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91A - 배수접속관 - Google Patents

배수접속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91A
KR20230001691A KR1020210084525A KR20210084525A KR20230001691A KR 20230001691 A KR20230001691 A KR 20230001691A KR 1020210084525 A KR1020210084525 A KR 1020210084525A KR 20210084525 A KR20210084525 A KR 20210084525A KR 20230001691 A KR20230001691 A KR 2023000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pipe
drain
present
drai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헌
Original Assignee
(주)동일판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판매 filed Critical (주)동일판매
Priority to KR102021008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691A/ko
Publication of KR2023000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접속관에 관한 것으로, 입상배수관의 연결이 손쉬우면서도 체결부위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관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는 숫나사가 조절관 외주연에 형성되되, 숫나사는 하부에서 상부로 좁아지게 경사가 형성되어, 조립시간 단축 및 밀폐력과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접속관은 내화충전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내화충전재를 마련하여, 내화충전재를 잡아주는 별도의 공정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접속관{Drain-Pipe Joint}
본 발명은 배수접속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내화충전재가 발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배수접속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 베란다의 배수를 위해 상층과 하층이 배수관으로 연통되고 각각의 배수관은 연결구를 통하여 배관 연결된다.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상에 접속관을를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형성하고, 그 위에 타일 등의 장식재를 부착하여 마감한다. 이후 접속관에서 상하로 배수관을 연결하면 각층에서 내려오는 생활하수가 접속관을 통하여 합류되고 지하의 하수관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접속관과 그 접속관을 통과하는 입상관의 관경 차이에 의하여 틈이 발생하고, 이는 화재발생시 화원이나 연기의 통로가 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최근 들어서는 화재발생시 화재 확산이 될 수 있는 배관 관통부분에 내화성 물질을 시공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으며, 상기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내화재들이 사용되고 있고, 입상관의 시공과 화재 확산방지의 두가지 목적을 축적하는 열 발포성 내화충전재들을 이용하여 상기 틈새를 메꾸고 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1584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에 매립되는 슬리브부재와, 슬리브부재에 결합되는 입상관연결구로 구성되어 슬리브부재의 하측과 입상관연결구의 상측에 끼워지는 입상관을 수밀 상태로 연결하는 슬리브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에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걸림돌테가 다단으로 형성된 슬리브부재는, 내측 상부에 입상관연결구를 지지하는 받침턱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입상관이 끼워지는 입상관결합부가 형성되고, 입상관결합부의 하측으로는 확관된 충진재내입공간을 형성하여 발포내화충진재를 내입하여, 슬리브부재의 바깥쪽 하단에 걸림상태로 고정되는 충진재받침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충진재받침은, 상측으로 걸림턱에 구비되어 슬리브부재에 형성한 고정플랜지에 걸림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발포내화충진재의 내면과 면접되게 형성한 충진재고정편과,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충진재 고정편에서 아래쪽으로 지지환테를 연장하여 슬래브를 구성하는 몰탈이 내입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화재발생시 슬리브가 녹은 후에 내화충전재가 발포되기 때문에 화재 확산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1584호.(2021년01월2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내화충전재가 발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화충전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상하부에 입상배수관이 설치되는 접속관과, 상기 배수접속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하부에 유입공이 관통된 받침관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내화충전재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수접속관의 외주연에 마감편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 상부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입공은 장공, 원형, 다각, 망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관의 측면과 연결관의 측면으로 각각 제1수평관과 제2수평관이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배수접속관은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내화충전재가 발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상하부에 입상배수관이 설치되는 접속관과, 상기 배수접속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하부에 유입공이 관통된 받침관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내화충전재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접속관은 내화충전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받침관의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에 내화충전재가 삽입되고 접속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마감편이 내화충전재의 상부를 마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내화충전재를 잡아주는 별도의 공정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받침관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받침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받침관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받침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인 배수접속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접속관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콘크리트 C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된 접속관 110의 일측으로 매립배수관 10이 연결되고 상하부에 입상배수관 20이 설치되는 배수접속관 100에 있어서, 연결관 120, 받침관 130, 조절관 140, 내화충전재 1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접속관 110은 내부가 관통된 수직관 111이 마련된다. 또한, 접속관 110의 상부에 연결관 120이 결합된다.
아울러, 연결관 120에 내입되게 체결되어 입상배수관 20의 높이에 맞추어 상승하는 조절관 140이 마련된다. 여기서, 조절관 140은 상기 연결관 120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 121에 체결되는 숫나사 143가 외주연에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관 140의 내측에는 걸림턱 141이 형성되어 지름이 작은 입상배수관 20을 지지한다.
더불어, 받침관 130은 상기 배수접속관 10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된다. 받침관 130의 외주연에는 결합부재 131가 형성되고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 133이 형성되며 결합홈 133의 하부에 유입공 135이 관통된다.
이때,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 135은 장공형상 유입공 135, 원형형상 유입공 135a, 장공-원형 혼합, 사각형상 유입공 135b, 다각형상 유입공 135c, 망사형상 유입공 135d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내화충전재 150는 결합홈 133에 삽입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배수접속관 100은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내화충전재가 발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콘크리트 C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상하부에 입상배수관 20이 설치되는 접속관 110과, 상기 배수접속관 10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관 120과, 상기 배수접속관 10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 133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하부에 유입공 135이 관통된 받침관 130과, 상기 결합홈 133에 삽입되는 내화충전재 150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배수접속관 100의 외주연에 마감편 113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 133 상부를 막아준다.
더불어, 접속관 110의 상부에 패킹 160이 삽입되어 연결관 120의 누수를 방지한다.
결국, 본 발명의 배수접속관 100은 내화충전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받침관 130의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 133에 내화충전재 150가 삽입되고 접속관 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마감편 113이 내화충전재 150의 상부를 마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내화충전재를 잡아주는 별도의 공정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 110의 측면과 연결관 120의 측면으로 각각 제1수평관 115과 제2수평관 121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수평관 115에는 매립배수관 10이 끼움결합되고, 제2수평관 121에는 노출배수관 11이 끼움결합된다.
한편,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접속관 100의 제3실시예는 접속관 110'의 외주연에 마감편 113을 결합핀 160이 관통하여 받침관 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재 131에 결합된다. 상기 받침관 130'의 내주연에 내화충전재 150가 삽입된다.
더불어,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접속관 100의 제4실시예는 접속관 110"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ㄴ"자 형상의 걸림편 117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편 117에 내화충전재 150가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제1수평관 115의 간섭되지 않게 내화충전재 150와 받침관 130의 일측을 하향으로 만곡되게 형성한다.
한편, 도 13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접속관 100의 제5실시예는 접속관 110'''의 내부에 복수개의 걸림돌기 119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내화충전재 150가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내화충전재 150가 삽입되는 보조부재 1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불어, 내화충전재 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부재 17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콘크리트 10 : 매립배수관
20 : 입상배수관
100 : 배수접속관
110 : 접속관 111 : 수직관
113 : 마감편 115 : 제1수평관
120 : 연결관 121 : 제2수평관
130 : 받침관 131 : 결합부재
133 : 결합홈 135 : 유입공
140 : 조절관 141 : 숫나사
143 : 안내관 145 : 안내부재
150 : 내화충전재

Claims (4)

  1.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에 내입설치되어 상하부에 입상배수관이 설치되는 접속관과,
    상기 배수접속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배수접속관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하부에 유입공이 관통된 받침관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내화충전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접속관의 외주연에 마감편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 상부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은 장공, 원형, 다각, 망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측면과 연결관의 측면으로 각각 제1수평관과 제2수평관이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관.
KR1020210084525A 2021-06-29 2021-06-29 배수접속관 KR20230001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25A KR20230001691A (ko) 2021-06-29 2021-06-29 배수접속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25A KR20230001691A (ko) 2021-06-29 2021-06-29 배수접속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91A true KR20230001691A (ko) 2023-01-05

Family

ID=8492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525A KR20230001691A (ko) 2021-06-29 2021-06-29 배수접속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6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468B1 (ko) * 2023-06-29 2024-01-19 (주)세이프코리아 내화팽창재가 구비된 배수트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584B1 (ko) 2019-09-24 2021-02-02 유영수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584B1 (ko) 2019-09-24 2021-02-02 유영수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468B1 (ko) * 2023-06-29 2024-01-19 (주)세이프코리아 내화팽창재가 구비된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584B1 (ko)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US5299836A (en) Floor waste fitting support
KR101823918B1 (ko) 입상배관 시공구조
US3614793A (en) Bathtub renova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643726B (zh) 一种长效全封闭水封防臭同层排水地漏
KR102190167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US7694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stopping around a water closet drain pipe in a vertical floor opening
KR102061496B1 (ko)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20230001691A (ko) 배수접속관
CA2782561A1 (en) Wastewater drain comprising odor trap
KR100628805B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JP2010270469A (ja) 水洗式便器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230171613A (ko) 배수관 연결구
US1812583A (en) House drain fitting
KR200291494Y1 (ko) 배수관용 슬리브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102036008B1 (ko) 벽걸이형 소변기 조립체
KR20210106746A (ko) 배수 접속관
KR102237343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20230010425A (ko) 관통슬리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