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248A -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248A
KR20180018248A KR1020160166232A KR20160166232A KR20180018248A KR 20180018248 A KR20180018248 A KR 20180018248A KR 1020160166232 A KR1020160166232 A KR 1020160166232A KR 20160166232 A KR20160166232 A KR 20160166232A KR 20180018248 A KR20180018248 A KR 20180018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teel
pipe
inner sleev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운
Original Assignee
김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운 filed Critical 김정운
Priority to PCT/KR2017/0070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30641A1/ko
Publication of KR2018001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로서,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Steel Wall) 또는 스틸 데크(Steel Deck)를 관통하여 설치될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될 중공 형상의 내부 슬리브(Inner Sleeve); 상기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으로 상기 내부 슬리브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Outer Sleeve); 상기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되는 중공의 내부에 충진 되는 내화 충전재; 상기 내부 슬리브와 상기 외부 슬리브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자재(Insulation); 및 상기 내부 슬리브와 상기 외부 슬리브 각각의 양단 개방 부위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에 따르면,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의 중공의 내부로 내화 충전재가 충진 되어 밀봉되고,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는 형태로 외부 슬리브를 구성하여 이중 슬리브를 구현하되, 내부 슬리브와 외부 슬리브 사이의 이격 공간에 단열자재가 채워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도록 하고, 그에 따른 단열재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슬리브 구조의 적용으로 별도의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는 구성으로,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서의 설치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그에 따른 시공 작업자의 인원 및 시공 시간을 최소화하며, 기존의 단열재 시공 없이도 방화구획 내의 화재 확산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단열자재가 시멘트, 콘크리트, 석고, 및 발포성 불연 단열재 등과 같은 고형의 단열재로 구성되는 경우, 내부 슬리브와 밀폐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생략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A DOUBLE INSULATION SLEEVE FOR STEEL PLATE THROUGH PLASTIC PIPE AND WIRE}
본 발명은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별도의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금속 파이프가 건물의 바닥 또는 벽의 방화구획을 관통할 때, 건축법(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2항)에 의거하여 방화구획과 동일하게 관통부도 내화 충전구조를 유지하도록 명문화하고 있다. 즉, 건축 관련 법규(예를 들면, 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 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이상의 화염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의 밀폐는 중요하다.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 증명해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관통부를 법적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 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슬리브의 설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A'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슬리브는,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11)의 관통 홀에 설치하되,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전선(13)이 슬리브(21)의 중공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슬리브(21)의 중공의 내부에 내화 충전재(22)가 충진 되며, 슬리브(21)의 양단의 개방된 부위에 밀폐부(23)가 밀봉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슬리브의 설치 방식은 내화 충전재(22)에 전달되는 온도의 적정 값을 유지하기 위해서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11)를 통한 열의 전도를 막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11)를 단열재(12)로 시공 처리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슬리브 시공은 단열재(12) 시공에 따른 자재비의 증가와 함께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슬리브 시공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는 구역을 설정해야 하고, 양 방향 모두에 화재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11)로 나뉘는 건축물의 양쪽을 모두 단열재 시공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의 작업 공수의 증가는 물론, 이에 따른 인건비 상승 및 시공 시간의 증가로 작업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9642호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보온이 완료된 금속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의 중공의 내부로 내화 충전재가 충진 되어 밀봉되고,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는 형태로 외부 슬리브를 구성하여 이중 슬리브를 구현하되, 내부 슬리브와 외부 슬리브 사이의 이격 공간에 단열자재가 채워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도록 하고, 그에 따른 단열재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줄여 줄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슬리브 구조의 적용으로 별도의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는 구성으로,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서의 설치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그에 따른 시공 작업자의 인원 및 시공 시간을 최소화하며, 기존의 단열재 시공 없이도 방화구획 내의 화재 확산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단열자재가 시멘트, 콘크리트, 석고, 및 발포성 불연 단열재 등과 같은 고형의 단열재로 구성되는 경우, 내부 슬리브와 밀폐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생략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로서,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Steel Wall) 또는 스틸 데크(Steel Deck)를 관통하여 설치될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될 중공 형상의 내부 슬리브(Inner Sleeve);
상기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으로 상기 내부 슬리브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Outer Sleeve);
상기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되는 중공의 내부에 충진 되는 내화 충전재;
상기 내부 슬리브와 상기 외부 슬리브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자재(Insulation); 및
상기 내부 슬리브와 상기 외부 슬리브 각각의 양단 개방 부위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 보온 슬리브는,
상기 내부 슬리브와 상기 외부 슬리브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자재를 매개로 이중화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자재를 통해 상기 내부 슬리브의 중공의 공간에 채워지는 내화 충전재가 직접 고열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 및 전선에서 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 스틸 재질, 비철 재질 및 GRE(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슬리브 및 외부 슬리브는,
상기 내부 슬리브가 중공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스틸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슬리브는 상기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는 대응하는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화 충전재는,
화재 발생 시, 소실되는 파이프 또는 전선에 의해 이격된 공간으로 화재 번짐이 발생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특정 고온에서 수배로 팽창하는 방화 실란트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부는,
불연(난연)성 재질의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자재는,
시멘트, 콘크리트, 석고, 및 발포성 불연 단열재를 포함하는 고형의 단열재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자재가 고형의 물성을 갖는 단열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내부 슬리브와 밀폐부의 구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에 따르면,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의 중공의 내부로 내화 충전재가 충진 되어 밀봉되고,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는 형태로 외부 슬리브를 구성하여 이중 슬리브를 구현하되, 내부 슬리브와 외부 슬리브 사이의 이격 공간에 단열자재가 채워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도록 하고, 그에 따른 단열재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슬리브 구조의 적용으로 별도의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는 구성으로,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서의 설치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그에 따른 시공 작업자의 인원 및 시공 시간을 최소화하며, 기존의 단열재 시공 없이도 방화구획 내의 화재 확산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단열자재가 시멘트, 콘크리트, 석고, 및 발포성 불연 단열재 등과 같은 고형의 단열재로 구성되는 경우, 내부 슬리브와 밀폐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생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슬리브의 설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A-A'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설치된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A-A'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의 투영 사시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설치된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A-A'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의 투영 사시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100)는, 내부 슬리브(110), 외부 슬리브(120), 내화 충전재(130), 단열자재(140), 및 밀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슬리브(110)는,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Steel Wall) 또는 스틸 데크(Steel Deck)(11)를 관통하여 설치될 파이프 및 전선(13)이 배치될 중공 형상의 내부 커버의 구성이다. 이러한 내부 슬리브(Inner Sleeve)(110)는 중공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스틸(steel)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슬리브(110)는 중공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장방형의 형태를 일례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원통형이나 사각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슬리브(110)는 후술하게 될 외부 슬리브(12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이중화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및 전선(13)에서 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 스틸 재질, 비철 재질 및 GRE(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부 슬리브(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이프가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외부 슬리브(120)는,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11)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통해 체결되며, 내부 슬리브(110)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으로 내부 슬리브(110)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의 구성이다. 이러한 외부 슬리브(Outer Sleeve)(120)는 중공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슬리브(120)는 내부 슬리브(110)를 수용하는 대응하는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장방형의 내부 슬리브(110)에 대응하는 장방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슬리브(110)가 원통형이나 사각형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내화 충전재(130)는, 파이프 및 전선(13)이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110)의 중공의 내부에 충진 되는 열팽창 내화재의 구성이다. 이러한 내화 충전재(130)는 화재 발생 시, 소실되는 파이프 또는 전선(13)에 의해 이격된 공간으로 화재 번짐이 발생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특정 고온에서 수배로 팽창하는 방화 실란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자재(140)는, 내부 슬리브(110)와 외부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의 구성이다. 이러한 단열자재(Insulation)(140)는 이중 슬리브 형태를 구성하는 내부 슬리브(110)와 외부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지고, 단열자재(140)를 통해 내부 슬리브(110)의 중공의 공간에 채워지는 내화 충전재(130)가 직접 고열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슬리브 설치의 기존 방식에서 요구되는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11)에 시공되던 단열재(Insulation)(12) 설치의 시공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단열자재(140)는 파이프 및 전선(13)을 제외한 내부 슬리브(110) 전체를 단열시키는 구조로 설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자재(140)는 시멘트, 콘크리트, 석고, 및 발포성 불연 단열재를 포함하는 고형의 단열재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자재(140)가 고형의 물성을 갖는 단열재로 구성되는 경우, 내부 슬리브(110)와 밀폐부(150)의 구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생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단열자재(140) 자체가 최종적으로 고형이므로 굳이 내부 슬리브(110)가 없이도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에도 원형이 유지되므로 스틸 재질의 내부 슬리브(110)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150)인 난연 실리콘 역시도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게 된다.
밀폐부(150)는, 내부 슬리브(110)와 외부 슬리브(120) 각각의 양단 개방 부위를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밀폐부(150)는 불연(난연)성 재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슬리브(110)의 양단 개방 부위와 외부 슬리브(120)의 양단 개방 부위는 불연(난연)성 재질의 실리콘을 통해 각각 밀봉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는, 파이프 및 전선이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의 중공의 내부로 내화 충전재가 충진 되어 밀봉되고,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는 형태로 외부 슬리브를 구성하여 이중 슬리브를 구현하되, 내부 슬리브와 외부 슬리브 사이의 이격 공간에 단열자재가 채워지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도록 하고, 그에 따른 단열재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줄여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중 슬리브 구조의 적용으로 별도의 단열재 시공이 필요 없는 구성으로,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에서의 설치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그에 따른 시공 작업자의 인원 및 시공 시간을 최소화하며, 기존의 단열재 시공 없이도 방화구획 내의 화재 확산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
12: 단열재
13: 파이프 또는 전선
21: 슬리브
22: 내화 충전재
23: 밀폐부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 슬리브
110: 내부 슬리브
120: 외부 슬리브
130: 내화 충전재
140: 단열자재
150: 밀폐부

Claims (7)

  1.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100)로서,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Steel Wall) 또는 스틸 데크(Steel Deck)(11)를 관통하여 설치될 파이프 및 전선(13)이 배치될 중공 형상의 내부 슬리브(Inner Sleeve)(110);
    상기 화재 노출 구역의 스틸 격벽 또는 스틸 데크(11)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내부 슬리브(110)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으로 상기 내부 슬리브(110)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Outer Sleeve)(120);
    상기 파이프 및 전선(13)이 배치되는 중공의 내부에 충진 되는 내화 충전재(130);
    상기 내부 슬리브(110)와 상기 외부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자재(Insulation)(140); 및
    상기 내부 슬리브(110)와 상기 외부 슬리브(120) 각각의 양단 개방 부위를 밀폐하는 밀폐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보온 슬리브(100)는,
    상기 내부 슬리브(110)와 상기 외부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자재(140)를 매개로 이중화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자재(140)를 통해 상기 내부 슬리브(110)의 중공의 공간에 채워지는 내화 충전재(130)가 직접 고열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및 전선(13)에서 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 스틸 재질, 비철 재질 및 GRE(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리브(110) 및 외부 슬리브(120)는,
    상기 내부 슬리브(110)가 중공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스틸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슬리브(120)는 상기 내부 슬리브(110)를 수용하는 대응하는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충전재(130)는,
    화재 발생 시, 소실되는 파이프 또는 전선(13)에 의해 이격된 공간으로 화재 번짐이 발생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특정 고온에서 수배로 팽창하는 방화 실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150)는,
    불연(난연)성 재질의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자재(140)는,
    시멘트, 콘크리트, 석고, 및 발포성 불연 단열재를 포함하는 고형의 단열재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자재(140)가 고형의 물성을 갖는 단열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내부 슬리브(110)와 밀폐부(150)의 구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KR1020160166232A 2016-08-10 2016-12-07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KR20180018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062 WO2018030641A1 (ko) 2016-08-10 2017-07-04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92 2016-08-10
KR20160101692 2016-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48A true KR20180018248A (ko) 2018-02-21

Family

ID=6152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232A KR20180018248A (ko) 2016-08-10 2016-12-07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82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459A (ko) * 2018-08-30 202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풀링 핸들 와이어 로프용 관통 피스
CN112585325A (zh) * 2019-07-30 2021-03-30 金政辉 用于防止火灾在建筑物贯穿部扩散的耐火结构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459A (ko) * 2018-08-30 202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풀링 핸들 와이어 로프용 관통 피스
CN112585325A (zh) * 2019-07-30 2021-03-30 金政辉 用于防止火灾在建筑物贯穿部扩散的耐火结构物
EP3792420A4 (en) * 2019-07-30 2021-07-07 Jung Un Kim FIRE-RESISTANT STRUCTURE FOR BUILDING THROUGH FIRE BARRI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4210A (en) Fire barrier device
US11703154B2 (en) Conduit through which at least one pipe or cable extends, and method for sealing such a conduit
EP21264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in a conduit a space between an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at least one pipe or cable extending through the conduit
KR102084022B1 (ko)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US9660428B2 (en) Fireproof wall lead-through for an electrically insulated condu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fireproof wall lead-through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PT846238E (pt) Casquilho resistente ao fogo para cabos tubos e canais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KR20180018248A (ko)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AU2018226076B2 (en) Fire protection element
JP2010148183A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
KR20190096568A (ko)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US20210222802A1 (en) Firestop penetration device and sealing system
KR20150001347A (ko) 벽 관통부의 파이어 씰링구조
WO2018030641A1 (ko)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JP2012081175A (ja) ケーブルダクトの防火区画処理構造
WO2021020614A1 (ko)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JP3883913B2 (ja)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KR20150100233A (ko)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와 그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의 시공방법
RU2761812C1 (ru) Гибкая накладная огнестойкая кабельная проходка для тонкостенных преград
KR102318532B1 (ko) 선택적 내향 실링을 이용한 벽체 관통구 케이싱 시스템
US10294660B2 (en) Line leadthrough for the leadthrough of lines through a component
SK73194A3 (en) Sealed cable penetrations and a method for pulling cable through such cable penetration
FI20206210A1 (fi) Palokatkolevy, palokatkoelementti ja osastoiva rakennusosa
KR20220001730U (ko) 탈부착 덮개를 구비한 개방형 방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