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942B1 -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942B1
KR101539942B1 KR1020140004287A KR20140004287A KR101539942B1 KR 101539942 B1 KR101539942 B1 KR 101539942B1 KR 1020140004287 A KR1020140004287 A KR 1020140004287A KR 20140004287 A KR20140004287 A KR 20140004287A KR 101539942 B1 KR101539942 B1 KR 10153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anchor bolt
building
exterior materia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353A (ko
Inventor
강재식
최현중
남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Priority to KR102014000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9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되는 앵커와, 일측은 상기 앵커와 결합되고 타측은 건축물 외장재와 결합되어 상기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하는 외장재 고정부재와,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과,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 설치공에 삽입되기 전 상기 앵커 설치공 내부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FOR A OUTSIDE PANE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熱橋)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와 같은 건축물 외장재를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셋트앵커(set anchor)와 같은 앵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셋트앵커는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갖는 앵커볼트와, 원통형상으로 말린 일측면에 절개선이 구비되면서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과,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조임작용에 따라 상기 앵커볼트를 나선 이송시켜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셋트앵커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앵커캡과 상기 앵커볼트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가 한 쌍을 이루는 셋트앵커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천공된 앵커 설치공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된 조임너트의 조임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볼트를 벽면 외부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경사져 확경된 앵커볼트의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상기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건물 외벽에 완전히 고정된다.
한편, 최근 석탄 및 석유 등의 화석연료비가 급속히 상승함에 따라 건축물의 설계 및 건축 시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즉, 패시브 하우스는 건축물 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열 차단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열 차단재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열 차단 효율이 증가된 건축물의 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을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수단을 이용할 경우 그 고정수단에 의한 외부로의 열 손실이 발생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제기되어 왔다.
한편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물 외장재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에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시킬 때에는 외벽 상에 단열재를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하거나 단열재를 접착제 또는 고정핀으로 결합시킨 후 앵커볼트의 설치부분을 오려 낸 후 매입한 다음 외장재를 셋트앵커와 결합된 브래킷 등의 철물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금속재 앵커볼트에 브래킷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열재가 훼손되어 마감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건출물 외부의 열이 셋트앵커 및 브래킷 등으로 전달되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금속재 앵커볼트 및 브래킷을 사용할 경우,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熱橋)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되는 앵커와, 일측은 상기 앵커와 결합되고 타측은 건축물 외장재와 결합되어 상기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하는 외장재 고정부재와,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과,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 설치공에 삽입되기 전 상기 앵커 설치공 내부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차단재는 상기 앵커 설치공 내부에 채워진 후 응고되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앵커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과, 상기 몸체부에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앵커볼트를 나선 이동시켜 상기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캡의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앵커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앵커볼트에서 상기 앵커 설치공에 삽입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열이 상기 앵커볼트를 통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건축물 구조체 외측에 위치되는 외장재에 면접촉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내주연 및 외주연 상의 적어도 일측에 밀착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재 내측에 삽입된 상기 앵커볼트가 회전하여 억지끼움되는 피복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는 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앵커볼트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후 회전하면, 상기 피복층에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산이 파고들어갈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앵커볼트의 양측 나사산만을 프레스로 눌러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앵커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앵커볼트의 양측 나사산만을 절단하여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재에는 상기 삽입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플레이트부재를 통과하는 통과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과홀을 막으며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캡너트와, 상기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도록 상기 삽입홀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와 상기 너트를 감싸는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캡과 상기 조임너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 설치공 내부를 밀실하게 하는 제 1패킹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의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 2패킹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는 난연 또는 불연 처리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통과하되, 일단은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의하면,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 설치공 내부에 채워지는 열교차단재에 의해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앵커를 통한 열교(熱橋)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앵커의 일측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에는 건축물 외장재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므로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앵커에 구비되는 수지 및 외장재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층에 의해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에 의해 건축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사용된 건축물은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사용되는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가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건축물 외장재가 고정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사용되는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의 분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대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사용되는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가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건축물 외장재가 고정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 구조체(11)에 결합되는 앵커(100)와, 일측은 앵커(100)와 결합되고 타측은 건축물 외장재(30)와 결합되어 건축물 외장재(30)를 고정하는 외장재 고정부재(200)와, 앵커(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건축물 구조체(11)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11)과, 앵커(100)가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되기 전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져 앵커(1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20)를 포함한다.
건축물 구조체(11)는 건축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기둥 또는 벽체 등이 될 수 있다.
건축물 구조체(11)에 결합되는 앵커(100)로는 셋트앵커 또는 웨지앵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앵커(100)로 셋트앵커가 사용된 것을 보였다. 하지만 웨지앵커 등의 사용을 배재하는 것은 아니다.
셋트앵커(100)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112)를 구비하는 앵커볼트(110)와, 앵커볼트(110)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120)과,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1)에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앵커볼트(110)를 나선 이동시켜 앵커볼트(110)의 머리부(112)의 가압작용을 통해 앵커캡(120)의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조임너트(130)를 구비한다.
이때 앵커볼트(110)와 앵커캡(120)의 경우 강도를 가지면서 녹이 슬지 않도록 아연이 도금된 금속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1)에는 나사산(1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112)는 몸체부(111)의 단부에서 원추형상으로 확경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앵커볼트(110)가 앵커캡(120)에 끼움 결합된다. 앵커캡(120)에는 절개선(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절개선(121)이 형성된 앵커캡(120)의 단부측은 벌어질 수 있다.
한편,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1)에는 조임너트(130)가 나사결합되며, 조임너트(130)는 나사산(111a)을 따라 조여질 수 있다. 따라서 조임너트(130)를 조이게 되면 조임너트(130)의 조임작용에 의해 이송되는 앵커볼트(110)의 확경된 머리부(112)의 가압작용에 의해 절개선(121)이 형성된 앵커캡(120)의 일단이 벌어지게 된다. 앵커볼트(110)의 머리부(112)가 건축물 구조체(10) 등에 형성된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된 후 조임너트(130)를 조여 앵커캡(120)이 벌어지도록 하면 앵커볼트(110)는 건축물 구조체(10) 등에 단단히 고정된다.
한편, 앵커볼트(110)의 머리부(112) 및 몸체부(111) 일부는 건축물 구조체(10)에 형성된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앵커(100)가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되기 전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져 앵커(1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20)가 구비된다.
열교차단재(20)는 앵커(100)를 통해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진 후 앵커(100)를 감싸면서 앵커 설치공(11)과 앵커(100) 사이의 틈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지는 열교차단재(20)로는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진 후 응고되어 단열성능을 발휘하는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앵커 설치공(11)에 채워지는 수지로는 실리콘,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열이 앵커볼트(110)를 통해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서트 사출로 앵커(100)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는 수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지(140)로는 우레탄(urethane), 섬유강화플라스틱(FRP)과 같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같은 수지의 열전도율은 스테인리스 재질과 같은 금속재질보다 훨씬 열전도율이 낮다. 따라서 앵커볼트(110)를 수지(140)로 감싸게 되면 앵커볼트(110)를 통한 열전도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수지(140)는 앵커볼트(110)에서 특히 건축물 구조체에 삽입되는 몸체부(111) 및 머리부(112)의 일부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앵커 설치공(11) 내부의 열교차단재(20) 및 앵커볼트(110)에 구비되는 수지(140)에 의해 앵커(100)를 통해 건축물 구조체(10) 쪽으로 흐르는 열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열교를 방지함으로써 건축물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앵커캡(120)과 조임너트(130) 사이에는 제 1패킹부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패킹부재(125)는 조임너트(130)를 통해 앵커볼트(110)를 조일 때 건축물 구조체(10)와 밀착하게 되어 앵커 설치공(11) 내부를 밀실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 설치공(11) 내부의 공기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앵커 설치공(11)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패킹부재(125)는 건축물 구조체(10)와 밀착하는 밀착부(126)와, 밀착부(126)로부터 앵커캡(120)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27)의 일부는 앵커캡(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패킹부재(125)와 조임너트(130) 사이에는 조임너트(130)로 조일 시 조임력을 높여주도록 와셔(161) 및 스프링와셔(16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앵커(100)의 일측에는 건축물 외장재(30)를 고정하는 외장재 고정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건축물 구조체(10) 외측에 위치되는 건축물 외장재(30)에 면접촉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재(210)와, 플레이트부재(21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앵커볼트(110)가 삽입되는 삽입홀(221)이 형성되는 수직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재(210)와 수직부재(220)의 내주연 및 외주연 중 적어도 일측 상에 수지 재질로 피복된 피복층(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부재(210)와 수직부재(220)를 피복하는 피복층(230)을 구비함으로써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부재(210)와 수직부재(22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교를 차단함으로써 플레이트부재(210)와 수직부재(220)를 통해 열이 셋트앵커(1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건축물 외장재(30)를 외장재 고정부재(200)에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재(210)의 가장자리는 피복층(230)에 의해 피복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재(220)의 내부에는 앵커볼트(110)가 삽입되는 삽입홀(221)이 형성된다. 또한 수직부재(220)에 형성된 삽입홀(221)에서 연장되어 앵커볼트(110)가 플레이트부재(210)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통과홀(211)을 구비한다.
또한 앵커볼트(110)의 단부에는 너트(310)가 결합되어 외장재 고정부재(200)가 앵커(100)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너트(31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고, 앵커볼트(110)의 단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볼트(110)의 단부와 너트(310)를 감싸는 캡(320)을 구비한다. 캡(320)은 앵커볼트(110)의 단부와 너트(31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열전도율이 낮은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앵커볼트(110)는 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삽입홀(221)은 앵커볼트(110)의 단면과 대응하는 타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볼트(110)의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앵커볼트(110)의 양측을 프레스로 눌러 앵커볼트(110)의 양측 나사산만이 눌러지게 하거나, 앵커볼트(110)의 양측 나사산만을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10)가 삽입홀(221)에 삽입된 후 외장재 고정부재(200)를 회전시키면, 피복층(230)에 앵커볼트(110)의 나사산이 파고들어가 앵커볼트(110)와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서로 억지끼움되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앵커볼트(110)가 외장재 고정부재(200)의 수직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플레이트부재(210)와 건축물 구조체(10) 사이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외장재 고정부재(200)에 고정되는 건축물 외장재(30)의 수직 등을 조절하기가 쉬워진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외장재 고정부재(200)에는 건축물 외장재(30)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40)가 건축물 외장재(30)를 관통하여 플레이트부재(21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외장재(30)를 건축물 구조체(10)에 최종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건축물 구조체(10)와 건축물 외장재(30) 사이에는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한 단열재(I)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건축물 외장재(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 구조체(10)와 건축물 외장재(30)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I)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서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금속재질 또는 수지로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장재 고정부재(200)가 수지로만 형성되는 경우, 화재에 대비해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난연 또는 불연 처리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앵커(100)와 외장재 고정부재(200)의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앵커(100)와 외장재 고정부재(200)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 2패킹부재(2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패킹부재(225)는 경질성 또는 연질성의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앵커볼트(110)가 삽입홀(221)에 삽입된 후 외장재 고정부재(200)를 회전시키면, 앵커볼트(110)의 나사산이 피복층(230)을 파고들어가 앵커볼트(110)와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서로 억지끼움되면서 결합하는 것을 보였다. 하지만, 앵커볼트(110)의 나사산이 피복층(230)을 파고들어가면서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되는 것은 인발강도가 약할 수 있기 때문에 앵커볼트(110)의 단부에 너트(310)를 결합시켜 외장재 고정부재(200)가 앵커(100)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31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고, 앵커볼트(110)의 단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볼트(110)의 단부와 너트(310)를 감싸는 캡(320)을 구비한다. 캡(320)은 앵커볼트(110)의 단부와 너트(31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열전도율이 낮은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앵커볼트(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통과홀(211)을 막으며 수직부재(220)가 건축물 구조체(10)에 밀착되도록 하는 캡너트(310)와, 앵커(100) 및 외장재 고정부재(2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도록 삽입홀(221)에 충진되는 충진재(420)를 구비한다.
한편, 삽입홀(221)의 내부에 충진재(420)가 충진될 수 있도록 삽입홀(221)의 내경은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삽입홀(221)의 내경과 앵커볼트(110)의 외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충진재(420)가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충진재(420)는 앵커(100) 및 외장재 고정부재(2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홀(221)의 내부에 충진재(420)가 충진된 상태에서 캡너트(410)로 앵커볼트(110)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게 되면 캡너트(310)에 밀려 수직부재(220)의 단부는 건축물 구조체(10)에 밀착된다. 따라서 외장재 고정부재(200)가 건축물 구조체(10)에 지지되는 힘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캡너트(310)는 플레이트부재(210)에 형성된 통과홀(211)을 막기 때문에 삽입홀(221) 내부의 충진재(420)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삽입홀(221)의 밀실하게 하여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 구조체(10)와 외장재 고정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I)를 통과하되, 일단은 건축물 구조체(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외장재 고정부재(200)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간지지부재(4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지지부재(430)는 외장재 고정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지지부재(430)가 외장재 고정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수직부재(220)는 앵커볼트(110)와 결합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될 수 있다.
중간지지부재(430)가 외장재 고정부재(200)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단열재(I)를 컷팅 도구로 먼저 컷팅하여 단열재(I)가 훼손되는 부분을 최소화한 후 단열재(I)에서 컷팅된 부분을 통해 중간지지부재(430)를 삽입하여 건축물 구조체(10) 및 외장재 고정부재(20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중간지지부재(430)를 통한 열교를 방지하기 위해 중간지지부재(430)는 구조적 성능을 가지며 열전도율이 낮은 수지로 형성되거나, 구조적 성능을 가지는 철물을 수지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외장재 고정부재(200)의 플레이트부재(210)에 브래킷(500)과 같은 철물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수지로만 형성될 수 있으며, 화재에 대비해 외장재 고정부재(200)는 난연 또는 불연 처리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앵커볼트(110)로 외장재 고정부재(200) 및 브래킷(500)이 동시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장재 고정부재(200)의 플레이트부재(210) 및 브래킷(500)에는 각각 통과홀(211,511)이 형성되고, 통과홀(211,511)을 통과한 앵커볼트(110)에 너트(310)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부재(210) 및 브래킷(500)에 각각 형성된 통과홀(211,511)에는 열교를 차단하기 위해 제 2패킹부재(225)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열전도율이 낮은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캡(320)은 앵커볼트(110)의 단부와 너트(310)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장재 고정부재(200)의 플레이트부재(210)에 브래킷(500)이 밀착되도록 고정됨으로써 브래킷(500)에 각종 철물 등이 지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앵커(100)에 외장재 고정부재(200) 없이 브래킷(500)이 바로 결합된다.
이때 앵커캡(120)과 조임너트(130) 사이에 제 1패킹부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패킹부재(125)는 조임너트(130)를 통해 앵커볼트(110)를 조일 때 건축물 구조체(10)와 밀착하게 되어 앵커 설치공(11) 내부가 밀실되도록 한다. 따라서 앵커 설치공(11) 내부의 공기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앵커 설치공(11)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 1패킹부재(125)의 밀착부(126)는 상하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건축물 구조체(10)와 브래킷(500) 사이에 게재됨으로써 브래킷(500)을 통한 열이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브래킷(500)에 형성되는 통과홀(511)에는 앵커(100)와 브래킷(500)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 2패킹부재(2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패킹부재(225)는 제 1패킹부재(125)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2패킹부재(225)는 제 1패킹부재(12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앵커볼트(110)의 단부에 너트(310)가 체결되고, 앵커볼트(110)의 단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볼트(110)의 단부와 너트(310)를 감싸는 캡(320)을 구비하는 구성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앵커캡(120)에 브래킷(500)을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도, 제 1패킹부재(125) 및 제 2패킹부재(225)의 구성에 의해 브래킷(500)을 통한 열이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의하면, 앵커(100)가 건축물 구조체(10)에 매입되는 부분에 열교차단재(20)가 구비되어 있어 앵커(1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앵커캡(120)과 조임너트(130)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125)를 구비함으로써 앵커볼트(110) 및 앵커 설치공(11)을 통해 건축물 구조체 쪽으로 흐르는 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100)의 단부에 결합되며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하는 외장재 고정부재(200) 또한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부재(210)와 수직부재(220)를 감싸는 피복층(230)을 구비하므로 외장재 고정부재(2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건축물 구조체 20: 열교차단제
100: 앵커 125: 제 1패킹부재
200: 외장재 고정부재 211: 통과홀
221: 삽입홀 200: 브래킷
225: 제 2패킹부재 300: 고정부재
400: 피복층

Claims (16)

  1.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되는 앵커와,
    일측은 상기 앵커와 결합되고 타측은 건축물 외장재와 결합되어 상기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하는 외장재 고정부재와,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과,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 설치공에 삽입되기 전 상기 앵커 설치공 내부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과, 상기 몸체부에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앵커볼트를 나선 이동시켜 상기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캡의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건축물 구조체 외측에 위치되는 외장재에 면접촉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부재에는 상기 삽입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플레이트부재를 통과하는 통과홀이 구비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과홀을 막으며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캡너트와, 상기 앵커 및 외장재 고정부재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도록 상기 삽입홀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는 상기 앵커 설치공 내부에 채워진 후 응고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앵커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앵커볼트에서 상기 앵커 설치공에 삽입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열이 상기 앵커볼트를 통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내주연 및 외주연 상의 적어도 일측에 밀착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재 내측에 삽입된 상기 앵커볼트가 회전하여 억지끼움되는 피복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앵커볼트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후 회전하면, 상기 피복층에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산이 파고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앵커볼트의 양측 나사산만을 프레스로 눌러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앵커볼트의 양측 나사산만을 절단하여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와 상기 너트를 감싸는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캡과 상기 조임너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 설치공 내부를 밀실하게 하는 제 1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의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 2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는 난연 또는 불연 처리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통과하되,
    일단은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외장재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0140004287A 2014-01-14 2014-01-14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53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287A KR101539942B1 (ko) 2014-01-14 2014-01-14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287A KR101539942B1 (ko) 2014-01-14 2014-01-14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53A KR20150084353A (ko) 2015-07-22
KR101539942B1 true KR101539942B1 (ko) 2015-07-28

Family

ID=5387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287A KR101539942B1 (ko) 2014-01-14 2014-01-14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272A (ko) 2015-09-10 2017-03-21 태성정밀부품(주)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KR20210046877A (ko) * 2019-10-18 2021-04-29 김형윤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드릴을 구비한 앵커지지대와 이를 이용한 앵커볼트 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333Y1 (ko) * 2016-08-17 2018-05-04 이나연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 장치
KR101870047B1 (ko) * 2016-11-29 2018-06-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형 전단연결유닛을 이용한 구조 및 단열 기능 일체형 외벽패널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285343B1 (ko) * 2019-10-10 2021-08-04 김형윤 드릴을 구비한 단열처리된 앵커지지대와 이를 이용한 앵커볼트 시공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130A (ja) * 2005-09-26 2007-04-05 Sekisui Plastics Co Ltd コンクリート壁と断熱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
JP2009007761A (ja) * 2007-06-26 2009-01-15 Toray Ind Inc 湿式材料係止補助具および湿式材料係止工法
KR101155248B1 (ko) * 2011-09-23 2012-06-13 김세직 가설시트 앵커볼트
KR101180007B1 (ko) * 2012-05-29 2012-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130A (ja) * 2005-09-26 2007-04-05 Sekisui Plastics Co Ltd コンクリート壁と断熱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
JP2009007761A (ja) * 2007-06-26 2009-01-15 Toray Ind Inc 湿式材料係止補助具および湿式材料係止工法
KR101155248B1 (ko) * 2011-09-23 2012-06-13 김세직 가설시트 앵커볼트
KR101180007B1 (ko) * 2012-05-29 2012-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272A (ko) 2015-09-10 2017-03-21 태성정밀부품(주)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KR20210046877A (ko) * 2019-10-18 2021-04-29 김형윤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드릴을 구비한 앵커지지대와 이를 이용한 앵커볼트 시공구조
KR102345205B1 (ko) * 2019-10-18 2021-12-30 김형윤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드릴을 구비한 앵커지지대와 이를 이용한 앵커볼트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53A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94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74142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US8689504B2 (en) Fire protection module
KR101515956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10135351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680623B1 (ko) 외장재 고정유닛
KR101687517B1 (ko) 단열 벽체용 내외장 판넬 연결 구조
KR101375896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누수방지를 위한 체결구
US20150204087A1 (en) Line conduit
JP4294707B2 (ja) 壁面の防水装置と止水部材と連結金具と防水工法
KR101680625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98448A (ko)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738662B1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304259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528805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재의 시공방법
KR20180016697A (ko) 패널 고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패널 고정 방법
KR20130005277U (ko)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JP5643608B2 (ja) 屋上設置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KR102104180B1 (ko) 내화충전재 장착장치
KR20160012754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741430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US11008751B2 (en) System for fastening attachments to a substrate with an insulation layer
EP2662503A2 (en) Fixing for affixing a load to a structure
KR20210066381A (ko) 단열성능이 있는 고정구
KR102413141B1 (ko) 건물 천정에 구성되는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하우징 및 그 고정하우징을 이용한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