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859B1 -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859B1
KR101949859B1 KR1020180050491A KR20180050491A KR101949859B1 KR 101949859 B1 KR101949859 B1 KR 101949859B1 KR 1020180050491 A KR1020180050491 A KR 1020180050491A KR 20180050491 A KR20180050491 A KR 20180050491A KR 101949859 B1 KR101949859 B1 KR 10194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efractory filler
support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to KR102018005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매설되는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통 슬리브의 하부에는 내화충전재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관통 슬리브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관통 슬리브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관통 슬리브의 하부 타측에 위치하며, 제1 몸체와의 결합하여 내부에 내화충전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 내부에 고정되고, 내화충전제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A penetration sleeve with refractory filler shelter}
본 발명은 건축물에 층간 슬래브층에 매설되는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내화충전재가 관통 슬리브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연기 및 화염이 관통 슬리브를 통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건축 관련 법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이상 화염(1,049℃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의 밀폐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한다. 관통부를 법정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 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내화충전재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계인 암면(MINERALWOOL), 세라믹 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는 널리 알려진 제품으로 내화 충전구조에 중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내화충전재를 배관이 관통하는 슬래브층의 관통부 또는 배관이 관통하는 관통 슬리브 내에 고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살펴보면, 합성수지재(PVC) 또는 금속재의 배관에 내화충전재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배관의 외면에 상기 내화충전재를 접착제로 붙이거나, 끈 또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배관에 묶어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내화충전재의 고정방법은 일반적으로 배관 또는 파이프 관통부 틈새는 원형의 형태이기 때문에 판상의 내화충전재로 채워 넣기 작업이 수월하지 않으며, 배관에 접착제 또는 끈으로 묶여 고정되어 있던 상기 내화충전재가 화재발생시 열에 의해 끈 또는 테이프가 녹아 끊어지면서 배관에서 떨어져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통 슬리브에 배관이 입설된 후에는 관통 슬리브와 배관 사이의 공간에 내화충전재를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0404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는 종래 끈, 테이프 등으로 배관에 접착, 고정된 내화충전재가 화재 발생시 고열에 의해 배관에 묶어져 있던 끈, 테이프 등이 끊어지거나 녹아 내화충전재가 배관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며, 관통 슬리브에 배관이 입설된 후에도 관통 슬리브 내부에 내화충전재를 설치하거나 내화충전재의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배관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매설되는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리브의 하부에는 내화충전재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관통 슬리브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관통 슬리브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관통 슬리브의 하부 타측에 위치하며, 제1 몸체와의 결합하여 내부에 내화충전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 내부에 고정되고, 내화충전제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지지체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는 내화충전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슬리브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가 결합/분리됨으로써, 제2 몸체를 관통 슬리브에서 분리하거나 개방한 후 수용부 내부로 내화충전재를 간단하고 쉽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화충전재를 관통 슬리브 몸체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일측이 개방되는 별도의 수용부에 수용함으로써, 내화충전재의 교체 및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슬래브층의 높이에 따라 관통 슬리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리브 캡이 구비되어 관통 슬리브를 작업환경에 따라 알맞은 높이로 설정하여 매설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배관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축물의 층간 슬래브층에 매설되는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실내의 연기 및 화염이 관통 슬리브를 통해 상층 또는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충전재를 관통 슬리브 내부에 간단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는, 건물에 배관이 설치되기 전 건물의 슬래브층에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매설되는 것으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폐쇄되는 슬리브 몸체(11); 및 상기 슬리브 몸체(11)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2);를 포함한다. 따라서 건물의 슬래브층에 본 발명의 관통 슬리브(10)를 매설한 후 슬리브 몸체(11)의 상면을 부셔 슬리브 몸체(11) 내부가 관통되도록 하고, 이후 슬리브 몸체(11) 내부로 배관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 몸체(11)의 상면에는 소정 반경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소정 압력에 의해 슬리브 몸체(11) 상면이 슬리브 몸체(11)에서 분리되어 배관이 슬리브 몸체(11) 내부로 관통하게 된다.
또한, 슬리브 몸체(11)의 외주연에는 나사산(11a)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몸체(11)의 상부에는 슬리브 캡(13)이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슬리브 캡(13)을 슬리브 몸체(11)에 체결할 경우에는 상기 슬리브 몸체(11)의 상면이 처음부터 개방되어 있는 관통 슬리브(1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슬리브 캡(13)이 체결된 관통 슬리브(10)를 매설한 후 슬리브 캡(13)의 상면을 부셔 배관이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 캡(13)의 상면에는 소정 반경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소정 압력에 의해 슬리브 캡(13) 상면이 슬리브 캡(13)에서 분리되어 배관이 슬리브 캡(13) 내부로 관통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 몸체(11)에 슬리브 캡(13)을 체결할 때, 상기 슬리브 캡(13)을 회전시켜 관통 슬리브(10)의 전체 높이를 키우거나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래브층의 높이(두께)에 맞춰 관통 슬리브(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관통 슬리브(10)는 하부에 내화충전재(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0)는 관통 슬리브(10)의 플랜지(12) 하부에 소정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 슬리브(10)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몸체(21); 및 상기 관통 슬리브(10)와 분리되고, 상기 제1 몸체(21)와 결합하여 관통 슬리브(10)와 결합하는 제2 몸체(2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는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을 상하방향으로 분할한 반원 형상의 횡단면으로 형성되어 소정 높이를 갖고, 상호 결합에 의해 원통 형상이 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20)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20) 내부에 내화충전재(1) 또는 발포재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내화충전재(1)는 수용부(20) 내부에서 배관과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 사이에 구비되어, 화재시 열에 의해 부풀어 배관과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화염 및 연기가 관통 슬리브(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몸체(22)는 관통 슬리브(10)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몸체(21)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몸체(21)의 좌우측 양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21b); 및 상기 제2 몸체(22)의 좌우측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21b)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돌기(22b);를 포함한다.
즉, 제1 몸체(21)의 결합구(21b)에 제2 몸체(22)의 후크돌기(22b)가 체결 또는 분리되어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가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되고, 이로 인해 제2 몸체(22)를 제1 몸체(21)로부터 분리하여 수용부(20) 및 내화충전재(1)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몸체(22)를 관통 슬리브(10)의 제1 몸체(21)로부터 분리한 후 내측이 개방된 제1 몸체(21) 내부로 내화충전재(1)를 삽입 설치하고 제2 몸체(22)를 상기 내화충전재(1)가 수용되도록 제1 몸체(21)에 결합함으로써, 내화충전재(1)를 관통 슬리브(10)의 수용부(20)에 쉽고 간단하게 수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일 수 있으며,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를 분리/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체결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몸체(22)가 상기 제1 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21) 또는/및 제2 몸체(22)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소정면적 돌출되어 내화충전재(1)를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의 하단부 내측으로 지지부를 형성하여,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와 배관 사이에 내화충전재(1)가 별도의 수단 없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21) 또는/및 상기 제2 몸체(22)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1d,22d)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측으로 소정면적 돌출되는 플랜지부(21e,22e)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1e,22e)의 모서리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몸체(21) 및/또는 제2 몸체(22)의 내주연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21a,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20) 내부에는 상기 고정홈(21a,22a)에 대응하는 고정돌기(30a)를 갖는 링 형상의 지지체(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체(30)는 수용부(20) 내부에서 내화충전재(1)를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부(20) 내부에서 배관이 내부를 관통하고,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홈(21a)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돌기(30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30)는 제2 몸체(22)가 관통 슬리브(10)의 제1 몸체(21)에서 분리된 후 제1 몸체(21) 내부에 고정하고, 내화충전재(1)를 지지체(30) 상부에 안착시키며, 이후 제1 몸체(21) 외부로 돌출되는 내화충전재(1)와 지지체(30)의 일측부를 제2 몸체(22)가 감싸면서 제1 몸체(21)에 체결된다. 이때, 제1 몸체(21)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체(30)는 제1 몸체(21)에 체결되지 않은 나머지 고정돌기(30a)가 제2 몸체(22)의 고정홈(22a)에 체결되어 수용부 내부의 내화충전재(1)를 안전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체(30)는 상기 제1 몸체(21)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1 지지체(31); 및 상기 제2 몸체(22)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2 지지체(32);를 포함한다. 즉, 링 형상의 지지체(30)는 반원 형상의 제1 지지체(31)와 제2 지지체(32) 2개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지지체(31) 및 제2 지지체(32)는 상기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체(31) 및 제2 지지체(32)의 고정돌기(31a,32a)가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의 고정홈(21a,22a)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가 결합하여 서로 접하는 부위에는 서로 연통하는 고정홈(21a,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체(3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1aa)와 상기 제2 지지체(3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2aa)가 상기 고정홈(21a,22a)에 삽입되고, 상하로 포개져 체결된다.
상기 고정돌기(30a)는 링 형상의 상기 지지체(30)에 일적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제1 지지체(31) 및 제2 지지체(32)는 중앙부와 좌우측 양단부에 고정돌기(31a,31aa,32a,32aa))를 각각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체(31) 및 제2 지지체(32)의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다가 상방으로 절곡되는 " 」" 자 형상의 지지단(미도시)을 형성하여, 수용부(20) 내부에서 지지단 내측에 내화충전재(1)가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용부(20)에는 링 형상의 내화충전재(1) 또는 반원 형상의 내화충전재(1) 2개가 상기 제1 지지체(31) 및 제2 지지체(32)에 각각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21)의 상부 내주연에는 관통 슬리브(30)의 플랜지(12)가 끼워지는 요입홈(22c)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의 결합시 상기 요임홈(22c)에 플랜지(12)가 삽입 또는 억지끼움되어 관통 슬리브(30)의 밀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20) 내부에서 상기 내화충전재(1)의 상부에는 링 형상의 차단링(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차단링(40)은 내화충전재(1)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화재 시 내화충전재(1)가 부풀면서 슬리브 몸체(11) 내부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건물의 슬래브층에 본 발명의 관통 슬리브를 매설하기 전, 제2 몸체(22)를 관통 슬리브(10)에서 분리한다(S100). 이때, 제2 몸체(22)의 후크돌기(22b)를 눌러 제1 몸체(21)의 결합구(21b)에서 빠지도록 하고, 손잡이부(22d)를 파지하여 제2 몸체(22)를 잡아당겨 제2 몸체(22)가 제1 몸체(21) 및 관통 슬리브(1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제2 몸체(22)가 관통 슬리브(10)에서 분리된 후에는 지지체(30)를 제1 몸체(21) 내부에 삽입하고 고정한다(S200). 이때, 지지체(30)는 수용부(20) 내부에 수용되면서 고정돌기(30a)가 제1 몸체(31)의 고정홈(21a)에 끼워짐으로써 수용부(2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지지체(30)가 수용부(20)에 수용되어 제1 몸체(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30)의 상부에 내화충전재(1)를 안착시킨다(S300). 그리고 상기 내화충전재(1)의 상부에 차단링(40)을 안착시킨다.
제1 몸체(21) 내측의 수용부(20)에 지지체(30), 내화충전재(1) 및 차단링(40)이 상하로 적층되면, 이후 제2 몸체(22)를 제1 몸체(21)에 다시 체결한다(S400). 이로 인해 상기 지지체(30), 내화충전재(1) 및 차단링(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수용부(20)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2 몸체(22)가 제1 몸체(21)에 결합시, 제1 몸체(21)에 체결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는 나머지 고정돌기(30a)를 제2 몸체(22)의 고정홈(22a)에 체결한다.
그리고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30)에 내화충전재(1)가 수용되고, 상기 내화충전재(1)가 수용된 관통 슬리브(10)를 건물의 슬래브층에 매설한다(S500).
또한, 상기 제2 몸체(22)가 관통 슬리브(10)에서 분리된 후에는 지지체(30)를 제1 몸체(21) 내부에 삽입하고 고정되는 'S200' 단계에서, 상기 지지체(30)는 미리 상기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2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20)에 지지체(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2 몸체(21)를 제1 몸체(21) 및 관통 슬리브(10)로부터 분리하고, 개방된 제1 몸체(21)를 통해 상기 지지체(30)의 상부에 내화충전재(1) 및/또는 차단링(40)을 적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내화충전재 10 : 관통 슬리브
11 : 슬리브 몸체 12 : 플랜지
13 : 슬리브 캡 20 : 수용부
21 : 제1 몸체 22 : 제2 몸체
21a,22a : 고정홈 21b : 결합구
22b : 후크돌기 22c : 요입홈
30 : 지지체 31 : 제1 지지체
32 : 제2 지지체 30a,31a,32a : 고정돌기
40 : 차단링

Claims (6)

  1. 배관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매설되는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리브의 하부에는 내화충전재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관통 슬리브의 하부 일측에 연장되어 관통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연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관통 슬리브의 하부 타측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제1 몸체와 결합하여 관통 슬리브의 하부에 내화충전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내주연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내화충전재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1 몸체와 결합시 관통 슬리브의 플랜지가 삽입되는 요입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화충전재는 제2 몸체가 제1 몸체 및 관통 슬리브에서 분리된 후 제1 몸체의 개방된 일측부를 통해 제1 몸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결합에 의해 상호 접하는 양단부에 서로 연통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2 지지체로 분할되며,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하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몸체 및 제2 몸체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 및
    상기 제2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50491A 2018-05-02 2018-05-02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KR10194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91A KR101949859B1 (ko) 2018-05-02 2018-05-02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91A KR101949859B1 (ko) 2018-05-02 2018-05-02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859B1 true KR101949859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491A KR101949859B1 (ko) 2018-05-02 2018-05-02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8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22B1 (ko) * 2019-04-02 2020-03-04 재우이엔지(주)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KR102520981B1 (ko) * 2022-03-25 2023-04-12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KR102622746B1 (ko) 2023-02-13 2024-01-10 주식회사 프로화이어 입상배관 고정용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2269A1 (en) * 2002-04-15 2003-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 through firestop device
KR20110104040A (ko) 2008-12-17 2011-09-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실리콘-함유 공중합체의 벌크 중합
KR101247414B1 (ko) * 2011-05-16 2013-03-25 황혜자 거푸집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
US8689503B2 (en) * 2006-04-20 2014-04-08 Hilti Aktiengesellschaft Embeddable device for passing conduits through a constructional compon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2269A1 (en) * 2002-04-15 2003-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 through firestop device
US8689503B2 (en) * 2006-04-20 2014-04-08 Hilti Aktiengesellschaft Embeddable device for passing conduits through a constructional component
KR20110104040A (ko) 2008-12-17 2011-09-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실리콘-함유 공중합체의 벌크 중합
KR101247414B1 (ko) * 2011-05-16 2013-03-25 황혜자 거푸집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22B1 (ko) * 2019-04-02 2020-03-04 재우이엔지(주)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KR102520981B1 (ko) * 2022-03-25 2023-04-12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KR102622746B1 (ko) 2023-02-13 2024-01-10 주식회사 프로화이어 입상배관 고정용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859B1 (ko)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743932B1 (ko)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US7581362B2 (en) Conduit with adjustable length and fire collar
CA1154004A (en) Fire barrier device
CA2111545C (en) Water impervious intumescent firestop collapsing conduit
US6305133B1 (en) Self sealing firestop coupling assembly
US6470635B2 (en) Coupling assembly with intumescent material
KR200469369Y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US20150047276A1 (en) Protective conduit for a structural panel opening
JP2005522303A (ja) 貫通防火装置
KR200487404Y1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JP5606017B2 (ja) 耐火閉塞用複合材、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を設けた管継手又はスリーブ
KR200482602Y1 (ko)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1978701B1 (ko) 내화충전재 장착이 가능한 배관 고정용 클램프
US7694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stopping around a water closet drain pipe in a vertical floor opening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50033328A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JP2013096116A (ja) 延焼防止機能付きソケット
JP2023160921A (ja) 排水配管継手
US5076309A (en) Firestop stub-out assembly
US11794043B2 (en) Ceiling fixture firestop
US5183070A (en) Firestop device for flammable floor construction
JP2013096501A (ja) 耐火閉塞用複合材、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を設けた管継手又はスリーブ
KR102520981B1 (ko)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