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620A - 방화자켓 - Google Patents

방화자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620A
KR20180124620A KR1020170059449A KR20170059449A KR20180124620A KR 20180124620 A KR20180124620 A KR 20180124620A KR 1020170059449 A KR1020170059449 A KR 1020170059449A KR 20170059449 A KR20170059449 A KR 20170059449A KR 20180124620 A KR20180124620 A KR 20180124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t shielding
foamed
foa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관
Original Assignee
장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관 filed Critical 장대관
Priority to KR102017005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4620A/ko
Publication of KR2018012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방화자켓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건물 벽, 바닥, 천정 등의 관통홀에 플라스틱 파이프를 설치함에 있어서 방화 구조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시공 시간을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방화자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자켓{Fire-stopping Pipe Jacket}
본 실시예는 방화자켓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또는 선박의 벽, 바닥, 천정 등의 관통홀에 삽입된 파이프 둘레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파이프가 녹아내림에 따라 화염 또는 온도 상승에 의해 발포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한 유독가스 및 화염 통로를 차폐하는 방화자켓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건물 내의 벽 관통홀에 플라스틱 파이프가 삽입 설치되는 곳에는 관련 건축법 및 소방법 등에 의해 화재 발생 시 플라스틱 파이프가 녹아 내려도 상기 관통홀을 통한 유독가스 또는 화염이 상기 벽의 반대편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방화자켓이다.
방화자켓에는 화염 또는 온도 상승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내화성 발포재가 충진되어 있어, 플라스틱 파이프가 녹아내려 없어진 부분을 메꾸어 유독가스 등의 벽 이동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종래의 방화자켓은 이러한 발포재와 발포재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피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피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얇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만들어 지는데 방화자켓을 파이프 둘레에 감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조와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발포재는 원가가 고가인 관계로 최소한의 양만큼만 사용되기 때문에 방화자켓의 반경방향 두께는 얇은 것이 일반적이다.
방화자켓의 두께는 벽 관통홀의 직경과 파이프 외경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종래에 파이프 시공에 있어서는, 우선, 파이프를 벽 관통홀에 삽입하여 설치한 후 관통홀과 파이프 사이의 틈새 공간에 시멘트 몰탈, 실런트 등으로 채웠으며, 그 다음으로 방화자켓을 파이프 둘레에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시멘트 몰탈, 실런트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와 벽 관통홀 사이의 틈새를 메꿔야 하기 때문에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종래의 방안으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5-0004375에서 제시된 입상관 고정장치가 있으나 이는 커버에 해당되는 원통형 슬리브 안쪽에 발포재에 해당하는 충진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고가의 충진재가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건물 또는 선박의 벽, 바닥, 천정 등의 관통홀에 플라스틱 파이프를 설치함에 있어서 방화 구조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시공 시간을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방화자켓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방화자켓은 발포재, 상기 발포재 외주를 둘러싸는 차열재 및 상기 차열재 외주를 둘러싸고 길이방향 일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폴딩되어 건축물 또는 선박의 벽, 바닥, 천정 등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포재 두께는 화재 발생 시 발포되어 발포재 내경 면적만큼을 메꿀 수 있는 양으로 결정되고, 차열재 두께는 설치 시에 상기 관통홀 중 상기 발포재에 의해 막히는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결정된다.
방화자켓의 외경은 시공될 관통홀의 외경 치수보다는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열재는 불연 보온재이며, 관통홀의 중심과 파이프 중심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시공에 문제가 없도록, 차열재는 발포재의 반경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상기 발포재보다는 소프트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발포재는 발포성 그래파이트로 만들어지고, 상기 차열재는 세라믹울, 미네랄울, 글라스울, 난연 또는 불연 폼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진 불연 보온재일 수 있다.
또한, 발포재, 차열재, 커버는 벌려진 상태에서 파이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구조이며, 커버는 파이프 장착 후 양단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커버는 길이방향 일단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차열재와 상기 발포재의 일단면을 지지하며 각각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체결수단은 커버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설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슬릿홈 및 제2슬릿홈, 커버의 원주방향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양측편 및 중앙편을 포함한다.
커버 일단은 상기 제2슬릿홈 부분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고, 상기 커버 타단의 상기 한 쌍의 양측면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커버 일단의 폴딩된 부분과 맞대어지고, 상기 중앙편은 상기 제2슬릿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슬릿홈을 지난 후 뒤로 다시 폴딩된다.
한편, 커버의 소재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져 부식에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방화자켓은 건축물 또는 선박의 벽, 바닥, 천정 등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불에 녹아 내리는 소재로 만들어진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화염 또는 고온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발포재, 상기 발포재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 내주면과 상기 발포재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는 차열재 및 상기 차열재 외주를 둘러싸며, 상기 벽, 바닥, 천정 등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화자켓은 고가의 발포재의 양은 최소량만 사용하면서 차열재를 이용하여 방화 성능은 좋아지고, 비용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시멘트 몰탈, 실런트 등에 의해 파이프를 먼저 벽 등에 설치 시공하던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시공 시간이 상당히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자켓을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에 방화자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자켓 커버에 발포재와 차열재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자켓 커버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방화자켓을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한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자켓(100)을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500)에 방화자켓(1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자켓(100)은 발포재(200), 차열재(300) 및 커버(400)를 포함한다.
방화자켓(100)의 발포재(200), 차열재(300), 커버(400)는 벌려진 상태에서 파이프(5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구조이다.
발포재(200)는 원통형 형상이고, 발포재(200) 두께는 화재 발생 시 발포되어 발포재(200)의 내경 면적을 메꿀 수 있는 양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발포재(200)는 발포성 그래파이트로 만들어진다.
발포재(200)는 건축물의 벽, 바닥, 천정 등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불에 녹아 내리는 소재로 만들어진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화염 또는 고온에 의해 부피가 팽창한다.
차열재(300)는 발포재(200)의 외주를 둘러싸는 원통형이고, 불연 보온재이면서 발포재(200)의 반경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발포재(200)보다는 소프트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방화자켓(100)이 파이프(500)와 결합하는 경우, 파이프의 각도나 벽 관통홀 중심에 대한 위치가 조절 가능하여 좀 더 유연하게 파이프(500)에 설치되고 벽 관통홀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열재(300) 두께는 설치 시에 벽 관통홀 중 발포재(200)에 의해 막히는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결정된다. 여기서, 차열재(300)는 불연재 또는 난연재로서, 예컨대, 세라믹울, 미네랄울, 글라스울, 난연 또는 불연 폼(Foam)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진 불연 보온재이다.
차열재(300)는 발포재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관통홀 내주면과 발포재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폐쇄한다.
커버(400)는 차열재(300) 외주를 둘러싸고 길이방향 일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폴딩되어 벽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30)을 구비한다. 도 2를 보면, 커버(400)의 복수개 고정수단(430)이 각각 볼트(450)에 의해 벽에 고정된다.
커버(400)는 길이방향 타단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차열재(300)와 발포재(200)의 일단면을 지지하며 각각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부(4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부(41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커버(400) 안쪽에 위치하는 발포재(200)와 차열재(300)를 지지한다.
커버(400)는 방화자켓(100)을 파이프(500)에 장착 후 양단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420)을 구비한다.
한편, 커버(400)의 소재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져 부식에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00)는 차열재(300)외주를 둘러싸며, 벽, 바닥, 천정 등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30)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자켓(100) 커버(400)에 발포재(200)와 차열재(300)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재(200)는 차열재(300)의 두께보다 얇으며, 화재 발생 시 발포되어 내경 면적을 메꿀 수 있는 양으로 결정된다. 차열재(300)는 발포재(20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차열재(300)의 두께는 설치 시에 벽 관통홀 중 발포재(200)에 의해 막히는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결정된다. 고가의 발포재(200)로 커버(400) 안쪽을 채우게되면 방화자켓(100)의 비용이 올라가게 되는데 화재 발생 시 발포되어 내경 면적을 메꿀 수 있는 최소량의 발포재(200)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공간은 차열재(300)로 메꾸기 때문에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발포재(200)와 차열재(300)의 일단은 커버(400)의 안쪽에 결합되어 커버(4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된 복수개의 지지부(410)에 의해 커버(400) 밖으로 나오지 않고 지지된다. 발포재(200)와 차열재(300)의 타단은 벽쪽에 지지되며, 방화자켓(100)은 커버(40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폴딩되어 벽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30)에 의해 벽에 고정된다.
또한,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발포재(200) 및 차열재(300)은 원주 방향 중 적어도 한 곳에서 절개된 절개부(201, 301)를 포함한다. 그러한 절개부(201, 301) 때문에 발포재(200) 및 차열재(300)는 방화자켓(100)을 파이프(500)에 벌려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자켓(100) 커버(400)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방화자켓(100)의 커버(400)는 지지부(410), 체결수단(420) 및 고정수단(430)을 포함한다.
지지부(410)는 커버(400)의 길이방향 일단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차열재(300)와 발포재(200)의 일단면을 지지하며 각각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된다. 지지부(410)는 각각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복수개 배열된다.
체결수단(420)은 파이프(500)에 장착 후 양단을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커버(400)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설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슬릿홈(422) 및 제2슬릿홈(424), 커버의 원주방향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양측편(426) 및 중앙편(428)을 포함한다.
고정수단(430)은 커버(400)의 길이방향 일단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폴딩되어 벽에 고정된다. 도 4에서 고정수단(430)은 제1 고정수단(432), 제2 고정수단(434), 제3 고정수단(436) 및 제4 고정수단(438)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1 내지 제4 고정수단(432, 434, 436, 438)은 가운데 각각 고정홀(440)이 구비된다. 제1 고정수단(432)에는 제1 고정홀(442), 제2 고정수단(434)에는 제2 고정홀(444), 제3 고정수단(436)에는 제3 고정홀(446), 제4 고정수단(438)에는 제4 고정홀(448)이 구비된다. 고정홀(440) 각각에 볼트(450)가 결합되어 방화자켓(100)을 벽에 고정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방화자켓을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①, ②를 보면, 방화자켓(100)은 발포재(200), 차열재(300), 커버(400) 순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커버(400)가 발포재(200)와 차열재(300)를 감싸는 형상이다. 차열재(300)의 두께는 발포재(200)보다 두꺼우며, 커버(400)와 발포재(200) 사이의 공간을 메꿀 수 있는 양이다.
도 6의 ③, ④를 보면, 커버(400)는 파이프(500) 장착 후 양단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420)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6의 ③을 보면, 체결수단(420)은 커버(400)의 원주방향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양측편(426) 및 중앙편(428)을 포함한다. 또한, 도 6의 ④를 보면, 체결수단(420)은 커버(400)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설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슬릿홈(422) 및 제2슬릿홈(424)을 포함한다.
도 7의 ⑤, ⑥과 도 8의 ⑦을 보면, 체결수단(420)은 커버(400)의 원주방향 일단 제2슬릿홈(424) 부분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고, 커버(400)의 원주방향 타단 한 쌍의 양측면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커버(400) 일단의 폴딩된 부분과 맞대어지고, 중앙편(428)은 제2슬릿홈(424)을 관통하여 제1슬릿홈(422)을 지난 후 뒤로 다시 폴딩된다.
도 8의 ⑧은 방화자켓(100)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방화자켓(100) 커버(400)의 지지부(410)는 길이방향 일단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차열재(300)와 발포재(200)의 일단면을 지지하며 각각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9의 ⑨를 보면, 발포재(200)와 차열재(300)의 타단을 벽쪽에 지지하기 위한 커버(40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폴딩되어 벽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30)이 구비된다.
위 실시예에서는 건축물 벽의 관통홀에 대해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벽 이외에도 바닥, 천정 등 건축물의 전반의 관통홀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이외에도 선박 등 조선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화자켓
200: 발포재
201, 301: 절개부
300: 차열재
400: 커버
410: 지지부
420: 체결수단
422: 제1슬릿홈
424: 제2슬릿홈
426: 양측편
428: 중앙편
430: 고정수단
432: 제1 고정수단
434: 제2 고정수단
436: 제3 고정수단
438: 제4 고정수단
440: 고정홀
442: 제1 고정홀
444: 제2 고정홀
446: 제3 고정홀
448: 제4 고정홀
450: 볼트
500: 파이프

Claims (7)

  1. 발포재;
    상기 발포재 외주를 둘러싸는 차열재; 및
    상기 차열재 외주를 둘러싸고 길이방향 일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폴딩되어 건축물 또는 선박의 벽, 바닥, 천정 등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방화자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두께는 화재 발생 시 발포되어 내경 면적을 메꿀 수 있는 양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열재 두께는 설치 시에 상기 벽, 바닥, 천정 등의 관통홀 중 상기 발포재에 의해 막히는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자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재는 불연 보온재이면서 상기 발포재의 반경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상기 발포재보다는 소프트한 소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자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는 발포성 그래파이트이며, 상기 차열재는 세라믹울, 미네랄울, 글라스울, 난연 또는 불연 폼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진 불연 보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자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상기 차열재, 상기 커버는 벌려진 상태에서 파이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구조이며, 상기 커버는 파이프 장착 후 양단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자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 일단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차열재와 상기 발포재의 일단면을 지지하며 각각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버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설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슬릿홈 및 제2슬릿홈, 상기 커버의 원주방향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양측편 및 중앙편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 일단은 상기 제2슬릿홈 부분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고, 상기 커버 타단의 상기 한 쌍의 양측면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커버 일단의 폴딩된 부분과 맞대어지고, 상기 중앙편은 상기 제2슬릿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슬릿홈을 지난 후 뒤로 다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자켓.
  7. 건축물 또는 선박의 벽, 바닥, 천정 등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불에 녹아 내리는 소재로 만들어진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화염 또는 고온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발포재;
    상기 발포재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 내주면과 상기 발포재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는 차열재; 및
    상기 차열재 외주를 둘러싸며, 상기 벽, 바닥, 천정 등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방화자켓.
KR1020170059449A 2017-05-12 2017-05-12 방화자켓 KR20180124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49A KR20180124620A (ko) 2017-05-12 2017-05-12 방화자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49A KR20180124620A (ko) 2017-05-12 2017-05-12 방화자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20A true KR20180124620A (ko) 2018-11-21

Family

ID=6460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49A KR20180124620A (ko) 2017-05-12 2017-05-12 방화자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46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979B1 (ko) 2019-10-14 2020-07-23 박기태 체인 형식의 발포 실링 시스템
CN111946945A (zh) * 2020-06-10 2020-11-17 江苏扬园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陶瓷贴片耐磨管道及其加工工艺
KR102377619B1 (ko) * 2020-09-25 2022-03-22 박기태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979B1 (ko) 2019-10-14 2020-07-23 박기태 체인 형식의 발포 실링 시스템
WO2021075656A1 (ko) * 2019-10-14 2021-04-22 박기태 체인 형식의 발포 실링 시스템
CN111946945A (zh) * 2020-06-10 2020-11-17 江苏扬园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陶瓷贴片耐磨管道及其加工工艺
KR102377619B1 (ko) * 2020-09-25 2022-03-22 박기태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945B2 (ja) 防火構造体、および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
KR930005717B1 (ko) 방화구획체에서의 합성수지제 배관물 관통부의 방화조치구조
JP5543744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4933412B2 (ja) 熱膨張性耐火具及び耐火構造
JP5427782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80124620A (ko) 방화자켓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US4219173A (en) Insulated pipe supports
JP2014148998A (ja) シール構造
PT846238E (pt) Casquilho resistente ao fogo para cabos tubos e canais
JP3160790U (ja) 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構造
JP6348320B2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JP2015209933A (ja)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JP2004353787A (ja) 防火区画貫通部の断熱被覆金属管の施工方法及び防火区画貫通部構造
KR20190096568A (ko)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KR101622540B1 (ko)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KR20180018248A (ko)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JP6799524B2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JP2008510943A (ja) 隔壁の設置構造用の火災保護構造
KR20160053606A (ko) 방화용 조립식 패널
KR20190068167A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101805156B1 (ko) 부스덕트
KR102073509B1 (ko)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EP3792420A1 (en) Fireproof structure for through-penetration firestopping of building
KR101938732B1 (ko)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