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58B1 -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1358B1 KR102021358B1 KR1020180060579A KR20180060579A KR102021358B1 KR 102021358 B1 KR102021358 B1 KR 102021358B1 KR 1020180060579 A KR1020180060579 A KR 1020180060579A KR 20180060579 A KR20180060579 A KR 20180060579A KR 102021358 B1 KR102021358 B1 KR 102021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extinguishing
- support
- module
- cable
- f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및 상기 연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에 지지되는 소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모듈은 소화제 및 상기 소화제를 저장하는 소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에 저장된 저장상태 및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상기 소화 케이스가 변형되어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로부터 분출되는 분출상태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과, 사이드 레일들을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소방 방재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화재 중 전기에 의한 화재가 30%를 넘고, 다른 원인으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케이블을 통해서 화재가 확산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케이블에 내화도료를 도포하여 화염 전이 시간을 지연하는 방법, 케이블 트레이에 가스 소화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 케이블 트레이를 열 발포성 방염포로 감싸서 화재의 전이를 차단하는 방법, 케이블 피복을 난연성 재질로 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케이블의 표면에 내화도료를 도포하거나 케이블 트레이를 방염포로 감싸는 방법은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스 소화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은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 후에도 관리가 필요하며 작동에 있어 전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난연성 케이블은 화재의 전이를 지연하는 효과는 있으나, 화재 확산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렵고 가격이 비싸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7603(2008. 06. 12. 공고)호의 소화기능을 겸비한 케이블 트레이는 소화구(50)를 좌우측나사봉(11, 11a)에 연결하여 화재 발생 시 소화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을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소화구(50)의 배치는 좌우측나사봉(11, 11a)에 종속적이어서 소화구(50)의 배치 간격을 최적화 되도록 설치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케이블 지지모듈에 용이하게 소화기능을 구현하는 소화모듈을 설치할 수 있고,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소화모듈을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및 상기 연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에 지지되는 소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모듈은 소화제 및 상기 소화제를 저장하는 소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에 저장된 저장상태 및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상기 소화 케이스가 변형되어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로부터 분출되는 분출상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기존의 케이블 지지모듈에 용이하게 소화기능을 구현하는 소화모듈을 설치할 수 있고,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소화모듈을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부 및 제한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연계부의 개략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연계부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고정부의 개략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부 및 제한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연계부의 개략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연계부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고정부의 개략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및 상기 연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에 지지되는 소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모듈은 소화제 및 상기 소화제를 저장하는 소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에 저장된 저장상태 및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상기 소화 케이스가 변형되어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로부터 분출되는 분출상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계부는 상기 지지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계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 상기 연계부가 상기 지지부의 소정의 위치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연계부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 상기 연계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공간은 상기 연계부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공간 및 상기 소화모듈이 상기 연계부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소화모듈이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계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사이드 레일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계부 상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결부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연계부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소화 케이스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소화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연계부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계부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소화 케이스는 상기 커버부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은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모듈의 개략 상측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모듈의 개략 하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부 및 제한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연계부를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연계부를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고정부를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을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변형 예를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연계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1에서, 길이방향은 케이블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폭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은 상기 길이방향 및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건물, 다리 등과 같은 건축, 토목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이 설치되는 모든 건축, 토목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구조물의 천정 또는 벽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하는 지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공간 및/또는 영역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지지부(100)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하는 안착부(110), 상기 안착부(110)의 양측에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1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레일(120)은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사이드 레일(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110)의 양 측은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사이드 레일(12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케이블(C)의 하중은 상기 안착부(110)로 전달되며, 상기 안착부(110)로 전달된 하중은 다시 양 측의 상기 사이드 레일(120)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복 수개 이격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상기 사이드 레일(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를 지지하는 고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케이블(C)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조물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은 상기 고정부(200)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사이드 레일(120)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이격되어 상기 구조물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210) 및 상기 고정지지부(210)와 상기 사이드 레일(120)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지지부(210)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일단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레일(120)로부터 상기 케이블(C)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지지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며 소정의 연결공간(S)을 형성하는 연계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소정에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소화모듈(400)과 상기 지지부(100) 간의 연결을 연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공간(S)은 상기 소화모듈(400)과 상기 지지부(100) 간의 연결을 구현하도록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 상에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연결공간(S)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300)에 지지되는 상기 소화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시 소화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의 상기 연결공간(S) 상에 배치되어 하중을 상기 연계부(300)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소화모듈(400)의 하중을 상기 지지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소화모듈(400)은 소화제(410) 및 상기 소화제(410)를 저장하는 소화 케이스(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제(410)는 불을 끌 수 있는 구성으로 소화분말일 수도 있고 소화액 일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 케이스(420)는 상기 소화제(410)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합성수지, 고무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소화제(410)가 상기 소화 케이스(420)에 저장된 저장상태 및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상기 소화 케이스(420)가 변형되어 상기 소화제(410)가 상기 소화 케이스(420)로부터 분출되는 분출상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상태는 불이 나지 않는 상태로서 상기 소화제(410)가 상기 소화 케이스(420)로부터 누설, 분출 등이 되지 않고 상기 소화 케이스(420)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출상태는 불이 난 상태로서 상기 소화제(410)가 상기 소화 케이스(420)로부터 누설, 분출 등이 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출상태는 화재에 의한 열, 고압 등에 의해 상기 소화 케이스(42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상기 소화 케이스(420) 상에 저장된 상기 소화제(410)가 찢어진 부분, 파손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누설, 분출 등이 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에 의해 상기 지지부(100) 상에 배치됨으로서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제(410)가 배출됨으로 인해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부(100) 상에 배치됨으로 인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 개의 상기 소화모듈(400)은 화재 발생의 위험이 큰 지점에서는 높은 밀도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100) 상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화재 발생의 위험이 작은 지점에서는 낮은 밀도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화재 발생 시 더욱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탄성을 가진 재질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에 탄성 변형되어 연결될 수도 있고, 탄성 변형되어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부(200)가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기 전, 작업자는 상기 연계부(300)를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100) 상에 연결된 상기 연계부(300)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지지부(10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 상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레일(120)은 상기 케이블(C)이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면(121), 상기 제한면(121)의 상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측 절곡면(123) 및 상기 제한면(121)의 하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측 절곡면(12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상측 절곡면(123)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사이드 레일(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레일(12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례로, 상기 사이드 레일(120)은 상기 연계부(30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사이드 레일(120)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사이드 레일(120)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사이드 레일(120)은 상기 연계부(3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사이드 레일(1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계부(300)가 삽입 및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인 상기 절개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상측 절곡면(123) 중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절개부분으로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단부 상으로만 연결 가능한 것이 아니라, 상기 절개부분으로도 상기 사이드 레일(120) 상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하측 절곡면(122) 상에 안착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연결공간(S)은 상기 연계부(300)가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지지부(100)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공간(S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부, 예들 들어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기 상측 절곡면(123)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상기 제1 슬라이딩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절곡면(123)은 상기 제1 슬라이딩 공간(S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사이드 레일(12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연계부(300)가 상기 지지부(100)의 소정의 위치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연계부(300)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으며, 상기 연계부(300) 및 상기 사이드 레일(120)에 형성된 구멍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3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500)의 볼트는 상기 상측 절곡면(123) 상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체결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연계부(300)와 상기 지지부(100) 간을 접착하는 접착제일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500)는 볼트와 너트 및 접착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상기 연계부(3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라면 상기 제한부(50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 역시 상기 지지부(100) 상에 배치된 상기 연계부(300)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연결부(220)도 상기 제한부(500)에 속할 수도 있다.
앞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제한부(500)에 의해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연계부(300)의 탄성재질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00) 상에 위치 고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지지부(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공간(S)은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소화모듈(400)이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소화모듈(4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S2)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소화 케이스(420)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소화 케이스(4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부(430)는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소화 케이스(420)와 상기 연계부(300)가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소화 케이스(42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430)는 상기 소화 케이스(4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소화 케이스(420)와 상기 연계부(300)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커버부(430)는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소화 케이스(420)와 상기 지지부(100),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레일(120)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430)는 작업자가 상기 소화모듈(400)을 상기 지지부(100) 상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때 상기 소화 케이스(42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상기 소화제(410)가 상기 소화 케이스(420)로부터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커버부(430)는 상기 소화제(410) 및 상기 소화 케이스(420)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연계부(3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부(430)는 상기 소화제(410) 및 상기 소화 케이스(420)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 케이스(420)는 상기 커버부(43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430)에 지지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부(43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소화 케이스(420)는 상기 커버부(430)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커버부(430)는 관통홀(H)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430) 상에 배치된 상기 소화 케이스(420)는 상기 관통홀(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열 또는 압력은 상기 관통홀(H)을 통해 상기 소화 케이스(420)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커버부(430)가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커버부(430)와 상기 연계부(300)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완충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완충부(440)는 상기 커버부(430)와 상기 연계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430)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완충부(440)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S2) 간의 이격거리(K1)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결부(220)간의 이격거리(K2)보다 작을 수 있다(K1<K2).
그 결과,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S2)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때 상기 연결부(220)에 방해되지 않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의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S2)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S2)에서 벗어 나기 전,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또 다른 상기 연계부(300)의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화모듈(400)은 복수 개로 상기 지지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연계부(300)가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기 하측 절곡면(122)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하측에도 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케이블(C)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케이블(C)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소화모듈(400)과 상기 지지부(100) 간의 연결을 연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소화모듈(400)과 분리 가능한 독립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지지부(100) 및/또는 상기 소화모듈(400)에 부착, 일체 또는 고정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즉,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소화모듈(400)의 일 구성으로서 상기 소화모듈(400)에 부착, 일체 또는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위치 이동됨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일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100)에 부착, 일체 또는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위치 이동됨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지지부(100)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상기 연계부(300)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연계부(300)의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기능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부(300A)는 상기 지지부(100)와 상기 소화모듈(400) 간의 연결을 연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A)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측에 제한부(500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A)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계부(300A)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기 상측 절곡면(123)의 단부는 상기 연계부(300A) 상에 안착된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계부(300A)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부(300B)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하측에 제한부(500B)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B)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계부(300B)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기 하측 절곡면(122)의 단부는 상기 연계부(300B) 상에 안착된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B)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계부(300B)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부(300C)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측 상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일례로, 제한부(500C)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측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C)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계부(300C)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부(500C)는 상기 연계부(300C) 상에 안착된 상기 소화모듈(400)이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C)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계부(300C)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C)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돌출부(F)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레일(120)은 상기 돌출부(F)와 대응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F)와 상기 홈 간의 기계적 결합으로, 상기 연계부(300C)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부(300D)는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측 상에 안착 및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일례로, 제한부(500D)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120)의 상측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모듈(400)은 상기 연계부(300D)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계부(300D)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계부(300D)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연계부의 다양한 실시예는 각각 독립된 실시예가 아니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호 조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도 11에서는 상기 돌출부(F)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0에 도시된 상기 돌출부(F)가 도 11에 도시된 상기 연계부(300D)에도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넘어서서, 상기 소화모듈(400)을 상기 지지부(100)를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상기 소화모듈(400)을 상기 지지부(100) 및/또는 상기 연계부(300, 300A, 300B, 300C, 300D)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00) 및/또는 상기 연계부(300, 300A, 300B, 300C, 300D)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은 상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10)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지지부
200: 고정부
300: 연계부
400: 소화모듈
200: 고정부
300: 연계부
400: 소화모듈
Claims (11)
-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및
상기 연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에 지지되는 소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모듈은,
소화제 및 상기 소화제를 저장하는 소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에 저장된 저장상태 및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상기 소화 케이스가 변형되어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로부터 분출되는 분출상태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연계부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연계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공간은,
상기 연계부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공간 및 상기 소화모듈이 상기 연계부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소화모듈이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부는,
상기 지지부와 탈착 가능한,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부가 상기 지지부의 소정의 위치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계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사이드 레일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계부 상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 공간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연결부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및
상기 연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계부에 지지되는 소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모듈은,
소화제 및 상기 소화제를 저장하는 소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에 저장된 저장상태 및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상기 소화 케이스가 변형되어 상기 소화제가 상기 소화 케이스로부터 분출되는 분출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연계부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연계부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소화 케이스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소화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는,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모듈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연계부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계부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케이스는,
상기 커버부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 제1항, 제2항, 제4항,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을 시공하는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0579A KR102021358B1 (ko) | 2018-05-28 | 2018-05-28 |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0579A KR102021358B1 (ko) | 2018-05-28 | 2018-05-28 |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1358B1 true KR102021358B1 (ko) | 2019-09-16 |
Family
ID=6806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0579A KR102021358B1 (ko) | 2018-05-28 | 2018-05-28 |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1358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814B1 (ko) * | 2019-12-26 | 2020-09-16 |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 건축물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
CN114892877A (zh) * | 2022-05-23 | 2022-08-12 | 苏州佰业达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 具有消防灭火功能的装饰吊顶 |
KR102671492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
KR102672268B1 (ko) * | 2023-06-28 | 2024-06-04 | 강대준 | 지중배전선 연결용 감전사고방지형 트레이기구 |
KR102672270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유원감리 |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
KR102672337B1 (ko) * | 2023-06-28 | 2024-06-05 | (주)정인엔지니어링 |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
KR102675269B1 (ko) * | 2023-08-21 | 2024-06-14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
KR102675975B1 (ko) * | 2023-08-24 | 2024-06-17 | 주식회사 한별감리단 | 안전성 및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
KR102676488B1 (ko) * | 2023-08-17 | 2024-06-20 |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 점검작업이 편리한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
KR102704453B1 (ko) * | 2023-08-18 | 2024-09-09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배치가 용이한 편이성 향상 다기능 지중배전선 지지기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694B1 (ko) * | 2006-12-28 | 2007-04-13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
KR20080049915A (ko) * | 2006-12-01 | 2008-06-05 |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
KR101668740B1 (ko) * | 2016-07-05 | 2016-10-25 | (주)하림기술단 | 브라켓을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
2018
- 2018-05-28 KR KR1020180060579A patent/KR102021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9915A (ko) * | 2006-12-01 | 2008-06-05 |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
KR100706694B1 (ko) * | 2006-12-28 | 2007-04-13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
KR101668740B1 (ko) * | 2016-07-05 | 2016-10-25 | (주)하림기술단 | 브라켓을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814B1 (ko) * | 2019-12-26 | 2020-09-16 |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 건축물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
CN114892877A (zh) * | 2022-05-23 | 2022-08-12 | 苏州佰业达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 具有消防灭火功能的装饰吊顶 |
KR102671492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
KR102672268B1 (ko) * | 2023-06-28 | 2024-06-04 | 강대준 | 지중배전선 연결용 감전사고방지형 트레이기구 |
KR102672270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유원감리 |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
KR102672337B1 (ko) * | 2023-06-28 | 2024-06-05 | (주)정인엔지니어링 |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
KR102676488B1 (ko) * | 2023-08-17 | 2024-06-20 |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 점검작업이 편리한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
KR102704453B1 (ko) * | 2023-08-18 | 2024-09-09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배치가 용이한 편이성 향상 다기능 지중배전선 지지기구 |
KR102675269B1 (ko) * | 2023-08-21 | 2024-06-14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
KR102675975B1 (ko) * | 2023-08-24 | 2024-06-17 | 주식회사 한별감리단 | 안전성 및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1358B1 (ko) |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706694B1 (ko) |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 |
USRE44033E1 (en) | Intumescent firestopping apparatus | |
US7373761B2 (en) | Self-adjusting intumescent firestopping apparatus | |
KR20190021944A (ko) |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 |
KR100650305B1 (ko) | 케이블 도입부를 위한 다중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등의개구를 위한 방화벽 | |
KR101973031B1 (ko) |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 |
KR101934763B1 (ko) |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 |
JP2007014045A (ja) | 耐火壁へのボックス類の配設構造 | |
KR101530014B1 (ko) | 케이블 선로 보호용 내화구조체 | |
KR20210000201A (ko) | 케이블 트레이용 케이블의 방화차폐 및 소화장치 | |
KR102043318B1 (ko) | 소화모듈을 구비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시공방법 | |
AU2016238643A1 (en) | A cable restraint | |
JP2010166738A (ja) | バスダクト壁貫通構造およびバスダクト貫通構造 | |
KR20190120539A (ko) | 케이블 클리트용 차화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차화 시스템 | |
US9190816B2 (en) | Cable manager | |
CN216562574U (zh) | 一种线缆阻燃结构以及隔离墙 | |
KR102021360B1 (ko)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EP1782514A1 (en) | Fire-protection arrangement for an installation in a partition | |
KR102112174B1 (ko)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
JP6598940B1 (ja) | セパレータ装置 | |
KR20120008940A (ko) | 케이블 트레이 | |
KR102496444B1 (ko) |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편의성 향상 건축물용 전선 트레이 | |
KR20160000510A (ko) | 케이블 트레이 | |
KR102516481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관 벽체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