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598A -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598A
KR20190012598A KR1020170095839A KR20170095839A KR20190012598A KR 20190012598 A KR20190012598 A KR 20190012598A KR 1020170095839 A KR1020170095839 A KR 1020170095839A KR 20170095839 A KR20170095839 A KR 20170095839A KR 20190012598 A KR20190012598 A KR 2019001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ircumferential surface
fastener
fixtu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17009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598A/ko
Publication of KR2019001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입상관이 관통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배관 관통부를 통해 화원과 유독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화구획용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관통부분을 밀폐시키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되고 내부에 관통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수축부재와 상기 배관 고정수단에 압력을 가하면서 관통슬리브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막는 가압부재들로 구성되어서 입상관의 고정 및 방화구획을 설정하기 용이한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Fixture integrated sleeve with built-in Fire stop}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입상관이 관통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배관 관통부를 통해 화원과 유독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화구획용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관통부분을 밀폐시키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되고 내부에 관통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수축부재와 상기 배관 고정수단에 압력을 가하면서 관통슬리브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막는 가압부재들로 구성되어서 입상관의 고정 및 방화구획을 설정하기 용이한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다층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경우, 층과 층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이 관통되는 부분에 슬라브 타설시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관통 슬리브를 거푸집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슬라브에 매설되는 관통슬리브는 층과 층사이를 연결하는 입상관의 관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을 설치하여 추후 입상관이 휘어지더라도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관통슬리브와 그 관통슬리브를 통과하는 입상관의 관경 차이에 의하여 틈이 발생하고, 이는 화재발생시 화원이나 연기의 통로가 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최근 들어서는 화재발생시 화재 확산이 될 수 있는 배관 관통부분에 내화성 물질을 시공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으며, 상기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내화재들이 사용되고 있고, 입상관의 시공과 화재 확산방지의 두가지 목적을 축적하는 열 발포성 내화 충전재들을 이용하여 상기 틈새를 메꾸고 있다.
도1은 현재 많이 시공되고 있는 입상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의 틈새를 메 꾸는 열팽창성 내화충전 부착한 고정구 일체형 내화충전재(특허공개 10-2016-0014155)으로,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용 고정구 일체형 내화충전재는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와 바닥 슬라브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에 고정되는 고정구(또는 고정틀)(10)와;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5 내지 30mm의 일정한 틈에 삽입하여 일체화되는 진공으로 압축되어 있는 내화충전재(20)와; 상기 내화충전재를 진공장비를 사용하여 압축하기 위해 내화충전재를 넣은 후 외부를 완전히 감싼 형태로 밀봉되거나 또는 필요시 진공이 빠질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막아져 있는 진공포장지(30)를 구비하였고,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10)는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와 바닥 슬라브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에 고정하고,상기 내화충전재(20)는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5 내지 30mm의 일정한 틈에 삽입하여 일체화되는 진공으로 압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구 일체형 내화 충전재는 내화충전재를 감싸고 있는 고정구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관통슬리브나 입상관이 화염에 의해 낮은 온도에서도 녹거나 연소될 경우 내화충전재가 열에 의해 팽창하기 전에 관통 슬리브로부터 이탈되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구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입상관의 하중이 증가할 경우 배관의 밀림 현상 등으로 인해 재시공하거나, 입상관의 세대지관 연결부속인 접속관이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다음에, 도2a 내지 도2c는 종래의 관통슬리브를 관통하는 입상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인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등록실용신안 20-0446654)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의 배관을 구성하는 슬라브(2)의 덕트성형관(3)에 입상배관(4)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입상배관(4)의 외측을 잡아줌과 아울러 그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부(11)가 형성된 밴드(10)와; 이 밴드(1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브(2)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됨과 아울러 그 판면에 다수의 고정홀(21)이 형성된 플랜지(20)와; 이 플랜지(20)를 입상배관(4)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밴드(10) 및 플랜지(20)가 벌어지도록 하는 힌지부(30)와; 이 힌지부(30)와 대향되는 지점에 양 단부가 돌출형성되어 볼트(50)와 너트(60)로 체결고정되도록 체결홀(41)이 형성된 체결부(40); 및 상기 밴드(10)와 돌출부(11)에 삽입되어 상기 입상배관(4)에 접촉 고정됨으로써 입상배관(4)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기 위해 상기 밴드(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밴드 고정홈(7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 고정홈(72)이 형성되며, 상기 입상배관(4)과 직접 접촉되는 탄성부재(70)의 몸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압착돌기(73)가 연장형성된 탄성부재(70)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는 관통 슬리브에 배관을 실시한 후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볼트를 체결하여야 하고, 고정 클램프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홀(21)에 볼트를 삽입하여 매설된 관통 슬리브에 체결해야 하는 등 다수개의 볼트를 조이는 공정으로 인해 시공이 번거롭고 품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입상관을 세워 고정 및 내화충전제를 삽입하는 공정이, 관통슬리브 매설, 슬라브 양생 후 임시마개제거, 입상관 시공, 내화충전재 삽입, 고정 클램프 체결 등 시공이 복잡하고 전체적인 품이 많이 들어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통 슬리브 내부에 설치되며 관통되는 배관에 일착되어 배관을 잡아주는 조임구, 하부로 이동할 수록 조임구를 더 조여들게 하는 가압구, 상기 가압구에 나사결합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압력을 전달하는 고정구로 구성하되, 상기 조임구를 발포성 내화충전재로 형성함으로써 배관을 고정하고 화재를 차단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와 가압구 그리고 조임구를 두개의 편으로 형성하고 배관이 세워진 상태에서 두개의 편으로 구성된 고정구, 가압구 그리고 조임구를 배관과 같이 체결한 후 배관이 관통된 관통슬리브에 나사결합으로 체결함으로써 설치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상관의 관통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와 그 슬리브 상단에 체결되어 입상관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내주면의 중단 하부 어느 한 부분에 관통슬리브 내경보다 작은 작은 내경을 갖는 가압구 걸림턱과, 내주면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관통 슬리브와;
상기 관통 슬리브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고정구 체결부의 나사산에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하향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상기 고정구 체결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 슬리브 체결부와, 상기 관통 슬리브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관통 슬리브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머리부 구성된 고정구와;
상기 관통 슬리브의 가압구 걸림턱에 내장되며 고정구가 관통 슬리브에 체결되어 하향될수로 하부로 이동하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역사다리꼴의 원통형의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내측에 위치하여 가압부재가 상기 고정구에 의해 하향되는 것에 따라 관통 슬리브를 관통하는 배관에 밀착되도록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사다리꼴의 원통 형태를 가지며, 열챙창성 흑연이 포함된 연질재로 형성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내화충전재를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통슬리브에 내화충전재가 내장되고 고정구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배관을 고정하고 화재를 차단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와 가압구 그리고 조임구를 두개의 편으로 형성하고 배관이 세워진 상태에서 두개의 편으로 구성된 고정구, 가압구 그리고 조임구를 배관과 같이 체결한 후 배관이 관통된 관통슬리브에 나사결합으로 체결함으로써 설치공정을 단순화한다.
도1a 내지 도1b는 종래의 고정구와 공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a 내지 도2c는 종래의 금속 고정구인 고정클램프와 그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배관이 관통하는 관통 슬리브(110)와, 상기 관통 슬리브(100) 내부에 장입되는 조임부재(130) 및 상기 조임부재(130)가 수축되도록 상부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하향되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140), 그리고 상기 관통 슬리브 상단에 나사결합에 의해 하향체결되면서 상기 가압부재(140)에 압력을 주는 고정구(120)로 구성된다.
좀더 상세하게 상기 관통 슬리브(110)는 내주면의 중단 하부 어느 한 부분에 관통 슬리브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압구 걸림턱(1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구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 체결부(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 슬리브(110) 외주면에 바깥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돌기 형상의 리브(113)를 더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그 리브(113)가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고정구(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슬리브(1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122)와, 상기 관통 슬리브의 고정구 체결부(112)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되도록 같은 피치와 깊이를 갖느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 슬리브 체결(121)로 구성하되, 중간을 수직하게 절단하여 이등분 된 두개의 편으로 갈라 고정구 암편(123)과 고정수 숫편(124)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 암편(123)의 절단면에는 상부로 부터 일정깊이로 ㄱ자 홈(123a)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숫편(124)의 절단면에는 상기 고정구 암편(123)의 ㄱ자 홈(123a)에 삽입되도록 ㄱ자형 돌기(124a)를 ㄱ자 홈(123a)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구(120)는 입상관을 관통 슬리브에 관통 되도록 세운 상태에서 고정구 암편(123)의 안쪽 홈을 입상관에 댄 상태에서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구 숫편(124)의 안쪽 홈을 입상관에 댄 상태로 상기 고정구 암편(123)의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호 위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암편(123)의 ㄱ자 홈(123a)에 상기 숫편(124)의 ㄱ자 돌기(124a)가 삽입 체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고정구(120)가 되도록 한 후, 회전결합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의 고정구 체결부(120)에 체결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가압부재(14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연결된 길이가 긴 링을 이등분한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은 수직하게 평평하고 내주면은 윗부분의 폭이 아래부분의 폭보다 크도록 내주면에서 하향 테이퍼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40)는 이등분된 일측의 마주보는 면에 경첩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접고 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축부재 외주면의 기울기와 가압부재 내주면의 기울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가입부재가 압력을 받아 하향하는 대로 상기 수축편이 안쪽으로 밀려 수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수축부재(13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연결된 링을 이등분한 수축부재 몸체(131)와, 상기 수축부재 몸체(131)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안쪽면은 수직하게 평평하고 바깥쪽면은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다수개의 수축편(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대칭되는 구조로 절반을 절단한 것은 입상관이 상기 관통 슬리브(100)에 세워진 상태에서 수축부재(130)을 관통 슬리브 내부로 안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축부재(130)는 이등분된 일측의 마주보는 면에 경첩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접고 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축부재(130)는 열팽창성 내화충전재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내화충전재를 삽입하거나 설치할 필요없이 배관을 고정하는 기능과 내화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슬리브(100)는 거푸집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이물질이 나사산에 적체될 경우 고정구(150)의 체결이 어렵기 때문에 임시커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임시커버는 상단 테두리가 고정구 체결구 외주면과 같거나 크게 형성하여 고정구 체결구 상면과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내화 충전재가 관통 슬리브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열전달을 빨리 받아 즉각적인 효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볼트들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1a 및 도1b
10 : 고정구(또는 고정틀) 20 : 내화 충전재 30: 진공포장지
40 : 파이프 50 : 슬리브 60 : 바닥 슬라브
도2a 내지 도2c
1 : 클램프 2 : 슬라브 3 : 덕트성형관
4 : 입상배관 5 : 온수관 10 : 밴드
11 : 돌출부 20 : 플랜지 21 : 고정홀
22 : 일측 플랜지 단부 23 : 타측 플랜지 단부
30 : 힌지부 40 : 체결부 41 : 체결홀
50,60 : 볼트 70 : 탄성부재 71 : 밴드 고정홈
72 : 돌출부 고정홈 73 : 압착돌기
본 발명의 도면 부호
100 :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100 : 관통 슬리브 111 : 가압구 걸림턱
112 ; 고정구 체결부 113 : 리브
120 : 고정구 121 : 관통 슬리브 체결부
122 : 머리부 123 : 고정구 암편
123a : ㄱ자 홈 124 : 고정구 숫편
124a : ㄱ자 돌기 130 : 조임부재
131 : 조임부재 몸체 132 : 수축편
140 : 가압부재

Claims (8)

  1. 입상관의 관통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와 그 슬리브 상단에 체결되어 입상관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내주면의 중단 하부 어느 한 부분에 관통슬리브 내경보다 작은 작은 내경을 갖는 가압구 걸림턱과, 내주면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관통 슬리브와;
    상기 관통 슬리브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고정구 체결부의 나사산에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하향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상기 고정구 체결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 슬리브 체결부와, 상기 관통 슬리브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관통 슬리브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머리부 구성된 고정구와;
    상기 관통 슬리브의 가압구 걸림턱에 내장되며 고정구가 관통 슬리브에 체결되어 하향될수로 하부로 이동하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역사다리꼴의 원통형의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내측에 위치하여 가압부재가 상기 고정구에 의해 하향되는 것에 따라 관통 슬리브를 관통하는 배관에 밀착되도록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사다리꼴의 원통 형태를 가지며, 열챙창성 흑연이 포함된 연질재로 형성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내화충전재를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리브는 외주면 하단에 고정구 체결구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띠 형상의 돌출된 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환형으로 연결된 링을 이등분한 수축부재 몸체(131)와,
    상기 수축부재 몸체(131)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안쪽면은 수직하게 평평하고 바깥쪽면은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다수개의 수축편(1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이등분된 일측의 마주보는 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접고 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40)는 환형으로 연결된 길이가 긴 링을 이등분한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은 수직하게 평평하고 내주면은 윗부분의 폭이 아래부분의 폭보다 크도록 내주면에서 하향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40)는 이등분된 일측의 마주보는 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접고 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20)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슬리브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헤드(121)와,
    상기 관통 슬리브의 고정구 체결부(112) 내주면이 형성된 나사산과 회전 결합하는 같은 피치의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부(122)로 구성하되, 중간을 수직하게 절단하여 두개의 편으로 갈라 고정구 암편(123)과 고정수 숫편(12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암편(123)의 절단면에는 상부로 부터 일정깊이로 형성된 ㄱ자 홈(123a)과,
    상기 고정구 숫편(124)의 절단면에는 상기 고정구 암편(123)의 ㄱ자 홈(123a)에 삽입되도록 상기 ㄱ자 홈(123a)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ㄱ자형 돌기(124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20170095839A 2017-07-28 2017-07-28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190012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39A KR20190012598A (ko) 2017-07-28 2017-07-28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39A KR20190012598A (ko) 2017-07-28 2017-07-28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98A true KR20190012598A (ko) 2019-02-11

Family

ID=6536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39A KR20190012598A (ko) 2017-07-28 2017-07-28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59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06661A (ja) * 2019-12-27 2021-07-29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壁への貫通孔形成部材
KR102398398B1 (ko) * 2022-02-09 2022-05-18 (주) 대전통일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KR20220002382U (ko) 2021-03-29 2022-10-06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20220002623U (ko) 2021-04-26 2022-11-02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20230068559A (ko) * 2021-11-11 2023-05-18 손영학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637560B1 (ko) * 2022-10-24 2024-02-19 (주)피엔에스엔지니어링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06661A (ja) * 2019-12-27 2021-07-29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壁への貫通孔形成部材
KR20220002382U (ko) 2021-03-29 2022-10-06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20220002623U (ko) 2021-04-26 2022-11-02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20230068559A (ko) * 2021-11-11 2023-05-18 손영학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398398B1 (ko) * 2022-02-09 2022-05-18 (주) 대전통일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KR102637560B1 (ko) * 2022-10-24 2024-02-19 (주)피엔에스엔지니어링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932B1 (ko)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190012598A (ko)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US8689504B2 (en) Fire protection module
CA1333481C (en) Fire stopping apparatus
KR101951868B1 (ko) 배관 연결장치
US20060000165A1 (en) Fire barrier devices
KR200482602Y1 (ko)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1823918B1 (ko) 입상배관 시공구조
US5937450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fittings to receptacle
US20140260016A1 (en) Firestop apparatus
KR102220959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967586B1 (ko)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KR102061496B1 (ko)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102155906B1 (ko) 내화충전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 장치
KR20150032434A (ko)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KR101715324B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고정틀
CA2819950C (en) Assembly for a line conduit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45954B1 (ko) 가스차단 기능을 겸비한 입상관 클램프 장치
EP2087568A2 (en) A method for forming a seal on conductors of an electrical cable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101666369B1 (ko)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
KR102520981B1 (ko)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TWM450591U (zh) 預埋式截火管套阻火延燒裝置系統
KR102104180B1 (ko) 내화충전재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