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02Y1 -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02Y1
KR200482602Y1 KR2020150008076U KR20150008076U KR200482602Y1 KR 200482602 Y1 KR200482602 Y1 KR 200482602Y1 KR 2020150008076 U KR2020150008076 U KR 2020150008076U KR 20150008076 U KR20150008076 U KR 20150008076U KR 200482602 Y1 KR200482602 Y1 KR 200482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ipe
sleeve housing
refractor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석
Original Assignee
양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석 filed Critical 양윤석
Priority to KR2020150008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공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되, 특히 내화발포재의 내장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부정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편리하고 간편하며, 소음, 악취는 물론 화재시 연기 등의 위해물질이 상부층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완전 차단하는 밀폐특성이 우수한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Penetrating sleeve integrated with fireproof filler}
본 고안은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공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되, 특히 내화발포재의 내장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부정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편리하고 간편하며, 소음, 악취는 물론 화재시 연기 등의 위해물질이 상부층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완전 차단하는 밀폐특성이 우수한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딩 등의 다층 건물의 층간에는 각종 입상배관이 상하로 관통되게 시공되는데, 이를 위해 다층 건물의 층간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입상배관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에 입상배관이 삽입된 후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된다.
즉, 도 1의 예시와 같이, 입상배관(10)의 설치를 위해 아랫층에서는 천청을 구성함과 동시에 위층에서는 바닥을 구성하는 슬래브(20)의 일부에 관통공(30)을 형성하여 입상배관(10)이 관통되게 구성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 각 층마다 필요한 배관, 이를 테면 화장실 배출관, 세면대, 싱크대 배관 등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아울러, 관통공(30)을 통과한 입상배관(10)은 별도의 고정장치(40)를 통해 고정되고, 입상배관(10)과 관통공(30) 사이의 틈은 PVC파이프(60)가 충전되어 밀폐하게 된다.
그런데,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PVC파이프(60)가 타면서 강한 유독가스를 내뿜게 되고, 또 관통공(30)이 뚫리면서 이 공간을 통해 아랫층의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위층으로 번져 더 큰 피해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이에, 화재시 고온에 의하여 자기 몸집의 약 300-400배로 볼륨이 커지는 발포재를 슬리브에 내장한 상태에서 관통공(30)에 설치되도록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화재가 발생했을 때 입상배관(10)이 녹더라도 슬리브 내부에 있던 내화발포재가 고온에 의해 팽창하면서 관통공(30)을 밀폐함으로써 아랫층의 화재가 관통공(30)을 통해 위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건축법에 따른 내화발포재가 가져야 할 중요한 항목으로 밀폐시 소음, 악취, 연기 등이 상부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전한 밀폐구조를 갖출 것, 시공 후 육안조사를 통해 내화발포재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슬리브는 도 2와 같은 입상배관 분리형 지지구조, 혹은 도 3과 같은 입상배관 통형 지지구조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2의 입상배관 분리형 지지구조는 하부에 관찰창(62)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후에도 슬리브 내부에 내화발포재(60)가 내장되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부정시공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지만, 슬리브의 둘레가 상하로 다수회에 걸쳐 단차를 두고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자갈 같은 비교적 큰 부재가 상부에 걸릴 경우 하부로 콘크리트 몰탈이 채워지지 않아 견고한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와, 입상배관(10)이 분리 시공되기 때문에 분리된 부분에서 발생되는 누수의 문제, 시공이 어렵고 불편하여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 등 다수의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3과 같은 입상배관 통형 지지구조는 도 2의 분리형에 비해 입상배관(10)을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삽입시켜 시공하므로 시공의 편의성, 용이성, 누수차단 등의 장점은 있지만, 내화발포재(60)를 슬리브 내부에 설치한 후 하부를 충전재(70)로 모두 채워버리기 때문에 관찰창이 없어 만약에 부정시공했을시 시공후 이를 확인할 길이 없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라면 엄청난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시키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8395호(2014.06.09),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9369호(2013.10.01), "입상배관 고정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1427호(2010.12.08),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8448호(2011.09.01),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공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되, 특히 내화발포재의 내장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부정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편리하고 간편하며, 소음, 악취는 물론 화재시 연기 등의 위해물질이 상부층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완전 차단하는 밀폐특성이 우수한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입상배관이 관통되는 슬리브하우징; 상기 슬리브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입상배관과 슬리브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내화발포재; 상기 슬리브하우징의 하부를 밀폐하며, 내화발포재 확인용 관찰창을 갖는 고정캡; 상기 고정캡과 입상배관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마감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하우징의 상단부는 메인소켓부와 이동소켓부로 분리되어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하우징은 상부를 이루며 입상배관의 삽입을 안내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끼움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화발포재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의 하단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하단과 상기 확경부의 상단은 경사연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감고정구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몸체 일부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이루어 상기 입상배관에 끼워질 때 벌린 상태에서 끼워 고정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내화발포재와 입상배관 사이의 공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쇠창살 형태의 걸림방지바 다수개가 상하끼움식으로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공조건을 모두 만족시킴은 물론, 특히 내화발포재의 내장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부정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공이 편리하고 간편하며, 소음, 악취는 물론 화재시 연기 등의 위해물질이 상부층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완전 차단하는 밀폐특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층 건물의 층간에 시공되는 입상배관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설치용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의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의 설치과정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의 또다른 변형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슬리브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은 입상배관(P)이 분절되지 않고 통째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은 상부를 이루며 입상배관(P)의 삽입을 안내하는 끼움부(110)와, 상기 끼움부(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끼움부(11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경부(120)와, 상기 확경부(120)의 하단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확경부(120)의 내부에는 내화발포재(200)가 삽입된다.
상기 내화발포재(200)는 화재 등에 의해 고열을 받았을 때 대략 300-400 배에 달하는 부피팽창력을 갖는 공지된 소재이다.
특히,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내화발포재(200)도 상기 확경부(120)의 내경을 따라 원둘레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확경부(120)는 경사연결부(122)를 통해 상기 끼움부(110)와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콘크리트 몰탈 충전시 흘러내림성을 좋게 하여 비충전부위가 생기지 않게 함으로써 견실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경사연결부(122) 대신 직각으로 연결할 수도 있는데, 이는 종래 기술인 도 2의 경우 직각 하부에 다수의 단차부가 더 있어 콘크리트 몰탈 충전상 비충전부위가 생길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는 직각 하부가 단순한 민자형이므로 충전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확경부(120)의 안쪽 상단에는 걸림부(124)가 더 형성되는데, 이는 내화발포재(200)가 분리 이탈되지 못하도록 스토핑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상기 걸림부(124)는 상기 내화발포재(200)의 일부가 걸릴 수 있을 정도면 족하므로 굳이 길게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걸림부(124)의 하측은 반드시 빈공간인 팽창공간부(126)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것은 내화발포재(200)가 팽창했을 때 입상배관(P)이 끼워졌던 공간으로 퍼져나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대략 '┛┗' 형상의 고정캡(300)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캡(300)은 캡수평부(310)와 캡수직부(320)로 이루어지며, 캡수직부(320)는 상기 걸림부(124)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게 슬리브하우징(100)의 하부에 끼워지고, 캡수평부(310)는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플랜지부(130)에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내화발포재(200)가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파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300)의 고정은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플랜지부(130)에 면접촉된 캡수평부(310)를 관통하여 나사고정되거나 혹은 플랜지부(130)와 캡수평부(310)간에 홈-돌기의 결합구조(후크형 포함)를 가져 상호 조립 고정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캡(300)의 캡수평부(310)에는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관찰창(330)이 더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슬리브하우징(100) 내부에 내장된 내화발포재(200)의 유무를 가시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부정시공을 막고, 시공오류를 예방할 수 있어 화재발생시 제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캡(300)과 입상배관(P) 사이에는 마감고정구(400)가 끼워져 틈새를 막음으로써 씰링성을 높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마감고정구(400)는 여러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특성상 일부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410)는 갖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끼워 조립할 때는 절개부(410)를 벌려 입상배관(P)에 끼우고, 끼우고 나면 탄성복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오므려들기 때문에 시공 설치가 매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하측의 고정구플랜지(420)는 캡수평부(310)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 혹은 홈-돌기 체결 구조를 가짐으로써 고정캡(3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부에는 입상배관(P)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상부쪽을 밀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캡(50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캡(500)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상기 고정캡(300)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직경방향으로 분절된 두 파트가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캡(500)은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면에 볼트 혹은 나사체결되는 수평부분인 캡플랜지부(510)와, 상기 입상배관(P)의 외주면에 접지되면서 이를 파지 고정하도록 상기 캡플랜지부(510) 상에 고정된 입상배관고정부(5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상배관고정부(520)는 고무 등의 신축성 소재가 바람직하며, 상기 입상배관(P)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여 두 파트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조이게 되면 입상배관고정부(520)가 신축성을 갖고 압착하기 때문에 입상배관(P)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덧붙여, 상술한 상부캡(500)의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주된 요지가 상부캡(500)에 있지 않고 슬리브하우징(100)과 그 내장 구조에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은 도 4의 변형예와 같이, 상단을 길이 가변가능하게 변형시킬 수도 있는데, 이것은 시공사에 따라 약간씩 다른 슬래브의 두께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슬래브의 두께가 규정보다 두껍게 된 경우에는 슬리브하우징(100)의 상하길이가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작게 되는 경우가 생기므로 이 경우에는 상부캡(500)의 설치가 매우 난해할 수 있다.
이를 해소키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부를 분리 구성하여 메인소켓부(MS)와 이동소켓부(PS)로 나누고, 이들이 서로 걸림턱(T1,T2)를 통해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길이 가변이 필요할 때는 이동소켓부(PS)를 당겨 길이 가변시킨 후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이동소켓부(PS)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제한되게 구성해야 함은 당연할 것인 바, 도시된 예에서는 개념상 가변가능한 예만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슬래브(20, 도 1 참조)를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미리 관통공(30, 도 1 참조)이 형성될 지점에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하우징(100)을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은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은 하부를 통해 내화발포재(200)를 삽입 설치한 다음, 고정캡(300)을 끼워 슬리브하우징(100)의 하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콘트리트 타설되는 것이다. 즉, 슬리브하우징(100)-내화발포재(200)-고정캡(300), 이렇게 갖추어진 상태로 제품화되어 출고되므로 설치지점에 배치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하면 된다.
이에 따라, 내화발포재(200)는 슬리브하우징(100)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고정캡(300)에는 관찰창(3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화발포재(200)의 유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어, 입상배관(P)을 끼우는데, 입상배관(P)은 분절된 형태가 아니라 통째로 끼워지며, 끼워진 후에는 상부캡(500)을 이용하여 견고히 위치 고정한다.
이때, 상부캡(500)은 분절된 두 파트가 각각 입상배관(P)이 둘레면을 감싸듯이 밀착된 상태에서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면에 나사 고정된 후 상호간에 나사 혹은 볼트로 조임됨으로서 입상배관(P)의 둘레면을 압착하여 견고히 파지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입상배관(P)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이후 준비된 마감고정구(400)을 벌려 입상배관(P)에 끼운 후 고정캡(300)과 입상배관(P) 사이의 틈을 막도록 고정캡(3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끼워지고, 끼워진 후 상기 고정캡(300) 상에 체결됨으로써 씰링성을 유지한 채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모든 시공조건을 갖추면서도 조립성이 편리하고 쉽고, 내화발포재(200)의 내장 여부를 육안으로 쉽고 빠르면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부정시공을 막고, 시공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변형예는 도 4에서 내화발포재(200)가 팽창되면서 터져 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빈 공간인 팽창공간부(126)에 걸림방지바(210)를 더 설치하는 것을 보여 준다.
이것은 일종의 쇠창살 형태로서 원형상의 팽창공간부(126)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몇 개의 걸림방지바(210)를 끼워 넣음으로서 입상배관(P)을 설치할 때 입상배관(P)의 하단이 비스듬히 끼워지면서 팽창공간부(126)로 침입하여 내화발포재(200)를 파손시키거나 혹은 고정캡(300)을 파손시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쇠창살 형태로 군데 군데 걸림방지바(210)가 끼워져 있으면 입상배관(P)의 하단이 가사 비스듬하게 진입하여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걸림방지바(210)에 걸려 이를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기 때문에 내화발포재(200)까지 침투하지 못해 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방지바(210)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돌기(D) 혹은 홈(G)이 형성되고, 그들과 각각 대향되는 걸림부(124)의 대응면과 캡수직부(320)의 대응면에도 돌기 혹은 홈이 형성되어 상호 끼워맞춤식으로 끼워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간단하면서도 단순한 끼움구조를 가져야 하는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내화발포재(200)가 팽창되면서 터져나올 때 상기 걸림방지바(210)가 분리되면서, 즉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함께 빠져나와야 내화발포재(200)가 입상배관(P)이 소실된 빈 공간을 채워 메꿀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걸림방지바(210)는 일정한 압력 이상에서는 쉽게 분리되어야 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본원고안의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상부를 이루며 입상배관(P)의 삽입을 안내하는 끼움부(110)와, 상기 끼움부(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끼움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화발포재(200)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확경부(120)와, 상기 확경부(120)의 하단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30)와, 상기 끼움부(110)의 하단과 상기 확경부(120)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확경부(120)로 갈수록 둘레가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연결부(122) 및 상기 내화발포재(200)가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인 팽창공간부(126)가 형성되도록 확경부(120)의 안쪽 상단에서 일정간격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면에 홈(124-1)이 형성되는 걸림부(124)로 이루어지되, 상단부는 내측에 메인소켓부(MS)와 외측에 이동소켓부(PS)로 분리되어지며 상기 메인소켓부(MS)의 상단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T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소켓부(PS)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T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T1, T2)이 서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동소켓부(PS)를 당겨 길이가변시킬 수 있으며, 입상배관(P)이 관통되는 슬리브하우징(10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입상배관(P)과 슬리브하우징(100) 사이에서 확경부(120)의 내경을 따라 원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내화발포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하부를 밀폐하며, 캡수평부(310)와, 상기 걸림부(124)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며 상단면에 돌기(321)가 형성되는 캡수직부(3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수평부(310)의 둘레에는 슬리브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된 내화발포재(200)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찰창(330)이 형성되는 '┙┗'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몸체 일부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410)를 이루어 상기 입상배관(P)에 끼워질 때 벌린 상태에서 끼워져 상기 고정캡(300)과 입상배관(P)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마감고정구(400)가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부에는 입상배관(P)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상부쪽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면에 볼트 또는 나사체결되는 수평부인 캡플렌지부(510)와, 상기 입상배관(P)의 외주면에 접지되면서 고정하도록 상기 캡플랜지부(510) 상에 고정된 입상배관고정부(520)를 포함하는 상부캡(500)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화발포재(200)와 입상배관(P) 사이의 공간인 팽창공간부(126)에는 입상배관(P)이 삽입되면서 내화발포재(200)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쇠창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면과 하단면에 상기 캡수직부(320)와 상기 걸림부(124)에 각각 대응하는 돌기(D) 또는 홈(G)이 형성되어 상기 캡수직부(320)와 상기 걸림부(124)의 돌기(321) 또는 홈(124-1)에 상하끼움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방지바(210) 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하부징(100)의 하부를 통해 내화발포재(200)를 삽입하고 고정캡(300)을 끼워 슬리브하우징(100)의 하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입상배관(P)을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에 끼운 후 상부캡(500)을 이용하여 상기 입상배관(P)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캡(3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마감고정구(400)를 끼워 씰링을 유지한 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도 8에서는 굳이 성형을 어렵게 하는 걸림부(124)와 캡수직부(320)를 만들지 말고, 걸림방지바(210)를 좀더 길게 형성하여 동일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걸림부(124)와 캡수직부(320)의 기능이 내화발포재(200)의 분리 이탈을 막기 위한 단순한 것이므로 상기 걸림방지바(210)의 존재로 인해 그러한 기능이 충분히 달성되기 때문에 굳이 걸림부(124)와 캡수직부(320)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면, 슬리브하우징(100)의 구조를 더욱 더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도 9에서와 같이,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옆 집으로 배관이 연결되는 경우에 적용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슬리브하우징(100) 구조를 수평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하면 된다.
100: 슬리브하우징 200: 내화발포재
300: 고정캡 400: 마감고정구
500: 상부캡

Claims (6)

  1. 상부를 이루며 입상배관(P)의 삽입을 안내하는 끼움부(110)와, 상기 끼움부(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끼움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화발포재(200)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확경부(120)와, 상기 확경부(120)의 하단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30)와, 상기 끼움부(110)의 하단과 상기 확경부(120)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확경부(120)로 갈수록 둘레가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연결부(122) 및 상기 내화발포재(200)가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인 팽창공간부(126)가 형성되도록 확경부(120)의 안쪽 상단에서 일정간격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면에 홈(124-1)이 형성되는 걸림부(124)로 이루어지되,
    상단부는 내측에 메인소켓부(MS)와 외측에 이동소켓부(PS)로 분리되어지며 상기 메인소켓부(MS)의 상단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T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소켓부(PS)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T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T1, T2)이 서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동소켓부(PS)를 당겨 길이가변시킬 수 있으며, 입상배관(P)이 관통되는 슬리브하우징(100);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입상배관(P)과 슬리브하우징(100) 사이에서 확경부(120)의 내경을 따라 원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내화발포재(200);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하부를 밀폐하며, 캡수평부(310)와, 상기 걸림부(124)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며 상단면에 돌기(321)가 형성되는 캡수직부(3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수평부(310)의 둘레에는 슬리브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된 내화발포재(200)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찰창(330)이 형성되는 '┙┗' 형상의 고정캡;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몸체 일부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410)를 이루어 상기 입상배관(P)에 끼워질 때 벌린 상태에서 끼워져 상기 고정캡(300)과 입상배관(P)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마감고정구(400);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부에는 입상배관(P)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상부쪽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의 상단면에 볼트 또는 나사체결되는 수평부인 캡플렌지부(510)와, 상기 입상배관(P)의 외주면에 접지되면서 고정하도록 상기 캡플랜지부(510) 상에 고정된 입상배관고정부(520)를 포함하는 상부캡(500); 및
    상기 내화발포재(200)와 입상배관(P) 사이의 공간인 팽창공간부(126)에는 입상배관(P)이 삽입되면서 내화발포재(200)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쇠창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면과 하단면에 상기 캡수직부(320)와 상기 걸림부(124)에 각각 대응하는 돌기(D) 또는 홈(G)이 형성되어 상기 캡수직부(320)와 상기 걸림부(124)의 돌기(321) 또는 홈(124-1)에 상하끼움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방지바(210); 가 포함되며,
    상기 슬리브하부징(100)의 하부를 통해 내화발포재(200)를 삽입하고 고정캡(300)을 끼워 슬리브하우징(100)의 하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입상배관(P)을 상기 슬리브하우징(100)에 끼운 후 상부캡(500)을 이용하여 상기 입상배관(P)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캡(3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마감고정구(400)를 끼워 씰링을 유지한 채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50008076U 2015-12-09 2015-12-09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0482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76U KR200482602Y1 (ko) 2015-12-09 2015-12-09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76U KR200482602Y1 (ko) 2015-12-09 2015-12-09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602Y1 true KR200482602Y1 (ko) 2017-02-13

Family

ID=5840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76U KR200482602Y1 (ko) 2015-12-09 2015-12-09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0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13B1 (ko) * 2017-06-09 2018-06-11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4009B1 (ko) 2018-01-23 2018-08-31 (주)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KR101984485B1 (ko) 2018-11-15 2019-05-31 노상언 원터치 삽입 고정식 내화충전재 장착구조를 갖는 플렌지 조립형 내화 슬리브
KR102084022B1 (ko) * 2019-04-02 2020-03-04 재우이엔지(주)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KR102201370B1 (ko) * 2020-05-12 2021-01-11 (주)세이프코리아 입상덕트 또는 에어덕트용 내화 슬리브
KR102201372B1 (ko) * 2020-06-11 2021-01-11 (주)세이프코리아 입상덕트 또는 에어덕트 또는 사각덕트용 내화 슬리브
WO2021020614A1 (ko) * 2019-07-30 2021-02-04 김정운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KR20220069513A (ko) 2020-11-20 2022-05-27 고의환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62U (ja) * 1992-09-09 1994-04-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における可燃性長尺体貫通部の防火構造
JP2005522303A (ja) * 2002-04-15 2005-07-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貫通防火装置
KR20080004346U (ko) * 2007-03-30 2008-10-06 최해권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200451427Y1 (ko)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10098448A (ko) 2010-02-26 2011-09-01 원승호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200469369Y1 (ko) 2012-04-27 2013-10-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40068395A (ko) 2012-11-28 2014-06-09 (주)유넷트코리아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62U (ja) * 1992-09-09 1994-04-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における可燃性長尺体貫通部の防火構造
JP2005522303A (ja) * 2002-04-15 2005-07-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貫通防火装置
KR20080004346U (ko) * 2007-03-30 2008-10-06 최해권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20110098448A (ko) 2010-02-26 2011-09-01 원승호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200451427Y1 (ko)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0469369Y1 (ko) 2012-04-27 2013-10-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40068395A (ko) 2012-11-28 2014-06-09 (주)유넷트코리아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13B1 (ko) * 2017-06-09 2018-06-11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4009B1 (ko) 2018-01-23 2018-08-31 (주)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KR101984485B1 (ko) 2018-11-15 2019-05-31 노상언 원터치 삽입 고정식 내화충전재 장착구조를 갖는 플렌지 조립형 내화 슬리브
KR102084022B1 (ko) * 2019-04-02 2020-03-04 재우이엔지(주)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WO2021020614A1 (ko) * 2019-07-30 2021-02-04 김정운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CN112585325A (zh) * 2019-07-30 2021-03-30 金政辉 用于防止火灾在建筑物贯穿部扩散的耐火结构物
JP2021533837A (ja) * 2019-07-30 2021-12-09 キム、ジョン ウンKIM, Jung Un 建設物貫通部火災拡散防止用の耐火構造物
KR102201370B1 (ko) * 2020-05-12 2021-01-11 (주)세이프코리아 입상덕트 또는 에어덕트용 내화 슬리브
KR102201372B1 (ko) * 2020-06-11 2021-01-11 (주)세이프코리아 입상덕트 또는 에어덕트 또는 사각덕트용 내화 슬리브
KR20220069513A (ko) 2020-11-20 2022-05-27 고의환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602Y1 (ko)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1743932B1 (ko)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20150032434A (ko)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MX2009002654A (es) Construccion de obturador hinchable.
JP2006183454A (ja) 逆止弁および排水施設
US20140260016A1 (en) Firestop apparatus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20180000556U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20190012598A (ko)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US8191330B1 (en) Firestop drain assembly
US20140020315A1 (en) Assembly for a line conduit
KR20160123659A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46750A (ko) 구조물 연결부위의 누수차단용 신축이음재
JP2013096116A (ja) 延焼防止機能付きソケット
JP6391722B2 (ja) 排水配管構造
ES2355568T3 (es) Sumidero.
US5076309A (en) Firestop stub-out assembly
KR101949859B1 (ko)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CA2878986A1 (en) Fire protection seal for a line conduit
KR20110098448A (ko)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JP2008308824A (ja) 排水通気用管継手
KR102520981B1 (ko)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