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659A -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 Google Patents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659A
KR20160123659A KR1020150053988A KR20150053988A KR20160123659A KR 20160123659 A KR20160123659 A KR 20160123659A KR 1020150053988 A KR1020150053988 A KR 1020150053988A KR 20150053988 A KR20150053988 A KR 20150053988A KR 20160123659 A KR20160123659 A KR 2016012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fixing
slab
moun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324B1 (ko
Inventor
김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기업
Priority to KR102015005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3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결합편을 가지는 관통 슬리브 및 결합후크를 가지는 설치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이나 클램프의 조립설치시 설치커버가 관통 슬리브 상단부에 분리됨이 없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틀의 고정설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치커버의 개방된 연결공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상부 보호캡 및 하부 보호캡이 구비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설치커버의 연결공 측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은 건물의 슬래브 상에 관통형성되는 덕트성형관 상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상단부에 클램프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덕트 성형관 내부공간을 관통하도록 입상배관을 고정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의 하단으로부터 상단부에 걸쳐 매립고정되며, 중공의 원통 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브래킷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편이 내향 돌출형성되는 관통 슬리브; 및 상기 슬래브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에 이르기까지 매립고정되고 입상배관의 고정설치시 클램프가 상부로부터 연결조립되며, 상기 관통 슬리브의 상단부를 일정길이 감싸면서 관통 슬리브 상부에 결합시켜 상기 관통 슬리브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상판의 상면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타격에 의해 제거되도록 측벽 상단과 연결되는 상판의 외측 단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요홈이 하향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고정브래킷과 대응되어 상기 클램프를 연결설치하는 연결부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측벽 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판의 저면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결합편과 대응되는 결합후크가 하향 돌출 형성된 설치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Fixation frame for a riser pipe fixation}
본 발명은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편을 가지는 관통 슬리브 및 결합후크를 가지는 설치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이나 클램프의 조립설치시 설치커버가 관통 슬리브 상단부에 분리됨이 없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틀의 고정설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치커버의 개방된 연결공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상부 보호캡 및 하부 보호캡이 구비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설치커버의 연결공 측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 입상배관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 입상배관을 슬래브에 형성된 덕트성형관에 고정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통상의 입상배관 고정장치는 U자형 볼트로 이루어져 입상배관의 외주 면을 잡아 고정하도록 된 구조와, 합성수지재 또는 스틸재로 이루어져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면에 채워 고정되는 클램프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이 적용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이 적용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는 관통 슬리브(100)와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을 포함하는 고정틀 및 클램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200)는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통공으로 제공되는 덕트성형관에 입상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입상배관의 외측을 잡아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200)는 밴드(210)와 플랜지(220)로 구성되고, 상기 밴드(210)에는 힌지부(211)와 체결부(21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200)를 구성하는 상기 밴드(210)에는 탄성부재(230)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220)에는 다수의 고정홀(2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200)의 밴드(210)는 건물의 배관을 구성하는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통공으로 제공되는 덕트성형관에 입상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입상배관의 외측을 잡아주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220)는 상기 밴드(21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래브 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관통 슬리브(100) 및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은 종래의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이루는 것으로, 먼저 상기 관통 슬리브(100)는 상기 클램프(200)에 의해 상기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통공으로 제공되는 덕트성형관을 관통하여 상기 입상배관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슬래브의 덕트성형관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덕트성형관은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통공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관통 슬리브(100)는 이러한 덕트성형관 상에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은 상기 관통 슬리브(100)의 개방된 상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100) 상단부에 조립되며, 상기 클램프(20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구성하는 상기 관통 슬리브(100)는 그 하부에 다수의 고정브래킷(110)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은 클램프(200)의 플랜지(2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22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221)과 대응되는 다수의 연결홀(3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 슬리브(100)와 함께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구성하는 상기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은 사용시 그 상부 일정면적에 대하여 관통되도록 한 후, 상기 관통 슬리브(100)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은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의 상부에 관통 슬리브(100)를 조립한 후 건물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 및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 상부에 클램프(200)의 조립설치시에 상기 관통 슬리브(100)로부터 상기 관통 슬리브 이음관(300)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이나 클램프의 조립설치시 관통 슬리브 이음관이 분리됨에 따라, 슬래브의 덕트성형관 상에 고정틀의 고정설치에 대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이나 클램프의 조립설치시 관통 슬리브 이음관이 분리됨이 없이 관통 슬리브 상단부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틀의 고정설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1427호 2010.12.08.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편을 가지는 관통 슬리브 및 결합후크를 가지는 설치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이나 클램프의 조립설치시 설치커버가 관통 슬리브 상단부에 분리됨이 없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틀의 고정설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설치커버의 개방된 연결공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상부 보호캡 및 하부 보호캡이 구비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설치커버의 연결공 측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의 외면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정렬돌기 및 설치커버의 측벽 내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함몰 형성되는 정렬홈이 적용됨으로써 설치커버를 관통 슬리브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설치커버의 연결부를 세팅위치인 상기 관통 슬리브의 고정브래킷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간편하게 정렬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은 건물의 슬래브 상에 관통형성되는 덕트성형관 상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상단부에 클램프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덕트 성형관 내부공간을 관통하도록 입상배관을 고정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의 하단으로부터 상단부에 걸쳐 매립고정되며, 중공의 원통 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브래킷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편이 내향 돌출형성되는 관통 슬리브; 및 상기 슬래브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에 이르기까지 매립고정되고 입상배관의 고정설치시 클램프가 상부로부터 연결조립되며, 상기 관통 슬리브의 상단부를 일정길이 감싸면서 관통 슬리브 상부에 결합시켜 상기 관통 슬리브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상판의 상면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타격에 의해 제거되도록 측벽 상단과 연결되는 상판의 외측 단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요홈이 하향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고정브래킷과 대응되어 상기 클램프를 연결설치하는 연결부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측벽 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판의 저면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결합편과 대응되는 결합후크가 하향 돌출 형성된 설치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치커버를 상기 관통 슬리브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설치커버의 연결부가 상기 관통 슬리브의 고정브래킷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정렬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의 결합편은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상호 엇갈리는 위치로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내향 돌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설치커버의 결합후크가 상면 일측에 접촉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편과 상기 설치커버의 결합후크의 방향이 일치되어, 상기 설치커버를 상기 관통 슬리브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설치커버의 연결부가 상기 관통 슬리브의 고정브래킷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정렬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는 외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를 가지는 정렬돌기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설치커버는 상기 측벽의 내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정렬돌기와 대응되는 정렬홈이 함몰형성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관통 슬리브는 상기 슬래브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면적이 확장됨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도록, 외면 하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돌출되는 종방향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를 연결설치하는 상기 설치커버의 연결부는 상기 상판의 외측 단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연장리브 및 상기 연장리브의 단부에 원기둥 상으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연결관은 중앙에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은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져 외향 단이 지게 확장 형성되어 단이 진 내측 공간에 결합너트가 인서트 성형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설치커버는 상기 슬래브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면적이 확장됨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측벽의 외면과 상기 연결부의 외면 중앙부분에 걸쳐 띠 형상을 가지고 외향 돌출 형성되는 횡방향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설치커버는 내측에 결합너트가 인서트 성형된 상기 연결공의 개방된 상,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공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상부 보호캡 및 상기 연결공의 하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하부 보호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합편을 가지는 관통 슬리브 및 결합후크를 가지는 설치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이나 클램프의 조립설치시 설치커버가 관통 슬리브 상단부에 분리됨이 없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틀의 고정설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설치커버의 개방된 연결공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상부 보호캡 및 하부 보호캡이 구비됨으로써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설치커버의 연결공 측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관통 슬리브의 외면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정렬돌기 및 설치커버의 측벽 내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함몰 형성되는 정렬홈이 적용됨으로써 설치커버를 관통 슬리브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설치커버의 연결부를 세팅위치인 상기 관통 슬리브의 고정브래킷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간편하게 정렬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이 적용된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설치커버 상면 중앙이 개방된 사용예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요부인 설치커버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설치커버 상면 중앙이 개방된 사용예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요부인 설치커버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2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은 건물의 슬래브(10) 상에 관통형성되는 덕트성형관(11) 상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상단부에 클램프(C)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덕트 성형관(11) 내부공간을 관통하도록 입상배관(5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C)는 입상배관(50)을 슬래브(10)의 덕트성형관(11) 상부 둘레 측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연결공(666) 상에 인서트 성형된 결합너트(670)와 결합고정되는 결합볼트(B)를 통하여, 설치커버(600)의 상부로부터 연결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덕트성형관(11)에 대하여 정의하면, 상기 덕트성형관(11)은 상기 슬래브(10) 상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즉 상기 슬래브(10)의 콘크리트 타설 시공시 관통 슬리브(500)와 설치커버(600)가 매립고정되는 통공이며, 이하 "덕트성형관(11)"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덕트성형관(11) 상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상단부에 클램프(C)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덕트 성형관(11) 내부공간을 관통하도록 입상배관(50)을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은 크게 분류하면, 관통 슬리브(500) 및 설치커버(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 슬리브(500)는 상기 슬래브(10)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11)의 하단으로부터 상단부에 걸쳐 매립고정되며, 중공의 원통 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브래킷(501)이 외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관통 슬리브(500)는 특히,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편(550)이 내향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커버(600)는 상기 슬래브(10)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11)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에 이르기까지 매립고정되고 입상배관(50)의 고정설치시 클램프(C)가 상부로부터 연결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설치커버(600)는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상단부를 일정길이 감싸면서 관통 슬리브(500) 상부에 결합시켜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커버(600)는 상판(610)의 상면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타격에 의해 제거되도록 측벽(630) 상단과 연결되는 상판(610)의 외측 단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요홈(611)이 하향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610)의 정 중앙에는 일정지름을 가지는 통공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설치커버(600)는 상기 상판(6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고정브래킷(501)과 대응되어 상기 클램프(C)를 연결설치하는 연결부(660)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설치커버(600)는 특히, 상기 측벽(630) 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판(610)의 저면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결합편(550)과 대응되는 결합후크(650)가 하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은 상기 설치커버(600)를 상기 관통 슬리브(500)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부(660)가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고정브래킷(501)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정렬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결합편(550)은 상기 고정브래킷(501)에 대하여 상호 엇갈리는 위치로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내향 돌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결합편(550)은 선택적으로 상기 설치커버(600)의 결합후크(650)가 상면 일측에 접촉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결합편(550)과 상기 설치커버(600)의 결합후크(650)의 방향이 일치되어, 상기 설치커버(600)를 상기 관통 슬리브(500)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부(660)가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고정브래킷(501)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정렬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 슬리브(500)는 외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를 가지는 정렬돌기(570)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설치커버(600)는 상기 측벽(630)의 내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정렬돌기(570)와 대응되는 정렬홈(631)이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관통 슬리브(500)는 상기 슬래브(10)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면적이 확장됨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외면 하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돌출되는 종방향 보강리브(5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관통 슬리브(500)는 상기 종방향 보강리브(503) 하단부로서,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외향 돌출되는 횡방향 보강리브(미부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서, 특히 상기 클램프(C)를 연결설치하는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부(660)는 상기 상판(610)의 외측 단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연장리브(661) 및 상기 연장리브(661)의 단부에 원기둥 상으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관(6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관(665)은 중앙에 연결공(666)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결공(666)은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져 외향 단이 지게 확장 형성되어 단이 진 내측 공간에 결합너트(670)가 인서트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설치커버(600)는 상기 슬래브(10)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면적이 확장됨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측벽(630)의 외면과 상기 연결부(660)의 외면 중앙부분에 걸쳐 띠 형상을 가지고 외향 돌출 형성되는 횡방향 보강리브(6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횡방향 보강리브(68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설치커버(600)는 상기 슬래브(10)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면적이 확장됨과 동시에 결속고정되는 강도가 더욱 보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설치커버(600)의 상부에 상기 클램프(C)의 연결설치시에도 슬래브(10)에 의해 결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설치커버(600)는 내측에 결합너트(670)가 인서트 성형된 상기 연결공(666)의 개방된 상,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설치커버(600)는 상기 연결공(666)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상부 보호캡(691) 및 상기 연결공(666)의 하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하부 보호캡(69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부 보호캡(691) 및 하부 보호캡(69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래브(1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공(666) 측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은 상기 슬래브(10)의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상기 관통 슬리브(500)와 설치커버(6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입상배관(50)의 고정설치를 위한 상기 클램프(C) 조립고정시에 상기 설치커버(600)가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상단부 내측에 차단수단(70)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수단(70)은 화재 등으로 인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발포 팽창하는 내화 충진제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관통 슬리브(500)와 설치커버(600)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상부에 상기 설치커버(600)를 조립설치하여 슬래브(10) 시공시 매립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설치커버(600)의 상면 중앙 일정부분을 타격하여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입상배관(50)을 상기 관통 슬리브(500)와 설치커버(600)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클램프(C)를 조립하면서 상기 입상배관을 상기 관통 슬리브(500)와 설치커버(600)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커버(600)의 상단부 내측에 차단수단(70)이 고정설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차단수단(70)은 화재 등으로 인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발포 팽창하는 내화 충진제로 제공되며, 이를 통하여 화재시 상기 슬래브(10)로 구획된 아래층 공간으로부터 위층으로 불이 번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관통 슬리브(500)와 설치커버(600)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사용상태에서, 특히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공(666) 상부 및 하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보호캡(691) 및 하부 보호캡(692)은 상기 연결공(666)의 상, 하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1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을 거치면서 상기 슬래브(10)에 의해 상기 하부 보호캡(692)은 매립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캡(691)은 상기 슬래브(1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과 양생과정이 진행된 후에, 상기 클램프(C)의 조립고정시 결합볼트(B)를 결합너트(670)와 결합고정시키기 전에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결합편(550)을 가지는 관통 슬리브(500) 및 결합후크(650)를 가지는 설치커버(600)로 구성됨으로써 슬래브(1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이나 클램프(C)의 조립설치시 설치커버(600)가 관통 슬리브(500) 상단부에 분리됨이 없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틀의 고정설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설치커버(600)의 개방된 연결공(602)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상부 보호캡(691) 및 하부 보호캡(692)이 구비됨으로써 슬래브(1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설치커버(600)의 연결공(602) 측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관통 슬리브(500)의 외면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정렬돌기(570) 및 설치커버(600)의 측벽(630) 내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함몰 형성되는 정렬홈(631)이 적용됨으로써 설치커버(600)를 관통 슬리브(500)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설치커버(600)의 연결부(660)를 세팅위치인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고정브래킷(501)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간편하게 정렬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슬래브 11: 덕트성형관
50: 입상배관 70: 차단수단
500: 관통 슬리브
501: 고정브래킷 503: 종방향 보강리브
550: 결합편 570: 정렬돌기
600: 설치커버
610: 상판 611: 요홈
630: 측벽 631: 정렬홈
650: 결합후크 660: 연결부
661: 연장리브 665: 연결관
666: 연결공 670: 결합너트
680: 횡방향 보강리브 691: 상부 보호캡
692: 하부 보호캡

Claims (7)

  1. 건물의 슬래브(10) 상에 관통형성되는 덕트성형관(11) 상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되며, 상단부에 클램프(C)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덕트 성형관(11) 내부공간을 관통하도록 입상배관(50)을 고정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10)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11)의 하단으로부터 상단부에 걸쳐 매립고정되며, 중공의 원통 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브래킷(501)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편(550)이 내향 돌출형성되는 관통 슬리브(500); 및
    상기 슬래브(10)의 시공시 상기 덕트성형관(11)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에 이르기까지 매립고정되고 입상배관(50)의 고정설치시 클램프(C)가 상부로부터 연결조립되며,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상단부를 일정길이 감싸면서 관통 슬리브(500) 상부에 결합시켜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상판(610)의 상면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타격에 의해 제거되도록 측벽(630) 상단과 연결되는 상판(610)의 외측 단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요홈(611)이 하향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판(6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고정브래킷(501)과 대응되어 상기 클램프(C)를 연결설치하는 연결부(660)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측벽(630) 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판(610)의 저면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결합편(550)과 대응되는 결합후크(650)가 하향 돌출 형성된 설치커버(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커버(600)를 상기 관통 슬리브(500)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부(660)가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고정브래킷(501)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정렬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결합편(550)은 상기 고정브래킷(501)에 대하여 상호 엇갈리는 위치로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내향 돌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설치커버(600)의 결합후크(650)가 상면 일측에 접촉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550)과 상기 설치커버(600)의 결합후크(650)의 방향이 일치되어, 상기 설치커버(600)를 상기 관통 슬리브(500)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부(660)가 상기 관통 슬리브(500)의 고정브래킷(501)과 상호 엇갈려 배치된 상태로 정렬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500)는 외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를 가지는 정렬돌기(570)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설치커버(600)는 상기 측벽(630)의 내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정렬돌기(570)와 대응되는 정렬홈(631)이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리브(500)는 상기 슬래브(10)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면적이 확장됨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도록,
    외면 하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돌출되는 종방향 보강리브(5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C)를 연결설치하는 상기 설치커버(600)의 연결부(660)는 상기 상판(610)의 외측 단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연장리브(661) 및 상기 연장리브(661)의 단부에 원기둥 상으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관(6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연결관(665)은 중앙에 연결공(666)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결공(666)은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져 외향 단이 지게 확장 형성되어 단이 진 내측 공간에 결합너트(670)가 인서트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커버(600)는 상기 슬래브(10)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면적이 확장됨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측벽(630)의 외면과 상기 연결부(660)의 외면 중앙부분에 걸쳐 띠 형상을 가지고 외향 돌출 형성되는 횡방향 보강리브(6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커버(600)는 내측에 결합너트(670)가 인서트 성형된 상기 연결공(666)의 개방된 상,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공(666)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상부 보호캡(691) 및 상기 연결공(666)의 하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하부 보호캡(69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1020150053988A 2015-04-16 2015-04-16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10171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88A KR101715324B1 (ko) 2015-04-16 2015-04-16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88A KR101715324B1 (ko) 2015-04-16 2015-04-16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59A true KR20160123659A (ko) 2016-10-26
KR101715324B1 KR101715324B1 (ko) 2017-03-13

Family

ID=5725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988A KR101715324B1 (ko) 2015-04-16 2015-04-16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058A (ko) * 2021-08-17 2023-02-2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KR20240000027U (ko) 2022-06-29 2024-01-05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다기능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172B1 (ko) 2018-09-28 2019-11-04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및 이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200036699A (ko) 2019-05-27 2020-04-07 연태영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KR102095153B1 (ko) * 2019-06-07 2020-03-30 주식회사 영진공영 설치가 용이한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의 슬리브 연결구
KR102166905B1 (ko) 2019-09-03 2020-10-1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입상배관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27B1 (ko) 2001-08-31 2004-10-06 주식회사제4기한국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0391147Y1 (ko) * 2005-05-03 2005-07-29 주식회사 리텍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0451427Y1 (ko) *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048474B1 (ko) * 2009-02-02 2011-07-11 장경근 배관 마감용 조립체
KR101440913B1 (ko) * 2013-04-05 2014-09-17 홍순익 입상배관을 통한 층간소음방지 고정 조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27B1 (ko) 2001-08-31 2004-10-06 주식회사제4기한국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0391147Y1 (ko) * 2005-05-03 2005-07-29 주식회사 리텍 상수파이프 고정구
KR101048474B1 (ko) * 2009-02-02 2011-07-11 장경근 배관 마감용 조립체
KR200451427Y1 (ko) *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440913B1 (ko) * 2013-04-05 2014-09-17 홍순익 입상배관을 통한 층간소음방지 고정 조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058A (ko) * 2021-08-17 2023-02-2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KR20240000027U (ko) 2022-06-29 2024-01-05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다기능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324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324B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101743932B1 (ko)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1894009B1 (ko)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US8839594B2 (en) Concrete exclusion structure
US20070283644A1 (en) Leadthrough for a conduit
KR200482602Y1 (ko)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US4964180A (en) Shower strainer mounting assembly
KR20180047830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US20140020315A1 (en) Assembly for a line conduit
KR20190012801A (ko) 인서트가 매입되는 터널 라이닝 거푸집 및 풍도 슬래브 지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브래킷 형성방법
KR101879277B1 (ko) 지하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822027B1 (ko) 조립식 사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200188474Y1 (ko) 관연결용 벽체 관통 슬리브
KR101956640B1 (ko) 내화 단열 벽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20002178U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US11248643B2 (en) Composite element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use of a fastening element designed as a clamping element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US20090090078A1 (en) Combination pipe test cap and concrete sleeve
KR1019324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관연결장치
KR20090004401U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20090002926U (ko) 유로폼용 슬리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