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174B1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174B1 KR102112174B1 KR1020190078564A KR20190078564A KR102112174B1 KR 102112174 B1 KR102112174 B1 KR 102112174B1 KR 1020190078564 A KR1020190078564 A KR 1020190078564A KR 20190078564 A KR20190078564 A KR 20190078564A KR 102112174 B1 KR102112174 B1 KR 102112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upper frame
- flame retardant
- retardant
- cable tr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 상의 케이블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상기 케이블과 접한 상태의 격리 난연 부재가 바로 부풀어오르면서 방염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가 이루어지더라도 탄성 변형된 상태의 상기 격리 난연 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따라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형되면서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를 다시 막게 되어,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스·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하는 공동구, 지하철 등에는 그 천정 또는 벽면을 따라 복수 개의 케이블이 지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블을 그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시켜주는 것이 케이블 트레이이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에서는 누전 등에 의해 연소(combustion)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연소 확산 방지 구조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케이블 트레이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받쳐진 케이블에 난연 도료를 도포하는 방식이 많이 적용되었으나, 이러한 난연 도료를 도포하는 방식으로는 연소 확산 방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에서 보이듯이, 본원의 출원인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감싸는 구조를 개발하여 특허 등록까지 완료되었다.
그러나,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방염을 위한 프레임측 방염 부재가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얹힌 케이블과 상기 프레임측 방염 부재 사이 공간이 비어 있게 되어, 상기 케이블에서 연소가 발생되더라도, 그러한 연소에 의한 열기가 상기 프레임측 방염 부재에 전달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상기 프레임측 방염 부재의 방염 작용까지의 시간 지연이 발생되어, 상기 케이블에서 발생된 연소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구조에 의하면, 방염 효과 증진과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아주어야 하였고, 그를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에 별도의 케이블 방염 부재가 채워져야 하였는데, 이러한 케이블 방염 부재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에 맞추어 개별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방염 부재의 설치 이후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케이블이 추가로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기설치되어 있던 상기 케이블 중의 일부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에 임의의 홀이 발생되므로, 즉각적인 방염 작용과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을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다시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케이블 방염 부재를 다시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케이블이 경유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고, 난연(難燃) 재질로 이루어지는 격리 난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됨과 함께, 상기 격리 난연 부재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근접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부 프레임 부재와, 격리 난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케이블 트레이 상의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되고, 탄성 변형된 상기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케이블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상기 케이블과 접한 상태의 상기 격리 난연 부재가 바로 부풀어오르면서 방염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가 이루어지더라도 탄성 변형된 상태의 상기 격리 난연 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따라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를 다시 막게 되어,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적용되되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전의 모습을 내려다본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적용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후의 모습을 내려다본 일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적용되되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전의 모습을 내려다본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적용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후의 모습을 내려다본 일부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는 케이블(10)이 경유되는 케이블 트레이(20)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격리 난연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이 경유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의 양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트레이 측면 패널(21)과, 상기 각 트레이 측면 패널(21)의 하부를 연결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트레이 연결 바아(25)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25)에 의해 상기 케이블(10)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하부를 감싸도록 덧대어지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와, 한 쌍의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와, 한 쌍의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저면과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는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양 말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각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의 각 말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굽혀지는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는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양 말단이 각각 상방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의 각 말단이 각각 외측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형태의 단면을 이루어,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이 그 상단에 올려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가 그 위에 올려지게 되면서 상기 케이블(10)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에 의해 지지되어 정렬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에는 하부 프레임 방염 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방염 부재(120)는 일정 길이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 전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한 난연(難燃)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난연 재질은 열기가 가해지면 부풀어오를 수 있는 재질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그 연소에 의한 열기에 의해 부풀어오르면서 그러한 연소의 확산을 방지하게 되고, 이러한 사항은 이하의 난연 재질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를 감쌀 때, 상기 하부 프레임 방염 부재(12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저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하측에서 연소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한 쌍의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와, 한 쌍의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상면과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양 말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는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의 각 말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굽혀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양 말단이 각각 하방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는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의 각 말단이 각각 외측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형태의 단면을 이루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에 올려진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의 상공을 덮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각각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상부와 하부를 덮으면서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별도의 플랜지 고정 수단(195)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고정 수단(195)은 볼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에 각각 형성된 각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봉(196)과, 너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196) 중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는 봉 결합체(197)를 포함한다.
이 밖에도, 상기 플랜지 고정 수단(195)은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함께 집는 클립(clip),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 등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봉(196)은 일정 길이의 긴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고정봉(196)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 사이가 요구되는 거리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 사이의 공간이 상기 케이블(10)의 갯수 등에 따라 요구되는만큼 확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각각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실리콘, 난연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실리콘 등의 절연체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에 코팅되는 상기 절연체는 절연은 물론 난연을 위하여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를 전체적으로 감싼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내면, 여기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 여기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한 난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뒤집어진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케이블(10)의 하측에 위치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용 형태도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10)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연결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게 된다. 그러면서도,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근접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에 접하면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탄성 변형될 때, 그러한 탄성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난연 재질이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와 실리콘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긴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즉 저면의 양 말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블(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10)과 접하도록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물결 무늬 형태 등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와, 격리 난연 일측 하강 경사부(142)와,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와, 격리 난연 일측 상승 경사부(144)와,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와, 격리 난연 타측 하강 경사부(146)와,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와, 격리 난연 타측 상승 경사부(148)와,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9)를 포함한다.
상기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일측 하강 경사부(142)는 상기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는 상기 격리 난연 일측 하강 경사부(142)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일측 최저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상승 경사부(144)는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쪽으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는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상승 경사부(144)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최고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타측 하강 경사부(146)는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는 상기 격리 난연 타측 하강 경사부(146)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타측 최저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상승 경사부(148)는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쪽으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9)는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상승 경사부(148)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와 맞대어진 상기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의 외측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와 맞대어진 상기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9)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덧댐 바아(165)가 각각 덧대어져서 설치된다.
상기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 및 상기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덧댐 바아(165)에는 각각 서로 연통되는 관통 홀(150, 136, 16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150, 136, 167)에는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이 결합된다.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은 상기 관통 홀(150, 136, 167)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관통체(102)와, 상기 관통 홀(150, 136, 167)을 모두 관통한 상태의 상기 관통체(102)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너트 등의 관통 고정체(10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에 의해 상기 덧댐 바아(165), 상기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66은 상기 격리 난연 일 측 말단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덧댐 바아 몸체로, 상기 덧댐 바아 몸체(166)에 상기 관통 홀(150, 136, 167) 중 상기 덧댐 바아(165)에 형성되는 것(167)이 복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9),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 및 상기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9)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덧댐 바아(165)에는 각각 서로 연통되는 관통 홀(151, 136, 16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151, 136, 167)에는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이 결합된다.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에 의해 상기 덧댐 바아(165), 상기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9)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덧댐 바아(165),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 방식 등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격리 난연 일측 하강 경사부(142),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상승 경사부(144),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 상기 격리 난연 타측 하강 경사부(146),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 및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상승 경사부(148)는 탄성 변형된 상태여서,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와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는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10) 쪽을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와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에 접하게 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는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는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와, 지지 받침 고정 수단(16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는 일정 면적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과 평행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내부를 가로지르되,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 중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쪽에 상대적으로 근접되는 부분에 각각 양 말단이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받침 고정 수단(162)은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와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 중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를 함께 관통하여,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와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 중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지지 받침 고정 수단(162)은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와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 중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를 함께 관통하는 볼트 형태의 지지 받침 고정 관통체(163)와, 상기 지지 받침 고정 관통체(163) 중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와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를 함께 관통한 말단부에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지지 받침 고정 연결체(16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가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 중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의 저면을 받치고, 상기 지지 받침 고정 수단(162)이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와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를 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 중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상기 격리 난연 일측 하강 경사부(142),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상승 경사부(144), 상기 격리 난연 타측 하강 경사부(146),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 및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상승 경사부(148)가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 중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되고, 그 탄성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에 의해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을 향하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와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는 상기 케이블(10) 쪽으로 탄성 변형되고, 그에 따라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와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 및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의 두 개의 최저점을 가지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하나의 최저점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세 개 이상의 최저점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는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받침체(161) 없이, 상기 지지 받침 고정 수단(16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 받침 고정 수단(162)이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을 직접 함께 관통하여, 상기 격리 난연 중간 근접부(145)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을 서로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연결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게 되고, 탄성 변형된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케이블(10)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상기 케이블(10)과 접한 상태의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바로 부풀어오르면서 방염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케이블(10)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에 상기 케이블(10)의 추가 또는 제거가 이루어지더라도 탄성 변형된 상태의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상기 케이블(10)의 추가 또는 제거에 따라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케이블(10) 사이를 다시 막게 되어,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에 케이블(10)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적용되되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전의 모습을 내려다본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적용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변형 이동 부재가 이동 후의 모습을 내려다본 일부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는 격리 난연 부재(240)가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는 양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되,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부 프레임 부재의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일측 말단부와 연결되는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241)와, 상기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241)로부터 점진적으로 하강되는 형태의 격리 난연 일측 하강 경사부(242)와, 상기 격리 난연 일측 하강 경사부(242)의 최저점에 형성되는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243)와,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243)로부터 점진적으로 상승되는 형태의 격리 난연 일측 상승 경사부(244)와,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상승 경사부(24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타측 말단부와 연결되는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245)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웨이브 형태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처럼 2개의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연결된 말단부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장공(23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상기 장공(238)을 관통된 상태로 상기 장공(238)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는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공(238)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상측까지 돌출되는 탄성 변형 이동체(271)와,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 변형 고정체(27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가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공(238)을 관통하고,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의 말단부에 상기 탄성 변형 고정체(272)가 고정됨으로써, 작업자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가 상기 장공(238)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탄성 변형되는 정도가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장공(238) 내에서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가 이동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연결된 말단부가 아닌 다른 말단부 쪽으로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가 상대적으로 더 근접된 상태가 되면,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탄성 변형된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커져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일부가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케이블(10) 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10)이 상대적으로 더 가압되면서 상기 케이블(10)과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가 접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장공(238) 내에서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가 이동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연결된 말단부가 아닌 다른 말단부와 이격되는 쪽으로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가 상대적으로 더 이동된 상태가 되면,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탄성 변형된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작아져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 쪽으로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10)이 상대적으로 덜 가압되면서 상기 케이블(10)과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가 접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273은 상기 탄성 변형 이동체(271)의 머리부와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양 말단부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양 말단부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작업자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연결된 말단부가 아닌 다른 말단부 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연결된 말단부도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와 함께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가 연결된 말단부가 아닌 다른 말단부 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의 이동 전에 비해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가 상대적으로 더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에 상기 케이블(10)의 추가 또는 제거 상황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 이동 부재(270)를 이동시켜줌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과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사이 공간이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에 의해 항상 막히면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240)가 상기 케이블(10)과 항상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110 : 하부 프레임 부재
130 : 상부 프레임 부재
140 : 격리 난연 부재
110 : 하부 프레임 부재
130 : 상부 프레임 부재
140 : 격리 난연 부재
Claims (1)
- 케이블이 경유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고, 난연(難燃) 재질로 이루어지는 격리 난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됨과 함께,
상기 격리 난연 부재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근접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564A KR102112174B1 (ko) | 2019-07-01 | 2019-07-01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564A KR102112174B1 (ko) | 2019-07-01 | 2019-07-01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669A Division KR102014238B1 (ko) | 2019-04-10 | 2019-04-10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2174B1 true KR102112174B1 (ko) | 2020-05-18 |
Family
ID=7091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8564A KR102112174B1 (ko) | 2019-07-01 | 2019-07-01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217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470B1 (ko) * | 2007-03-21 | 2007-07-11 |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
KR101763857B1 (ko) | 2017-05-10 | 2017-08-01 | 임장호 |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
KR20180049915A (ko) * | 2016-11-04 | 2018-05-14 | 정상제 | 부착형 진동 감지 안전 문고리 |
KR20180081253A (ko) * | 2017-01-06 | 2018-07-16 | 아인텍(주) |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
-
2019
- 2019-07-01 KR KR1020190078564A patent/KR1021121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470B1 (ko) * | 2007-03-21 | 2007-07-11 |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
KR20180049915A (ko) * | 2016-11-04 | 2018-05-14 | 정상제 | 부착형 진동 감지 안전 문고리 |
KR20180081253A (ko) * | 2017-01-06 | 2018-07-16 | 아인텍(주) |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
KR101763857B1 (ko) | 2017-05-10 | 2017-08-01 | 임장호 |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8955B1 (ko)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
KR102021358B1 (ko) |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US7373761B2 (en) | Self-adjusting intumescent firestopping apparatus | |
KR101925453B1 (ko) |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 |
KR101997081B1 (ko) | 케이블의 다층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 |
JP2019028780A (ja) | ラック固定装置及びサーバラック | |
KR102112174B1 (ko)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
KR102014238B1 (ko)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
JP2010166738A (ja) | バスダクト壁貫通構造およびバスダクト貫通構造 | |
KR101977790B1 (ko) |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접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 |
KR20200126033A (ko)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
KR102014239B1 (ko)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
KR20070057158A (ko) | 칸막이벽의 설비를 위한 화재 보호 장치 | |
KR101719128B1 (ko) | 내진 설계를 위한 와이어 기반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및 덕트 시스템 | |
JP3664711B2 (ja) | トンネル覆工内面への耐火板取付構造 | |
KR101951829B1 (ko) | 케이블 트레이 | |
KR102261426B1 (ko) | 화재 예방이 가능한 단자대 | |
KR101856535B1 (ko)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 |
KR101883654B1 (ko)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 |
JP6598940B1 (ja) | セパレータ装置 | |
JP4698760B2 (ja) | バスダクト支持方式及びバスダクト支持装置 | |
JP7249628B2 (ja) | 支持装置 | |
KR102302728B1 (ko) |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0725258B1 (ko) | 천장용 패널의 설치 장치 | |
KR102031149B1 (ko) | 화재 확산 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