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223Y1 - 매립형 배수 접속기 - Google Patents

매립형 배수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223Y1
KR200427223Y1 KR2020060013893U KR20060013893U KR200427223Y1 KR 200427223 Y1 KR200427223 Y1 KR 200427223Y1 KR 2020060013893 U KR2020060013893 U KR 2020060013893U KR 20060013893 U KR20060013893 U KR 20060013893U KR 200427223 Y1 KR200427223 Y1 KR 200427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nch
pipe
slab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2020060013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2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형 배수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통상 수직방향의 주입상관(40)에 대해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공간에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평방향의 분기된 분기관(42)을 슬라브(50)에 매설되면서 높이 조절될 수 있는 배수접속기(10)를 통해 연결 매설시킬 수 있어, 슬라브(50)의 깨끗한 공간성은 물론 전체적인 배관구조의 단순성과 편리한 작업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술적 특징으로는 분기관(42)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 배관연결구(26)(27)의 중간 일측으로 분기연결구(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측 분기연결구(22)의 내측에는 나사부(28)가 형성된 접속기본체(20)와; 상기 접속기본체(20)의 상측 배관연결구(26)에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나사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기본체의 배관연결구(26)와 동일 크기로 확장 돌출된 상단 내측에는 연결되는 주입상관(40)과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33)이 장착된 높이조절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관계를 갖는다.
매립형, 배수접속기, 분기연결구, 회전돌기, 주방배수, 배수유도홈

Description

매립형 배수 접속기 {Drain connecting adapter of fill in type}
도 1은 종래의 노출형 배수 접속기의 사용상태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접속기본체에서 높이조절체가 회전결합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는 배수접수기의 단면구조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접속기에 주입상관과 분기관이 각각 연결된 사용상태로서 접속기본체로부터 높이조절체가 회전이동으로 밀착된 상태와 이격된 상태의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접속기 20 : 접속기본체
22 : 분기연결구 23 : 배수유도홈
24 : 설치고정구 25,33 : 밀폐패킹
26,27 : 배관연결구 28,35 : 나사부
30 : 높이조절체 32 : 회전돌기
40 : 주입상관 42 : 분기관
50 : 슬라브(Slab) 54 : 스리브(Sleeve)
본 고안은 주방 및 세탁실이나 화단 등의 배수를 위해 설치되는 매립형 배수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의 분기된 수평방향의 분기관을 수직방향의 주입상관에 대해 슬라브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슬라브 내에서 연결 매설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이 간편하면서 별도의 고정 밀폐수단 없이도 구조적으로 밀폐성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브의 깨끗한 공간성은 물론 전체적인 배관구조의 단순성을 갖는 매립형 배수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건물 등에서는 건물 전체의 벽체 옆으로 수직방향의 주입상관이 설치되며, 각 층의 주방이나 베란다 등의 배수라인에 설치된 해당 분기관들이 상기 주입상관에 대해 직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지금까지는 통상 도 1의 예시도면에서와 같이, 위층의 수직방향 벽체(52)를 통과한 분기관(70)이 바닥의 슬라브(50) 아래쪽으로 통과되어 수직방향의 상기 주입상관(40)과 함께 배수접속기(60)를 매개로 연결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배수접속기(60)는 바닥의 슬라브(50)을 통과한 위쪽 주입상관(40)의 하측 단부에 그 상측이 연결되면서 아래쪽의 주입상관(40)의 상측 단부가 그 하측에 연결되는 한편, 슬라브(50) 아래쪽에 수평으로 돌출된 중간의 일측 단부로는 상기 슬라브(50) 아래쪽으로 통과되어 노출된 분기관(70)의 돌출 단부가 연결되는 배수 접속구조를 이루었는바, 따라서 슬라브(50) 아래쪽으로 노출되는 기 존의 배수접속기(60)와 함께 분기관(70)도 슬라브(50) 밖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특히 기존의 배수접속기(60)를 적용시키는 주입상관(40)에 대한 분기관(70)의 연결구조에서는, 상기 주입상관(40)을 설치하기 전의 슬라브(50) 타설시 주입상관(40)이 통과될 수 있도록 별도의 슬리브(54)을 설치하고 상기 슬리브(54)로 주입상관(40)을 설치하는 불편은 물론, 이들 슬리브(54)와 주입상관(40) 간의 결합틈새로 누수의 억제나 방음 또는 화재시 열화가 침투되지 않도록 별도의 기밀작업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라브(50)에 대한 주입상관(40)의 정확한 위치 고정을 위해 별도의 고정가대(62)를 설치하고 밴드를 채워 U볼트(64) 등으로 결합시키는 등의 추가작업이 요구되었으며, 기존의 배수접속기(60)를 매개로 주입상관(40) 주변으로 설치되어 연결되는 분기관(70) 역시 상기 주입상관(40)과 유사하게 상기 슬라브(50)에 대한 사전 슬리브(54)의 설치 및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부위에 별도의 관연결구(66)로서 연결 연장시키는 등의 구조적으로 상당히 복잡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구조물들이 슬라브(50) 외부로 보기 쉽게 노출되어 공간의 활용을 저해할 수밖에 없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어 이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예시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방향의 주입상관에 대해 양쪽에서 분기관들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즉, 슬라브를 통과한 한쪽의 분기관과 상기 슬라브 내에 미리 매설된 다른 한쪽의 분기관이 함께 주입상관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입상관으로부터의 분기관과 상기 슬라브 내의 매설된 분기관을 서 로 일치시켜 연결시키기가 대단히 어렵다는 구조적인 불편함도 있는 등 지금까지의 배수접속기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입상관에 대해 연결되는 분기관들의 슬라브 밖으로 노출되는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이를 감추기 위한 별도의 파이프덕트를 설치하는 등 구조적으로 공간 활용을 저해하는 등의 많은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통상 수직방향의 주입상관에 대해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공간에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평방향의 분기된 분기관을 슬라브에 매설되면서 높이 조절될 수 있는 배수 접속기를 통해 연결 매설시킬 수 있어, 슬라브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주입상관과 분기관들의 깨끗한 공간성은 물론 전체적인 배관구조의 단순성과 편리한 작업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매립형 배수 접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주입상관을 설치하기 위한 슬라브 타설전의 별도의 슬리브 설치나 이들 결합틈새의 밀폐성 및 방화성 그리고 주입상관의 안정된 위치 고정 등을 위한 별도의 고정가대나 고정수단의 추가적인 설치작업이 구조적으로 생략될 수 있는 새로운 매립형 배수 접속기를 제공함에도 보다 발전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매립형 배수 접속기는,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공간으로부터 분기관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 배관연결구의 중간 일측으로 분기연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측 배관연결구의 내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접속기본체와; 상기 접속기본체의 상측 배관연결구에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기본체의 배관연결구와 동일 크기로 확장 돌출된 상단 내측에는 연결되는 주입상관과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이 장착된 높이조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높이조절체는 하부에 높이 조절 및 낙하되는 물의 분산을 유도하면서 배수유도홈이 접속기본체의 중간부위 안쪽으로 곡면지게 요홈 절곡된 분기연결구로부터의 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돌기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또한 접속기본체는 아래쪽의 주입상관이 연결되는 하측 배관연결구의 하단 바깥쪽으로 슬라브에 고정수단으로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고정구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단 내측에는 아래쪽 주입상관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이 장착된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매립형 배수 접속기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설명에는 설명편의상 동일부호로서 표기한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에 따라 건물의 각층을 통과하는 수직방향의 주입상관(40)에 대해 각층마다 또는 주변공간에서 수평으로 직각 연결되는 분기관(42)이 슬라브(50)에 매설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접속기(10)가 상기 슬라브(50)에 매 립되는 크기와 연결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도 2는 접속기본체(20)에서 높이조절체(30)가 회전결합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접수기(10)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접속기(10)에 주입상관(40)과 분기관(42)이 각각 연결된 사용상태로서 접속기본체(20)로부터 높이조절체(30)가 회전이동으로 밀착된 상태와 이격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상기 접속기본체(10)에 대해 주입상관(40)이 상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분기관(42)은 중간부위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당연히 이들 접속기본체(10)와 분기관(42)은 별도의 슬리브(도 1의 54 참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슬라브(50)의 타설공사 후에 상기 슬라브(50)에 매립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의 배수접속기(10)에서는 슬라브(50)와 주입상관(40) 또는 분기관(42)과의 결합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밀수단 및 고정수단이 당연히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브(50)의 매립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고안의 배수접속기(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공간으로부터 분기관(42)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 배관연결구(26)(27)의 중간 일측으로 분기연결구(22)가 중간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측 배관연결구(26)의 내측에는 나사부(28)가 형성된 접속기본체(20)와; 상기 접속기본체(20)의 상측 배관연결구(26)에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나사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기본체의 상측 배관연결구(26)와 동일 크기로 확장 돌출된 상단 내측에는 연결되는 주입상관(40)과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33)이 장착된 높이조절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분기관(42)이 연결되는 분기연결구(22)가 아래쪽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에 나사부(28)가 형성된 접속기본체(20)의 상측 배관연결구(26)에 대해 외측에 나사부(28)가 형성된 높이조절체(30)가 상기 접속기본체(20)와의 회전결합을 통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관계를 이루게 되는데, 특히 서로 나사부(28)(35)가 형성되어 회전체결되는 결합구조임에 따라 이들 결합부위에는 밀폐패킹을 구비할 수 없어 상기 높이조절체(30)는 하부에 높이 조절 및 낙하되는 물의 분산을 유도하면서 물의 누수를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돌기(32)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접속기본체(20)는 분기연결구(22)가 위치한 중간부위 안쪽으로 배수유도홈(23)이 요홈 절곡되며, 이는 높이조절체(30)를 통해 낙하되는 주입상관(40)으로부터의 물에 의한 수압으로 분기연결구(22)를 통해 유입되는 분기관(42)의 물이 원활하게 진입되지 못하고 역류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높이조절체(30)의 회전돌기(32)에 의해 주입상관(40)으로부터 물이 분산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접속기본체(20)의 분기연결구(22)을 통해 분기관(42)으로부터 진입되는 물이 배수유도홈(23)을 따라 측면으로 유입되면서 전체적으로 와류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속기본체(20)는 아래쪽의 주입상관(40)이 연결되는 하측 배관연결구(27)의 하단 바깥쪽으로 슬라브(50)에 고정수단으로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고정구(24)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단 내측에는 상기 주입상관(4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25)이 장착된다. 물론 하측 배관연결구(27)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설치고정구(24)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필수 구성요소이기 보다는 슬라브(50)에 보다 편리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는 추가적인 고정수단이다.
이와 같이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공간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42)이 슬라브(50)에 매설될 수 있는 조건으로 연결되는 본 고안의 배수접속기(10)는 도 3 및 도 4의 사용상태 단면구조처럼, 슬라브(50)에 매설되는 접속기본체(20)에 대해 높이조절체(30)가 서로 나사부(28)(35)의 회전체결로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먼저 도 3의 접속기본체(20)에서 높이조절체(30)가 아래로 밀착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체(30)로 주입상관(40)이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주입상관(40)이 결합된 상기 높이조절체(30)를 상기 접속기본체(20)로부터 위쪽으로 이격시키면, 상층에 설치된 본 고안의 배수접속기(10)에 주입상관(40)이 기밀하게 체결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의 주입상관(40)과 수평방향의 분기관(42) 간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수유도홈(23)이 형성된 접속기본체(20)의 일단이 회전돌기(32)가 형성된 높이조절체(30)의 하단과 공간이 형성되어 분기관(42)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접속기본체(20)의 분기연결구(22)와 배수유도홈(23)을 통해 상기 주입상관(40)으로부터의 낙하되는 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입 배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체(30)는 위쪽 주입상관(40)의 조건에 따라 접속기본체(20)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는 구조적인 장점도 당연히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기본 체(20) 중간의 분기연결구(22)로 연결되는 분기관(42)은 직선형태 및 곡선형태의 배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매립형 배수 접속기는 수직방향의 주입상관에 대해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공간에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평방향의 분기된 분기관을 슬라브에 매설되면서 높이 조절될 수 있는 배수접속기를 통해 연결 매설시킬 수 있어, 기존의 슬라브 밖으로 주입상관과 분기관들이 노출됨에 따라 별도의 파이프덕트를 설치하는 불편을 구조적으로 없앨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슬라브 주변의 깨끗한 공간성은 물론 전체적인 배관구조의 단순성과 편리한 작업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등 슬라브 밖으로 노출시킬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배수접속기가 갖는 제반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주입상관을 설치하기 위한 슬라브 타설 전의 별도의 슬리브 설치나 이들 결합틈새의 밀폐성 및 방화성 그리고 주입상관의 안정된 위치 고정 등을 위한 별도의 고정가대나 고정수단의 추가적인 설치작업이 구조적으로 생략될 수 있는 새로운 매립형 배수 접속기로서, 안정되고 편안한 작업성은 물론 공간의 활용성 및 기능성도 획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건물의 각층 또는 주변공간으로부터 분기관(42)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 배관연결구(26)(27)의 중간 일측으로 분기연결구(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측 배관연결구(26)의 내측에는 나사부(28)가 형성된 접속기본체(20)와;
    상기 접속기본체(20)의 상측 배관연결구(26)에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나사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기본체의 배관연결구(26)와 동일 크기로 확장 돌출된 상단 내측에는 연결되는 주입상관(40)과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33)이 장착된 높이조절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접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체(30)는 하부에 높이 조절 및 낙하되는 물의 분산을 유도하면서 배수유도홈(23)이 접속기본체(20)의 중간부위 안쪽으로 곡면지게 요홈 절곡된 분기연결구(22)로부터의 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돌기(32)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접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본체(20)는 아래쪽의 주입상관(40)이 연결되는 하측 배관연결구(27)의 하단 바깥쪽으로 슬라브(50)에 고정나사로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고정구(24)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단 내측에는 상기 주입상관(4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25)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접속기.
KR2020060013893U 2006-05-24 2006-05-24 매립형 배수 접속기 KR200427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93U KR200427223Y1 (ko) 2006-05-24 2006-05-24 매립형 배수 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93U KR200427223Y1 (ko) 2006-05-24 2006-05-24 매립형 배수 접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223Y1 true KR200427223Y1 (ko) 2006-09-21

Family

ID=4177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893U KR200427223Y1 (ko) 2006-05-24 2006-05-24 매립형 배수 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2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052B1 (ko) 2017-01-31 2017-07-19 조인호 건축용 슬리브 보호 어셈블리
KR101823918B1 (ko) * 2017-03-02 2018-01-31 유시웅 입상배관 시공구조
KR20220002809U (ko) * 2021-05-20 2022-11-29 손보식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052B1 (ko) 2017-01-31 2017-07-19 조인호 건축용 슬리브 보호 어셈블리
KR101823918B1 (ko) * 2017-03-02 2018-01-31 유시웅 입상배관 시공구조
KR20220002809U (ko) * 2021-05-20 2022-11-29 손보식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KR200496747Y1 (ko) 2021-05-20 2023-04-14 손보식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223Y1 (ko) 매립형 배수 접속기
KR102270215B1 (ko) 층고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는 입상 배관 조립체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1419367B1 (ko) 배수구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20230001691A (ko) 배수접속관
KR100886651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부재
KR101458519B1 (ko)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JP4849239B2 (ja) 浴室ユニット
CN205171652U (zh) 加装式沉池地漏
KR20190116784A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20050033807A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JP2002266390A (ja) 既設住宅への給水コンセント設置方法
KR20050097400A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설치구조 및 이 구조를 이용한소방배관 설치방법
JP4145058B2 (ja) 垂直配管の外壁貫通構造
CN208107326U (zh) 一种地下室外墙处密集管道的防水系统
FI119890B (fi) Läpiviennin palosuojausmenetelmä, läpivientiasetelma sekä asennuskappale sen asentamiseksi
JP2008088770A (ja) 排水接続管構造
KR200287849Y1 (ko)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JP2023045530A (ja) 給排水システム
KR0131878Y1 (ko) 배수관의 시공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배수전
NO20230540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stalling a wall-mounted toilet seat
KR200339247Y1 (ko) 배관의 동파방지구조
CN105544706B (zh) 阳台防蚁防虫带水封结构板预埋排水装置及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