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806A -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806A
KR20130000806A KR1020110061555A KR20110061555A KR20130000806A KR 20130000806 A KR20130000806 A KR 20130000806A KR 1020110061555 A KR1020110061555 A KR 1020110061555A KR 20110061555 A KR20110061555 A KR 20110061555A KR 20130000806 A KR20130000806 A KR 20130000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oam pad
building
refractory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언
Original Assignee
노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언 filed Critical 노상언
Priority to KR102011006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806A/ko
Publication of KR2013000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트레이의 내화충전 재료에 팽창재료를 붙이거나 팽창성 물질을 혼합하여,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케이블의 가연물이 녹거나 타서 생기는 소손 공극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고, 보드 공법과 같이 바닥이나 벽에 구멍을 뚫어 볼트를 고정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방화용 코킹재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케이블 사이에 코킹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간단히 고정할 수 있고, 방화구획의 관통부에 벽돌크기의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화구획의 관통부의 내부에 암면을 충진한 후,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The construction method of a fireproof filling structure which is applied in cable penetration department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트레이의 내화충전 재료에 팽창재료를 붙이거나 팽창성 물질을 혼합하여,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케이블의 가연물이 녹거나 타서 생기는 소손 공극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고, 보드 공법과 같이 바닥이나 벽에 구멍을 뚫어 볼트를 고정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방화용 코킹재 또는 일반 실란트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케이블 사이에 코킹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간단히 고정할 수 있고, 방화구획의 관통부에 벽돌크기의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화구획의 관통부의 내부에 암면을 충진한 후,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건축 관련 법규(예, 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이상 화염(1,016℃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 밀폐는 중요하다.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관통부를 법정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내화 충전재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계인 암면(mineral wool), 세라믹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는 널리 알려져 있는 제품으로 내화 충전구조에 중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충전재료 자체는 제품에 따라 난연성, 신축성, 경량성 등에서는 우수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열화성, 흡수성, 마모성이 크고 분진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밀도가 높은 방화용 단열재는 비신축적이기 때문에 방화구획처리용 채움재로 단독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케이블은 절연체, 외피 등의 가연물로 이루어져 화재 시 다량의 가스 방출과 함께 소손 공극이 발생하여 이 공극을 통해 유독가스와 화재의 확산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암면 및 실리콘 폼만으로는 팽창특성이 없어 케이블 화재에 완벽하게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인 실리콘 RTV Foam 방법은 2액 형태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A액과 B액을 혼합하여 현장 발포폼 형태로 케이블 관통부에 주입하나, 발포폼 형성시 까지 약 2분에서 5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때 까지는 액상 형태이기 때문에 반드시 하부에 Damming 하여 액상의 제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방법이 간단하지 않다.
이 공법은 액상형태이기 때문에 케이블들의 사이의 틈새로 흘러들어 완벽하게 충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Damming 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A,B액이 혼합되어 약 17 - 28℃ 에서 가장 완벽한 상태의 발포 Foam이 형성되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현장 작업이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공장 발포폼 형태의 PAD 제품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도 팽창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실리콘 폼 내부의 cell 내 공기가 팽창한다고는 하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케이블이 그룹으로 많이 포설되어 가연물의 양이 많아지면 연소하여 생긴 소손 공극을 통하여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특허 공개번호 10-2005-0096977에서는 암면에 팽창재료를 붙여 필름재질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직조 물질, 부직조의 필름재질로 감싼 형태의 방화용 필로우 제품이 소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정형화된 제품으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사용할 때 케이블 포설 형태가 다양하여 필요에 따라 잘라서 써야 하며 이는 암면이 노출되어 피부자극, 분진발생의 우려가 있다.
실용신안실안 1992-0000202에 의하면 플라스틱 관로 또는 케이블 등의 바닥 또는 벽 관통부의 방화, 방연구조에 있어서, 플라스틱 관로 또는 케이블 등의 바닥 또는 벽 관통부에 있어서의, 바닥 또는 벽의 내벽과, 관통부내에 있어서의, 플라스틱관로 또는 케이블 등의 외주와 바닥 또는 벽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틈새부에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한 다수개의 열팽창성 복합성형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고, 또 통기성을 갖게 한 상태로 충전하여 충전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스틱 관로 또는 케이블 등의 바닥 또는 벽 관통부의 방화, 방연구조가 소개되고 있으나, 열팽창성 복합성형부재의 심체인 난연성 수지발포체를 기계적 수단 등 소망의 수단으로 평상시의 90% 이하의 체적으로 압축시키는 방법으로 기계수단이 동원된다는 점에서 시공법이 복잡하다.
또한 옅팽창성 복합성형부재의 심체인 내화성 물질제 심체로서는 규산칼슘. 몰탈, 석고. 세라믹스 규조토 등으로 된 소망형상의 성형체가 이용되고, 이들 심체의 외주에 피복되는 열발포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주로 충전제와 팽창제로 되어 화염에 맞닥뜨리거나 250℃이상의 고온에 의하여 내화성의 발포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이 소개되고 있으나, 별도의 심체로 구성되는 방법이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트레이의 내화충전 재료에 팽창재료를 붙이거나 팽창성 물질을 혼합하여,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케이블의 가연물이 녹거나 타서 생기는 소손 공극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고,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방화용 코킹재 또는 일반 실란트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케이블 사이에 코킹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간단히 고정할 수 있고, 방화구획의 관통부에 벽돌크기의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화구획의 관통부의 내부에 암면을 충진한 후,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트레이의 내화충전 재료에 팽창재료를 붙이거나 팽창성 물질을 혼합하여,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케이블의 가연물이 녹거나 타서 생기는 소손 공극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드 공법과 같이 바닥이나 벽에 구멍을 뚫어 볼트를 고정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용 코킹재 또는 일반실란트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케이블 사이에 코킹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구획의 관통부에 벽돌크기의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구획의 관통부의 내부에 암면을 충진한 후,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은 내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2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드는 단계(a)와; 상기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든 다음 케이블 관통부의 틈새 모양에 맞도록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틈새보다 5 내지 25% 크게 절단하는 단계(b)와; 상기 절단된 성형 발포폼 PAD를 케이블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는 단계(c)와; 상기 케이블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한 후 실란트로 케이블의 틈새와, 충진재와, 바닥 및 벽체 사이에 코킹하여 충진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d);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b)와 단계(c) 사이에, 케이블 관통부의 내부에 밀도가 40 내지 100g/㎤인 암면을 20 내지 100mm 깊이로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발포폼 PAD는 내화 폴리우레탄 폼 PAD로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polyol) 100 중량부에, 팽창흑연 5 내지 4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0 - 30 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9 내지 12 중량부,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phosphate) 17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과 중량비를 1 대 0.6 내지 1.4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반응시킨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발포폼 PAD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발포제로서 멜라민염의 사용량을 5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트레이의 내화충전 재료에 팽창재료를 붙이거나 팽창성 물질을 혼합하여,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케이블의 가연물이 녹거나 타서 생기는 소손 공극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보드 공법과 같이 바닥이나 벽에 구멍을 뚫어 볼트를 고정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방화용 코킹재 또는 일반실란트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케이블 사이에 코킹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방화구획의 관통부에 벽돌크기의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방화구획의 관통부의 내부에 암면을 충진한 후, 발포폼 PAD를 벽체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의 좌,우)에 충진하고 실란트를 코킹 처리하여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은 내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2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드는 단계(a)와; 상기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든 다음 케이블 관통부의 틈새 모양에 맞도록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틈새보다 5 내지 25% 크게 절단하는 단계(b)와; 상기 절단된 성형 발포폼 PAD를 케이블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는 단계(c)와; 상기 케이블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한 후 방화용 실란트로 케이블의 틈새와, 충진재와, 바닥 및 벽체 사이에 코킹하여 충진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d); 로 구성된다.
상기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하는 흐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내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2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성형 발포폼 PAD(20)를 만드는 단계(a)이다. 여기서, 상기 성형 발포폼 PAD(20)는 내화 폴리우레탄 폼 PAD로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polyol) 100 중량부에, 팽창흑연 5 내지 1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0 - 30 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9 내지 12 중량부,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phosphate) 17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과 중량비를 1 대 0.6 내지 1.4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반응시킨 것이며, 또한 상기 성형 발포폼 PAD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발포제로서 멜라민염의 사용량을 5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내화 폴리우레탄 폼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발포제 및 내화성 첨가제의 존재 하에서 폴리올 성분과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즉, 폴리올에 팽창 흑연, 펜타에리스리톨을 촉매로 사용하는 인산암모늄, 다가 알콜 등과 같은 촉매제를 하나 또는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발포제의 팽창작용에 의하여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연결고리 사이에 char(숯)를 생성하여 피막을 형성하고, 그 피막은 폴리올의 분자고리가 열에 의하여 녹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존의 폴리우레탄 폼의 문제점인 화재에 대한 취약성을 개선하여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의 원료로서 이소시아네이트는 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4, 4-diisocyanate : MDI)를 이용한다. 상기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는 일반적으로 아닐린(aniline)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가 축합되어 생성된 디페닐메탄디아민(diphenylmethane diamine : MDA)에 포스겐(phosgene)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물질이다.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는 monomeric MDI와 polymeric MDI로 구분할 수 있는데, 주로 발포 폴리우레탄 폼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것은 후자인 polymeric MDI이다. 상기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는 내화제와 촉매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과 중량비 1 대 0.6 내지 1.4로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한다.
또한 폴리우레탄의 또 하나의 원료인 폴리올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다가 알콜과 반응시켜 제조된 것들이 포함된다.
둘째로는, 상기 성형 발포폼 PAD(20)를 만든 다음 케이블 관통부(41)의 틈새 모양에 맞도록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틈새보다 5 내지 25% 크게 절단하는 단계(b)이다. 여기서, 절단도구는 통상적으로 칼, 가위 등을 지칭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케이블 관통부(41)의 내부에 밀도가 40 내지 100g/㎤인 암면(mineral wool)(60)을 20 내지 100mm 깊이로 충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료인 암면(60)을 세라믹 울(ceramic wool), 팽창제 코팅암면, 팽창제함유 실리콘 RTV foam, 팽창제함유 우레탄 RTV Foam 중에서 어느 하나로 대체도 가능할 것이다.
넷째로는, 상기 절단된 성형 발포폼 PAD(20)를 케이블 관통부(41)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10)의 좌, 우에 충진하는 단계(c)이다. 여기서, 발포폼 PAD(20)의 일측 또는 한면에 팽창재료(70)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케이블(40) 및 케이블트레이(50)의 내화충전 재료에 팽창재료를 붙이거나 팽창성 물질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팽창재료(70)는 팽창테이프, 팽창도료, 팽창보드, 팽창패드, 팽창퍼티, 팽창실란트, 팽창컴파운드인 것이다.
다섯째로는, 상기 케이블 관통부(41)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10)의 좌, 우에 충진한 후 방화용 실란트(30)로 케이블(40)의 틈새와, 충진재와, 바닥 및 벽체(10) 사이에 코킹하여 충진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d)이다. 여기서, 상기 방화용 실란트(30) 대신에 방수액 또는 일반실란트로 대체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실시예1의 경우에는 바닥면(10)의 상부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시공이 간편하며, 적절하게는 75mm 두께의 성형 발포폼 PAD(20)를 케이블 관통부(41)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10)의 좌, 우)에 충진하고 방화용 실란트(30)를 코킹하면 150mm두께로 되며, 국토해양부고시에 의한 2시간의 내화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실시예2의 경우에는 바닥면(10)의 상부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시공이 간편하며, 케이블 관통부(41)의 내부에 밀도가 40 내지 100g/㎤인 암면(60)을 20 내지 100mm 깊이로 충진한 후, 발포폼 PAD를(20) 적절하게는 20 내지 50mm 두께로 케이블 관통부(41)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10)의 좌, 우)에 충진하고 방화용 실란트(30)를 코킹하면 150mm두께로 되며, 국토해양부고시에 의한 2시간의 내화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실시예3의 경우에는 바닥면(10)의 상부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시공이 간편하며, 벽돌크기의 발포폼 PAD(20)를 적절하게는 75mm 두께의 발포폼 PAD(20)를 케이블 관통부(41)의 하부, 상부(또는 벽체(10)의 좌, 우)에 충진하고 방화용 실란트(30)를 코킹하면 150mm두께로 되며, 국토해양부고시에 의한 2시간의 내화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은 아파트, 상가 빌딩은 물론, 일반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의 방화 구획을 관통하는 케이블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바닥(또는 벽체) 20 : 발포폼 PAD
30 : 방화용 실란트 40 : 케이블
41 : 케이블 관통부 50 : 케이블 트레이
60 : 암면(mineral wool) 70 : 팽창재료

Claims (4)

  1.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내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2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드는 단계(a)와;
    상기 성형 발포폼 PAD를 만든 다음 케이블 관통부의 틈새 모양에 맞도록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틈새보다 5 내지 25% 크게 절단하는 단계(b)와;
    상기 절단된 성형 발포폼 PAD를 케이블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하는 단계(c)와;
    상기 케이블 관통부의 상부, 하부의 틈새 또는 벽체의 좌, 우에 충진한 후 방화용 실란트로 케이블의 틈새와, 충진재와, 바닥 및 벽체 사이에 코킹하여 충진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d);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와 단계(c) 사이에, 케이블 관통부의 내부에 밀도가 40 내지 100g/㎤인 암면을 20 내지 100mm 깊이로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발포폼 PAD는 내화 폴리우레탄 폼 PAD로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polyol) 100 중량부에, 팽창흑연 5 내지 1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0 - 30 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9 내지 12 중량부,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phosphate) 17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과 중량비를 1 대 0.6 내지 1.4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반응시킨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발포폼 PAD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발포제로서 멜라민염의 사용량을 5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10061555A 2011-06-24 2011-06-24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KR20130000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55A KR20130000806A (ko) 2011-06-24 2011-06-24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55A KR20130000806A (ko) 2011-06-24 2011-06-24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06A true KR20130000806A (ko) 2013-01-03

Family

ID=4783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555A KR20130000806A (ko) 2011-06-24 2011-06-24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80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719B1 (ko) * 2014-04-25 2015-07-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열팽창성 접착제를 이용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CN107834472A (zh) * 2017-12-13 2018-03-23 冯天序 一种建筑电气管井及系统
KR20180031544A (ko) * 2016-09-20 2018-03-28 이화형 라돈가스 흡착용 난연 활성탄 슬러리 및 그 성형제품
JP2019100518A (ja) * 2017-12-07 2019-06-24 未来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壁の防火措置構造
KR102297967B1 (ko) * 2021-04-22 2021-09-03 정제원 Rtv 폼을 이용한 벽체 마감 구조
JP2021152410A (ja) * 2017-12-07 2021-09-30 未来工業株式会社 耐火部材
KR102318532B1 (ko) 2021-07-08 2021-10-28 주식회사 서용 선택적 내향 실링을 이용한 벽체 관통구 케이싱 시스템
KR20220078372A (ko) 2020-12-03 2022-06-10 이준영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719B1 (ko) * 2014-04-25 2015-07-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열팽창성 접착제를 이용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20180031544A (ko) * 2016-09-20 2018-03-28 이화형 라돈가스 흡착용 난연 활성탄 슬러리 및 그 성형제품
JP2019100518A (ja) * 2017-12-07 2019-06-24 未来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壁の防火措置構造
JP2021152410A (ja) * 2017-12-07 2021-09-30 未来工業株式会社 耐火部材
CN107834472A (zh) * 2017-12-13 2018-03-23 冯天序 一种建筑电气管井及系统
KR20220078372A (ko) 2020-12-03 2022-06-10 이준영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KR102297967B1 (ko) * 2021-04-22 2021-09-03 정제원 Rtv 폼을 이용한 벽체 마감 구조
KR102318532B1 (ko) 2021-07-08 2021-10-28 주식회사 서용 선택적 내향 실링을 이용한 벽체 관통구 케이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0806A (ko)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JP2841716B2 (ja) 耐燃性要素
CN101003611A (zh) 一种用于防火封堵的双组分发泡体系及其制品
KR20110008517A (ko) 화염차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20230175252A1 (en) Fire-stopping product
KR101732118B1 (ko) 발포성 개구부 채움재 및 시공방법
US20110123801A1 (en) Intumescent rod
AU2012281945B2 (en) Fir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fire-resistant reinforcement architectural member, fire-resistant reinforcement method for architectural member
CZ20012652A3 (cs) Flexibilní protipoľární deska a její pouľití k protipoľární ochraně proraľení ve zdech, podlahách nebo stropech
KR101735884B1 (ko) 커튼월 내화충전구조용 단열재를 포함하는 층간 방화 구조물
KR101198390B1 (ko)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
JP5453336B2 (ja) 建築部材の耐火補強方法
KR101644565B1 (ko) 고내화성 및 열팽창성 pvc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 구조체
JP2022524426A (ja) チューブ状封止要素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73038A (ko) 팽창흑연을 이용한 내화충전재
AU758313B2 (en) Reactive two-component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and a fire-protective sealing method
KR102063920B1 (ko) 통기성 및 차열 차염 성능이 우수한 차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CN103613777B (zh) 防火封堵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22540B1 (ko)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JP3130233U (ja) 建築物の防火区画配線構造体
JPH108596A (ja) 発泡型防火性成形品および発泡型防火組成物
JP2018109284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6863738B2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KR101845632B1 (ko) 방화용 실런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4006248B1 (en) Firestop board, firestop element and fire separat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