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540B1 -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Google Patents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540B1
KR101622540B1 KR1020140162708A KR20140162708A KR101622540B1 KR 101622540 B1 KR101622540 B1 KR 101622540B1 KR 1020140162708 A KR1020140162708 A KR 1020140162708A KR 20140162708 A KR20140162708 A KR 20140162708A KR 101622540 B1 KR101622540 B1 KR 10162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oamable
injection
filling structure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기호
여인환
안재홍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하여 내화충전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1회 매립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성재료의 성형, 제작, 설치 및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1~2회의 시공으로도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무기질 발포성 재료로 발포성 슬리브를 한 번에 사출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FIRE STOP STRUCTURE USING EXPANDABLE SLEEVE}
본 발명은 내화충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배관 등의 관통부재를 설치할 경우, 관통공과 관통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관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사출(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형성되는 발포성 슬리브(Expandable Sleeve)를 이용하는 내화충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구획은 건축물 화재시 화염 및 연기의 확산 방지를 위한 방호공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프링클러 등의 초기 화재진압설비에 의한 소화에 실패한 경우, 화재는 인접된 공간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확산하게 되는데, 이때, 방화구획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설비적 요소들이 기능을 하지 못하면, 대형화재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화구획 개구부 및 관통부분이 연기와 화염을 인접공간으로 확대시키는 주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다수의 화재사고를 통해서도 주지된 바 있다.
이러한 구획관통부의 내화성능은 관통부재와 구조체 사이에 발생하는 틈의 메움재 및 구성방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구조체 전체에서 차기하는 면적은 작으나 이 부분의 시공이 불량하면 방화구획 전체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내화충전구조는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154호에서 정의한 용어로서, 배관, 전선관 등이 관통하는 부분의 설비관통부 충전시스템과 커튼월 벽체와 바닥판 틈새의 선형조인트 충전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내화충전구조는 화염 및 열의 전파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구획 구조체와 동일한 성능의 내화성능을 확보함으로써 일정 시간동안 구획 밖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통 개구 내화충전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통 개구 내화충전 시스템에서, 기준 벽체(11)에는 배관(12)을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배관(12)이 통과되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개구의 단면 크기는 상기 배관(12)의 단면 크기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관통 개구와 상기 배관(12) 사이에 공간(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을 메우기 위하여, 상기 공간으로 마감재(13) 및 단열재(14)가 삽입된다.
이때, 중공부(15)를 가진 기준 벽체(11)에 관통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관통 개구와 상기 중공부(15)가 연통되어, 상기 관통 개구의 표면과 상기 배관(12) 표면 사이의 공간으로 마감재(13)와 단열재(14)가 삽입될 때, 상기 공간과 연통된 중공부(15)로도 마감재(13) 및 단열재(14)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12)이 상기 관통 개구에 삽입된 후, 상기 관통 개구와 상기 배관(12) 사이의 공간을 꽉 메우도록 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시, 배관(12)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와 배관(12) 사이에 생긴 공간으로 화염 및 매연이 이동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통 개구 내화충전 시스템에서, 마감재(13) 및 단열재(14)는 상호 간에 접촉이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공사 기간이 길어짐으로써 건축 현장에서는 내화충전 공사 자체를 기피하게 되고, 임시방편적으로 시공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시공상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시공 안정성 불만 및 내화 성능에 대한 불만이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 등과 같은 방화 구획체를 관통하는 배관은 방화 구획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배관을 삽입한 후, 배관과 관통공 사이의 공간을 내화충전 구조체로 메워서 시공함으로써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관통공이나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면, 내화충전 구조체는 금속 재질의 충전케이스 내에 그라스울, 또는 내화몰탈, 실리콘,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충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 구조체의 충전케이스가 금속 재질인 경우, 사용 중에 발생하는 습기로 인하여 마감 부분에 부식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61647호에는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30)은 건물의 층간 슬래브층(41) 관통구 또는 슬래브층에 매설되는 관통슬리브(42)에 삽입되거나 관통슬리브(42)와 상기 관통슬리브(42)에 입설되는 배관(43) 사이에 삽입되고, 가로지지대(31a) 및 세로지지대(31b)의 교차에 의해 소정너비의 통기창(31c)이 형성되는 몸체부(31); 몸체부(3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슬래브층(41) 관통구 또는 관통슬리브(42)의 상면에 걸리는 걸이부(32); 및 몸체부(31)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화충전재(45)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30)은 건물의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관통슬리브 내부에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의 이동을 차단하는 내화충전재를 간단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관통슬리브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반경의 변경이 용이하여 다양한 크기 및 반경을 갖는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관통슬리브에 장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30)의 경우 내화충전재(45)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가로지지대(31a), 세로지지대(31b) 및 통기창(31c)을 포함하는 몸체부(31), 걸이부(32) 및 안착부(33)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59659호에는 "내화충전 구조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 구조체가 건물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 구조체는, 충전케이스(61), 충전재(62) 및 실링재(63)를 포함한다.
충전케이스(61)는 불연성 합성수지재료인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FRP)으로 이루어지며, 건물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되는 관통공(51a) 내측에 매입 설치되고, 관통부재(52)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다.
충전재(62)는 상기 충전케이스(61) 내부에 채워지며, 상기 충전재(62)는 충전케이스(61) 내부의 중간 부분에 충전되는 발포성 단열재(61a) 및 상기 발포성 단열재(61a)의 외측에 채워지는 내부 단열재(61b)로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 구조체는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보드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부식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현장에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 구조체의 경우, 충전케이스(61)에 충전재(62)를 채우는 방식이고, 실링재(63)를 수회 이상 도포해야 하므로 시공기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건축물에 설치되는 방화구획에 화재확산 방지를 위해 수직 또는 수평구획 부재를 관통하는 각종 배관 및 트레이 부분에 방화구획과 관통되는 배관 사이에는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화충전 구조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내화충전 구조는 건축물의 외벽과 바닥 사이에 길게 발생하는 선형충전구조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급수배관, 배수배관, 및 냉온배관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배관의 재질로는 금속류 및 플라스틱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플라스틱 배관 구조는 바닥 또는 벽을 관통하는 가연성 플라스틱 슬리브에 불연성 울(Wool)을 충진하고, 배관이 타면서 발생하는 관통부분을 막기 위해 발포성 충진재료를 사용하여 확산되는 화염을 차단하고 있다.
이때, 플라스틱 배관 용융으로 발생되는 부분은 막기 위해 사용하는 발포성 충진재료는 무기질 흑연을 유기물과 혼합하여 연질의 재료로 파이프 크기에 맞게 직접 성형하여 현장에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완성된 내화충전 구조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4~7 단계의 공정을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시공원가 상승 및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불연성 울(Wool) 부분에서 상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고자 실링재인 난연 실리콘을 수회 이상 도포해야 하고, 슬리브 내부에 무기질(흑연)류의 발포재 및 완충재를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원가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59659호(공개일: 2014년 5월 16일), 발명의 명칭: "내화 충전구조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61647호(출원일: 2013년 6월 5일), 발명의 명칭: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26388호(출원일: 2011년 9월 20일), 발명의 명칭: "건축물의 관통부용 플라스틱 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71322호(출원일: 2009년 9월 18일), 발명의 명칭: "관통 개구 내화 충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3-39469호(공개일: 2013년 4월 22일), 발명의 명칭: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와 그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3-806호(공개일: 2013년 1월 3일), 발명의 명칭: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하여 내화충전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1회 매립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기질 발포성 재료로 발포성 슬리브를 한 번에 사출하여 설치함으로써 내화충전 구조체의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관통부재를 설치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 사이의 공간(틈)을 밀폐시킴으로써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내화충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 구조체는 슬리브 및 내부 발포재로 이루어진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로서,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재료로 상기 슬리브 및 내부 발포재를 사출(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는 발포성 무기질 재료를 유기질 재료와 혼합하여 30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관통부재의 규격에 대응하는 특정 형태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는 바닥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고정하여 매립하며,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 자체가 발포 팽창되어 화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는 상기 바닥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상기 바닥을 관통시키며,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 자체가 발포 팽창되어 화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는, 상기 관통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틀은 상기 관통부재를 고정하여 상기 관통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는 화재시 온도상승 또는 화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는 상하부 테이퍼형, 전면 골선형 또는 일부 골선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의 전면 골선형 또는 일부 골선형은 슬리브 골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상기 슬리브 골선에 대응하는 고정틀 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의 전면 골선형 또는 일부 골선형은 슬리브 골선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골선에 대응하는 골선이 상기 관통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의 처짐 및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부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는 돌출부분의 신축성을 이용하도록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는 상기 관통부재의 수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는 독립적으로 또는 상기 슬리브 및 내부 발포재와 필요시 혼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는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 사이의 하부틈을 채우기 위해 날개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형 구조는 상부에서 채움이 있을 경우,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틈을 막아서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 및 미관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성 슬리브는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발포성 슬리브를 서로 맞끼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발포성 슬리브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관통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하여 내화충전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1회 매립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재료의 성형, 제작, 설치 및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1~2회의 시공으로도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질 발포성 재료로 발포성 슬리브를 한 번에 사출하여 설치함으로써 내화충전 구조체의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통 개구 내화 충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가 건물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다양하게 형성되는 발포성 슬리브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와 고정틀이 골선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2개로 분리된 발포성 슬리브가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내화충전 구조체의 시공을 위해서, 먼저, 배관의 외경과 내화충전 구조체의 시공 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바닥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를 뚫고 내화충전 구조체용 슬리브를 설치한다. 또는 바닥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하기 전에 내화충전 구조체용 슬리브를 설치한 후, 바닥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다. 이후, 상기 슬리브의 상부 뚜껑을 제거한 후에 강관 또는 플라스틱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배관 사이에 발생한 공간(틈)을 상기 내화충전 구조체로 추가 시공한 후에, 상기 배관을 별도로 고정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화충전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품을 제작, 성형 및 현장설치 등 4~7회의 작업공정으로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함으로써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1회 매립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는, 구성재료의 성형, 제작, 설치 및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1~2회의 시공으로도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무기질 발포성 재료로 발포성 슬리브를 한 번에 사출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110)에 마련된 관통공에 관통부재(120), 예를 들면, 배관을 설치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1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내화충전 구조체로서,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로 이루어진 발포성 슬리브(200) 및 고정틀(300)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는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를 사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발포성 슬리브(200)는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로 이루어지며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고정하여 매립하며,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는 발포성 재료로 상기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를 사출(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1~2회의 공정으로 내화충전 구조체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리브(210)는 발포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발포재(220)는 상기 슬리브(210)와 동일한 발포성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발포성 무기질 재료를 유기질 재료와 혼합하여 30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관통부재(120), 예를 들면, 배관의 규격에 대응하는 특정 형태로 사출된다. 여기서, 사출(Injection Molding)은 실린더 속에서 가열하여 녹인 플라스틱 재료를 노즐을 통하여 폐쇄된 거푸집 속에 밀어 넣고, 냉각하여 고체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화충전 구조체인 발포성 슬리브(200)를 무기질 발포성 재료를 다양한 형태로 사출함으로써 편리하게 생산 및 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는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고정하여 매립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상기 바닥(110)을 관통시키며,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 자체가 발포 팽창되어 화염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통부재(120)인 배관이 관통하는 바닥(110)에 설치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는 발포성 재료로 일정 크기의 발포성 슬리브(200)로 제작함으로써,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하고, 상기 바닥(110) 및 벽체에 관통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매립된 발포성 슬리브(200) 자체에서 화염을 차단할 수 있다.
고정틀(300)은 배관의 이동 및 변형을 방지하고자 설치되고, 상기 고정틀(300) 및 발포성 슬리브 내화충전 구조체(20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 및 시공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고정틀(300)과 발포성 슬리브 내화충전 구조체(200)는 배관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 및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배관의 이동 및 고정을 위해 설치되는 관통부 고정틀(300)도 매립된 발포성 슬리브(200)와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필요시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화충전 구조체의 원가를 절감하고, 시공 편리성을 강화하여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틀(300)은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틀(300)은 상기 관통부재(120)를 고정하여 상기 관통부재(12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화재시 온도상승 또는 화염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다양하게 형성되는 발포성 슬리브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는 예를 들면,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제1 발포성 슬리브로서 상하부 테이퍼형(20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가 얇고 중앙부가 두꺼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제2 발포성 슬리브로서 전면 골선형(200c)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제3 발포성 슬리브로서 일부 골선형(200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및 내주면 전체에 골선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만 골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전면 골선형(200c) 또는 일부 골선형(200d)은 슬리브 골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3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틀(300)에 상기 슬리브 골선(250)에 대응하는 고정틀 골선(3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전면 골선형(200c) 또는 일부 골선형(200d)은 슬리브 골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골선(250)에 대응하는 골선이 상기 관통부재(120)에 형성되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처짐 및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부재(1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120) 사이의 하부틈을 채우기 위해 날개형 구조(23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형 구조(230)는 상부에서 채움이 있을 경우,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틈을 막아서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 및 미관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슬리브 골선(250)은 골선의 돌출부분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상기 관통부재(120)의 수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부재(120)의 수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는 독립적으로 또는 상기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와 필요시 혼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결합 방식은 후술하는 도 9에 도시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와 고정틀이 골선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고정틀(300)은 고정틀 본체(310), 고정틀 체결부재(320) 및 고정틀 골선(330)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전면 골선형(200c) 또는 일부 골선형(200d)은 슬리브 골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3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틀(300)에 상기 슬리브 골선(250)에 대응하는 고정틀 골선(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120) 사이의 하부틈을 채우기 위해 날개형 구조(230)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형 구조(230)는 상부에서 채움이 있을 경우,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틈을 막아서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 및 미관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200)는 300℃ 이하의 온도에서 사출하여 다양한 형태로 편리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KS규격화 되어있는 파이프 배관에 대응하는 발포성 슬리브(200)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200)와 콘크리트 타설시 접하는 면의 형상에 의해 자동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바닥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에서 이탈 및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는 사각형, 원형 등으로 규격화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연결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2개로 분리된 발포성 슬리브가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200)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발포성 슬리브(200-1, 200-2)로 형성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의 연결 방식으로서,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발포성 슬리브(200-1, 200-2)를 서로 맞끼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의 관통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발포성 슬리브(200-1, 200-2)의 맞끼움 연결 방식은 현장 설치시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발포성 슬리브(200-1, 200-2) 각각을 연결한 후 고정시키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지만, 전술한 일체형보다 작은 크기로 제조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운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200)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고, 또한,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로 분할된 형태로 사출 성형되고, 서로 조립 체결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하여 내화충전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1회 매립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성재료의 성형, 제작, 설치 및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1~2회의 시공으로도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무기질 발포성 재료로 발포성 슬리브를 한 번에 사출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바닥 또는 벽체
120: 관통부재
200: 발포성 슬리브
200a: 제1 발포성 슬리브(상하부 테이퍼형)
200b: 제2 발포성 슬리브(전면 골선형)
200c: 제3 발포성 슬리브(일부 골선형)
210: 슬리브(Sleeve)
220: 내부 발포재
230: 날개형 구조
240: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
250: 슬리브 골선
300: 고정틀
310: 고정틀 본체
320: 고정틀 체결부재
330: 고정틀 골선

Claims (13)

  1. 건축물의 바닥(110)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관통부재(120)를 설치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120) 사이의 공간(틈)을 밀폐시킴으로써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내화충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 구조체는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로 이루어진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로서,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재료로 상기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를 사출(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발포성 무기질 재료를 유기질 재료와 혼합하여 상기 관통부재(120)의 규격에 대응하는 특정 형태로 사출되며,
    상기 슬리브(210)는 발포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발포재(220)는 상기 슬리브(210)와 동일한 발포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210) 및 상기 내부 발포재(220)가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 자체가 발포 팽창되어 화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고정하여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기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상기 바닥(110)을 관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틀(300)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300)은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틀(300)은 상기 관통부재(120)를 고정하여 상기 관통부재(12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화재시 온도상승 또는 화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하부 테이퍼형(200a), 전면 골선형(200b) 또는 일부 골선형(200c)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전면 골선형(200c) 또는 일부 골선형(200d)은 슬리브 골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3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틀(300)에 상기 슬리브 골선(250)에 대응하는 고정틀 골선(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전면 골선형(200c) 또는 일부 골선형(200d)은 슬리브 골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골선(250)에 대응하는 골선이 상기 관통부재(120)에 형성되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처짐 및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부재(1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돌출부분의 신축성을 이용하도록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는 상기 관통부재(120)의 수직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는 독립적으로 또는 상기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와 필요시 혼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120) 사이의 하부틈을 채우기 위해 날개형 구조(230)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형 구조(230)는 상부에서 채움이 있을 경우,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틈을 막아서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 및 미관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는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발포성 슬리브(200-1, 200-2)를 서로 맞끼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관통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KR1020140162708A 2014-11-20 2014-11-20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KR10162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08A KR101622540B1 (ko) 2014-11-20 2014-11-20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08A KR101622540B1 (ko) 2014-11-20 2014-11-20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540B1 true KR101622540B1 (ko) 2016-05-19

Family

ID=5610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08A KR101622540B1 (ko) 2014-11-20 2014-11-20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5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418A (ja) * 2016-12-28 2018-07-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固定枠及び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KR20220057720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파이어넷 수직배관의 화재 저항 구조체
KR102587308B1 (ko) 2023-06-05 2023-10-12 주식회사 파이어넷 내화채움재의 비산 탈락 방지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54A (ja) * 2002-06-24 2004-01-29 Inaba Denki Sangyo Co Ltd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JP2014128688A (ja) 2014-01-28 2014-07-10 Inaba Denki Sangyo Co Ltd 貫通孔防火措置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54A (ja) * 2002-06-24 2004-01-29 Inaba Denki Sangyo Co Ltd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JP2014128688A (ja) 2014-01-28 2014-07-10 Inaba Denki Sangyo Co Ltd 貫通孔防火措置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418A (ja) * 2016-12-28 2018-07-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固定枠及び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KR20220057720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파이어넷 수직배관의 화재 저항 구조체
KR102587308B1 (ko) 2023-06-05 2023-10-12 주식회사 파이어넷 내화채움재의 비산 탈락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672B2 (en) Intumescent backer rod
US11549259B2 (en) Fire resistant construction block
JP5427782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622540B1 (ko)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101519816B1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20130000806A (ko)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KR100701208B1 (ko) 건물의 외장 단열구조
JP7237187B2 (ja) チューブ状封止要素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98448A (ko)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JP2015200110A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20180124620A (ko) 방화자켓
KR101618593B1 (ko)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JP2017214749A (ja) ドア装置
JP3130233U (ja) 建築物の防火区画配線構造体
CN203188387U (zh) 一种现浇砼复合构件
KR102008627B1 (ko) 결로 방지 및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아파트의 외벽 부착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방법
EP3792420A1 (en) Fireproof structure for through-penetration firestopping of building
RU2720431C1 (ru) Фасад для зд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асада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асада здания
KR200377961Y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KR102223935B1 (ko) 단열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321970B1 (ko) 화재 시 기밀효과를 갖는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0573B1 (ko) 리모델링 주택의 외단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