23 2024-07-08 최연희 비구조요소 내진용 다관절형 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436333B1 (ko) 2014-05-14 2014-09-02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1712803B1 (ko) 2016-07-22 2017-03-07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KR101752402B1 (ko) * 2017-02-07 2017-06-30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내진기능이 부설된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436333B1 (ko) 2014-05-14 2014-09-02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1712803B1 (ko) 2016-07-22 2017-03-07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KR101752402B1 (ko) * 2017-02-07 2017-06-30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내진기능이 부설된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57B1 (ko) * 2018-06-05 2019-09-16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73032B1 (ko) * 2018-08-17 2019-04-2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021360B1 (ko) * 2018-12-14 2019-09-16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83297B1 (ko) * 2024-02-23 2024-07-08 최연희 비구조요소 내진용 다관절형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983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79741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99855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197303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93854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021357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004164U (ko) 내진용 스프링 행거
KR101844986B1 (ko)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KR101465727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KR101843778B1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KR102114888B1 (ko)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U2487282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ежду конструктивными модулями
KR20190028265A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5248B1 (ko)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US9328504B2 (en) Divider wall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78594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KR101957822B1 (ko) 내진성능을 가지는 아파트 벽체구조
KR101733211B1 (ko) 내진형 와이어 웨이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6445925B2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021360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48761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9127823A (ja) 耐震用軽量鉄骨フレームの構造
JP2016196756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422437B1 (ko) 높이 및 수평 조절구조를 구비한 면진이중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