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077B1 - 관통 슬리브유닛 - Google Patents

관통 슬리브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077B1
KR102193077B1 KR1020190167513A KR20190167513A KR102193077B1 KR 102193077 B1 KR102193077 B1 KR 102193077B1 KR 1020190167513 A KR1020190167513 A KR 1020190167513A KR 20190167513 A KR20190167513 A KR 20190167513A KR 102193077 B1 KR102193077 B1 KR 10219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ireproof
support
coupled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수
Original Assignee
최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수 filed Critical 최혁수
Priority to KR102019016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수가 적고 제조 단가가 낮으면서도 고온에서 내화발포재가 건축물의 층간 바닥이나 벽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관통 슬리브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은,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장착구에 설치되고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리브 관통구가 형성된 관통 슬리브와, 열에 의해 팽창하여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과 장착구를 통과하는 배관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관통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발포재와, 관통 슬리브의 측면에 결합되고 일단이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 속에 박힐 수 있도록 관통 슬리브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내화발포재 속에 박힐 수 있도록 슬리브 관통구 속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통 슬리브유닛{PIERCING SLEEVE UNIT}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시공되는 각종 배관이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장착구에 설치되어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화재 발생 시 건축물의 장착구를 차폐할 수 있는 관통 슬리브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 공간은 층간 바닥과 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층간 바닥이나 벽 등 건축물의 골조에는 각종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장착구가 형성된다. 건축물 골조의 장착구는 배관의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배관의 설치 시 설계 오차가 있더라도 배관이 장착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건축물 골조의 장착구가 배관의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배관의 설치 시 건축물 골조와 배관의 사이에는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고, 이러한 틈새는 화재 발생 시 화염이나 연기의 통로가 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확산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산이 될 수 있는 건축물 골조의 장착구 부분을 내화성 물질로 막는 것이 법적으로 강제되고 있다. 배관 설치를 위한 건축물 골조의 장착구 부분을 막는 내화재로는 다양한 재질의 것들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배관 설치와 화재 확산방지의 두 가지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가 결합된 관통 슬리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내화발포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이나 벽에 형성되는 장착구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관통 슬리브와, 관통 슬리브에 결합되는 발포성의 내화발포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층간 바닥 또는 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관의 통로를 제공하고, 화재 발생 시 발포성 내화발포재가 열에 의해 팽창하여 장착구를 막음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내화발포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는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가 관통 슬리브에서 이탈하지 않고 팽창해야 배관이 통과하는 장착구를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관통 슬리브와 내화발포재 간의 결합 구조가 중요하다.
현재, 다양한 구조의 내화발포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743932호 (2017. 06. 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 공수가 적고 제조 단가가 낮으면서도 고온에서 내화발포재가 건축물의 층간 바닥이나 벽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관통 슬리브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은,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장착구에 설치되고,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리브 관통구가 형성된 관통 슬리브; 열에 의해 팽창하여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과 상기 장착구를 통과하는 배관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발포재; 및 상기 관통 슬리브의 측면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 속에 박힐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내화발포재 속에 박힐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 관통구 속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 슬리브는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타카핀과, 못과, 나사와, 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내화발포재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내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 지지체는 상기 관통 슬리브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기 내화발포재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화 지지체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화 지지체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화발포재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에 압착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은 관통 슬리브에 결합되는 내화 소재의 지지부재가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 속에 박힌 상태로 관통 슬리브 안쪽의 내화발포재와 결합됨으로써, 화재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관통 슬리브가 부분적으로 녹거나 불에 타더라도, 지지부재가 내화발포재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발포재가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의 장착구에서 이탈되지 않고 장착구 안쪽에서 팽창하여 배관과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며, 장착구를 통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100)은 배관(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관통 슬리브(110)와,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열팽창성의 내화발포재(130)와, 내화발포재(130)의 일면에 결합되는 내화 지지체(140)와, 관통 슬리브(110)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통 슬리브유닛(100)은 건축물의 층간 바닥이나 벽 등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어 배관(10)이 건축물의 층간 바닥이나 벽을 관통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 슬리브유닛(100)은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20)에 형성되는 장착구(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관통 슬리브(110)는 배관(10)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리브 관통구(111)를 구비하는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슬리브 관통구(111)의 직경은 배관(10)의 직경보다 크다. 관통 슬리브(110)는 슬라브(20)의 장착구(21)에 삽입된다. 관통 슬리브(110)는 중공형의 베이스 몸체(113)와, 베이스 몸체(11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 몸체(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13)의 외면에는 복수의 받침부(114)와, 돌출부(116)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받침부(114)는 베이스 몸체(113)의 하단부에 베이스 몸체(113)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다. 받침부(114)에는 못이나 나사 등의 고정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구(115)가 형성된다. 관통 슬리브(110)를 거푸집에 조립할 때, 못이나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결합구(115)에 삽입하여 거푸집에 박아 넣음으로써 관통 슬리브(110)를 거푸집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116)는 받침부(114)보다 높게 위치하고 베이스 몸체(113)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다. 돌출부(116)는 베이스 몸체(1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116)의 가장자리에는 돌출 리브(117)가 돌출부(116)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받침부(114)와 돌출부(116)는 관통 슬리브(110)가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 속에 묻힘으로써 관통 슬리브(110)와 슬라브(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준다. 관통 슬리브(110)가 다른 방식으로 거푸집에 고정되는 경우 받침부(114)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6)나 돌출 리브(117)도 생략 가능하다.
베이스 몸체(113)의 내측에는 내화발포재(130)의 설치를 위한 내화발포재 삽입부(118)가 구비된다. 내화발포재 삽입부(118)에는 내화발포재(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몸체(113)의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19)이 마련된다. 내화발포재(130)는 베이스 몸체(113)의 한쪽 끝단을 통해 베이스 몸체(113)의 내부로 진입하여 삽입홈(119) 속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간단히 베이스 몸체(113)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몸체(120)는 베이스 몸체(113)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연결 몸체(120)의 내측에는 슬리브 나사부(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 몸체(120)의 외측으로는 돌출 림부(122)가 돌출 구비된다. 돌출 림부(122)는 관통 슬리브(110)가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 속에 묻힘으로써 관통 슬리브(110)와 슬라브(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준다.
슬리브 나사부(121)에는 관통 슬리브(110)를 통과하는 배관(10)을 관통 슬리브(110)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관(10)에 중공형 구조의 클램프(400)가 결합되고, 클램프(400)와 결합되는 중공형의 가이드(500)가 슬리브 나사부(1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관(10)과 결합된 클램프(400)가 가이드(500)에 결합됨으로써 배관(10)이 관통 슬리브(1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내화발포재(130)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열팽창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내화발포재(130)는 관통 슬리브(110)의 내화발포재 삽입부(112)에 삽입 결합되어 관통 슬리브(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떠받쳐질 수 있다. 내화발포재(130)는 화재 발생 시, 열을 받아 팽창함으로써 슬라브(20)와 장착구(21)를 통과하는 배관(10)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다. 내화발포재(130)가 슬라브(20)와 배관(1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함으로써, 슬라브(20)의 장착구(21)를 통한 화염이나 연기의 유동이 방지되고 화재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내화발포재(13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배관(10)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링 형상, 또는 그 이외에 배관(10)의 둘레에 배치되어 열팽창 시 배관(10) 둘레를 덮을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내화 지지체(140)는 내화발포재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내화발포재(13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화 지지체(140)는 복수의 통공(141)이 형성된 망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내화 지지체(140)는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화 지지체(140)는 지지부재(150)와 결합되어 지지부재(150)에 의해 슬라브(20)에 고정됨으로써, 내화발포재(130)를 지지하고 내화발포재(110)를 슬라브(20)에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내화 지지체(140)는 관통 슬리브(110)의 내면과 마주하는 내화발포재(13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화 지지체(140)는 적어도 일부분이 내화발포재(130) 속에 묻히도록 내화발포재(130)에 압착 결합될 수 있다. 내화발포재(130)의 일면에 내화 지지체(140)를 대고 내화 지지체(140)를 내화발포재(130) 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내화발포재(110)와 내화 지지체(140)를 압착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내화 지지체(140)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화발포재(110) 속에 묻히도록 함으로써 내화발포재(110)와 내화 지지체(14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50)는 관통 슬리브(110)의 측면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130)를 슬라브(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150)는 금속 등 열에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50)는 관통 슬리브(1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된다. 즉, 지지부재(150)는 그 일단이 관통 슬리브(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 타단이 슬리브 관통구(111) 속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50)의 일단은 슬라브(20) 속에 박히고, 지지부재(150)의 타단은 관통 슬리브(110) 안쪽에 위치하는 내화발포재(130) 속에 박힐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50)는 내화 지지체(140)와 결합된 내화발포재(130)가 관통 슬리브(110)의 안쪽에 조립된 상태에서 관통 슬리브(110)의 외면에서 내면 측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됨으로써, 내화 지지체(140)를 관통하여 내화발포재(130) 속에 박힐 수 있다. 따라서, 내화발포재(130)를 관통 슬리브(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50)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돌출부(116)를 관통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50)가 관통 슬리브(110)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관통함으로써 지지부재(150)와 관통 슬리브(11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고, 지지부재(150)를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관통 슬리브(110)가 파손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50)는 타카핀일 수 있다. 지지부재(150)로서 타카핀을 이용하면 관통 슬리브유닛(100)의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관통 슬리브유닛(100)의 조립 시, 작업자는 내화발포재(130)를 관통 슬리브(110)의 안쪽에 결합한 상태에서, 타카를 관통 슬리브(110)의 외면에 대고 작동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타카핀을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타카의 출력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타카핀의 일단을 관통 슬리브(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타카핀의 타단을 관통 슬리브(110)의 측면과 내화 지지체(140)를 관통하여 내화발포재(130) 속에 박을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100)은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내화 소재의 지지부재(150)가 슬라브(20) 속에 박힌 상태로 관통 슬리브(110) 안쪽의 내화발포재(130)와 결합됨으로써, 화재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관통 슬리브(110)가 부분적으로 녹거나 불에 타더라도, 지지부재(150)가 내화발포재(13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발포재(130)가 슬라브(20)의 장착구(21)에서 이탈되지 않고 장착구(21) 안쪽에서 팽창하여 배관(10)과 슬라브(20)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장착구(21)를 통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100)은 내화 소재의 내화 지지체(140)가 내화발포재(130)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내화발포재(130)와 결합되어 지지부재(1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화재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관통 슬리브(110)가 부분적으로 녹거나 불에 타더라도, 내화 지지체(140)가 내화발포재(13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발포재(130)가 슬라브(20)의 장착구(21)에서 이탈되지 않고 열팽창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관통 슬리브유닛(200)은 관통 슬리브(110)와,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열팽창성의 내화발포재(130)와, 관통 슬리브(110)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200)은 앞서 설명한 관통 슬리브유닛(100)과 비교하여 내화 지지체(140)가 생략된 것이다. 이러한 관통 슬리브유닛(200)은 내화발포재(130)가 내화 지지체없이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5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관통 슬리브(110)가 부분적으로 녹거나 불에 타더라도 내화발포재(130)가 지지부재(1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슬라브(20)의 장착구(21)에서 이탈하지 않고 열팽창하여 장착구(21)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관통 슬리브유닛(300)은 관통 슬리브(110)와,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열팽창성의 내화발포재(130)와, 내화발포재(130)의 일면에 결합되는 내화 지지체(140)와, 관통 슬리브(110)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통 슬리브유닛(300)은 앞서 설명한 관통 슬리브유닛(100)과 비교하여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지지부재(310)는 관통 슬리브(110)의 측면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130)를 슬라브(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310)는 금속 등의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는 나사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부재(310)는 관통 슬리브(1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어 그 일단이 관통 슬리브(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 타단이 슬리브 관통구(111) 속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지지부재(310)의 일단은 슬라브(20) 속에 박히고, 지지부재(310)의 타단은 관통 슬리브(110) 안쪽에 위치하는 내화발포재(130) 속에 박힐 수 있다.
지지부재(310)는 내화 지지체(140)와 결합된 내화발포재(130)가 관통 슬리브(110)의 안쪽에 조립된 상태에서 관통 슬리브(110)의 외면에서 내면 측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됨으로써, 내화 지지체(140)를 관통하여 내화발포재(130) 속에 박힐 수 있다. 지지부재(310)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돌출부(116)를 관통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작업자는 지지부재(310)의 끝단을 관통 슬리브(110)의 외면에 대고 전동 드라이버 등의 툴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지지부재(310)를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관통 슬리브(110)가 베이스 몸체(113)와 연결 몸체(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관통 슬리브는 배관(10)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리브 관통구를 구비하고 층간 바닥 슬라브나 벽 등 건축물의 골조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내화발포재(130)에 결합되는 내화 지지체(140)가 복수의 통공(141)을 갖는 망체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내화 지지체는 망체 구조 이외에, 내화발포재(130) 일면 전체, 또는 내화발포재(130) 일면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내화발포재(130)와 결합되고, 지지부재(150)가 관통하여 지지부재(150)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내화 지지체(140)가 관통 슬리브(110)의 내면과 마주하는 내화발포재(13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내화 지지체(140)는 내화발포재(130)의 다른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화 지지체(140)는 내화발포재(130)의 양쪽 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50)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카핀이나 나사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재는 일단이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 속에 박힐 수 있도록 관통 슬리브(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관통 슬리브(110)의 슬리브 관통구(111) 속으로 돌출되도록 관통 슬리브(110)에 결합될 수 있는 못이나, 볼트, 핀 등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지지부재가 관통 슬리브(110)의 측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돌출부(116)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관통 슬리브(110) 상에서 지지부재의 결합 위치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앞서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이 바닥 슬라브(20)에 설치되어 원형의 수직 배관(1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슬리브유닛은 건축물의 벽에 설치되어 건축물에 수평 배치되는 수평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거나, 건축물의 다른 골조 부위나, 콘크리트 부위에 형성되는 장착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 관통 슬리브유닛 110 : 관통 슬리브
111 : 슬리브 관통구 113 : 베이스 몸체
114 : 받침부 116 : 돌출부
118 : 내화발포재 삽입부 120 : 연결 몸체
130 : 내화발포재 140 : 내화 지지체
150, 310 : 지지부재

Claims (7)

  1.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장착구에 설치되고,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리브 관통구가 형성된 관통 슬리브;
    열에 의해 팽창하여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과 상기 장착구를 통과하는 배관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발포재;
    상기 관통 슬리브의 측면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 속에 박힐 수 있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내화발포재 속에 박힐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 관통구 속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 및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내화발포재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내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 지지체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건축물의 층간 바닥 또는 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리브는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관통 슬리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타카핀과, 못과, 나사와, 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유닛.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지지체는 상기 관통 슬리브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기 내화발포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유닛.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지지체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화발포재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에 압착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유닛.
KR1020190167513A 2019-12-16 2019-12-16 관통 슬리브유닛 KR10219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13A KR102193077B1 (ko) 2019-12-16 2019-12-16 관통 슬리브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13A KR102193077B1 (ko) 2019-12-16 2019-12-16 관통 슬리브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077B1 true KR102193077B1 (ko) 2020-12-18

Family

ID=7404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513A KR102193077B1 (ko) 2019-12-16 2019-12-16 관통 슬리브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341A (ko) 2020-12-18 2022-06-27 최혁수 층간 배관 연결장치와 연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500A (ko) * 2007-01-05 2008-07-09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체의 관통홀에 설치되는 파이프고정재에 의한 관통홀 공간 채움방법
KR101743932B1 (ko) 2016-12-20 2017-06-07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500A (ko) * 2007-01-05 2008-07-09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체의 관통홀에 설치되는 파이프고정재에 의한 관통홀 공간 채움방법
KR101743932B1 (ko) 2016-12-20 2017-06-07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341A (ko) 2020-12-18 2022-06-27 최혁수 층간 배관 연결장치와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033B2 (en) Fire stop for light fixture
KR102637188B1 (ko) 관통 슬리브유닛
KR101978701B1 (ko) 내화충전재 장착이 가능한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2193077B1 (ko) 관통 슬리브유닛
JP3160790U (ja) 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構造
JP6348320B2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KR20220032844A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JP5679761B2 (ja) 配管の支持固定構造
KR102417492B1 (ko) 관통 슬리브유닛
KR101938732B1 (ko)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KR102417503B1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JP4927797B2 (ja) 配線ボックス用耐火処理部材
JP2000170282A (ja) 貫通穴部の防火装置、防火構造及び防火工法
JP6799524B2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JP2009044848A (ja) 延焼防止構造及び延焼防止部材
KR101805156B1 (ko) 부스덕트
KR20180061535A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JPH0628462U (ja) 防火区画体における可燃性長尺体貫通部の防火構造
KR102403870B1 (ko) 내화발포재 유닛
JP2003027705A (ja) 金属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連結固定構造
KR102324834B1 (ko) 반도체 fab 제조공정용 배관의 내화 충전장치
KR20140059659A (ko) 내화 충전구조체
KR102296228B1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