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23U -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 Google Patents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23U
KR20220002623U KR2020210001302U KR20210001302U KR20220002623U KR 20220002623 U KR20220002623 U KR 20220002623U KR 2020210001302 U KR2020210001302 U KR 2020210001302U KR 20210001302 U KR20210001302 U KR 20210001302U KR 20220002623 U KR20220002623 U KR 20220002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ire
sleeve body
mounting means
fasten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350Y1 (ko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하이테크판매 filed Critical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to KR2020210001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5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통슬리브 내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시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되, 거치수단에 의해 관통슬리브 내에 쉽게 설치될 수 있어 재작되어 있거나 이미 시공 된 관통슬리브에 적용될 수 있고, 거치수단이 변형절곡 가능한 금속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 맞게 관통슬리브 내에서 내화충전재의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거치수단이 관통슬리브 상단 측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어 작업 중 임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아 작업성이 뛰어난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는 그 내부에 입상배관이 관통 위치되도록 슬라브 내에 매립되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그 중심을 향해 내향 수평되게 연장되는 플랩이 형성되며 상기 플랩 상에는 다수 개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슬리브 본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외주연에는 상기 삽입홈을 따라 이동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는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되어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되는 체결링 및 하단에는 상기 체결링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거치홈을 통해 슬리브 본체의 상단 측에 거치되어 상기 체결링이 상기 슬리브 본체 내측에 고정 위치되게 하는 다수 개의 거치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Penetration sleeve with fireproof filler}
본 고안은 건물 내 화재 발생시 층간의 화재확산이 방지될 수 있게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다층구조를 갖는 건축물은 층과 층 사이에 배수관 등 각종 배관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슬라브 내에 관통구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슬라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내에 배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슬리브를 설치한 뒤에 몰탈을 타설하고 있다.
거푸집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는 보통 배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되는데 이는 추후에 배관이 관통슬리브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고, 배관의 휘어짐 등의 변형에도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되는데, 화재 발생시 이 간격을 통해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유입되어 화재가 층간으로 확산되고 인명피해가 늘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최근에는 관통슬리브와 배관 사이에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되는 내화충전재를 구비토록 하여 화재확산을 방지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내화충전재는 관통슬리브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사출하여 관통슬리브와 내화충전재가 일체로 구성되는 방식과, 별도의 거치수단을 이용해 관통슬리브의 상부 또는 하부에 내화충전재가 거치되게 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자의 방식은 재작되어 있거나 이미 시공 된 관통슬리브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관통슬리브 규격 별로 별도의 금형을 각각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방식은 거치수단에 의해 내화충전재가 관통슬리브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어 재작되어 있거나 이미 시공 된 관통슬리브에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내화충전재가 상부에 위치되면 하부에서 화염이 올라오는 경우 내화충전재가 팽창될 수 있는 충분한 열이 가해질 수 없어 화재가 확산된 후 내화충전재가 뒤 늦게 팽창됨에 따라 화재확산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화충전재가 하부에 위치되면 몰탈 타설시 관통슬리브 내로 유입되는 몰탈에 의해 오염될 수 있어 그 기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12598호(2019년02월11일) 2.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32434호(2015년03월26일) 3.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155906호(2020년09월08일)
따라서 본 고안은 관통슬리브 내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시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되, 거치수단에 의해 관통슬리브 내에 쉽게 설치될 수 있어 재작되어 있거나 이미 시공 된 관통슬리브에 적용될 수 있고, 거치수단이 변형절곡 가능한 금속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 맞게 관통슬리브 내에서 내화충전재의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거치수단이 관통슬리브 상단 측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어 작업 중 임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아 작업성이 뛰어난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그 내부에 입상배관이 관통 위치되도록 슬라브 내에 매립되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그 중심을 향해 내향 수평되게 연장되는 플랩이 형성되며 상기 플랩 상에는 다수 개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슬리브 본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외주연에는 상기 삽입홈을 따라 이동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는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되어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되는 체결링 및 하단에는 상기 체결링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거치홈을 통해 슬리브 본체의 상단 측에 거치되어 상기 체결링이 상기 슬리브 본체 내측에 고정 위치되게 하는 다수 개의 거치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플랩 내측에는 슬라브 시공시에는 타설되는 몰탈이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되어 있다가 몰탈 경화 후 입상배관 관통시 제거되는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거치수단은, 일방향 길이를 갖으며 상황에 따라 선택적 절곡변형 가능한 금속재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은 상기 체결링의 하단이 그 내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으로 절곡변형되고, 상단은 상기 거치홈을 통해 인출된 후 상기 슬리브 본체의 상단에 그 내측이 거치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으로 절곡변형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상기 거치수단의 상단은 상기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가 설치된 거푸집 내에 슬라브 시공을 위해 몰탈이 타설될 시에 그 내부에 함입되며, 몰탈 내에 함입되는 상기 거치수단 상단 측에는 몰탈 경화시 슬라브 내에서의 고정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파공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에 의하면, 관통슬리브 내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시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되, 거치수단에 의해 관통슬리브 내에 쉽게 설치될 수 있어 재작되어 있거나 이미 시공 된 관통슬리브에 적용될 수 있고, 거치수단이 변형절곡 가능한 금속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 맞게 관통슬리브 내에서 내화충전재의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거치수단이 관통슬리브 상단 측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어 작업 중 임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아 작업성이 뛰어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는,그 내부에 입상배관이 관통 위치되도록 슬라브 내에 매립되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그 중심을 향해 내향 수평되게 연장되는 플랩이 형성되며 상기 플랩 상에는 다수 개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슬리브 본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외주연에는 상기 삽입홈을 따라 이동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는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되어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되는 체결링 및 하단에는 상기 체결링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거치홈을 통해 슬리브 본체의 상단 측에 거치되어 상기 체결링이 상기 슬리브 본체 내측에 고정 위치되게 하는 다수 개의 거치수단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1)의 구성요소들과 이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슬리브 본체(10)가 구비되는데, 이 슬리브 본체(10)는 슬라브(40)가 시공될 거푸집 내에 설치되어 하부층과 상부층 사이에 연결되는 입상배관이 관통 위치되게 하고, 동시에 후술 될 체결링(20)과 거치수단(30)이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리브 본체(10) 내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삽입홈(11)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11)은 후술 될 체결링(20)의 삽입돌기(2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체결링(20)이 슬리브 본체(10) 하측에서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 및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슬리브 본체(10)는 상, 하부가 관통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단은 그 중심을 향해 내향 수평되게 연장되는 플랩(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플랩(12) 내측에는 커버(14)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플랩(12) 상에는 후술 될 거치수단(30) 상단이 거치 고정되는 다수 개의 거치홈(13)이 형성된다.
전술한 커버(14)는 슬라브 본체(10) 상부 중앙에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슬라브(40) 시공시에는 슬라브 본체(10) 내부가 폐쇄되게 함으로써 타설되는 몰탈이 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몰탈 경화가 완료된 후에는 슬라브 본체(10) 내부로 입상배관이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커버(14)는 플랩(12) 가장자리와 절취선을 통해 분리될 수도 있게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탈착 수단을 통해서 클랩(12) 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14)가 제거된 후에는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슬라브 본체(10) 상부 측에 별도의 클램프(15)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거치홈(13)은 후술 될 거치수단(30)이 슬리브 본체(10) 측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여 작업 중 거치수단(30)이 무단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러한 거치홈(13)은 플랩(12) 상에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며, 거치수단(30)은 이 거치홈(13)에 대응되는 개수 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리브 본체(10)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리브 본체(10)와 동일한 것으로, 공지된 기술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함을 밝혀둔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슬리브 본체(10) 내에는 체결링(20)이 구비되는데, 이 체결링(20)은 슬리브 본체(10)와 입상배관 사이의 간격이 매꿔지게 하고, 내부에 열에 의해 팽창되는 내화충전재(21)가 구비되어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체결링(20)은 후술 될 거치수단(30)에 의해 슬리브 본체(10)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데,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전술한 삽입홈(11)을 따라 이동되는 삽입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는 내화충전재(21)가 구비된다. 이때 내화충전재(21)는 화재에 의한 열에 자체 팽창되는 불연성(不燃性) 물질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내화충전재가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체결링(20)은 다수 개의 거치수단(30)에 의해 슬리브 본체(10) 내에 위치된다. 이 거치수단(30)은, 체결링(20)이 슬리브 본체(10) 내에 고정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그 양단이 자유롭게 절곡변형될 수 있어 슬리브 본체(10) 내에서의 체결링(20) 높낮이가 상황에 따라 조절될 수 있어 그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 재작되어 있거나 이미 시공 된 관통슬리브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수단(30)은 그 하단에 체결링(20)의 하단이 지지되고 그 상태에서 상단이 슬리브 본체(10)의 측에 거치 고정되는 형태로 체결링(20)이 슬리브 본체(10) 내측에 고정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은 거치수단(30)은, 일방향 길이를 갖으며 상황에 따라 선택적 절곡변형 가능한 금속재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은 체결링(20)의 하단이 그 내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ㄷ"자 채널 형상으로 절곡변형되고, 상단은 거치홈(13)을 통해 인출된 후 슬리브 본체(10)의 상단에 그 내측이 거치될 수 있도록 "ㄷ"자 채널 형상으로 절곡변형된다. 이를 통해 그 하단에 체결링(20)이 지지된 거치수단(30)이 슬리브 본체(10)의 내부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치수단(30)은 체결링(20)이 슬리브 본체(10) 내부에 위치되기 전 슬리브 본체(10) 외부에서 절곡변형되는데, 먼저 체결링(20) 외주연 측에 거치수단(30)을 위치시킨 후 그 하단을 체결링(20) 하단측 내부로 절곡변형시켜 거치수단(30) 하단이 체결링(20) 하단에 지지되게 한다. 그런 다음, 거치수단(30)이 구비된 체결링(20)을 슬리브 본체(10)의 하부를 통해 그 내부로 위치시키는데 이때 체결링(20)의 삽입돌기(22)가 슬리브 본체(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게 한다. 그런 다음 삽입돌기(22)가 삽입홈(11)을 따라 이동되게 하면서 동시에 체결링(20)이 슬리브 본체(10) 내의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되게 한다. 이때 거치수단(30)의 상단은 슬리브 본체(10)의 플랩(12)에 형성된 거치홈(13)을 통해 인출되어 슬리브 본체(10) 상부로 돌출 위치된다.
이동이 완료되면 거치홈(13)을 통해 슬리브 본체(10) 상부로 돌출 위치된 거치수단(30)의 상단을 슬리브 본체(10)의 외측으로 하향 절곡변형시켜 체결링(20)이 그 하단에 지지된 거치수단(30) 상단이 슬리브 본체(10)에 거치 고정되게 한다.
전술한 거치수단(30)은 슬리브 본체(10)의 길이에 따라 또는 체결링(20)의 설치위치에 따라 그 절곡변형되는 정도가 설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가 쉽게 절단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링(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홈(13)이 형성된 개수 내에서 3개 내지 6개 정도의 거치수단(30)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 본체(10)의 외측으로 하향 절곡변형 되는 거치수단(30)의 상단 측에는 한 개 이상의 파공부(31)가 관통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1)가 설치된 거푸집 내에 슬라브(40) 시공을 위해 몰탈이 타설될 시에 그 내부에 함입 되는데, 파공부(31)는 그 내부로 몰탈이 유입되게 함으로써 몰탈 경화시 슬라브(40) 내에서의 거치수단(30)의 고정력이 발생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에 의하면, 관통슬리브 내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시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되, 거치수단에 의해 관통슬리브 내에 쉽게 설치될 수 있어 재작되어 있거나 이미 시공 된 관통슬리브에 적용될 수 있고, 거치수단이 변형절곡 가능한 금속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 맞게 관통슬리브 내에서 내화충전재의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거치수단이 관통슬리브 상단 측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어 작업 중 임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아 그 작업성이 매우 뛰어나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10 : 슬리브 본체
11 : 삽입홈
12 : 플랩
13 : 거치홈
14 : 커버
15 : 클램프
20 : 체결링
21 : 내화충전재
22 : 삽입돌기
30 : 거치수단
31 : 파공부
40 : 슬라브

Claims (4)

  1. 그 내부에 입상배관이 관통 위치되도록 슬라브(40) 내에 매립되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그 중심을 향해 내향 수평되게 연장되는 플랩(12)이 형성되며 상기 플랩(12) 상에는 다수 개의 거치홈(13)이 형성되는 슬리브 본체(10);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10) 내부에 위치되되, 외주연에는 상기 삽입홈(11)을 따라 이동되는 삽입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는 화재시 열에 의해 팽창되어 화재확산이 차단되게 하는 내화충전재(21)가 구비되는 체결링(20); 및
    하단에는 상기 체결링(20)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거치홈(13)을 통해 슬리브 본체(10)의 상단 측에 거치되어 상기 체결링(20)이 상기 슬리브 본체(10) 내측에 고정 위치되게 하는 다수 개의 거치수단(3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랩(12) 내측에는 슬라브(40) 시공시에는 타설되는 몰탈이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되어 있다가 몰탈 경화 후 입상배관 관통시 제거되는 커버(14)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30)은, 일방향 길이를 갖으며 상황에 따라 선택적 절곡변형 가능한 금속재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은 상기 체결링(20)의 하단이 그 내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으로 절곡변형되고, 상단은 상기 거치홈(13)을 통해 인출된 후 상기 슬리브 본체(10)의 상단에 그 내측이 거치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으로 절곡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본체(10)의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상기 거치수단(30)의 상단은 상기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1)가 설치된 거푸집 내에 슬라브(40) 시공을 위해 몰탈이 타설될 시에 그 내부에 함입되며, 몰탈 내에 함입되는 상기 거치수단(30) 상단 측에는 몰탈 경화시 슬라브(40) 내에서의 고정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파공부(31)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2020210001302U 2021-04-26 2021-04-26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200497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02U KR200497350Y1 (ko) 2021-04-26 2021-04-26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02U KR200497350Y1 (ko) 2021-04-26 2021-04-26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23U true KR20220002623U (ko) 2022-11-02
KR200497350Y1 KR200497350Y1 (ko) 2023-10-16

Family

ID=8404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02U KR200497350Y1 (ko) 2021-04-26 2021-04-26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50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434A (ko) 2013-09-17 2015-03-26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KR20150033328A (ko) *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티아이씨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JP2018105067A (ja) * 2016-12-28 2018-07-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KR20190012598A (ko)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2032740B1 (ko) * 2019-02-26 2019-10-16 ㈜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KR20200058970A (ko) * 2018-11-20 2020-05-28 김대현 방화용 배수관 연결구
KR102155906B1 (ko) 2019-01-25 2020-09-14 주식회사 청완 내화충전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434A (ko) 2013-09-17 2015-03-26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KR20150033328A (ko) *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티아이씨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JP2018105067A (ja) * 2016-12-28 2018-07-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KR20190012598A (ko)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200058970A (ko) * 2018-11-20 2020-05-28 김대현 방화용 배수관 연결구
KR102155906B1 (ko) 2019-01-25 2020-09-14 주식회사 청완 내화충전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 장치
KR102032740B1 (ko) * 2019-02-26 2019-10-16 ㈜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50Y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868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2190167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JP2019052746A (ja) 耐火部材及び耐火構造
KR20220063701A (ko) 관통 슬리브유닛
JP2011257001A (ja) 更新配管の施工構造及びこの施工構造に用いられる床スラブ貫通用配管材
KR20220002623U (ko)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JP5351387B2 (ja) 排水配管構造
JP2021081065A (ja) 貫通穴用充填材保持具
KR20220002382U (ko)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KR100952991B1 (ko) 슬리브 파이프 홀더
KR102036122B1 (ko) 방화충전재가 구비되는 건식 에어덕트 고정슬리브 및 시공방법
JP5679761B2 (ja) 配管の支持固定構造
JP2018071066A (ja) 建具
KR200497526Y1 (ko) 내화충전재용 체결링이 구비된 관통슬리브
JP2007056538A (ja) 排水管
KR101801301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FI89295B (fi) Golvbrunn med genomfoeringsutrustning samt foerfarande foer installation av golvbrunnen
KR102193077B1 (ko) 관통 슬리브유닛
KR200497525Y1 (ko) 내화충전재용 체결링을 갖는 관통슬리브
KR200442184Y1 (ko) 배관 삽입용 관로 형성 부재
KR101721912B1 (ko) 내화 충전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
JP6178770B2 (ja) 排水管の延焼防止機構
JP4773614B2 (ja) 小屋裏の換気金物
JP6122195B1 (ja) 遮音カ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延焼防止機構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