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659A - 내화 충전구조체 - Google Patents

내화 충전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659A
KR20140059659A KR1020120126335A KR20120126335A KR20140059659A KR 20140059659 A KR20140059659 A KR 20140059659A KR 1020120126335 A KR1020120126335 A KR 1020120126335A KR 20120126335 A KR20120126335 A KR 20120126335A KR 20140059659 A KR20140059659 A KR 2014005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etrating member
hole
main body
charging case
fil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기호
조남욱
김흥열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9659A/ko
Publication of KR2014005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배관 등의 관통부재를 설치할 때 관통공과 관통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관통공이나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내화 충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는,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지며, 건물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되는 관통공 내측에 매입 설치되고, 관통부재(예를 들어 배관)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충전케이스와; 상기 충전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화 충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Fireproof Fill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화 충전구조체 및 이 내화 충전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배관 등의 관통부재를 설치할 때 관통공과 관통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관통공이나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내화 충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 등과 같은 방화 구획체를 관통하는 배관은 방화 구획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배관을 삽입한 후, 배관과 관통공 사이의 공간을 내화 충전구조체로 메워서 시공함으로써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관통공이나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종래의 내화 충전구조체는 금속 재질의 충전케이스 내에 그라스울, 또는 내화몰탈, 실리콘,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충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전술한 것과 같이 종래의 내화 충전구조체는 충전케이스가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중에 발생하는 습기로 인하여 마감부분에 부식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이하 'FRP'라 함) 보드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부식 및 균열을 방지하고, 현장에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내화 충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지며, 건물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되는 관통공 내측에 매입 설치되고, 관통부재(예를 들어 배관)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충전케이스와; 상기 충전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화 충전구조체의 시공 방법으로서, (A) 건물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공 내측에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충전케이스를 매입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충전케이스의 홀을 통해 관통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C) 상기 충전케이스의 일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충전케이스 내부에 충전재를 채워넣는 단계와; (D) 상기 충전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는 충전케이스가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과 같은 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만들어지므로 습기에 의한 부식이나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절단 및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화 충전구조체의 충전케이스와 함께 관통부재를 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제작하고, 이 관통부재에 건물의 배관을 연결하면 더욱 우수한 내화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가 건물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화 충전구조체의 충전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화 충전구조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내화 충전구조체에서 충전재를 제거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내화 충전구조체의 하측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내화 충전구조체의 상측 덮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내화 충전구조체의 상측 덮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내화 충전구조체의 상측 덮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과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내화 충전구조체의 충전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과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내화 충전구조체는 불연성 합성수지재료, 바람직하기로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바닥(1)에 매입 설치되는 충전케이스(10)와, 상기 충전케이스(10)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2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케이스(10)는 직육면체의 통형상을 갖지만, 이와 다르게 원통형이나 다각형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충전케이스(10)는 제1면(이 실시예에서 하부면)과 이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이 실시예에서 상부면)이 개방된 사각 통형상의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하부면을 폐쇄하면서 본체부(11)에 고정되며 관통부재(2)가 통과하는 홀(14)이 형성되어 있는 제1덮개부(12)(이하 '하측 덮개부'라 함)와, 상기 본체부(11)의 상부면을 폐쇄하면서 본체부(11)에 고정되며 상기 관통부재(2)가 통과하는 홀(15)이 형성되어 있는 제2덮개부(13)(이하 '상측 덮개부'라 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와 하측 덮개부(12) 및 상측 덮개부(13)는 모두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져 습기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적당한 크기로 절단 및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불연성 FRP는 화재시에도 녹거나 연소되지 않아 내부의 충전재(20)와 관통부재(2)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는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2 부분(11a, 11b)으로 분할되어 만들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맞대어져 접착제 또는 나사(19), 후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사각 통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1)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하측 덮개부(12)를 떠받치면서 지탱하는 서포트핀(17)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핀(17) 상으로 하측 덮개부(12)를 슬라이딩시켜 하측 덮개부(12)를 용이하게 본체부(11)에 결합시키고, 본체부(11) 내에 충전재(20)가 채워졌을 때 하측 덮개부(12)가 본체부(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충전재(2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본체부(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 덮개부(12)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간 부분에 관통부재(2)인 배관(pipe)이 통과하는 원형의 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덮개부(12)의 홀(14)의 내경은 상기 관통부재(2), 즉 배관의 외경과 대체로 일치하거나 미세하게 큰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하측 덮개부(12)는 접착제, 또는 나사, 후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본체부(1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측 덮개부(12)는 본체부(11) 내측에 관통부재(2)인 배관인 설치되기 전에 본체부(11)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배관이 설치된 후 본체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이 설치된 후 하측 덮개부(12)를 본체부(11)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하측 덮개부(12)가 분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하측 덮개부(12)가 적어도 2부분(12a, 12b)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들이 서로 맞대어져 접착제나 나사(18)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거나,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에서 상기 홀(14)에서부터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12c)를 갖도록 하여 상기 절개부(12c)를 통해서 관통부재(2)를 홀(14) 내측으로 삽입한 후 상기 절개부(12c)를 접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상측 덮개부(13)는 하측 덮개부(12)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간 부분에 관통부재(2)인 배관(pipe)이 통과하는 원형의 홀(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덮개부(13)는 접착제, 또는 나사, 후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본체부(11)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충전케이스(10)가 건물의 바닥에 설치될 경우, 상기 충전케이스(10)가 자중에 의해 바닥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덮개부(13)의 테두리 부분에 걸림부(16)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16)는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측 덮개부(13)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측 덮개부(13)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덮개부(13)는 관통부재(2)가 본체부(11) 내측에 설치되고 충전재(20)가 채워진 후 최종적으로 본체부(1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측 덮개부(13)를 본체부(11)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측 덮개부(13)가 분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하측 덮개부(12)가 적어도 2부분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들이 서로 맞대어져 접착제나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거나,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에서 상기 홀(15)에서부터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13c)를 갖도록 하여 상기 절개부(13c)를 통해서 관통부재(2)를 홀(15) 내측으로 삽입한 후 상기 절개부(13c)를 접합시켜 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케이스(10)는 사각 통형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졌지만,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충전케이스(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충전케이스(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측 덮개부(12) 및 상측 덮개부(13)는 원판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하측 덮개부(12) 및 상측 덮개부(13)는 관통부재(2)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부(11)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2부분(12a, 12b; 13a, 13b)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각 부분이 서로 접합되면서 관통부재(2), 즉 배관을 홀(14, 15) 내측에 수용하면서 본체부(11)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충전케이스(10)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20)는 화재시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무기질 단열재, 또는 목재나 목화섬류 등의 천연재료 단열재, 글라스울(glass woo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충전재(20)가 충전케이스(10) 내부의 중간 부분에 충전되는 발포성 단열재(21)와, 상기 발포성 단열재(21)의 외측에 채워지는 내부 단열재(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재(2)는 상,하수관이나 환기덕트, 전기선로관 등의 배관이 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관통부재(2)를 배관(P)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며, 양단부(이 실시예에서 상,하단부)가 개방된 불연성 합성수지재질, 예를 들어 전술한 충전케이스(10)와 동일한 불연성 FRP 재질의 원통관으로 구성하여 건물의 배관(P)이 상기 관통부재(2)의 양단부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부재(2)가 불연성 FRP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면, 화재시 관통부재(2)가 열에 의해 변형되어 충전케이스(10)와 관통부재(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화 충전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공(1a) 내측에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충전케이스(10)를 매입 설치한다(단계 S1). 이 때, 상기 충전케이스(1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 바닥 또는 벽체를 시공할 때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 바닥 또는 벽체를 시공할 때, 관통부재(2)가 통과할 위치에 충전케이스(10)의 본체부(11)를 미리 배치하고 충전케이스(10)의 본체부(11) 외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또는 벽체를 시공함으로써 충전케이스(10)가 건물 바닥 또는 벽체에 매입 설치될 수 있다.
혹은 이와 다르게 건물 바닥이나 벽체가 먼저 시공된 후, 건물 바닥이나 벽체에 관통공(1a)을 뚫은 다음, 관통공(1a) 내측에 충전케이스(10)의 본체부(11)를 매입시킨 후 고정수단, 예를 들어 나사나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충전케이스(10)를 건물 바닥(1)이나 벽체에 매입 설치한 후 충전케이스(10)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충전케이스(10)를 나사로 관통공(1a) 내주면에 추가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충전케이스(10)의 본체부(11)를 건물 바닥(1)이나 벽체에 매입 설치한 다음, 본체부(11) 내측 공간으로 관통부재(2)를 설치한다(단계 S2).
그리고, 상기 본체부(11)의 하부에 하측 덮개부(12)를 결합시켜 본체부(11)의 하부면을 폐쇄한다(단계 S3).
이어서, 본체부(11)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서 본체부(11) 내에 충전재(20)를 채워넣은 다음(단계 S4), 상기 본체부(11)의 상단부에 상측 덮개부(13)를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상측 덮개부(13)의 테두리 부분에는 걸림부(16)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덮개부(13)가 관통공(1a) 외측의 건물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써 충전케이스(10)가 관통공(1a) 외부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케이스(10)를 모두 설치한 후, 충전케이스(10)의 상측 덮개부(13)의 홀(15) 및 하측 덮개부(12)의 홀(14)과 상기 관통부재(2)의 외면 사이에 실링재(30)를 도포하여 충전케이스(10)와 관통부재(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계 S6).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는 충전케이스(10)가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지므로 습기에 의한 부식이나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절단 및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바닥 1a : 관통공
2 : 관통부재 10 : 충전케이스
11 : 본체부 12 : 제1덮개부(하측 덮개부)
13 : 제2덮개부(상측 덮개부) 14, 15 : 홀
16 : 걸림부 17 : 서포트핀
20 : 충전재 21 : 발포성 단열재
22 : 내부 단열재 30 : 실링재

Claims (15)

  1. 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만들어지며, 건물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되는 관통공(1a) 내측에 매입 설치되고, 관통부재(2)가 통과하는 홀(14, 15)이 형성된 충전케이스(10)와;
    상기 충전케이스(10)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케이스(10)는 제1면과 이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제1면을 폐쇄하면서 본체부(11)에 고정되며 상기 관통부재(2)가 통과하는 홀(14)이 형성되어 있는 제1덮개부(12)와, 상기 본체부(11)의 제2면을 폐쇄하면서 본체부(11)에 고정되며 상기 관통부재(2)가 통과하는 홀(15)이 형성되어 있는 제2덮개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의 제1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제1덮개부(12)를 떠받치면서 지탱하는 서포트핀(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부(13)의 테두리 부분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충전케이스(10)가 건물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공(1a)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6)는 제2덮개부(13)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6)는 제2덮개부(13)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7. 제2항에 있어서, 제1덮개부(1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에서 상기 홀(14)에서부터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12c)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12c)는 상기 제1덮개부(12)가 본체부(11)의 제1면에 설치된 후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8. 제2항에 있어서, 제2덮개부(13)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에서 상기 홀(15)에서부터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13c)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13c)는 상기 제2덮개부(13)가 본체부(11)의 제2면에 설치된 후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각 부분들이 서로 접합되어 관통공(1a)에 매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충전케이스(10)의 홀(14, 15)과 상기 관통부재(2)의 외면 사이에 도포되는 실링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20)는 충전케이스(10) 내부의 중간 부분에 충전되는 발포성 단열재(21)와, 상기 발포성 단열재(21)의 외측에 채워지는 내부 단열재(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2)는 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만들어지며 양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배관이 상기 관통부재(2)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의 시공 방법으로서,
    (A) 건물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공(1a) 내측에 불연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충전케이스(10)를 매입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충전케이스(10)의 홀(14, 15)을 통해 관통부재(2)를 삽입하는 단계와;
    (C) 상기 충전케이스(10)의 일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충전케이스(10) 내부에 충전재(20)를 채워넣는 단계와;
    (D) 상기 충전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의 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 바닥 또는 벽체를 시공할 때, 관통부재(2)가 통과할 위치에 충전케이스(10)를 미리 배치하고 충전케이스(10)의 외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충전케이스(10)가 건물 바닥 또는 벽체에 매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의 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충전케이스(10)의 홀(14, 15)과 상기 관통부재(2)의 외면 사이에 실링재(30)를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충전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20120126335A 2012-11-08 2012-11-08 내화 충전구조체 KR20140059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335A KR20140059659A (ko) 2012-11-08 2012-11-08 내화 충전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335A KR20140059659A (ko) 2012-11-08 2012-11-08 내화 충전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59A true KR20140059659A (ko) 2014-05-16

Family

ID=5088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335A KR20140059659A (ko) 2012-11-08 2012-11-08 내화 충전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96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89A (zh) * 2015-10-30 2016-01-13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玻璃防火护栏
CN110158802A (zh) * 2019-06-20 2019-08-23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带贯穿孔的防火防爆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89A (zh) * 2015-10-30 2016-01-13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玻璃防火护栏
CN110158802A (zh) * 2019-06-20 2019-08-23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带贯穿孔的防火防爆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033B2 (en) Fire stop for light fixture
JP5427782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20230021038A1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US20120304979A1 (en) Line Element Lead-Through with Support Structure
KR101687140B1 (ko) 건물의 배관 내 내화충전재 장착장치
JP7134426B2 (ja) 耐火部材及び耐火構造
KR20140059659A (ko) 내화 충전구조체
KR10153994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949859B1 (ko)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JP6085378B2 (ja) 耐火カバー、耐火カバーを有する耐火性配線ボックス及び耐火性配線ボックスの設置構造
GB2507016A (en) Sealing of passages through walls
JP5556653B2 (ja) 配線配管貫通構造
KR100946912B1 (ko) 단열 및 화재예방을 위한 벽체 시공방법
KR101026256B1 (ko) 화염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KR101622540B1 (ko)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GB2514496A (en) Fire resistant structure
JP2015086652A (ja) 建具
JP2010144402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193077B1 (ko) 관통 슬리브유닛
JP5217641B2 (ja) 断熱改修壁
JP6799524B2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JP2018109284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AU2010246459B2 (en) Downlight Housing
KR101923631B1 (ko)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RU2720431C1 (ru) Фасад для зд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асада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асада з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