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213B1 -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213B1
KR101851213B1 KR1020170106850A KR20170106850A KR101851213B1 KR 101851213 B1 KR101851213 B1 KR 101851213B1 KR 1020170106850 A KR1020170106850 A KR 1020170106850A KR 20170106850 A KR20170106850 A KR 20170106850A KR 101851213 B1 KR101851213 B1 KR 10185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ody
fastening
delete delete
fastened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6007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512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배관용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일 실시예는 슬라브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원통형으로 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되되,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이 철거될 때 함께 분리되며, 그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된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저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저면판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하우징;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상측 체결부;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측 체결부의 경계부위 외주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Through sleeve for pip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슬라브 등에 배수관 설치를 위해 관공을 확보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더 상세하게는 배관용 슬리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를 알폼(알루미늄 거푸집)에 결합 및 탈거할 때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절감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동반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는 콘크리트층에 에어컨,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전기 및 통신케이블 등의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슬라브)의 거푸집에 배관용 슬리브(이하 '슬리브'라 약칭함)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슬리브(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P)에 피스(11)로서 고정되며 상측은 뚜껑(12)에 의해 막혀 있는 원통형의 슬리브 몸체(10)와, 상기 거푸집 패널(P) 상에 고정나사(2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슬리브 몸체(10)의 개방된 하단이 끼움 결합되어 슬리브 몸체(10)의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판(20)과, 상기 뚜껑(12)의 위쪽에 안착된 채 상기 슬리브 몸체(10)의 상단에 지지되는 바 형태의 와셔(30)와, 상기 고정나사(21)의 머리 부분에 하단이 체결된 채 상기 뚜껑(12) 및 와셔(30)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장볼트(40)와, 상기 장볼트(4)에 체결된 채 상기 와셔(30)를 가압하는 나비너트(5)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리브(1)는 거푸집 패널(P)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술한 와셔(30), 장볼트(30) 및 나비너트(40) 등의 많은 부품이 필요하므로 원가 상승은 물론, 이들 부품들을 거푸집 패널(P)에 체결하는 과정이 오래 걸리고, 콘크리트 타설후에는 상기 부품들을 다시 해체해야 하므로 이 또한 오래 걸리게 되므로 시공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1717859호(2017년 3월 13일 등록) 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1273809호(2013년 6월 04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를 알폼(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결합하기 위한 부품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음에 따라 알폼에 대한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결합 및 탈거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원가절감 및 공기를 현저히 감축할 수 있는 배관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슬라브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원통형으로 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되되,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이 철거될 때 함께 분리되며, 그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된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저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저면판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하우징;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상측 체결부;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측 체결부의 경계부위 외주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슬라브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원통형으로 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되되,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이 철거될 때 함께 분리되며, 그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된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저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저면판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하우징;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 상기 암나사부에 삽입되되, 내부에 나사홈이 마련된 상측 체결부; 상기 고정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측 체결부의 나사홈에 체결되는 마감볼트;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측 체결부의 경계부위 외주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는, 슬리브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수직배관을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가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 고정부가 마련되되, 상기 클램프 고정부는 상부 개방형의 너트 포켓이 마련된 너트 하우징과, 상기 너트포켓에 내장된 채 상기 클램프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클램핑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 패널이 목재인 경우, 상기 슬리브 몸체의 상부가 하부가 되도록 뒤집어서 상기 목재 거푸집 패널에 못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 고정부들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못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리브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상기 각 클램프 고정부의 너트포켓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형 커버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면판 상면의 가장자리와 체결부와의 사이에 다수의 환형 보강리브 및 상기 환형 보강리브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직선 보강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환형 보강리브와 직선 보강리브의 두께 또는 높이가 저면판의 중심부로 갈수록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슬라브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별개로 구성되는 상부 슬리브 몸체와 하부 슬리브 몸체를 결합에 의해 일체화 하되,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는 그 상부에 파단 가능한 연약부에 의해 뚜껑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는 그 하부에 저면판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저면판은 하부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이 철거될 때 함께 분리되며, 그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된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저면판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하우징;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 상기 암나사부에 삽입되되, 내부에 나사홈이 마련된 상측 체결부; 상기 고정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측 체결부의 나사홈에 체결되는 마감볼트;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측 체결부의 경계부위 외주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치합되는 숫나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의 하단에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의 상단에는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2 플랜지부를 밀접시킨 후 체결볼트에 의해 이들 플랜지부를 취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는 상부 슬리브 몸체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스토핑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스토핑 돌기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 스토핑 돌기가 마련되어, 상부 슬리브 몸체와 하부 슬리브 몸체가 상호 간에 원주방향으로 슬립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의 본 발명은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구조 개선을 통해 이를 알폼에 결합할 때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또한 관통슬리브를 타설한 이후에도 별도의 부품해체 없이 알폼으로부터 간단하게 탈거할 수 있으며, 탈거과정에서 관통슬리브의 저면판이 알폼과 함께 제거됨으로써 슬리브를 단번에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시공 및 철거작업이 간편하여 인건비 및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구성의 단순화로 인해 원가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다른 고정핀이 적용된 분해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시공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1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2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3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서 상부 슬리브 몸체와 하부 슬리브 몸체가 분리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 슬리브 몸체와 하부 슬리브 몸체의 다른 결합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1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시공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다른 고정핀이 적용된 분해단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결합단면도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관통 슬리브는 알폼(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줄임과 아울러 알폼의 탈거와 동시에 배관용 관통 슬리브의 하단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에서 개발된 것으로, 크게 8가지 실시예가 제시된다. 하기에서는 이를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다른 고정핀이 적용된 분해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시공상태도이다.
위 도면에서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슬리브 몸체(110) 및 저면판(12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플라스틱 원통체로서, 이 슬리브 몸체(110)는 슬라브(s, 도 6에 도시됨)에 배관(p, 도 6에 도시됨)을 관통설치하기 위해 슬라브(s)에 관공(h, 도 6에 도시됨)을 형성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상기한 슬리브 몸체(110)의 외주면 상단에는 슬리브 몸체(110)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p)을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20, 도 6에 도시됨)가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 고정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20)는 공지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 고정부(111)는 상기 슬리브 몸체(110)의 외주면 상단에 복수개(4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되, 내부에 상부 개방형의 너트포켓(111b)이 마련된 너트 하우징(111a)과, 상기 너트포켓(111b)에 내장된 채 상기 클램프(20)와 볼트(b)에 의해 체결되는 클램프 너트(111c)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몸체(110)의 외주면 상단 중, 상기 클램프 고정부(111) 사이사이에는 복수(4개)의 못 고정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못 고정부(112)는 거푸집 패널이 목재인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저면판(120)은 알폼(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알폼 전용 고정수단인데, 만약 거푸집 패널이 알폼이 아니고 목재 거푸집인 경우에는 저면판을 활용할 수 없으므로 이때는 상기 슬리브 몸체(110)의 저면판(120)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못 고정부(112)를 목재 거푸집 패널에 밀착시킨 후 못 고정부에 못을 박아서 목재 거푸집 패널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저면판(120)은 제1 실시예의 핵심 구성으로서, 상기 슬리브 몸체(110)의 저면을 이루되, 슬리브 몸체(110)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130)에 의해 슬리브 몸체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연약부(130)는 일예로 저면판(120)의 테두리와 슬리브 몸체(110)가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예로 저면판(120)의 테두리와 슬리브 몸체(110)가 전체적으로 연결은 되되 두께를 얇게 하여 약하게 연결되는 구조가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판(120)에는 그 중앙부위에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140)이 체결되는 체결부(141)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121)는 도 2 및 3에서와 같이, 상기 저면판(120)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 하우징(121a)과, 상기 너트 하우징(121a)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140)과 체결되는 체결너트(12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체결부(121)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저면판(120)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점은 상기와 동일하나 체결너트(121b)를 대신하여 체결부(121)의 내면에 암나사부(121c)가 일체로 된 형태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121)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핀(14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121b)가 매립된 형태인 경우,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체결되는 하측 나사부(141)와, 상기 체결너트(121b)에 체결되는 상측 나사부(142)와, 상기 하측 나사부(141)와 상측 나사부(142) 사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142a)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다른 고정핀(14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부(121)의 내부에 암나사부(121c)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체결되는 나사부(143)와, 상기 암나사부(121c)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암체결부(144a)가 마련된 헤드부(144)와, 상기 나사부(143)와 헤드부(144) 사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144a)와, 상기 체결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144)의 암체결부(144a)와 체결되는 마감볼트(145)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즉 체결부(121)의 내부에 암나사부(121c)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도 4에 별도(원내에 도시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하측 나사부(141)와 상측 나사부(142)로 이루어진 고정핀(140)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위에 설명된 고정핀(140)은 공통적으로 상기 플랜지부(142a,144a)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판(120)은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과 결합되는 결합체이기도 하고, 거푸집 패널을 철거할 때 완전하게 떨어져 나와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도 2 및 3에서와 같이, 저면판(120)의 중앙부에 마련된 체결부(121)와 연약부(130) 사이의 강도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면판(120) 상면의 가장자리와 체결부(121)와의 사이에 다수의 환형 보강리브(122)와 상기 환형 보강리브(122)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직선 보강리브(1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저면판(120)은 환형 보강리브(122) 및 직선 보강리브(123)에 의한 격자형 리브 구조에 의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환형 보강리브(122) 및 직선 보강리브(123)는 그 두께 또는 높이가 저면판(120)의 중심부로 갈수록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게 될 수 있다. 이는 저면판(120)의 중앙부에 체결부(121)가 마련된 점을 고려한 구조이다.
그리고, 제1 실시예의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상기 슬리브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배관용 관통슬리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50)는 그 가장자리에 상기 각 클램프 고정부(111)의 너트포켓(111b)에 삽입되는 복수의 커버 고정부(151)가 마련되어 슬리브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도 7 내지 10을 참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1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2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3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위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로 분할 구성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다만,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판(120)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분할 구성의 경우,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결합방식에 따라 3가지 방식이 제안될 수 있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하단과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상단에 제1, 2 플랜지부(110c)가 마련되어,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제1 플랜지부(110c)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제2 플랜지부(110c)를 중첩시킨 후, 체결볼트(b)에 의해 결속함으로써 상,하부 슬리브 몸체(110a, 110b)를 취합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내주면에 암나사부(110e)를 형성하고,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대향하는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10f)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부(110e)와 암나사부(110f) 간의 결합에 의해 상,하부 슬리브 몸체(110a,110b)를 취합하는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부 슬리브 몸체(110a)에는 암나사부를, 하부 슬리브 몸체(11b)에는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취합하는 반대의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되,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내부로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하되, 억지끼움 방식이나, 또는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에 암수구조의 단차를 형성하여 상호 끼워 맞춤하는 결합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형태는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을 철거할 때 저면판(120)만 떨어져 나오는 반면, 도 9에 도시된 형태는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가 분리가능한 구조이므로 저면판(120)은 하부 슬리브 몸체(110b)에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이고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의 분리시 하부 슬리브 몸체(110b) 전체가 상부 슬리브 몸체(110a)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된다.
상기한 제2 실시예의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공통적으로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상부는 상부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150a)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150)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내부로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끼움 결합하되,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스토핑 돌기(110a′)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스토핑 돌기(110a′)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 스토핑 돌기(110b′)가 마련되어,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가 상호 간에 원주방향으로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이는 상,하부 슬리브 몸체(110a,110b)를 고정핀(140)에 체결할 때 회전시켜서 체결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하부 슬리브 몸체(110a,110b)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분리된 상태도이다.
위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원통형으로 되며, 상부는 연약부(150a)에 의해 파단 가능한 상부 뚜껑(150)에 의해 차단된 상부 몸체(110a)와; 상기 상부 몸체(110a)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 몸체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상부 개방형의 하부 몸체(110b)와; 상기 하부 몸체(110b)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몸체의 하부를 차단하며, 그 중앙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고정된 고정핀(140)에 체결되는 체결부(121)가 마련된 저면판(120)과; 상기 상부 뚜껑(150)과 저면판(120)을 연결하는 연결와이어(1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저면판(120)과 상부 뚜껑(150)이 연결와이어(160)에 의해 연결된 것인데, 상기 연결와이어(160)는 하부 몸체(110b)가 상부 몸체(110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역할과,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을 철거할 때 단락되면서 하부 몸체(110b)가 상부 몸체(110a)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기타, 저면판(120)의 상세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하단에, 결속공(110i)을 갖는 결속 플랜지부(110g)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상단에는 상기 결속 플랜지부(110g) 걸림 결합되는 후크부(110j)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면에서 하부 슬리브 몸체(10b)의 저면판(120)에는 상기 고정핀(140)과 보조 체결나사(b) 등이 삽입됨으로써 저면판(120)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밀착되도록 하는 요홈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요홈부(124)는 모든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 내지 17을 참조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1 구성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시공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제2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위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슬리브 몸체(110) 및 저면판(120)으로 구성된 점은 여타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슬리브 몸체(110)의 구조에 차이점이 있다. 즉, 슬리브 몸체(110)가 상부 개방형으로된 외부 원통부(110-1)와, 상기 외부 원통부(110-1)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내부 원통부(110-2)로 이루어진 점에서 차이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실시예의 슬리브 몸체(110)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클램프 고정부와 못 고정부가 제외될 수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 및 19를 참조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단면도이다.
위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상기한 제4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기타 구성은 제5 실시예와 동일하되, 외부 원통부(110-1)의 외측 하부에 수납챔버(110-4)를 갖는 원통형의 내화충전제 커버(110-3)가 구성된 점, 상기 수납챔버(110-4)의 내부에 요입되는 환형의 내화충전제(170)가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내지 5실시예의 배관용 관통슬리브(100)는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은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75∼85중량%와 합성수지용 첨가제 15~2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이란,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피브이씨, 에이비에스,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테레프탈산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생물분해제는 옥수수전분, 목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두류전분, 옥수수개성전분, 목수개성전분, 감자개성전분, 고가무개성전분, 밀개성전분 및 두류개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그리고 상기 생물분해촉진제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의 유도체, 폴리카프로락톤, 하이드로락톤, 하이드로포빈, 폴리락티드, 알긴산, 펙틴, 한천, 소디움 트리폴리포시페이트, 디메틸아민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분해촉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엽락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광민제는 코발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2,4-펜탄디온의 금속화합물, 2,4- 펜탄디온의 금속복합물, 디티오카바메이트의 복합물, N-터트-부틸벤조시아졸-2-술펀아미드의 복합물, 벤조페논, 벤조페논의 유도체 및 할로겐 요소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그리고 상기 광민촉진
제는 스테아린산염이며, 상기 자양화제는 유기산으로서, 라우린산, 올레인산, 시트르산, 팔미트산, 베헨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 말레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증수제는 글리세린, 알킬올아미드, 실물유, 디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솔비톨 및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분해공제제는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트리아진유도체, 유기니켈 복합물, 하이드록시벤젠, 암모니아류, 티오산 및 아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비닐친수제는 폴리에틸렌알콜이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는 목분,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되는 필러 70~90중량%, 무수말레인산 결합제 1~3중량%, 왁스 1~3중량%, 아연계 열적안정제 0.5~1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 1~5중량%,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3중량%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5~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러로서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종래 플라스틱의 첨가제로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탄산칼슘은 광물질로 합성수지와의 결합시 합성수지의 물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다량의 첨가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산칼슘과 함께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연계 열적안정제, 염소화 폴리에틸렌,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련하여 첨가제를 제조하기 때문에, 탄산칼슘을 다량 사용하더라도 합성수지의 물성을 떨어뜨리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필러인 목분은 땅에 매립시 쉽게 분해되는 물질로서, 분해성 플라스틱, 즉 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재료이다. 따라서 친환경의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라면, 탄산칼슘이 아닌 목분을 단독으로 필러로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목분은 500매쉬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데, 목분의 입자가 너무 크면 제품의 생산이 용이하지 않고, 제품의 물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필러로서 사용되는 목분과 탄산칼슘은 모두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같은 중량을 사용하더라도 기타의 필러와 대비할 경우, 부피가 큰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중량의 원료로서 멀칭 비닐을 생산할 경우, 더 많은 량의 멀칭 비닐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합성수지 제품의 생산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러는 70~90중량% 만큼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는 첨가제 내의 각 원료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1~3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된다. 그 이유는 상기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가 1중량% 미만이 되면 결합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3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오히려 합성수지 제품의 물성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상기 왁스는 합성수지의 원료에 따라 그 종류를 결정하는 데, 합성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일(PP) 경우 왁스도 PP왁스를 사용하고, 합성수지의 원료가 폴리에틸렌(PE)일 경우 왁스도 PE 왁스를 사용한다. 상기 왁스는 성형시 기기에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1~3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된다. 그 이유는 상기 왁스가 1중량% 미만이 되면 성형기기가 성형시 큰 부담을 받게 되고, 3중량%를 초과하면 활성이 커져서 폴리머들이 서로 엉기지 못하고 제품이 쉽게 부서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는 생산되는 합성수지 제품의 치수 안정성과 균일성을 가지게 하는 확산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 데, 예를 들면 징크라우레이트(Zinc Laur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는 0.5~1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가 0.5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1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수지들이 서로 엉기지 못해 합성수지 제품이 쉽게 부서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CPE)은 플라스틱과 고무의 특성을 겸비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충격보강제로 사용되어 첨가제를 첨가하더라도 합성수지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CPE는 1~5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게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 가격이 비싸 제품 원가가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는 첨가제 제품의 성형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첨가제의 가공 온도(성형온도)가 낮을수록 단위 시간당 가공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품의 최종 원가를 낮춰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성형 온도를 낮춰 제품 불량률을 줄임으로써, 생산 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 또는 EVA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성형 온도(180~210℃) 보다 20℃ 이상 성형온도를 낮출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핫멜트 접착제 또는 EVA는 사용되는 광물질과 폴리머보다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성형하게 되면 분자량이 낮은 원료인 핫멜트 접착제나 EVA가 제품의 표면으로 몰리게 되고, 접착성이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나 EVA로 인해 성형온도를 낮추더라도 타 원료가 결합될 때 그 결합력이 우수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 또는 EVA는 1~3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데,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이면 성형온도를 낮추기 어렵고, 3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성형온도를 낮출 수 없으므로, 상기한 범위 내에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핫멜트 접착제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핫멜트 접착제로는 요소수지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합성수지 제품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의 혼합 시 접착제 역할을 하게되는 주제로서, 그 사용량은 5~1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사용량이 5중량% 미만이 되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의 혼합이 어려워 합성수지 제품의 물성이 좋지 못할 수 있고, 15중량%를 초과할 경우 물성은 좋아지나 가격이 고가이므로 제품 원가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러,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연계 열적안정제, 염소화 폴리에틸렌,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용 첨가제에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및 폴리 왁스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및 폴리 왁스는 성형기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추가로 혼합되는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폴리 왁스 등은 그 총 사용량이 0.5~1.5중량%의 범위임이 바람직한 바, 이는 제품의 물성 등을 고려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구성하는 조성물인 필러,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연계 열적안정제, 염소화 폴리에틸렌,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폴리 왁스 등은 모두 분말 또는 과립형의 결정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용 첨가제는 합성수지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그 가격이 1/2 정도이고, 원료의 단위 부피당 중량이 2/3에 그치기 때문에, 동일한 중량으로 더 큰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높은 가격경쟁력을 갖는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 15~25중량%가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75~85중량%와 혼합되기 때문에,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합성수지용 첨가제의 혼합비를 15~25중량%로 하는 이유는, 상기 첨가제가 15중량% 미만이 되면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없고, 25중량%를 초과하면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적어져 물과 이산화탄소로의 완전분해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필러로서 자연분해가 가능한 목분을 사용한다면,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복합분해성 수지 조성물과 1:1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100) 중, 제1 실시예의 경우 아래의 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
1 단계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고정핀(140)을 체결한다.
2 단계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관통슬리브(100)를 고정한다.
즉,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미리 고정된 고정핀(140)에 슬리브 몸체(110)의 저면판(120)에 마련된 체결부(121)를 일치시킨 후, 슬리브 몸체(110)를 회전시켜서 체결부(121)의 체결너트(121b)에 고정핀(140)을 체결함으로써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 상에 관통슬리브(100)를 고정시킨다.
3 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즉,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 상에 관통슬리브(100)의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통슬리브(100)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한다.
4 단계로, 관통슬리브를 개방한다.
즉,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을 철거하되, 철거과정에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고정된 관통슬리브(100)의 저면판(120)과 슬리브 몸체(110) 사이의 연약부(130)가 파단된다.
따라서, 슬리브 몸체(110)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남고, 저면판(120)은 연약부(130)의 파단에 따라 슬리브 몸체(110)의 저면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후에는, 슬리브 몸체(110)의 상단에 마련된 클램프 고정부(111)에 클램프(20)를 결속한 후, 상기 클램프(20)의 중앙에 마련된 관 파지부(21)로 배관(p)을 관통시켜서 배관설치작업을 완료한다.
이러한 작업과정을 볼 때,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을 철거함과 동시에 슬리브 몸체(110)를 단번에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대비 작업과정이 간편 용이하고, 슬리브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수도 적으므로 작업공수나 경제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상기의 방법에서, 2 단계는 아래의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40)에 슬리브 몸체(110)의 저면판(120)에 마련된 체결부(121)를 일치시킨 후, 체결부(121)의 내부로 고정부재(140)의 헤드부(144)를 삽입시키고, 마감볼트(145)를 체결부(121)의 상측으로부터 헤드부(144)의 암나사(144a)에 체결함으로써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 상에 관통슬리브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100) 중, 제2 실시예의 경우는, 슬리브 몸체(110)가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이의 시공방법은 상기 제1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다. 다만,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가 견고하게 결속되는 경우, 즉 도 7 및 8의 경우는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결합하는 과정이 추가될 뿐 나머지 과정은 앞서 설명된 시공방법과 동일하나, 도 9에서와 같이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절차에 의해 진행된다.
1 단계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고정핀(140)을 체결한다.
2 단계로,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결합한다.
즉,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하측 내부로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3 단계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미리 고정된 고정핀(140)에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저면판(120)에 마련된 체결부(121)를 일치시킨 후, 상,하부 슬리브 몸체(110a,110b)를 함께 회전시켜서 체결부(121)의 체결너트(121b)에 고정핀(140)을 체결함으로써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 상에 관통슬리브(100)를 고정시킨다.
4 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즉,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 상에 관통슬리브(100)의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통슬리브(100)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한다.
5 단계로, 관통슬리브를 개방한다.
즉,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을 철거하되, 철거과정에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은 물론 이에 고정된 하부 슬리브 몸체(10b)가 상부 슬리브 몸체(10a)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부 슬리브 몸체(110a)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남고, 하부 슬리브 몸체(110b)는 분리됨에 따라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저면이 개방된다.
이후에는, 슬리브 몸체(110)의 상단에 마련된 클램프 고정부(111)에 클램프(20)를 결속한 후, 상기 클램프(20)의 중앙에 마련된 관 파지부(21)로 배관(p)을 관통시켜서 배관설치작업을 완료한다.
또 한편,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관통슬리브(100) 중, 제3 실시예의 경우 아래의 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
1 단계로,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에 고정핀(140)을 체결한다.
2 단계로,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하측 내부로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삽입한 후,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뚜껑(150)과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저면판(120)을 연결 와이어(16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상부 슬리브 몸체(110a)와 하부 슬리브 몸체(110b)를 취합한다.
3 단계로, 상기 고정핀(140)에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저면판(120)에 마련된 체결부(121)를 일치시킨 후, 체결부(121)에 고정핀(140)을 체결함으로써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 상에 조합상태인 상,하부 슬리브 몸체(110a,110b)를 고정한다.
4 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즉,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 상에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통슬리브(100)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한다.
5 단계로, 관통슬리브를 개방한다.
즉, 상기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을 철거하되, 철거과정에서 하부 슬리브 몸체(110b)의 저면판(120)과 뚜껑(150)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와이어(160)가 끊기면서 상부 슬리브 몸체(110a)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남고, 하부 슬리브 몸체(110b)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10)과 함께 탈거되면서 상부 슬리브 몸체(110a)의 저면이 개방된다.
이후에는, 슬리브 몸체(110)의 상단에 마련된 클램프 고정부(111)에 클램프(20)를 결속한 후, 상기 클램프(20)의 중앙에 마련된 관 파지부(21)로 배관(p)을 관통시켜서 배관설치작업을 완료한다.
100 : 관통 슬리브 110 : 슬리브 몸체
110a : 상부 몸체 110b : 하부 몸체
110c : 결합 플랜지 110e : 암나사
110f : 숫나사 110-1 : 외부 원통부
110-2 : 내부 원통부 110-3 : 내화충전제 커버
111 : 클램프 고정부 111a : 너트 하우징
111b : 너트포켓 111c : 클램프 너트
112 : 못 고정부 120 : 저면판
121 : 체결부 121a : 너트 하우징
121b : 체결너트 121c : 암나사부
122 : 환형 보강리브 123 : 직선 보강리브
130 : 연약부 140 : 고정부재
141 : 체결부 142 : 상측 나사부
143 : 나사부 144 : 헤드부
144a : 암나사 150 : 상부커버
160 : 연결 와이어 170 : 내화 충전제

Claims (38)

  1. 슬라브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원통형으로 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되되,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이 철거될 때 함께 분리되며, 그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된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저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저면판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하우징;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상측 체결부;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측 체결부의 경계부위 외주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2. 슬라브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원통형으로 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되되,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이 철거될 때 함께 분리되며, 그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된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저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저면판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하우징;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암나사부에 삽입되되, 내부에 나사홈이 마련된 상측 체결부; 상기 고정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측 체결부의 나사홈에 체결되는 마감볼트;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측 체결부의 경계부위 외주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는, 슬리브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수직배관을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가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 고정부가 마련되되,
    상기 클램프 고정부는 상부 개방형의 너트 포켓이 마련된 너트 하우징과, 상기 너트포켓에 내장된 채 상기 클램프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클램핑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거푸집 패널이 목재인 경우, 상기 슬리브 몸체의 상부가 하부가 되도록 뒤집어서 상기 목재 거푸집 패널에 못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 고정부들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못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상기 각 클램프 고정부의 너트포켓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형 커버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1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 상면의 가장자리와 체결부와의 사이에 다수의 환형 보강리브 및 상기 환형 보강리브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직선 보강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환형 보강리브와 직선 보강리브의 두께 또는 높이가 저면판의 중심부로 갈수록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13. 삭제
  14. 삭제
  15. 슬라브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관통슬리브로서,
    별개로 구성되는 상부 슬리브 몸체와 하부 슬리브 몸체를 결합에 의해 일체화 하되,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는 그 상부에 파단 가능한 연약부에 의해 뚜껑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는 그 하부에 저면판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저면판은 하부 슬리브 몸체로부터 파단 가능하도록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어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이 철거될 때 함께 분리되며, 그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고정된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저면판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너트하우징;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부에 매립 또는 삽입된 채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암나사부에 삽입되되, 내부에 나사홈이 마련된 상측 체결부; 상기 고정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측 체결부의 나사홈에 체결되는 마감볼트;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측 체결부의 경계부위 외주면에 마련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16. 삭제
  17.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치합되는 숫나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18.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의 하단에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의 상단에는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2 플랜지부를 밀접시킨 후 체결볼트에 의해 이들 플랜지부를 취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19. 삭제
  20.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는 상부 슬리브 몸체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슬리브 몸체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스토핑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스토핑 돌기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 스토핑 돌기가 마련되어, 상부 슬리브 몸체와 하부 슬리브 몸체가 상호 간에 원주방향으로 슬립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관통슬리브.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70106850A 2017-06-09 2017-08-23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1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87 2017-06-09
KR20170072487 2017-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213B1 true KR101851213B1 (ko) 2018-06-11

Family

ID=6260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850A KR101851213B1 (ko) 2017-06-09 2017-08-23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496B1 (ko) * 2019-07-02 2020-01-02 오병준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102192658B1 (ko) * 2019-10-01 2020-12-17 (주)휴그린텍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슬리브
KR102546788B1 (ko) * 2022-03-25 2023-06-2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설치를 위한 슬래브용 슬리브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368U (ja) * 1996-01-30 1996-08-09 二三産業株式会社 スリーブ管のコンクリート流入防止蓋材
KR200391147Y1 (ko) * 2005-05-03 2005-07-29 주식회사 리텍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100013100U (ko) * 2009-06-25 2010-12-31 강원구 체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대
KR20110130838A (ko) * 2010-05-28 2011-12-06 승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축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벽체의 시공방법
KR101157482B1 (ko) * 2011-11-16 2012-06-2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KR20120005460U (ko) * 2011-01-20 2012-07-30 하철상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101247414B1 (ko) * 2011-05-16 2013-03-25 황혜자 거푸집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
KR101273809B1 (ko) 2011-11-02 2013-06-11 장동식 관통슬리브
KR20140000051U (ko) * 2012-06-22 2014-01-07 하철상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480025Y1 (ko) * 2015-03-04 2016-04-04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KR200482602Y1 (ko) * 2015-12-09 2017-02-13 양윤석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1717859B1 (ko) 2015-12-03 2017-03-17 송병진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368U (ja) * 1996-01-30 1996-08-09 二三産業株式会社 スリーブ管のコンクリート流入防止蓋材
KR200391147Y1 (ko) * 2005-05-03 2005-07-29 주식회사 리텍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100013100U (ko) * 2009-06-25 2010-12-31 강원구 체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대
KR20110130838A (ko) * 2010-05-28 2011-12-06 승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축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벽체의 시공방법
KR20120005460U (ko) * 2011-01-20 2012-07-30 하철상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101247414B1 (ko) * 2011-05-16 2013-03-25 황혜자 거푸집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
KR101273809B1 (ko) 2011-11-02 2013-06-11 장동식 관통슬리브
KR101157482B1 (ko) * 2011-11-16 2012-06-2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KR20140000051U (ko) * 2012-06-22 2014-01-07 하철상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480025Y1 (ko) * 2015-03-04 2016-04-04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KR101717859B1 (ko) 2015-12-03 2017-03-17 송병진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KR200482602Y1 (ko) * 2015-12-09 2017-02-13 양윤석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496B1 (ko) * 2019-07-02 2020-01-02 오병준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102192658B1 (ko) * 2019-10-01 2020-12-17 (주)휴그린텍 내화충전재가 내장된 배관 슬리브
KR102546788B1 (ko) * 2022-03-25 2023-06-2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설치를 위한 슬래브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13B1 (ko)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JP4790698B2 (ja) 三次元のリバース・タンキング用膜
CN107263983B (zh) 含有可膨胀石墨的热塑性膜
CN208731483U (zh) 承载结构
DE69935591D1 (de) Propylenpolymer und zusammensetzung die dieses enthält, geformter gegenstand und laminat die dieses enthal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propylen un dessen zusammensetzung
US20180291585A1 (en) Manhole Inserts and Manhole Insert Gasket Fabrication Methods
EP2060217A2 (de) Duschwannenaufbau sowie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s Duschwannenaufbaus
US6495635B1 (en) Waterproof, durable products made from recycled rubber products
WO2016181136A1 (en) Formwork
US20040137210A1 (en) Composite pad
US20040244240A1 (en) License plate frame
DE102012112831A1 (de) Bauelement für die Bildung eines Boden- oder/und Wandbelags
KR101604397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1619141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JP2008063810A (ja) 制電性床材
KR200268239Y1 (ko)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RU204971U1 (ru) Понтонный блок
CN104271349B (zh) 大尺寸聚苯乙烯面板
CN218023047U (zh) 一种防腐蚀性强的纸塑复合袋
JPH07172387A (ja) 軽量防舷材
JP2004092260A (ja) 受圧板用部材及び受圧板工法
JPH11336301A (ja) ユニット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07343U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パネル
KR101662730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
JP6261102B1 (ja) プラスチック製のコンクリート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68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908

Effective date: 2022120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654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1228

Effective date: 202310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3000010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1109

Effective date: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