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96B1 -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96B1
KR102538296B1 KR1020200167855A KR20200167855A KR102538296B1 KR 102538296 B1 KR102538296 B1 KR 102538296B1 KR 1020200167855 A KR1020200167855 A KR 1020200167855A KR 20200167855 A KR20200167855 A KR 20200167855A KR 102538296 B1 KR102538296 B1 KR 10253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wall
fire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372A (ko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오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오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오벡
Priority to KR102020016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은, 내부에 케이블이 포설되며, 벽체에 천공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트레이; 양측부가 상기 벽체의 측방에서 천정슬래브에 정착된 지지로드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하단을 지지하여 케이블트레이의 하중 하중 받침기능을 수행하면서, 벽체로부터 소정 길이로 케이블트레이의 하부를 덮어 하부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화염을 차염시켜 하부화재의 화재확산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측 차화플레이트;상기 벽체의 측방에서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상부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화염을 차염시켜 상부화재의 화재확산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상측 차화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fireproof system for through-wall cable tray}
본 발명은 벽체를 관통하여 시공되는 벽 관통 케이블 트레이의 차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트레이의 하중 받침기능과 화재확산방지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빌딩 등의 건물 건축시에는 공간을 구분하는 벽체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에 케이블트레이를 관통시켜 케이블트레이를 설치하여 전선 포설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벽체를 관통하는 케이블트레이의 내화 밀폐는 중요하다. 이에 벽체를 관통하는 케이블트레이의 관통부를 내화충전재로 내화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내화시공구조는 국가가 시험 및 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벽체의 케이블트레이 관통부에 대한 건축 내화 성능 기준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화성능시험을 통과해야만 한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00806호에는 내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2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드는 단계와; 상기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든 다음 케이블트레이 관통부의 틈새 모양에 맞도록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틈새보다 5 내지 25% 크게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성형 발포폼 PAD를 케이블트레이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트레이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한 후 방화용 실란트로 케이블트레이의 틈새와, 충진재와, 바닥 및 벽체 사이에 코킹하여 충진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케이블트레이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트레이 관통부의 내화시공은 그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시간이 많이 들어 시공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시공 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지저분하여 민원발생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트레이 내화시공은 전문전인 기술을 가진 숙련자들만이 진행할 수 있어서 숙련자의 고용에 따른 인건비 상승으로 전체적인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내화시공 후에도 별도로 케이블트레이를 천정슬래브에 정착된 지지로드 하단부에 매달아 케이블트레이의 하중을 지지시켜 주는 작업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시간이 크게 늘어나고 비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86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0080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에 대해 하나의 제품으로 케이블트레이의 하중 받침기능과 화재확산방지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내화시공을 매우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어, 시공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은, 내부에 케이블이 포설되며, 벽체에 천공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트레이; 양측부가 상기 벽체의 측방에서 천정슬래브에 정착된 지지로드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하단을 지지하여 케이블트레이의 하중 받침기능을 수행하면서, 벽체로부터 소정 길이로 케이블트레이의 하부를 덮어 하부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화염을 차염시켜 하부화재의 화재확산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측 차화플레이트;상기 벽체의 측방에서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상부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화염을 차염시켜 상부화재의 화재확산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상측 차화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의 내측단으로부터 하향 직각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통공 사이의 하부 틈새를 막아 벽체의 통공을 통한 화염의 전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하측 통공차단부; 및, 상기 상측 차화플레이트의 내측단으로부터 상향 직각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통공 사이의 상부 틈새를 막아 벽체의 통공을 통한 화염의 전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상측 통공차단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상측 차화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난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상측 난연패드;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난연기능을 수행하는 하측 난연패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난연패드는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내부에 포설된 케이블의 상단에 올려지고, 상단 양측부가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상단 절곡부에 걸리도록 끼움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하측 난연패드는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하단과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벽체를 관통하는 케이블트레이를 천정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걸리는 형태로 지지하여 케이블트레이의 하중받침기능이 이루어지는 것과 함께 케이블트레이의 하부에서나 상부에서 화재의 발생시에도 화재가 반대측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화재확산방지기능을 함께 겸하도록 기능할 뿐 아니라,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여 설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닌 비전문가들도 쉽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인건비 절감등을 통해 전체적인 시공비를 대폭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난연패드가 구성되어,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 및 하부에서의 화재발생시 열기가 반대편으로 열전도되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측 및 하측 차화플레이트 각각의 내측단이 절곡형성되어 벽체 통공과 케이블트레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기 때문에, 벽체의 일측방 공간에서의 화재가 타측 공간으로 화재전이가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케이블트레이의 벽관통부 및 벽관통부 부근에 대한 내화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난연패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케이블트레이(10)는 내부에 케이블(20)을 포설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양측의 사이드패널(11)과, 이 양측의 사이드패널(11)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케이블(20)을 지지하는 가로지지대(14)가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 각각의 사이드패널(11)의 상단과 하단에는 하단절곡부(13)와 상단절곡부(14)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화시스템(100)은 벽체(w)에 형성된 통공(h)을 관통하고 있는 케이블트레이(10)를 벽체(w) 측부에서 천정에 매달아 행거형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케이블트레이(10)의 하중 받침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케이블트레이(10)의 상부 및 하부를 차단하여, 케이블트레이(10)에 대해 하부에서의 화재나 상부에서의 화재에 대해 화재확산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된다.
차화시스템(100)은 벽체(w)의 양측부에 각각 구성되도록 구성되며, 하측 차화플레이트(110), 상측 차화플레이트(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측 차화플레이트(110) 및 상측 차화플레이트(120)는 금속판재질로 이루어지며, 난연코팅제가 코팅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차화플레이트(110)는 소정길이를 갖으며, 좌우폭은 케이블트레이(10)의 좌우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양측부가 케이블트레이(10)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차화플레이트(110)는 천정슬래브에 수직하게 정착설치된 지지로드(30)에 하단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지지로드(30)는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양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게 천정 슬래브에 수직하게 정착설치될 수 있다.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양측부에는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태의 하측결합공(111)이 관통형성되며, 이 하측결합공(111)에는 지지로드(30)의 하단이 통과하고, 지지로드(30)의 하단에 결합된 결합너트(32)에 의해 지지되어 하측 차화플레이트(110)가 지지로드(30)의 하단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하측결합공(111)은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내측단이 벽체(w)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화플레이트(110)는 지지로드(30)에 대해 전후 위치조정하여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내측단이 벽체(w)와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케이블트레이(10)이 설치되어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에 의해 케이블트레이(10)의 하중 받침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케이블트레이(10)의 하단을 막아 하부의 화재발생시 상승하는 화염을 차단해 줌으로써 화재가 케이블트레이의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내측단에는 하향 직각되게 절곡형성되며 케이블트레이(10)와 통공(h) 사이의 하부 틈새를 막도록 벽체(w)에 밀착되는 하측 통공차단부(114)가 더 구성된다. 이 하측 통공차단부(114)가 케이블트레이(10)와 통공(h) 사이의 하부 틈새를 막아주기 때문에, 벽체(w)의 통공(h)을 통한 화염의 전이가 방지될 수 있다.
상측 차화플레이트(120)는 소정길이를 갖으며, 좌우폭은 케이블트레이(10)의 좌우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양측부가 케이블트레이(10)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측 차화플레이트(120)는 케이블트레이(10)의 상단과 밀착되며 케이블트레이(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양측 지지로드(30)가 양측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측 차화플레이트(120)의 양측부에는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하상측결합공(121)이 각각 관통형성되며, 이 상측결합공(121)에는 지지로드(30)가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로드(30)에 구성된 상측 너트(34)를 하부로 조여줌으로써, 상측 차단플레이트(120)가 케이블트레이(10)를 상단을 가압하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측결합공(121)은 상측 차화플레이트(12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상측 차화플레이트(120)의 내측단이 벽체(w)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차화플레이트(120)는 케이블트레이(10)의 상부를 덮어 상부의 화재발생시 하강하는 화염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화재가 케이블트레이의 하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측 차화플레이트(120)의 내측단에는 상향 직각되게 절곡형성되며 케이블트레이(10)와 통공(h) 사이의 상부 틈새를 막도록 벽체(w)에 밀착설치되는 상측 통공차단부(124)가 더 구성된다. 이 상측 통공차단부(124)가 케이블트레이(10)와 통공(h) 사이의 상부 틈새를 막아주기 때문에, 벽체(w)를 통공(h)을 통한 화염의 전이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측결합공(121)은 상측 차화플레이트(120)의 내측단까지 연결되며 상측 통공차단부(124)에는 상측결합공(121)의 측부와 연결되어 상측경합공(121)의 측부와 외부와 연결되게 개방시키고, 지지로드(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방부(121a)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상부결합공(121)의 내측부가 개방부(121a)를 통해 외측부에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하측 차화플레이트(120)를 먼저 지지로드(30)의 하단에 결합설치한 후에도 상측결합공(121)의 개방부(121a)를 지지로드(30)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측 차화플레이트(120)를 케이블트레이프(10)의 상단에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시에도 하측 차화플레이트(120) 까지 분해할 필요 없이 상측 차화플레이트(120)를 단독으로 분리하여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하측 통공차단부(114) 및 상측 통공차단부(124)는 난연 점착제를 통해 벽면(w)에 부착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하측 통공차단부(114)의 전면 및 하측 통공차단부(124)의 전면 각각에는 지지로드(30)로부터 하측 및 내측 차화플레이트(110,120)를 통해 벽면(w)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10)와 상측 차화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난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상측 난연패드(1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측 난연패드(140)는 난연 기능을 제공하는 카본섬유(141)와, 이 카본섬유(141)의 상부면을 이루며, 니들펠트 방식으로 카본섬유(141)와 결합되는 난연성 펠트(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케이블의 형태, 크기, 또는 전선의 크기 및 그 개수에 따라 형상 및 두께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측 난연패드(140)는 두께의 변형시 다수개의 상측 난연패드(140)를 적층한 후 오버로크 방식으로 재봉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트레이 내의 케이블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두께의 용이하고 자유로운 확장으로 인해 난연 기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측 난연패드(140)에 있어서, 카본 섬유(141)는 난연성을 제공하는 메타아라미드(m-Aramid) 소재의 실로 직조된 원단의 표면에 카본블랙(Carbon black) 박막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증착하거나, 또는 분말 형태의 카본블랙이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카본 섬유(141)는 그 상부면으로 부직포 형태의 흡착시트(143)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니들 펠트 방식으로 난연성 펠트(142)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증착, 또는 도포되어 있는 카본블랙이 카본 섬유(141)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카본 섬유(141)와 난연성 펠트(142)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난연패드(140)에 대한 안정적인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카본 섬유(141)는 하부면으로 카본블랙의 탈리를 방지하는 이형지(144)가 더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난연성 펠트(142)는 난연성 레이온 단섬유와 아크릴 섬유를 탄화시켜 제조되는 섬유로, 탄화가 이루어진 섬유에 난연성 코팅액이 일정 두께로 코팅된다.
이때, 난연성 코팅액은 고순도 실리카, 알루미나, 탄소 및 지르코니아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에 있어서, 실리카 50중량%~70중량%, 알루미나 20중량%~30중량%, 지르코니아 5중량%~10중량%, 탄소 5중량%~1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측 난연패드(140)는 케이블트레이(10)의 내부에 포설된 케이블(20)의 상단에 올려지고, 상단 양측부가 케이블트레이(10)의 사이드패널(11)의 상단 절곡부(12)에 걸리도록 끼움설치되어 케이블(20)과 상측 차화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측 차화플레이트(120)에 의해 상부에서의 화재에 의한 화염을 차단시켜 줄 뿐 아니라, 고온의 열기가 상측 난연패드(140)에 의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열 전도에 의한 화재확산도 막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10)와 하측 차화플레이트(110) 사이에 설치되어 난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측 난연패드(1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측 난연패드(150)는 상측 난연패드(140)와 동일한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다.
하측 난연패드(150)는 케이블트레이(10)의 폭 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케이블트레이프의 하단과 하측 차화플레이트(11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에 의해 하부에서의 화재에 의한 화염을 차단시켜 줄뿐 아니라 고온의 열기가 하측 난연패드(150)에 의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열 전도에 의한 화재확산을 막을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하측 난연패드(150)가 케이블트레이(10)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케이블트레이(10)의 하단과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사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측 차화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하측 차화플레이트(110)가 케이블트레이(10)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케이블(20)과 차화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측 난연패드(150)는 전후 이웃하는 가로지지대(14) 사이로 삽입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케이블트레이
11...사이드패널
12...절곡부
14...가로지지대
20...케이블
30...지지로드
100...차화시스템
110...하측 차화플레이트
111..하측결합공
114...하측 통공차단부
120...상측 차화플레이트
121...상측결합공
124...상측 통공차단부
140...상측 난연패드
150...하측 난연패드

Claims (4)

  1. 내부에 케이블이 포설되며, 벽체에 천공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트레이;
    양측부가 상기 벽체의 측방에서 천정슬래브에 정착된 지지로드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하단을 지지하여 케이블트레이의 하중 받침기능을 수행하면서, 벽체로부터 소정 길이로 케이블트레이의 하부를 덮어 하부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화염을 차염시켜 하부화재의 화재확산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측 차화플레이트;
    상기 벽체의 측방에서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상부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화염을 차염시켜 상부화재의 화재확산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상측 차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지지로드의 하단이 통과하고 상기 지지로드의 하단에 결합된 결합너트에 의해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가 고정지지되게 하는 하측결합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상측 차화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지지로드가 통과하여 상기 상측 차화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블트레이 상단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상측결합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하측결합공은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결합공은 상기 상측 차화플레이트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의 내측단과 상기 상측 차화플레이트의 내측단이 벽체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의 내측단으로부터 하향 직각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통공 사이의 하부 틈새를 막아 벽체의 통공을 통한 화염의 전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하측 통공차단부; 및,
    상기 상측 차화플레이트의 내측단으로부터 상향 직각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통공 사이의 상부 틈새를 막아 벽체의 통공을 통한 화염의 전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상측 통공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상측 차화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난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상측 난연패드;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난연기능을 수행하는 하측 난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난연패드는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내부에 포설된 케이블의 상단에 올려지고, 상단 양측부가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상단 절곡부에 걸리도록 끼움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하측 난연패드는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하단과 상기 하측 차화플레이트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KR1020200167855A 2020-12-03 2020-12-03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KR10253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55A KR102538296B1 (ko) 2020-12-03 2020-12-03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55A KR102538296B1 (ko) 2020-12-03 2020-12-03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72A KR20220078372A (ko) 2022-06-10
KR102538296B1 true KR102538296B1 (ko) 2023-05-31

Family

ID=8198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855A KR102538296B1 (ko) 2020-12-03 2020-12-03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051B2 (ja) * 1990-04-10 1998-07-30 シーエスデ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ビー.ヴィ. 火炎,水或いは煙道ガス等がケーブルをつたわって広がることを防止する装置
JP2000350327A (ja) * 1999-06-04 2000-12-15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ケーブルラック用防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965Y2 (ja) * 1990-05-29 1995-11-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中空間仕切壁における電線、電線管等の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
KR100658696B1 (ko) 2006-10-27 2006-12-20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케이블트레이용 고정구
KR20130000806A (ko) 2011-06-24 2013-01-03 노상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051B2 (ja) * 1990-04-10 1998-07-30 シーエスデ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ビー.ヴィ. 火炎,水或いは煙道ガス等がケーブルをつたわって広がることを防止する装置
JP2000350327A (ja) * 1999-06-04 2000-12-15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ケーブルラック用防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72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1761B1 (en) Insulating sealing element for head of wall joints
US8935897B2 (en) Fire-barriers for straight-line and intersecting expansion-spaces having male and female coupling-ends
EP0640038B1 (en) Fire protective flexible composite, system including same method of making the composite, and method of fire-proofing
KR101590860B1 (ko) 내화 칸막이 구조의 시공방법
WO2017046127A1 (de) Fassadenbaugruppe, gebäudeaufbau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fassadenbaugruppe
KR102538296B1 (ko)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US11299890B2 (en) Rear-ventilated building facade as well as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2010166738A (ja) バスダクト壁貫通構造およびバスダクト貫通構造
EP2931991B1 (en) Fire resistant structure
CN212518215U (zh) 一种用于电缆竖井的防火结构
GB251533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re safety
DK181101B1 (en) Fire resistant door and method of producing a fire resistant door
KR102403870B1 (ko) 내화발포재 유닛
KR102302728B1 (ko)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14530B1 (ko) 외벽 시스템의 프레임 교차부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2476251B1 (ko) 커튼 플레이트를 이용한 해양상부구조물의 선실격벽 구조
JP2004266990A (ja) 建物ケーブル貫通部の防火構造工法及び建物ケーブル貫通部の防火構造
JP6916349B1 (ja) 耐火部材、耐火構造
GB2311006A (en) Jointed flexible fire barriers
JP3598582B6 (ja) 床下ゾーン形成工法
JPH08126164A (ja) ケーブル貫通部の防火構造
JP3598582B2 (ja) 床下ゾーン形成工法
KR20230009105A (ko)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WO2006029289A2 (en) Fire barrier for expansion joints
KR20150116823A (ko) 내화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