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496B1 -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 Google Patents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496B1
KR102061496B1 KR1020190079558A KR20190079558A KR102061496B1 KR 102061496 B1 KR102061496 B1 KR 102061496B1 KR 1020190079558 A KR1020190079558 A KR 1020190079558A KR 20190079558 A KR20190079558 A KR 20190079558A KR 102061496 B1 KR102061496 B1 KR 10206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granular
refractory filler
fastener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준
Original Assignee
오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준 filed Critical 오병준
Priority to KR102019007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상대적으로 큰 구경을 갖는 상측의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을 갖는 하측의 소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내측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 상에 내화충전재가 안착되고, 단턱의 외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받침되는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에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하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A granular sleeve for piping having a flow-preventing structure of a refractory filler}
본 발명은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으로 배관용 입상슬리브가 녹아 내리더라도 내화충전재는 최초 설치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한 점, 관련부품 없이 입상슬리브를 거푸집에 직결할 수 있어서 입상슬리브의 설치작업 및 거푸집의 분리작업이 간편한 점에 특징을 갖는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에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에 슬리브(sleeve)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슬리브가 설치된 부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므로 이를 통해 배수관을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유독가스의 확산방지를 위해 슬리브에 내화충전재를 구비하고 있다. 내화충전재는 화재열에 의해 자가 팽창하여 슬리브의 공간을 메워해 줌으로써 화재열과 유독가스가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내화충전재는 주로 슬리브와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는데 슬리브에 배수관을 설치한 후 내화충전재를 설치하려면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적정 위치에 설치하지 못할 경우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슬리브와 배수관 사이를 완전하게 밀폐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등록실용신안 20-0482602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에서는 내화충전재가 슬리브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는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내화충전재를 설치하는 공간을 구비함에 있어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슬리브만으로는 내화충전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고, 내화충전재를 고정하기 위한 캡을 별도로 성형하여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상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별도의 캡을 성형하기 위한 추가적인 금형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관을 슬리브에 설치함에 있어서 길이가 긴 배수관을 설치할 때 슬리브와 배수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배수관을 기울인 상태로 시공하게 되는데, 시공 후 배수관과 슬리브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화재 시 유독 가스가 다른 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마감 고정구를 결합하여 밀폐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시된 등록특허공보 제10-1894009호(선행문헌)에 따르면, 내화충전재를 결합할 수 있는 내화충전재 결합홈을 하나의 금형에서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내화충전재의 하부는 클립을 이용해 고정함에 있어서, 탄성에 의해 내화충전재가 하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내화충전재를 후크 형태로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는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건축용 슬리브의 경우, 화재발생시 열기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된 슬리브가 녹아내리게 되면 클립도 슬리브로부터 탈거될 것이므로 결국 내화충전재도 슬리브로부터 흘러내리게 되면서 열화차단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82602호 문헌 2 : 특허등록공보 제10-18940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화재발생으로 배관용 입상슬리브가 녹아 내리더라도 내화충전재는 최초 설치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시에 내화충전재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도록 한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관련부품 없이도 입상슬리브를 거푸집에 간편하게 직결할 수 있어서 입상슬리브의 설치작업 및 거푸집의 철거작업이 간편한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상대적으로 큰 구경을 갖는 상측의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을 갖는 하측의 소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내측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 상에 내화충전재가 안착되고, 단턱의 외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받침되는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에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하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원통형의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큰 구경을 갖는 상측의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을 갖는 하측의 소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내측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 상에 내화충전재가 안착되고, 단턱의 외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받침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에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저면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슬리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원통형의 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재는 그 상단 외주면에 배관고정틀이 결합되는 고정리브가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측면에는 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화충전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움되는 끼움돌기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하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하부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 및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상기 상대 체결구와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되,상기 체결유닛은 거푸집 해체로 인한 체결구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파손되면서 상기 하부재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하우징과 그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저면판의 저면에는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슬리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원통형의 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재는 그 상단 외주면에 배관고정틀이 결합되는 고정리브가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측에는 클립 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 고정홈에는 상기 상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화충전재를 파지하기 위한 클립이 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하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하부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 및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상기 상대 체결구와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되,상기 체결유닛은 거푸집 해체로 인한 체결구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파손되면서 상기 하부재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하우징과 그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저면판의 저면에는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외주면에, 내화충전재가 삽입되는 환형의 삽입링을 갖는 원통상의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상의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 시 거푸집과 함께 저면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슬라브에 배수관을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외주면에, 내화충전재가 삽입되는 환형의 외부링이 마련되고, 내주면 상측에는 제1 배수관이 끼움되는 끼움부가 마련되며, 내주면 하측에는 제2 배수관이 끼움되는 환형의 내부링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저면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화염으로 인하여 플라스틱재로 된 배관용 입상슬리브가 녹아내리더라도 화염에 타지 않는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내화충전재가 받쳐짐에 따라 내화충전재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관련부품 없이 입상슬리브를 거푸집에 간단히 결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별도의 부품 해체 없이 거푸집으로부터 간단하게 탈거할 수 있어서 입상슬리브의 설치 및 거푸집 철거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따라서, 인건비 및 공기를 기존 대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구성의 단순화로 인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단면 사시도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시공과정도
도 3은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단면 사시도,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시공과정도, 도 3은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 참조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입상슬리브(이하 '입상슬리브'라 함)(100)는 상부재(200), 하부재(300) 및 체결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재(200)는 상대적으로 큰 구경(口徑)을 가지며, 상부를 형성하는 대경부(大俓部)(210)와, 상기 대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을 가지며 하부를 형성하는 소경부(小俓部)(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경의 차이에 의해 상기 대경부(210)와 소경부(220)의 내측 경계부에는 자연적으로 단턱(230)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30) 상에는 화재시 부풀어 올라 슬리브 설치공간을 차단하는 내화충전재(500)가 안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상슬리브(100)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도 2b 내지 2e에서와 같이, 단턱(230)의 하단이 콘크리트(c)에 의해 받쳐지게 되므로 화재발생 시, 입상슬리브(100)가 전소(全燒)되더라도 내화충전재(500)는 타설된 콘크리트(c)에 의해 받쳐지게 되어 최초 설치된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므로 정상적인 기능발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대경부(210)의 내주면에는 단턱(230) 상에 안착된 내화충전재(500)가 운반도중 또는 설치도중에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돌기(2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11)는 내화충전재(500)를 단턱(230) 상에 안착시킬 때 이탈방지돌기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면을 구배지게 형성하여 설치상 이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재(300)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재(300)는 도 1 내지 2c에서와 같이, 상부재(200)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재(300)는 판재형태로 될 수 있고, 그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측에 연약부(301)로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하부재(300)는 상부재(200)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끼움 또는 체결에 의해 상부재와 결합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체결유닛(400)은 입상슬리브(100)를 거푸집(1)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존의 입상슬리브와는 달리 회전조작에 의해 거푸집에 쉽게 결합할 수 있고, 또한 거푸집을 쉽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이러한 체결유닛(400)은 상기 하부재(30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410)과,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거푸집(1)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2)에 체결되는 체결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420)는 체결구 하우징(410)의 내부로 끼워 넣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구 하우징(410)의 상측에는 체결구(420)가 체결구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끼움되는 것은 허용하고, 체결구 하우징의 상측으로 임의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성후크(41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후크(411)는 체결구 하우징(410)으로 체결구(420)를 인입할 때는 인입력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손쉽게 인입되고, 체결구 하우징(410)으로 인입된 체결구(420)는 탄성후크(411)를 인위적으로 벌림 변형시키지 않는 한 탄성후크의 걸림턱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체결구(420)는 끼움 방식이 아닌 인서트 사출에 의해 체결구 하우징(410) 내에 매립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구(420)는 너트(도면에 도시됨) 또는 볼트(도 2a의 우측에 도시됨)로 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1)의 상대 체결구(2)는 체결구(420)와는 상대적으로 구성되어 상호 체결된다. 참고로, 상기 체결구(420)가 볼트인 경우, 상대 체결구(2)는 도 2a의 우측도면과 같이 머리부에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 하우징(410)과 그 저면판(412)은 연약부(41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2b 및 2c에서와 같이, 콘크리트(c) 타설 후 거푸집(1)을 철거할 때 체결구 하우징(410) 내의 체결구(420)가 철거압에 의해 저면판(412)의 연약부(413)를 파단하면서 손쉽게 탈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연약부(413)가 없더라도 체결구(420)의 탈거는 가능하므로 필수요소는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구 하우징(410)의 저면판(412) 저면에는 도 2a 내지 2c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4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합 유도부(414)는 상기 체결구(420)를 상대 체결구(2)에 체결할 때 체결구가 입상슬리브(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우므로 감각에 의존하여 체결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정합 유도부(414)는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입상 슬리브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대 체결구(2)의 위치 찾기가 수월하므로 체결구(420)와 상대 체결구(2) 간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유닛(40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재(300)에 일체로 사출되는 사출너트(401) 또는 사출볼트(2a의 우측도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출너트 또는 사출볼트는 용이한 탈거를 위해 하부재(300)에 연약부(402)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출너트(401)의 저면에는 앞서 설명된 정합 유도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너트(401) 또는 사출볼트의 저면에는 상대 체결구(2)와의 신속한 정합을 위해 정합 유도부(40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a, 4b참조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100)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재(200), 하부재(300) 및 체결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부재(200)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하부재(300)는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체결되거나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재(300)는 상대적으로 큰 구경을 갖는 상측의 대경부(310)와, 상기 대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을 갖는 하측의 소경부(320)로 구성하여, 상기 대경부(310)와 소경부(320)의 내측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330) 상에 내화충전재(500)를 안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도, 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화충전재(500)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충전재의 상단이 걸림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311)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유닛(400)은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 2도 하부재(300)의 단턱(330)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내화충전재(5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5b 참조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100)도 상부재(200), 하부재(300) 및 체결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부재(200)는 그 상단 외주면에 배수관(P)을 고정하기 위한 배관고정틀(3, 도 2e에 도시됨)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통상 4개임)의 고정리브(240)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리브의 내측면에는 고정홈(241)이 마련되며, 상기 내화충전재(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24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51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내화충전재(500)는 그 끼움돌기(510)를 고정홈(241)에 삽입하여 걸리도록 함으로써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재(300)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재(300)는 상부재(200)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재(300)는 판재형태로 될 수 있고, 그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측에 연약부(301)로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하부재(300)는 상부재(200)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끼움 또는 체결에 의해 상부재와 결합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체결유닛(400)은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참조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100)도 상부재(200), 하부재(300) 및 체결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부재(200)는 그 상단 외주면에 배관고정틀(3, 도 2e에 도시됨)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통상 4개임)의 고정리브(240)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리브의 내측면에는 클립 고정홈(242)이 마련된다. 상기 클립 고정홈(242)에는 상기 내화충전재(500)를 파지하기 위한 클립(600)이 거치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600)은 클립 고정홈(242)에 거치되는 거치부(610)와, 상기 거치부로부터 다단 절곡되어 내화충전재(500)를 지지하는 지지부(6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이 충족된다면 형태는 제한하지 않는다.
하부재(300)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재(300)는 상부재(200)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재(300)는 판재형태로 될 수 있고, 그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측에 연약부(301)로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하부재(300)는 상부재(200)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끼움 또는 체결에 의해 상부재와 결합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체결유닛(400)은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참조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100)도 상부재(200), 하부재(300) 및 체결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부재(200)는 그 외주면에 환형의 삽입링(250)이 마련되어, 이 삽입링의 내부로 내화충전재(500)가 삽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하부재(300)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재(300)는 원통형으로 되어 상부재(200)에 끼움 또는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재(300)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재의 하부와 결합되는 환형의 플랜지부(34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플랜지부(340)는 상기 삽입링(250)의 개구된 하단을 차단함으로써 내화충전재(500)의 하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상기 하부재(300)의 저면판(350)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400)의 세부 구성은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8b참조
제6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100)도 상부재(200), 하부재(300) 및 체결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부재(200)는 그 외주면에, 내화충전재(500)가 삽입되는 환형의 외부링(260)이 마련되고, 내주면 상측에는 제1 배수관(P1)이 끼움되는 끼움부(201)가 마련되며, 내주면 하측에는 제2 배수관(P2)이 끼움되는 환형의 내부링(270)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재(300)는 상기 상부재(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재(300)는 원통형으로 되어 상부재(200)에 끼움 또는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재(300)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재의 하부와 결합되는 환형의 플랜지부(34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플랜지부(340)는 상기 외부링(260)의 하단을 차단함으로써 내화충전재(500)의 하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상기 하부재(300)의 저면판(350)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400)의 세부 구성은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거푸집 2 : 상대 체결구
3 : 배관 고정틀 100 : 입상슬리브
200 : 상부재 201 : 끼움부
210 : 대경부 211 : 이탈방지돌기
220 : 소경부 230 : 단턱부
240 : 고정리브 241 : 고정홈
242 : 클립 고정홈 250 : 삽입링
260 : 외부링 270 : 내부링
300 : 하부재 301 : 연약부
400 : 체결유닛 401 : 사출너트
402 : 연약부 410 : 체결구 하우징
411 : 탄성후크 412 : 저면판
413 : 연약부 414 : 정합 유도부
420 : 체결구 500 : 내화충전재
600 : 클립 610 : 거치부
620 : 지지부

Claims (40)

  1.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상대적으로 큰 구경을 갖는 상측의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을 갖는 하측의 소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내측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 상에 내화충전재가 안착되고, 단턱의 외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받침되는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에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하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
    을 포함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 상에 안착된 내화충전재가 상측으로 아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상기 상부재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판재형태로 되어, 그 가장자리가 상기 상부재의 하측에 연약부로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상기 상부재와 별개로 구성되고, 끼움 또는 체결에 의해 상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하부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 및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상기 상대 체결구에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유닛은 거푸집 해체로 인한 체결구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파손되면서 상기 하부재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볼트 또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하우징과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의 저면에는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하부재에 일체로 사출되는 사출너트 또는 사출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1.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원통형의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큰 구경을 갖는 상측의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을 갖는 하측의 소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내측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 상에 내화충전재가 안착되고, 단턱의 외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받침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에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저면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
    을 포함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는 끼움 또는 체결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 상에 안착된 내화충전재가 상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 중앙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 및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상기 상대 체결구에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유닛은 거푸집 해체로 인한 체결구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파손되면서 상기 저면판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볼트 또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하우징과 그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하우징의 저면에는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과 체결구 하우징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하부재의 저면판에 일체로 사출되는 사출너트 또는 사출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0.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원통형의 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재는 그 상단 외주면에 배관고정틀이 결합되는 고정리브가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측면에는 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화충전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움되는 끼움돌기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하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하부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 및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상기 상대 체결구와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되,상기 체결유닛은 거푸집 해체로 인한 체결구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파손되면서 상기 하부재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하우징과 그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저면판의 저면에는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1.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원통형의 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재는 그 상단 외주면에 배관고정틀이 결합되는 고정리브가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측에는 클립 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 고정홈에는 상기 상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화충전재를 파지하기 위한 클립이 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하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하부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 및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상기 상대 체결구와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되,상기 체결유닛은 거푸집 해체로 인한 체결구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파손되면서 상기 하부재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하우징과 그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저면판의 저면에는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2. 삭제
  23.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상기 상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4.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판재형태로 되어, 그 가장자리가 상부재의 하부에 연약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5.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상기 상부재와 별개로 구성되고, 끼움 또는 체결에 의해 상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6. 삭제
  27.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볼트 또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28. 삭제
  29. 삭제
  30.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하부재에 일체로 사출되는 사출너트 또는 사출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1. 슬라브에 배수관을 관통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외주면에, 내화충전재가 삽입되는 환형의 삽입링을 갖는 원통상의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상의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 시 거푸집과 함께 저면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2. 슬라브에 배수관을 시공하기 위한 배관용 입상슬리브로서,
    상기 배관용 입상슬리브는,
    외주면에, 내화충전재가 삽입되는 환형의 외부링이 마련되고, 내주면에 상측에는 제1 배수관이 끼움되는 끼움부가 마련되며, 내주면 하측에는 제2 배수관이 끼움되는 환형의 내부링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상부재;
    상기 상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부재; 및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에 마련된 채, 거푸집에 마련된 상대 체결구와 결합되며,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과 함께 저면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3. 청구항 31 또는 32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는 끼움 또는 체결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4. 청구항 31 또는 32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저면판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체결구 하우징; 및
    상기 체결구 하우징에 내장된 채, 상기 상대 체결구와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유닛은 거푸집 해체로 인한 체결구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파손되어 상기 저면판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볼트 또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하우징과 그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에는 원통형의 정합 유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8.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저면판의 중심에 일체로 사출되는 사출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39. 청구항 31 또는 32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저면판은 연약부에 의해 하부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40. 청구항 31 또는 32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재는 하부재의 상단에 마련되는 환형의 플랜지부에 의해 하부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1020190079558A 2019-07-02 2019-07-02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10206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58A KR102061496B1 (ko) 2019-07-02 2019-07-02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58A KR102061496B1 (ko) 2019-07-02 2019-07-02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496B1 true KR102061496B1 (ko) 2020-01-02

Family

ID=6915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58A KR102061496B1 (ko) 2019-07-02 2019-07-02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4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80B1 (ko) * 2020-07-17 2021-02-23 성운기업(주) 발포체가 구비된 건식 에어덕트용 슬리브와 이의 제조방법
KR102237343B1 (ko) * 2020-10-20 2021-04-07 (주)세이프코리아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102517233B1 (ko) * 2022-02-23 2023-04-03 (주) 상일이엔지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KR102562324B1 (ko) * 2022-09-28 2023-08-01 오송현 방화 슬리브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슬리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69Y1 (ko) * 2012-04-27 2013-10-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851213B1 (ko) * 2017-06-09 2018-06-11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4009B1 (ko) * 2018-01-23 2018-08-31 (주)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69Y1 (ko) * 2012-04-27 2013-10-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851213B1 (ko) * 2017-06-09 2018-06-11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4009B1 (ko) * 2018-01-23 2018-08-31 (주)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80B1 (ko) * 2020-07-17 2021-02-23 성운기업(주) 발포체가 구비된 건식 에어덕트용 슬리브와 이의 제조방법
KR102237343B1 (ko) * 2020-10-20 2021-04-07 (주)세이프코리아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102517233B1 (ko) * 2022-02-23 2023-04-03 (주) 상일이엔지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KR102562324B1 (ko) * 2022-09-28 2023-08-01 오송현 방화 슬리브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496B1 (ko)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101894009B1 (ko)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KR102032740B1 (ko)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US5937450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fittings to receptacle
US10151102B2 (en) Base member for an anch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110374325B (zh) 用于板坯的立式套管及其构造方法
KR102002879B1 (ko) 매입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2155906B1 (ko) 내화충전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 장치
KR101715324B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20190012598A (ko)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2166856B1 (ko) 선매립 앵커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과 교량 점검시설 시공 방법
KR101590892B1 (ko) 철근 이음 장치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100822027B1 (ko) 조립식 사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032658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JP2012149707A (ja) 延焼防止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66905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0494834Y1 (ko) 매입형 앵커
KR20230001691A (ko) 배수접속관
JP4336632B2 (ja) 排水栓装置の接続構造
KR102024172B1 (ko)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및 이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고정장치
JP4668219B2 (ja) 排水設備及びその排水設備の更新方法
KR102546788B1 (ko) 배관설치를 위한 슬래브용 슬리브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KR20240076980A (ko) 관통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