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761B1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761B1
KR101948761B1 KR1020180039059A KR20180039059A KR101948761B1 KR 101948761 B1 KR101948761 B1 KR 101948761B1 KR 1020180039059 A KR1020180039059 A KR 1020180039059A KR 20180039059 A KR20180039059 A KR 20180039059A KR 101948761 B1 KR101948761 B1 KR 101948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astic
accommodation space
suppor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섭
박성수
Original Assignee
권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2018003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Cable supporting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발명은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들을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이드레일과 가로연결부재의 끝단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용접 등으로 직접 고정하거나, 조립과 해체 등의 편리를 위해 결합구조들이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가 시공된 장소에 지진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가 천장(RF)에서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서 케이블 트레이는 가로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처럼 진동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가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에 온전하게 고정되지 못하면, 케이블이 절단되거나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매우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와이어와 같은 강선을 이용하여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 발명되고 있으나, 강선을 적용하기 위해 체결볼트와 같은 부수적인 부품이 많이 필요하여 조립의 복잡화, 시공의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진기능이 구현되되,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내진기능이 구현되되,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와 접촉되어 높이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또, 상기 탄성부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에 의해 규정되는 제1 수용공간, 제2 수용공간 및 제3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공간은 상기 제1 탄성부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수용공간은 상기 제2 탄성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제2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2 외력 미만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외력은 상기 제1 외력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탄성부는 도체이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누설된 전류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연계부로, 상기 연계부로부터 상기 탄성부로,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회전부로,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구속부로 순차적으로 흘러 접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탄성부와 접촉되지 않는 이 후, 상기 회전부가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에 접촉되어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진동이 감쇄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제2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은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에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5에서,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평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10)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건물, 다리 등과 같은 건축, 토목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이 설치되는 모든 건축, 토목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블(C)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물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구조물의 천정, 벽 등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하는 지지부(100)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를 지지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지지부(100)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케이블(C)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조물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은 상기 고정부(200)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1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측벽부(120)에 연결 또는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측벽부(120)를 따라 복수 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C)은 상기 바닥부(110) 상에 안착 또는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20)는 상기 바닥부(11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이 외력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벽부(120)는 상기 지지부(100)를 기준으로 좌, 우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10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케이블(C)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210),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20) 및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앵커 또는 다른 고정부(200)재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천장, 벽 등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천장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된 결합부재(K)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지지부(100)의 연결의 의미는 상기 연결부(220)가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는 직접적/또는 간접적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지지부(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진부(230)는 지진 발생 시 상기 구조물의 진동이 상기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은 지진 발생 시 상기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내진부(230)는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상기 연결부(220)로 전달되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속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의 내진 기능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내진부(230)는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는 회전부(231) 및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며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연계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31)는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연계부(233)의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회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계부(233)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의 내진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31)는 전체적으로 구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연계부(233)와 접촉될 수 있는 회전본체부(231a) 및 상기 구속부(210)와 연결되는 회전연결부(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회전연결부(231b)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연결부(231b)와 연결되는 구속연결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연결부(231b) 및 상기 구속연결부(211)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회전부(231)는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회전부(231) 간의 연결은 나사 결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걸림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나아가 상기 구속부(210)와 상기 회전부(2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회전부(231)가 배치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연계본체부(233a) 및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되는 연계연결부(233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연계연결부(233d)와 대응되도록 상기 연계연결부(233d)와 연결되는 연결체결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연결부(233d) 및 상기 연결체결부(221)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연계부(233)는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연계부(233) 간의 연결은 나사 결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걸림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나아가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연계부(2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고 상기 연계부(233)가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계부(233)가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된 구성들을 역전(상하 반전)시켜 보자면, 원래의 상기 구속부(210)가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220)가 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220)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상기 구속부(210)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은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의 방향은 도 5에서 하측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나아가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연계부(233)의 상기 수용공간(S)으로 진입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의 방향은 도 5에서 상측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나아가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300)의 배치와 관련하여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 및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의 개념은 도 5에서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부(231)와 상기 연계부(233) 간의 진입 및 배출 방향의 관계에서 정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고 상기 연계부(233)가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231)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300)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231)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기 회전부(231)와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300)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된 상기 연계부(233)가 하중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려고 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회전부(231)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은 상기 연계부(233)를 기준으로 정의되는 상대적인 이동임을 정의하고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300)는 전체적으로 코일 스프링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300)는 상기 수용공간(S)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231)와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231)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되, 지진 등으로 인해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231)의 진동 발생시 탄성변형으로 인해 상기 회전부(231)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내진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300)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으로 진동이 감쇄되어 내진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부(300)의 기능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300)는 제1 탄성부(310) 및 상기 제1 탄성부(3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탄성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탄성부(320)는 상기 제1 탄성부(3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233)는 상기 제1 탄성부(310)가 배치될 수 있는 제1 수용홈(233b)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탄성부(320)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수용홈(233c)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제1 수용홈(233b) 상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거나 원래의 형상이 경사진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부(320)는 상기 제2 수용홈(233c) 상에서 경사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제1 수용홈(233b) 및 상기 제2 수용홈(233c)의 형상의 차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탄성부(310) 및 상기 제2 탄성부(320)의 형상 및 탄성의 성질, 상기 제1 수용홈(233b) 및 상기 제2 수용홈(233c)의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수용공간(S)은 상기 제1 탄성부(310) 및 상기 제2 탄성부(320)에 의해 규정되는 제1 수용공간(S1), 제2 수용공간(S2) 및 제3 수용공간(S3)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은 상기 제1 탄성부(310)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수용공간(S2)은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상기 제2 탄성부(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수용공간(S3)은 상기 제2 탄성부(320)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공간(S1), 상기 제2 수용공간(S2) 및 상기 제3 수용공간(S3) 간에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회전부(231)가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진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1 외력으로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외력을 전달받아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하려고 이동되는 경우 그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부(2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1 외력으로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되려고 하는 경우 그 이동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구현되는 예시적인 설명을 더 부가하자면, 일례로,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제1 수용홈(233b)의 형상 및/또는 상기 제1 탄성부(310)의 형상에 의해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는 것을 쉽게 허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회전부(231)의 접촉 이동에 의해, 도 5에서 도 6으로 변형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수용홈(233b)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용홈(233b)의 형상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310)는 탄성력에 의해 도 6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탈되려고 하는 상기 회전부(231) 및 상기 제1 수용홈(233b)을 형성하는 상기 연계본체부(233a) 사이에 억지끼움이 되어 도 6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되돌아 가지 못하며, 따라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1 탄성부(310)와의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1 외력으로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되,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의 진입은 상기 제1 탄성부(310)에 의해 걸림되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탄성부(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제2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2 외력 미만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부(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상기 제2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되려고 할 때, 그 이동을 허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탄성부(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상기 제2 외력보다 작은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되려고 할 때, 탄성력 및/또는 상기 제2 탄성부(320) 자체의 강성 등에 의해 그 이동을 허여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에 진입한 이후 곧 바로 아무런 장애 없이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진입되지 않고 상기 제2 탄성부(320)에 의해 상기 제2 수용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외력은 상기 제1 외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2 탄성부(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상기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상기 제1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나, 상기 제1 외력으로는 상기 제2 탄성부(320)에 의해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진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2 탄성부(320)에 의해 상기 제2 수용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공간(S2) 상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 등에 의해 상기 제1 탄성부(310)를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탄성부(320)와 접촉되어 상기 제2 탄성부(32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탄성부(310)를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부(2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공간(S2)에 배치된 경우,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는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접촉되고,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는 상기 제2 탄성부(320)와 접촉되어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진동 발생시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상기 제2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이 더욱 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지지부(100), 상기 고정부(200) 및 상기 탄성부(300)는 도체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만약, 상기 지지부(100)에 지지된 상기 케이블(C)에 전류가 누설되는 경우, 누설된 전류를 접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C)로부터 누설된 전류는 상기 지지부(100)로 흐르며,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220)로 흘러가고,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된 상기 연계부(233)으로 흐르고, 상기 연계부(233)와 접촉된 상기 탄성부(300)로 흐르며, 상기 탄성부(300)와 접촉된 상기 회전부(231)를 지나, 상기 구속부(210)를 통해 상기 구조물로 흐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케이블(C)로부터 누설된 전류는 상기 구조물로 전달되어 접지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접촉되지 않는 이 후,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어 도 7의 상태로 이동된 경우,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탄성부(310)는 상기 회전부(231)와 상기 연계본체부(233a) 사이에 억지끼움된 것이 해제되어 도 6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외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외력만으로도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이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제1 탄성부(310)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된 후에는 상기 제1 탄성부(310)를 지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회전부(231)를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시킬 시 상기 제1 외력만 상기 회전부(231)에 가하여도 용이하게 상기 회전부(231)를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용공간(S2)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내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수리, 교체, 분해 등을 위해 작업자가 상기 회전부(231)를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외부로 빼내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회전부(231)를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상기 회전부(231)를 이동시켜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빼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상기 제2 탄성부(320)의 형상, 탄성력, 상기 제1 탄성부(310)와 상기 제2 탄성부(320) 간의 이격거리, 상기 회전부(231)의 크기, 상기 제1 수용홈(233b)과 상기 제2 수용홈(233c)의 형상 등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구성 및 기능들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들은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은 상기 제1 탄성부(310) 및 상기 제3 수용공간(S3)의 상기 높이 방향 깊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제1 탄성부(A31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상기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탄성부(A31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상기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진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탄성부(A31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어 접촉될 때 도 8의 상태에서 도 9의 상태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한 경우 도 9의 상태에서 도 10의 상태로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 상기 제1 탄성부(A31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되려고 할 때, 상기 회전부(231)와 상기 연계본체부(233a) 사이에서 억지끼움되어,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탄성부(A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상기 제2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2 탄성부(A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도 10의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부(A310)의 회전과 동일한 원리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3 수용공간(S3)으로 진입한 경우 도 11의 상태로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용공간(AS3)은 상기 회전부(231)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2 탄성부(A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3 수용공간(AS3)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탄성부(A320)와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부(A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상기 제2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3 수용공간(AS3)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부(A320)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3 수용공간(AS3)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려고 할 때, 상기 회전부(231)와 상기 연계본체부(233a) 사이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3 수용공간(AS3)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제3 수용공간(AS3)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 탄성부(A320) 및 상기 제1 탄성부(A310)에 의해 2단으로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부(23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공간(S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상기 높이 방향 상측 및 하측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1 탄성부(A310)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2 탄성부(A320)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의 진동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AS3)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케이블 지지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에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을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지지부
200: 고정부
300: 탄성부
C: 케이블

Claims (9)

  1.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진부는,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구속부 및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 상에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와 접촉되어 높이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의 진동을 감쇄하고,
    상기 탄성부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에 의해 규정되는 제1 수용공간, 제2 수용공간 및 제3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공간은,
    상기 제1 탄성부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수용공간은,
    상기 제2 탄성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제2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2 외력 미만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탄성부는,
    도체이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누설된 전류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연계부로, 상기 연계부로부터 상기 탄성부로,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회전부로,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구속부로 순차적으로 흘러 접지되는,
    케이블 지지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탄성부와 접촉되지 않는 이 후,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1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에 접촉되어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진동이 감쇄되는,
    케이블 지지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2 외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3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9.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시공방법.
KR1020180039059A 2018-04-04 2018-04-04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48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059A KR101948761B1 (ko) 2018-04-04 2018-04-04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059A KR101948761B1 (ko) 2018-04-04 2018-04-04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61B1 true KR101948761B1 (ko) 2019-02-18

Family

ID=6556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059A KR101948761B1 (ko) 2018-04-04 2018-04-04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96B1 (ko) * 2014-08-21 2015-05-04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60044445A (ko) * 2016-04-01 2016-04-25 김대식 상하 흡수용 전기트레이 내진 챤넬시스템
KR101752402B1 (ko) * 2017-02-07 2017-06-30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내진기능이 부설된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1779741B1 (ko) * 2017-03-03 2017-09-19 박종택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96B1 (ko) * 2014-08-21 2015-05-04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60044445A (ko) * 2016-04-01 2016-04-25 김대식 상하 흡수용 전기트레이 내진 챤넬시스템
KR101752402B1 (ko) * 2017-02-07 2017-06-30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내진기능이 부설된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1779741B1 (ko) * 2017-03-03 2017-09-19 박종택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498270B1 (ko) 내진용 수배전반
KR10190448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158422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20190009393A (ko) 판스프링과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973032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1730418B1 (ko)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구비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899855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1752402B1 (ko) 내진기능이 부설된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1844983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1358B1 (ko)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1357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107035A (ko)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20190075265A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20210069777A (ko)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948761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27240B1 (ko)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844986B1 (ko)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KR10178594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KR100991972B1 (ko)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1995248B1 (ko)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KR101604745B1 (ko) 변위제어판을 이용한 지진에너지 소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102021360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