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728B1 -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728B1
KR102302728B1 KR1020190097801A KR20190097801A KR102302728B1 KR 102302728 B1 KR102302728 B1 KR 102302728B1 KR 1020190097801 A KR1020190097801 A KR 1020190097801A KR 20190097801 A KR20190097801 A KR 20190097801A KR 102302728 B1 KR102302728 B1 KR 10230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ire
resistant
fixing memb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905A (ko
Inventor
김도현
이태원
박정우
심재웅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9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2009/049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with fabrics tensioned on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2009/062Caps covering visible surfac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시트가 천장마감패널의 바로 상측에서 천장 슬래브 전체를 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장마감패널의 상측이나 하측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재가 천장마감패널의 하측이나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는,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천장 슬래브의 일측부에서부터 타측부까지 복수의 천장마감패널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면서 천장 슬래브의 하측을 가로질러 천장 슬래브를 가리도록 설치되어, 천장마감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발생하는 화재가 하측 또는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화성 수지 재질로 된 내화성 천장가림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Sealing Device for Preventing from Fire Spreading on Ceil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정 구조물에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슬래브의 하측에서 천장마감패널의 상부면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천장 슬래브에서 화염이 낙하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천장마감패널 아래에서의 화염이 천장 슬래브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인 실내의 천장에는 천장재인 천장마감패널이 부착된다. 또한 필로티나 주차장 등에도 배관이나 전선 등을 가리거나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천장마감패널이 시공되고 있다.
필로티나 주차장 등에 시공되는 천장마감패널은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 설치되는 행거볼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크립바(clip bar)나 M-bar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천장마감패널은 천장 내부 구조물을 가리는 기능과 함께, 천장마감패널이 가진 색상이나 문양에 의해 천장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하는데, 최근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 보강재, 난연재, 착색재, 이형재 등을 혼합한 열경화성 수지 복합 재료로 형성된 패널이 천장마감패널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수지 복합 재료로 된 천장마감패널은 우수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지만 주재료인 수지의 특성상 화재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장 구조물의 전기 배선의 합선이나 스파크로 인하여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어 있는 유기 단열재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염이 천장마감패널로 옮겨 붙어 천장마감패널이 연소되고, 화염이 하측으로 낙하하여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나 다른 구조물로 옮겨 붙어 화재가 건물 전체로 빠르게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천장마감패널 아래쪽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화염이 천장마감패널로 옮겨 붙어, 천장 슬래브에 시공된 유기 단열재를 연소시키면서 건물의 외벽면을 타고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장마감패널을 내화성능이 우수한 미네랄울이나 무기 난연제를 함유한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화성 천장마감패널은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실제 적용이 어렵고, 화재 발생 시 천장마감패널만으로 충분한 화재 지연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9185호(2014.04.18.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4891호(2019.05.22.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시트가 천장마감패널의 바로 상측에서 천장 슬래브 전체를 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장마감패널의 상측이나 하측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재가 천장마감패널의 하측이나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마감패널의 상측에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저렴한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는,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천장 슬래브의 일측부에서부터 타측부까지 복수의 천장마감패널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면서 천장 슬래브의 하측을 가로질러 천장 슬래브를 가리도록 설치되어, 천장마감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발생하는 화재가 하측 또는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화성 수지 재질로 된 내화성 천장가림막을 포함한다.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은 상기 천장마감패널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천장마감패널과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천장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크립바일 수 있으며,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은 상기 천장마감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크립바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에는 고정부재가 교차하는 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는,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를 천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가결합부재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 외면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결합부재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에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링 형태로 되어 상단부 양측이 고정부재의 하단부 양측의 외면에 걸쳐지도록 된 복수의 탄성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의 시공 방법은,
(S1) 천장에 설치된 고정부재의 하측에 내화성 천장가림막을 배치하는 단계; 및,
(S2) 복수의 천장마감패널을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하측에서 고정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천장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크립바일 수 있으며, 상기 (S2) 단계에서는 상기 천장마감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크립바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가 내화성 천장가림막을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를 가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천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하며 준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열팽창성 수지로 된 내화성 천장가림막이 천장마감패널의 바로 상측에 연접하면서 천장 슬래브의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므로,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이 낙하하더라도 내화성 천장가림막에 의해 하측으로 화염이 낙하하지 않아 화재가 천장마감패널 및 그 하측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천장마감패널의 하측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내화성 천장가림막이 화재가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화재에 취약한 구조물, 예를 들어 유기 단열재나 전선 등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가 설치된 천장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재 확산 방지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화재 확산 방지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화재 확산 방지장치의 일부분을 밑에서 바라 본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화재 확산 방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장치를 시공하기 전 상태와 시공 후의 상태를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장치를 시공하기 위한 가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결합부재를 나타낸 천장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가결합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용 실링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용 실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천장의 슬래브(S)(slab)의 하측에 복수의 행거볼트(1)가 설치되고, 상기 행거볼트(1)의 하단부에 캐링채널(2)(carrying channel)이 결합되며, 상기 캐링채널(2)에 복수의 고정부재(10)가 와이어클립 등의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천장을 가리는 천장마감패널(2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재질의 기다란 바아 형태로 되어 천장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면서 격자 형태 또는 일렬로 배열된다. 고정부재(10)는 하부면이 개방된 결합홈(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금속 재질의 크립바(clip bar)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은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되어 하단부가 천장마감패널(20)의 결합돌기(21)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천장마감패널(20)은 대략 사각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에 상기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21)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1)는 십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천장마감패널(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21)의 중간 부분에는 결합홈(11) 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홈(11) 하단에 굴곡지면서 돔 형태로 형성된 이탈방지홈(11a)에 삽입되어 돔 형태의 이탈방지돌출부(21a)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장마감패널(20)은 미네랄울 또는 무기 난연제가 함유된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된 공지의 천장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천장마감패널(20)의 상측에는 천장마감패널(20)의 상측 및 하측에서 발생한 화재가 하측 및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 수지 재질로 된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설치된다.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은 상기 천장마감패널(20)의 바로 상측에 연접하여 천장 슬래브(S)의 일단부에서부터 반대편 일단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되면서 천장 슬래브(S)의 하측을 가로질러 천장 슬래브(S)를 가리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은 천장마감패널(20)의 상측에 천장마감패널(2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천장 슬래브(S)의 하측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화재 확산 방지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은 화재시 열에 의해 수십 내지 수백배로 팽창할 수 있으며 준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열팽창성 및 내화성 수지 재질로 된 시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은 아크릴수지 20~30 중량%, 인계 난연제 20~30%(APP 실란코팅 10~15%,  MPP 10~15%), 250배 팽창 성능을 갖는 80메쉬의 팽창흑연 20~30%, 실리카 1~3%, 잔부의 기타 첨가제(증점제, 산도조절제 등)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얇은 섬유로 된 메쉬(mesh)가 매립되어 얇은 두께로 높은 인장력을 갖는다.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은 천장마감패널(20)과는 개별체로 되어 천장마감패널(20)이 결합되는 고정부재(10)에 천장마감패널(20)과 함께 결합되어 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은 고정부재(10)의 바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가 천장마감패널(20)의 결합돌기(21)를 고정부재(10)이 결합홈(11) 내측으로 삽입할 때 함께 삽입되면서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천장마감패널(20)과 함께 고정부재(10)에 결합되므로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10)가 천장 슬래브(S)의 하측에서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 천장마감패널(20)의 결합돌기(21)로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을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 내측으로 삽입할 때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동시에 접혀야 하므로 결합홈(11) 내로 원활하게 삽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3a와 도 3b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에 복수의 관통공(10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01)은 고정부재(10)가 교차하는 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01)이 형성됨으로 인해 천장마감패널(20)의 결합돌기(21)를 이용하여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을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 내측으로 밀어 넣을 때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관통공(101)을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동시에 접힐 수 있게 되므로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고정부재(10)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천장마감패널(20)이 고정부재(10)에 결합된 후 천장마감패널(20)의 고정부재(10)와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천장마감패널(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캡조립공(22)과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관통공(101)을 통해서 고정부재(10)에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캡너트(23)와, 상기 캡너트(2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을 구비하여 천장마감패널(20)의 하측에서 캡너트(23)에 결합되면서 천장마감패널(20)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캡(24)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캡너트(23)와 캡(24)은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관통공(101)을 통과하여 결합되며, 캡너트(23)와 캡(24)이 결합되는 부분은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없는 빈 상태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해 화염이 침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캡너트(23)와 캡(24) 사이에는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팽창성 및 내화성 수지 재질로 된 캡실링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캡실링재(200)는 상기 내화성 실링시트(100)와 동일한 열팽창성 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화재시 고온의 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화염의 침투를 방지한다.
또한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을 천장마감패널(20)과 고정부재(10) 사이에 시공할 때 더욱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양단부를 천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재(10)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결합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결합부재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단부 외면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가결합부재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양단부에 고정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링 형태로 되어 상단부 양측이 고정부재(10)의 하단부 양측의 외면에 걸쳐지도록 된 복수의 탄성클립(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클립(120)은 상부가 개방된 'C'형 링 형태로 되어 상단부 양측이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상단부를 고정부재(10)의 하단부 양측에 걸쳐지면서 내화성 천장가림막(100)를 지지하고 있다가 결합돌기(21)가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결합돌기(21)에 의해 밀려서 휘어져 내화성 천장가림막(100)과 함께 결합홈(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탄성클립(120)의 하단부에 상기 결합돌기(21)의 상단이 삽입되면서 접촉하는 위치결정홈(121)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클립(120)에 위치결정홈(121)이 형성되면, 천장마감패널(20)의 결합돌기(2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내화성 실링재(100)를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 내측으로 밀어 넣을 때, 결합돌기(21)가 탄성클립(120)의 하단부를 정확히 가압할 수 있으며, 탄성클립(120)의 양측부가 위치결정홈(121)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휘어지면서 변형되어 시공 과정에서 탄성클립(120)이 튀어나가거나 결합홈(11) 내측으로 잘 삽입되지 않는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어 시공이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천장의 슬래브(S) 하측에 행거볼트(1) 및 캐링채널(2)을 차례로 설치하고, 캐링채널(2)에 고정부재(10)를 와이어클립(미도시) 등의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의 하단부 외측에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펼쳐지게 배치한다. 이 때.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일단부를 천장 슬래브(S)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10)에 가결합부재, 예를 들어 자석(110) 또는 탄성클립(120)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다른 일단부를 천장 슬래브(S)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10)에 가결합부재인 자석(110) 또는 탄성클립(12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천장마감패널(20)의 결합돌기(21)를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에 맞추어 밀어 넣으면,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결합돌기(21)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고정부재(10)의 결합홈(11) 내측으로 함께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어서 천장마감패널(20)의 하측에서 천장마감패널(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캡조립공(22)과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의 관통공(101)을 통해서 캡너트(23)(도 3a 및 도 3b 참조)를 삽입하여 고정부재(10)에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캡너트(23)에 캡(24)을 나선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캡너트(23)와 캡(24) 사이에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팽창성 및 내화성 수지 재질로 된 캡실링재(200)를 개재하여 캡(24)을 캡너트(23)에 결합시킨다.
상술한 것과 같이,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하며 준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열팽창성 수지로 된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천장마감패널(20)의 바로 상측에 연접하면서 천장 슬래브(S)의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므로, 천장 슬래브(S)에 설치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이 낙하하더라도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에 의해 하측으로 화염이 낙하하지 않아 화재가 천장마감패널(20) 및 그 하측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천장마감패널(20)의 하측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화재가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천장 슬래브(S)에 설치된 화재에 취약한 구조물, 예를 들어 유기 단열재나 전선 등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100)이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경우,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천장 슬래브(S)와 천장마감패널(20) 사이의 공간을 대폭 축소시키게 되므로 화재 확산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S : 슬래브 1 : 행거볼트
2 : 캐링채널(carrying channel) 10 : 고정부재
11 : 결합홈 20 : 천장마감패널
21 : 결합돌기 100 : 내화성 천장가림막
101 : 관통공 110 : 자석
120 : 탄성클립 121 : 위치결정홈

Claims (11)

  1.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천장 슬래브의 일측부에서부터 타측부까지 복수의 천장마감패널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면서 천장 슬래브의 하측을 가로질러 천장 슬래브를 가리도록 설치되어, 천장마감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발생하는 화재가 하측 또는 상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화성 수지 재질로 된 내화성 천장가림막을 포함하며,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은 상기 천장마감패널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천장마감패널과 함께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천장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크립바이며,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은 상기 천장마감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크립바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에는 고정부재가 교차하는 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된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마감패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캡조립공과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캡너트와, 상기 캡너트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을 구비하여 천장마감패널의 하측에서 캡너트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너트와 캡 사이에 설치되는 내화성 수지 재질의 캡실링재를 더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를 천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결합부재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 외면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된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결합부재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에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링 형태로 되어 상단부 양측이 고정부재의 하단부 양측의 외면에 걸쳐지도록 된 복수의 탄성클립으로 된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9.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의 시공 방법으로서,
    (S1) 천장에 설치된 고정부재의 하측에 내화성 천장가림막을 배치하는 단계; 및,
    (S2) 복수의 천장마감패널을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하측에서 고정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천장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크립바이며,
    상기 (S2) 단계에서는 상기 천장마감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크립바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가 내화성 천장가림막을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의 시공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는 상기 내화성 천장가림막의 양단부를 가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천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의 시공 방법.
KR1020190097801A 2019-08-09 2019-08-09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0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01A KR102302728B1 (ko) 2019-08-09 2019-08-09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01A KR102302728B1 (ko) 2019-08-09 2019-08-09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905A KR20210017905A (ko) 2021-02-17
KR102302728B1 true KR102302728B1 (ko) 2021-09-16

Family

ID=7473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801A KR102302728B1 (ko) 2019-08-09 2019-08-09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7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96A (ja) * 2000-05-31 2001-12-14 Ohbayashi Corp 耐火保護施工方法
KR100893947B1 (ko) 2008-09-04 2009-04-22 장대식 건축용 천정판
JP2010248891A (ja) 2009-03-23 2010-11-04 Nippon Steel Corp 耐火性に優れた床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726B2 (ja) * 1995-08-11 2001-01-29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壁パネルの連結構造
KR101389185B1 (ko) 2013-12-02 2014-04-24 박상철 건축물용 불연성 패널
KR102222964B1 (ko) 2017-11-14 2021-03-04 주식회사 씨엠코리아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96A (ja) * 2000-05-31 2001-12-14 Ohbayashi Corp 耐火保護施工方法
KR100893947B1 (ko) 2008-09-04 2009-04-22 장대식 건축용 천정판
JP2010248891A (ja) 2009-03-23 2010-11-04 Nippon Steel Corp 耐火性に優れた床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905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955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US8955275B2 (en) Head-of-wall firestopping insulation construction for fluted deck
US8955263B2 (en) Break away firewall conne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on
UA100135C2 (uk) Розпірне пристосування для обшивання стінки, що містить затискні щоки для затискання мембрани, і пристрій обшивання стінки, що містить таке пристосування
CA1219500A (en) Fireproof covering
CA2232010C (en) Plastic channel for electrical wiring
KR101590860B1 (ko) 내화 칸막이 구조의 시공방법
KR102302728B1 (ko)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32883B1 (ko) 건축 내,외장용 내진 패널 조립체
EP2931991B1 (en) Fire resistant structure
US9428904B2 (en) Modular joint barrier retainer assembly and method
KR100639102B1 (ko)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US20090250560A1 (en) Utility Tray Module for Power Plant Construction
JP2008031685A (ja) ワイヤ係止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落下防止構造
CA3064873A1 (en) A fire barrier,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an expansion joint system and a fire barrier assembly
KR102023894B1 (ko)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KR102183155B1 (ko)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용 실링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US20150085474A1 (en) Beam support
KR20090049257A (ko) 조립벽체
KR102595348B1 (ko) 패널 고정브라켓 잠금장치
KR102538296B1 (ko)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FI129116B (fi) Putkistojen asennuselementti
KR102558380B1 (ko) 건축용 마감판의 고정클립
KR19980057357U (ko) 전선 및 통신케이블의 연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