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816B1 -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816B1
KR101519816B1 KR1020130113188A KR20130113188A KR101519816B1 KR 101519816 B1 KR101519816 B1 KR 101519816B1 KR 1020130113188 A KR1020130113188 A KR 1020130113188A KR 20130113188 A KR20130113188 A KR 20130113188A KR 101519816 B1 KR101519816 B1 KR 10151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refractory filler
refractory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328A (ko
Inventor
장동식
최낙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to KR102013011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8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6Sealing by means of a swivel nut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층간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슬래브층에 매설되어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하부가 관통된 관통슬리브를 통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관통슬리브 내부에 구비되는 내화충전재를 고정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내화충전재가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의 공간에서 간단 용이하게 고정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의 높은 열에 내화충전재가 팽창하여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 공간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장치의 높이 조절이 간단 용이하여 관통슬리브의 두께/높이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화충전재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fireproof filling elemen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층간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슬래브층에 매설되어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하부가 관통된 관통슬리브를 통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충전재를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에 고정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 층간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슬래브층에 매설되어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하부가 관통된 관통슬리브를 통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충전재를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관통슬리브 내부에 고정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내화충전재가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의 공간에서 간단 용이하게 고정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의 높은 열에 내화충전재가 팽창하여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 공간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장치의 높이 조절이 간단 용이하여 관통슬리브의 두께/높이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관련 법규(예, 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이상 화염(1,049℃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의 밀폐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한다. 관통부를 법정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내화충전재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계인 암면(MINERALWOOL), 세라믹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는 널리 알려져 있는 제품으로 내화 충전구조에 중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내화충전재를 배관이 관통하는 슬래브층의 관통부 또는 배관이 관통하는 관통슬리브 내에 고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살펴보면, 합성수지재(PVC) 또는 금속재의 배관에 내화충전재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배관의 외면에 상기 내화충전재를 접착제로 붙이거나, 끈 또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배관에 묶어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내화충전재의 고정방법은 일반적으로 배관 또는 파이프 관통부 틈새는 원형의 형태이기 때문에 판상의 내화충전재로 채워 넣기 작업이 수월하지 않으며, 배관에 접착제 또는 끈으로 묶여 고정되어 있던 상기 내화충전재가 화재발생시 열에 의해 끈 또는 테이프가 녹아 끊어지면서 배관에서 떨어져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통슬리브에 배관이 입설된 후에는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의 공간에 내화충전재를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관통슬리브의 두께(높이)에 따라 내화충전재의 위치 조절이 쉽지 않아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는 종래 끈, 테이프 등으로 배관에 접착, 고정된 내화충전재가 화재 발생시 고열에 의해 배관에 묶어져 있던 끈, 테이프 등이 끊어지거나 녹아 내화충전재가 배관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며, 관통슬리브 또는 슬래브층의 두께(높이)에 따라 내화충전재의 고정위치를 간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배관과 상기 배관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미리 매설되는 관통슬리브 사이에 구비되며, 상,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내화충전재; 및 하부는 상기 몸체부에 착탈되고, 상부는 절곡되어 슬래브층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걸려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를 지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미리 매설되는 관통슬리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체결되며, 상,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내화충전재; 및 하부는 상기 몸체부에 착탈되고, 상부는 절곡되어 슬래브층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걸려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는 몸체부에 착탈되는 지지대를 관통슬리브의 상/하면에 걸어 내화충전재를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에 간단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를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로 결합/분리함으로써 배관이 관통슬리브 내에 입설된 후에도 간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관통슬리브 또는 슬래브층의 두께(높이)에 따라 내화충전재를 고정하는 몸체부가 항시 관통슬리브 내 중앙 높이에 올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몸체부의 높이를 작업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체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 층간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슬래브층에 매설되어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하부가 관통된 관통슬리브를 통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충전재를 슬래브층 관통구 또는 관통슬리브 내부에 고정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내화충전재가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의 공간에서 간단 용이하게 고정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의 높은 열에 내화충전재가 팽창하여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 공간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장치의 높이 조절이 간단 용이하여 관통슬리브의 두께/높이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체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는, 건물에 입설되는 배관(1)과 상기 배관(1)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미리 매설되는 관통슬리브(2) 사이에 구비되며, 상,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돌출되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걸림돌기(11)에 의해 고정되는 내화충전재(20); 및, 하부는 상기 몸체부에 착탈되고, 상부는 절곡되어 슬래브층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걸려 상기 몸체부(10)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관통슬리브(2)와 배관(1)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내화충진재를 고정하는 것으로, 화재시 상기 내화충진재(20)가 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관통슬리브(2)와 배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0)는 금속재 또는 열에 강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슬리브(2) 또는 배관(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제1몸체부(10a)와 제2몸체부(10b)가 결합/분리되는데, 상기 제1,2몸체부(10a,10b)의 양측단부에는 체결돌기(10aa) 및 체결홈(10bb)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0bb)에 상기 제1,2몸체부(10a,10b)의 체결돌기(10aa)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2몸체부(10a,10b)가 상호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0a)의 양단부에는 체결돌기(10aa)를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부(10b)의 양단부에는 상기 체결돌기(10aa)에 대응하는 체결홈(10bb)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제1,2몸체부(10a,10b)가 상기 체결돌기(10aa)와 체결홈(10bb)의 체결에 의해 결합/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0)를 제1몸체부(10a)와 제2몸체부(10b)로 분리함으로써, 관통슬리브(2) 내에 배관(1)이 입설된 후에도 본 발명의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를 간단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고, 화재시 내화충전재(20)의 팽창에 의해 제1,2몸체부(10a,10b)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단부에는 걸림돌기(11)가 내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11) 사이에 내화충전재(20)가 끼워져 상기 몸체부(10) 내측에 내화충전재(20)가 고정된다. 상기 걸림돌기(11)는 몸체부(10)의 상,하단부에서 돌출되어 내화충전재(20)를 감싸도록 끝단부가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화충전재(20)가 내측에 고정하는 상기 몸체부(10)는 적어도 2개 이상 착탈되는 지지대(30)에 의해 배관(1)과 관통슬리브(2) 사이에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대(30)의 좌,우측 양단부에는 걸림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걸림홈(31)에 대응하는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에 상기 지지대(30)가 착탈된다.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 방향에서 끼워져 고정되고, 몸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상부가 상기 관통슬리브(2) 또는 슬래브층의 상면에 안착되어 볼트, 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0)가 관통슬리브(2)와 배관(1)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 방향에서 착탈 가능하여, 상기 관통슬리브(2) 또는 슬래브층의 하면에 지지대(30)의 절곡된 부위가 밀착하여 볼트, 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관통슬리브(2) 사이의 상층 또는 하층에서 자유로이 작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에 형성되는 걸림홈(31)은 일정간격의 높이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이 상기 몸체부(10)의 끼움홈(12)에 걸리는 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슬리브(2) 내측에서 상기 몸체부(10) 높이가 가변되게 된다.
즉, 상기 관통슬리브(2) 또는 슬래브층의 두께(높이)에 따라 상기 내화충전재(20)를 고정하는 상기 몸체부(10)가 항시 관통슬리브(2) 내 중앙 높이에 올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의 위치를 작업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장치는, 지지대(30)를 관통슬리브(2)의 상/하면에 걸어 내화충전재(20)를 고정하는 몸체부(10)를 간단 용이하게 관통슬리브(2)와 배관 사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를 제1몸체부(10a) 및 제2몸체부(10b)로 결합/분리함으로써 배관(1)이 관통슬리브(2) 내에 입설된 후에도 간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1 : 배관 2 : 관통슬리브
10 : 몸체부 10a :제1몸체부
10b : 제2몸체부 10aa : 체결돌기
10bb : 체결홈 11 : 걸림돌기
12 : 끼움홈 20 : 내화충전재
30 : 지지대 31 : 걸림홈

Claims (4)

  1. 배관(1)과 상기 배관(1)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미리 매설되는 관통슬리브(2) 사이에 구비되고, 상,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11)가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걸림돌기(11)에 의해 고정되는 내화충전재(20); 및,
    하부는 상기 몸체부(10)에 착탈되고, 상부는 절곡되어 슬래브층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걸려 상기 몸체부(10)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0)의 좌우 양측단부에는 일정간격의 높이로 다수의 걸림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지지대(30)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31)이 걸려 고정되는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이 상기 끼움홈(12)에 걸리는 위치에 따라 상기 몸체부(10)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2. 배관(1)과 상기 배관(1)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미리 매설되는 관통슬리브(2) 사이에서 상호 대응하게 체결되어 구비되고, 상,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11)가 형성되는 한 쌍의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걸림돌기(11)에 의해 고정되는 내화충전재(20); 및,
    하부는 상기 몸체부(10)에 착탈되고, 상부는 절곡되어 슬래브층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걸려 상기 몸체부(10)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0)의 좌우 양측단부에는 일정간격의 높이로 다수의 걸림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지지대(30)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31)이 걸려 고정되는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이 상기 끼움홈(12)에 걸리는 위치에 따라 상기 몸체부(10)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30113188A 2013-09-24 2013-09-24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10151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188A KR101519816B1 (ko) 2013-09-24 2013-09-24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188A KR101519816B1 (ko) 2013-09-24 2013-09-24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328A KR20150033328A (ko) 2015-04-01
KR101519816B1 true KR101519816B1 (ko) 2015-05-21

Family

ID=5303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188A KR101519816B1 (ko) 2013-09-24 2013-09-24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8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086B1 (ko) * 2019-05-24 2020-10-13 김재상 배관 틈새 마감용 내화 충진부재
KR102222439B1 (ko) 2020-05-12 2021-03-02 이재걸 강관용 내화충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24834B1 (ko) * 2020-12-16 2021-11-11 (주)제이에이치코리아 반도체 fab 제조공정용 배관의 내화 충전장치
KR200496748Y1 (ko) * 2021-03-29 2023-04-14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102587308B1 (ko) * 2023-06-05 2023-10-12 주식회사 파이어넷 내화채움재의 비산 탈락 방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2784B2 (ja) * 2015-08-08 2019-04-17 未来工業株式会社 充填物受け具
KR200487404Y1 (ko) * 2016-08-17 2018-09-12 김제봉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JP6902756B2 (ja) * 2017-12-06 2021-07-14 井上商事株式会社 防火区画貫通キット、及び防火区画貫通構造
KR200497350Y1 (ko) * 2021-04-26 2023-10-16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49U (ja) * 1991-11-15 1994-06-28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熱膨張可能火災防止装置
JP2000240190A (ja) * 1999-02-23 2000-09-05 Inaba Denki Sangyo Co Ltd 閉塞材支持具
KR200294916Y1 (ko) * 2002-07-26 2002-11-13 오상기 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킨 배관용 슬리브
KR20050112519A (ko) * 2005-11-14 2005-11-30 김하용 건축용 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49U (ja) * 1991-11-15 1994-06-28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熱膨張可能火災防止装置
JP2000240190A (ja) * 1999-02-23 2000-09-05 Inaba Denki Sangyo Co Ltd 閉塞材支持具
KR200294916Y1 (ko) * 2002-07-26 2002-11-13 오상기 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킨 배관용 슬리브
KR20050112519A (ko) * 2005-11-14 2005-11-30 김하용 건축용 슬리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086B1 (ko) * 2019-05-24 2020-10-13 김재상 배관 틈새 마감용 내화 충진부재
KR102222439B1 (ko) 2020-05-12 2021-03-02 이재걸 강관용 내화충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24834B1 (ko) * 2020-12-16 2021-11-11 (주)제이에이치코리아 반도체 fab 제조공정용 배관의 내화 충전장치
KR200496748Y1 (ko) * 2021-03-29 2023-04-14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102587308B1 (ko) * 2023-06-05 2023-10-12 주식회사 파이어넷 내화채움재의 비산 탈락 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328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816B1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101361647B1 (ko)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KR200487404Y1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JP7038767B2 (ja) 貫通孔措置ユニット
US20120304979A1 (en) Line Element Lead-Through with Support Structure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735884B1 (ko) 커튼월 내화충전구조용 단열재를 포함하는 층간 방화 구조물
KR20150032434A (ko)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JP7134426B2 (ja) 耐火部材及び耐火構造
JP6391722B2 (ja) 排水配管構造
KR200483681Y1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20170040020A (ko) 내화 충전재 결합구조
KR101949859B1 (ko)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KR20160126389A (ko) 차열 방화셔터
KR101702354B1 (ko) 입상배관 고정용 내화 충전재 슬리브 고정장치
KR20190068167A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20130030839A (ko) 건축물의 관통부용 플라스틱 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KR101622540B1 (ko)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KR101553860B1 (ko) 조립형 방화 고정구
JP2014098305A (ja) 排水配管継手
KR20180018248A (ko)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KR101647362B1 (ko) 층간 방화 차단 고정장치
KR101667210B1 (ko)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20150144166A (ko)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JP6161674B2 (ja) 排水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