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849Y1 -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849Y1
KR200287849Y1 KR2020020016256U KR20020016256U KR200287849Y1 KR 200287849 Y1 KR200287849 Y1 KR 200287849Y1 KR 2020020016256 U KR2020020016256 U KR 2020020016256U KR 20020016256 U KR20020016256 U KR 20020016256U KR 200287849 Y1 KR200287849 Y1 KR 200287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x
open faucet
water met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춘
Original Assignee
이용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춘 filed Critical 이용춘
Priority to KR2020020016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8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849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세대 분전함(1), 수도 계량기함(2), 세탁기 오픈 수전함(3)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4)과 연결된 배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 분전함(1)에 동파방지 스위치(5)를 설치하고, 상기 수도 계량기함(2)의 내부에는 온도 감지기(10)를 설치하며, 상기 수도 계량기함(2), 세탁기 오픈 수전함(3)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4)의 천정부에 설치된 박스 내장형 전기 콘센트(8)(19)(27)에는 착탈 가능한 플러그부(11)(21)(29)를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부(11)(21)(29)와 연결된 열선(13)(22)(30)을 배관 케이블(17)(26)(34)의 내부에 삽입시켜 배관(37)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따르면, 벽(40)에 고정 혹은 매립되는 수도 계량기함(2), 세탁기 오픈 수전함(3)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4)과 연결된 각 배관 케이블(17)(26)(34)의 내부에 삽입된 열선(13)(22)(30)의 발열작용에 의해 배관(37)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PIPE FREEZINGPROOF SYSTEM}
본 고안은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세대 분전함, 수도 계량기함, 세탁기 오픈 수전함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과 연결된 배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 분전함에 동파방지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수도 계량기함의 내부에는 온도 감지기를 설치하며, 상기 수도 계량기함, 세탁기 오픈 수전함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의 천정부에 설치된 박스 내장형 전기 콘센트에는 착탈 가능한 플러그부를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부와 연결된 열선을 배관 케이블의 내부에 삽입시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따르면, 벽에 고정 혹은 매립되는 수도 계량기함, 세탁기 오픈 수전함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과 연결된 각 배관 케이블의 내부에 삽입된 열선의 발열작용에 의해 배관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을 씽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세탁실, 발코니, 화장실,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 수요처로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분배기로부터 각 수요처로 이송되는 냉수나 온수배관을 살펴보면, 외면이 굴곡이 진(일명 자바라 형상의) 파이프 보호관의 내부에 파이프가 통과하는 형상으로, 보호관에 둘러 쌓인 채로 방바닥이나 거실의 바닥을 통과해 화장실이나 욕실로 향하고, 각 실의 입구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으로부터 연결관을 결속하여 세탁실, 발코니, 욕조, 세면대, 변기 등에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전함의 바닥매설 방식은, 작업 후의 개보수가 쉽지 않는 것으로, 예컨데, 사용 중에 냉,온수배관이 파손되거나 누수현상이 있으면, 바닥에 묻혀 있는 냉,온수배관이나 수전함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결국에는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을 해체하여 복개한 다음 하나 하나 살펴 보아야만 하고, 확인이나 개,보수 후에는 다시 매립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최근에는 바닥매설 방식 대신에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각 수요처 부근의 벽체에 직접 매설하는 벽체 매립형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바닥 매설방식이건 아니면 벽체 매립방식이건 간에, 연결되는 각 냉,온수배관이 파이프 바닥이나 벽체에 그대로 매설됨으로써, 추운 겨울이나 기온이 급강하하게 되면, 배관이 얼거나 동파하여 이를 수리 보수하거나 교체하는데 상당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따르면, 벽에 고정 혹은 매립되는 수도 계량기함, 세탁기 오픈 수전함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과 연결된 각 배관 케이블의 내부에 열선을 삽입하여, 열선의 발열작용에 의해 배관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의 설명도
도2는 도1의 세탁기 오픈 수전함의 확대 설명도
도3은 도2의 단면도
※ 도면 중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대 분전함 2 : 수도 계량기함 3 : 세탁기 오픈 수전함
4 : 발코니 오픈 수전함 5 : 동파방지 스위치 6,15 : 개폐문
7,16 : 개폐버튼 8, 19,27 : 전기 콘센트 9,20,28 : 덧대는부
10 : 온도 감지기 11,21,29 : 플러그부 12 : 계량기
13,22,30 : 열선 14,23,31 : 패킹 17,26,34 : 배관케이블
18 : 전기케이블 24,33 : 개폐문 25,32 : 출입구
35 : 통공 36 : 고정구 37 : 배관
38 : 배관보호관 39 : 전선 40 : 벽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의 설명도, 도2는 도1의 세탁기 오픈 수전함의 확대 설명도, 도3은 도2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는, 세대 분전함(1), 수도 계량기함(2), 세탁기 오픈 수전함(3)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4)과 연결된 배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 분전함(1)에 동파방지 스위치(5)를 설치하고, 상기 수도 계량기함(2)의 내부에는 온도 감지기(10)를 설치하며, 상기 수도 계량기함(2), 세탁기 오픈 수전함(3)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4)의 천정부에 설치된 박스 내장형 전기 콘센트(8)(19)(27)에는 착탈 가능한 플러그부(11)(21)(29)를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부(11)(21)(29)와 연결된 열선(13)(22)(30)을 배관 케이블(17)(26)(34)의 내부에 삽입시켜 배관(37)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세대 분전함(1)은 실내에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것으로, 각종 전원공급 스위치의 일측에 동파방지 스위치(5)를 형성하여, 본 고안의 동파방지 시스템의 전원 공급용 전기케이블(18)을 통한 전원의 ON/OFF가 가능하며, 내부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 개폐버튼(7)을 갖춘 개폐문(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세대 분전함(1)으로부터의 전원은 계량기(12)가 있는 수도 계량기함(2)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수도 계량기함(2)의 천정부에는 박스 내장형의 전기 콘센트(8)를 형성하여 전원을 유도하고, 이 전기 콘센트(8)에 착탈식의 플러그를갖춘 플러그부(11)를 결속, 연결하고, 여기에 열선(13)을 인출하여 배관케이블(17)(17')속으로 삽입함으로써 배관케이블(17)(17')의 동파를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수도 계량기함(2)의 내부 일측에는 온도 감지기(10)가 설치되어 있어, 실내,외의 온도가 올라가 더이상의 발열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열선(13)의 발열상태를 조절한다.
상기 수도 계량기함(2)은, 개폐버튼(16)을 갖춘 개폐문(15)을 결속함에 있어 고무 등의 패킹(14)을 끼워 결합의 안정성을 강조하고, 수도 계량기함(2)의 네 모서리부의 외곽으로는 덧대는부(9)를 형성하여, 개폐문(15)을 나사 등으로 결합할 때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수도 계량기함(2)에서 패스된 전원이 세탁실의 세탁기 오픈 수전함(3)과 발코니의 발코니 오픈 수전함(4)으로 공급됨에 있어, 세탁기 오픈 수전함(3)의 천정에 형성된 박스 내장형의 전기 콘센트(19)로 유입된 다음, 다시 발코니 오픈 수전함(4)의 천정에 형성된 박스 내장형의 전기 콘센트(27)로 유입된다.
상기 세탁기 오픈 수전함(3)의 전기 콘센트(19)와 발코니 오픈 수전함(4)의 전기 콘센트(27)에는, 상기 수도 계량기함(2)에서와 같이, 착탈식의 플러그를 갖춘 플러그부(21)(29)를 각 결속, 연결하고, 여기에 열선(22)(30)을 인출하여 배관케이블(26)(34)속으로 삽입함으로써, 배관케이블(26)(34)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 오픈 수전함(3)과 발코니 오픈 수전함(4)은,배관케이블(26)(34) 내부의 냉,온수배관이 외부로 연결하도록 출입구(25)(32)가 형성된 개폐문(24)(33) 개폐문(24)(33)을 결속함에 있어 고무 등의 패킹(23)(31)을 끼워 결합의 안정성을 강조하고, 네 모서리부의 외곽으로는 덧대는부(20)(28)를 형성하여, 개폐문(24)(33)을 나사 등으로 결합할 때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도2에는 도1의 세탁기 오픈 수전함(3)의 확대 설명도가 나타나 있고, 도3은 도2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18) 내부의 전선(39)을 통하여, 전원이 세탁기 오픈 수전함(3)의 천정에 설치된 전기 콘센트(19)로 유입되고, 상기 콘센트(19)에는 착탈식의 플러그를 갖춘 플러그부(21)를 결속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부(21)에는 열선(22)이 인출되어 배관케이블(26)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선(22)은 배관보호관(38)의 내부에서 통상 원통형인 배관(37)과의 사이에 인입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원통형 보다는 납작한 필름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탁기 오픈 수전함(3)의 네 모서리부의 외곽으로는 덧대는부(20)를 형성함으로써, 패킹(23)을 끼운 상태에서 개폐문(24)을 나사 등의 고정구(36)로 결합할 때, 벽(40)에 고정된 세탁기 오픈 수전함(3)이 약간 비뚤어져 있다해도(예컨데, 좌측이 우측보다 올라가 전체적으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작업할 때는 개폐문(24)을 좌,우 평형되게 맞춘다음, 통공(35)을 통해 고정구(36)를 결속하게 되면, 외부의 덧대는부(20)의 일정 부위에 고정구(36)가 고정되어, 외부에서 관찰되는 세탁기 오픈 수전함(3)은 좌,우가 균형되게 설치된 것으로 관찰되어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에 따르면, 추운 겨울에 실내,외의 온도가 빙점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도, 각 배관케이블(17)(26)(34) 내부에 발열이 가능한 열선(13)(22)(30)이 내장되어 있어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온도가 올라가면 수도 계량기함(2) 내부의 온도 감지기(10)가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각 배관(37)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에 따르면, 벽에 고정 혹은 매립되는 수도 계량기함, 세탁기 오픈 수전함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과 연결된 각 배관 케이블의 내부에 열선을 삽입하여, 열선의 발열작용에 의해 배관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동파에 의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세대 분전함(1), 수도 계량기함(2), 세탁기 오픈 수전함(3)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4)과 연결된 배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 분전함(1)에 동파방지 스위치(5)를 설치하고,
    상기 수도 계량기함(2)의 내부에는 온도 감지기(10)를 설치하며,
    상기 수도 계량기함(2), 세탁기 오픈 수전함(3) 및 발코니 오픈 수전함(4)의 천정부에 설치된 박스 내장형 전기 콘센트(8)(19)(27)에는 착탈 가능한 플러그부(11)(21)(29)를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부(11)(21)(29)와 연결된 열선(13)(22)(30)을 배관 케이블(17)(26)(34)의 내부에 삽입시켜 배관(37)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KR2020020016256U 2002-05-28 2002-05-28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KR200287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56U KR200287849Y1 (ko) 2002-05-28 2002-05-28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56U KR200287849Y1 (ko) 2002-05-28 2002-05-28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849Y1 true KR200287849Y1 (ko) 2002-09-09

Family

ID=7307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256U KR200287849Y1 (ko) 2002-05-28 2002-05-28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8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70A (ko) 2018-03-12 2019-09-20 윤원호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70A (ko) 2018-03-12 2019-09-20 윤원호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US4574533A (en) Portable home
KR100728249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0782676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KR200287849Y1 (ko)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KR10043019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130026139A (ko)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KR100481811B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679605B1 (ko) 배관의 동파방지 및 급속온수공급시스템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39247Y1 (ko) 배관의 동파방지구조
KR102286404B1 (ko) 배관 교체가 가능한 구조체 매립 배수이중배관 시스템
JPH01275813A (ja) 配管設備
KR100504159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JP3103158B2 (ja) 厨房・洗面所用配管配線接続ボックス
KR200387090Y1 (ko) 수전이음쇠 내장형 매립 커버
KR200289216Y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447808B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KR200277745Y1 (ko) 수전용함 벽체매립 구조
KR20190107470A (ko)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JP2005098089A (ja) ヘッダーユニット
KR100948015B1 (ko) 수전용 벽체 매입형 헤더의 전면 연장구
JP4145058B2 (ja) 垂直配管の外壁貫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