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430B1 -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430B1
KR101741430B1 KR1020150056370A KR20150056370A KR101741430B1 KR 101741430 B1 KR101741430 B1 KR 101741430B1 KR 1020150056370 A KR1020150056370 A KR 1020150056370A KR 20150056370 A KR20150056370 A KR 20150056370A KR 101741430 B1 KR101741430 B1 KR 10174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ixture
cap
build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662A (ko
Inventor
강재식
최현중
이호열
남동균
김진우
김혁
김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4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은 건축물 구조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 구조체로부터 돌출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고 상기 앵커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고정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너트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 및 상기 앵커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너트를 통한 열전달을 막는 캡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FIXING UNIT FOR A OUTSIDE PANE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熱橋)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와 같은 건축물 외장재를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셋트앵커(set anchor)와 같은 앵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셋트앵커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5976호(2012. 04. 17)"와 같이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갖는 앵커와, 원통형상으로 말린 일측면에 절개선이 구비되면서 상기 앵커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과, 상기 앵커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조임작용에 따라 상기 앵커를 나선 이송시켜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셋트앵커는 상기 앵커캡과 상기 앵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가 한 쌍을 이루는 셋트앵커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천공된 앵커 설치공에 삽입하고 상기 앵커에 체결된 조임너트의 조임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를 벽면 외부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경사지고 확경 된 앵커의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상기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건물 외벽에 완전히 고정된다.
한편, 최근 석탄 및 석유 등의 화석연료비가 급속히 상승함에 따라 건축물의 설계 및 건축 시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즉, 패시브 하우스는 건축물 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열 차단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열 차단재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열 차단 효율이 증가된 건축물의 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을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수단을 이용할 경우 그 고정수단에 의한 외부로의 열 손실이 발생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제기되어 왔다.
한편,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물 외장재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에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시킬 때에는 외벽 상에 단열재를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하거나 단열재를 접착제 또는 고정핀으로 결합시킨 후 앵커의 설치부분을 오려 낸 후 매입한 다음 외장재를 셋트앵커와 결합된 브래킷 등의 철물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금속재 앵커에 브래킷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열재가 훼손되어 마감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 외부의 열이 셋트앵커 및 브래킷 등으로 전달되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금속의 앵커 및 브래킷을 사용할 경우,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熱橋)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은 건축물 구조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 구조체로부터 돌출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고 상기 앵커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고정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너트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 및 상기 앵커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너트 및 앵커 단부를 통한 열전달을 막는 캡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건축물 외장재에 면접촉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플래이트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따.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삽입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너트, 상기 앵커의 단부 및 상기 캡이 안착하는 안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홀의 외경은 상기 앵커와 상기 고정구가 나사방식을 통해 결합할 시 공구를 이용해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공구의 일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안착홀에 밀착되어 상기 캡이 상기 안착홀과 빈틈없이 결합하도록 하는 밀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사출 또는 합성수지 충전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수직부재의 내주연 및 외주연 상의 적어도 일측에 밀착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재 내측에 삽입된 상기 앵커가 회전하여 나사결합하는 피복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는 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앵커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앵커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후 회전하며, 상기 피복층에 상기 앵커의 나사산이 파고들어갈 수 있다.
상기 앵커는 단면이 타원형상이 되도록 한 후 상기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에 의하면, 고정구에 구비되는 피복층 및 캡에 의해 앵커 및 고정구를 통한 열전달의 최소화와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고정구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이 사용된 건축물은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이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이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은 앵커(100), 고정구(200), 너트(300) 및 캡(400)을 구비할 수 있다.
건축물 구조체(10)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 구조체(10)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앵커(100)는 셋트앵커 또는 웨지앵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앵커(100)로 셋트앵커가 사용된 것을 보였다. 하지만 웨지앵커 등의 사용을 배재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앵커(100)는 나사산(111a)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112)를 구비하는 앵커볼트(110)와, 상기 앵커볼트(110)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캡(120)에는 절개선(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선(121)이 형성된 상기 앵커캡(120)의 단부측이 벌어지면서 상기 앵커볼트(11)가 상기 앵커캡(120)에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볼트(110)의 머리부(112) 및 몸체부(111) 일부는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에 형성된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100)가 상기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되기 전 상기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져 상기 앵커(1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차단재(20)는 상기 앵커(100)를 통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진 후 상기 앵커(100)를 감싸면서 상기 앵커 설치공(11)과 상기 앵커(100) 사이의 틈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열교차단재(20)로는 상기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진 후 응고되어 단열성능을 발휘하는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앵커 설치공(11)에 채워지는 수지로는 실리콘,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앵커볼트(110)를 통해 건축물 상기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것 즉, 열교현상을 방지하도록 인서트 사출로 상기 앵커(100)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는 수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앵커(100)의 머리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우레탄(urethane), 섬유강화플라스틱(FRP)과 같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같은 수지의 열전도율은 스테인리스 재질과 같은 금속재질보다 훨씬 열전도율이 낮다. 따라서 상기 앵커볼트(110)를 상기 수지로 감싸게 되면 상기 앵커볼트(110)를 통한 열전도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지는 상기 앵커볼트(110)에서 특히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에 삽입되는 상기 몸체부(111) 및 상기 머리부(112)의 일부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 설치공(11) 내부의 상기 열교차단재(20) 및 상기 앵커볼트(110)에 구비되는 상기 수지에 의해 상기 앵커를 통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10) 쪽으로 흐르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열교를 방지함으로써 건축물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물 구조체(10)는 건축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기둥 또는 벽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에는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와 일면이 맞대어지도록 단열재(30)가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단열재(30)는 상기 앵커(10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40)가 고정되는 고정구(2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건축물 구조체(10)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건축물 외장재(40)에 면접촉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재(210)와,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앵커(100)가 삽입되는 삽입홀(221)이 형성되는 수직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와 상기 수직부재(220)의 내주연 및 외주연 중 적어도 일측 상에 수지 재질로 피복된 피복층(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와 상기 수직부재(220)를 피복하는 상기 피복층(230)을 구비함으로써 금속재질의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와 상기 수직부재(22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교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와 상기 수직부재(220)를 통해 열이 상기 앵커(1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의 전체 또는 가장자리는 상기 건축물 외장재(40)를 상기 고정구(200)에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피복층(230)에 의해 피복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재(210)는 상기 삽입홀(221)에서 연장되는 안착홀(2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홀(211)에는 상기 앵커(10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300)와, 상기 앵커(100)의 단부와 상기 너트(300)를 감싸는 캡(400)이 안착할 수 있다.
상기 앵커(100)의 단부에 상기 너트(3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구(200)와 상기 앵커(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캡(400)은 상기 너트(300)가 삽입되는 삽입부(410)와, 상기 안착홀(211)에 밀착되어 상기 캡(400)이 상기 안착홀(211)과 빈틈없이 결합하도록 하는 밀착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너트(300)가 상기 삽입부(410)를 통해 상기 캡(400) 내부에 삽입되므로 상기 너트(300) 및 상기 앵커(100)의 단부는 상기 캡(400)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400)의 크기를 상기 안착홀(211)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크게 제작하여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의 안착홀(211)과 상기 캡(400)의 밀착부(420)가 빈틈없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안착홀(211)을 통해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캡(4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너트(3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고, 상기 앵커(100)의 단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400)은 사출을 통해 형성되거나 합성수지 충전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100)는 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221)은 상기 앵커(100)의 단면과 대응하는 타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앵커(100)의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앵커(100)의 양측을 프레스로 눌러 상기 앵커(100)의 양측 나사산(111)만이 눌러지게 하거나, 타원형상의 상기 앵커(100)를 제작한 후 나사산(11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100)가 상기 삽입홀(221)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구(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피복층(230)에 상기 앵커(100)의 상기 나사산(111)이 파고들어가 상기 앵커(100)와 상기 고정구(200)는 서로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 결합되면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100)가 상기 고정구(200)의 수직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10) 사이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고정구(200)에 고정되는 상기 건축물 외장재(40)의 수직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구(200)가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할 경우, 상기 앵커(100)가 상기 고정구(200)의 수직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접 손으로 돌리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상기 고정구(200)의 설치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하여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200)의 플레이트부재(2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부재(210)의 안착홀(211)의 외경(212)은 공구의 일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구는 렌치 등과 같이 단면이 육각 또는 팔각 등의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홀(211)의 외경(212)을 공구의 단면형상과 같은 육각 또는 팔각으로 형성하고 공구의 일단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공구의 일단이 상기 안착홀(211)에 삽입되거나 감싸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안착홀(211)에 삽입 또는 감싸진 공구와 상기 플레이트부재(210)가 일체화될 수 있고, 공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구(200)가 상기 앵커(100)에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으로 직접 상기 고정구(200)를 돌려 상기 앵커(100)에 결합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작업이 수월해져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200)가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고 상기 너트(300)가 상기 앵커(100)의 단부에 체결된 후 상기 안착홀(211)에 삽입되는 상기 캡(400)은 상면과 하면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홀(211)의 외경(212)의 육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캡(400)의 상면은 육각형태로 가지게 되고 상기 캡(400)의 하면은 상기 삽입홀(221)과 동일한 형태의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캡(40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안착홀(211)의 외경(212)과 상기 삽입홀(221)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착홀(211)과 상기 캡(400)의 틈새를 통해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안착홀(211)의 형상이 육각 또는 팔각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안착홀(211)의 형상은 다양한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플레이트부재(210)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부재(210)는 결합홀(2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13)은 상기 플레이트부재(21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홀(211)의 외경(212)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13)에는 지그나 못 등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홀(213)에 끼워진 지그나 못 등은 별도의 공구에 연결하여 공구를 통해 상기 고정구(200)가 회전하여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결합홀(213)에 끼워진 지그나 못 등을 손으로 잡고 돌려 상기 고정구(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합홀(213)이 원형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결합홀(213)은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213)이 다수개가 구비될 시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홀(213)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다수개의 상기 결합홀(213)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구(200)를 회전시키는데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상기 고정구(200)를 상기 앵커(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건축물 구조체 20: 열교차단재
30: 단열재 40: 건축물 외장재
100: 앵커 200: 고정구
300: 너트 400: 캡

Claims (12)

  1. 건축물 구조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 구조체로부터 돌출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고 상기 앵커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고정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너트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 및 상기 앵커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너트를 통한 열전달을 막는 캡과,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건축물 외장재에 면접촉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플래이트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삽입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너트, 상기 앵커의 단부 및 상기 캡이 안착하는 안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홀의 외경은 상기 앵커와 상기 고정구가 나사방식을 통해 결합할 시 공구를 이용해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공구의 일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의 외경 외측에는 상기 플레이트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고정구가 나사방식을 통해 결합할 시 공구를 이용해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캡은 상기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안착홀에 밀착되어 상기 캡이 상기 안착홀과 빈틈없이 결합하도록 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사출 또는 합성수지 충전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앵커의 일부 또는 전체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20150056370A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74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70A KR101741430B1 (ko)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70A KR101741430B1 (ko)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662A KR20160125662A (ko) 2016-11-01
KR101741430B1 true KR101741430B1 (ko) 2017-05-30

Family

ID=5748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370A KR101741430B1 (ko)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4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479A (ja) * 2001-12-26 2003-07-09 Joto Techno Co Ltd アンカーボルト用断熱カバー
KR101180007B1 (ko) * 2012-05-29 2012-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353512B1 (ko) * 2012-12-31 2014-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479A (ja) * 2001-12-26 2003-07-09 Joto Techno Co Ltd アンカーボルト用断熱カバー
KR101180007B1 (ko) * 2012-05-29 2012-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353512B1 (ko) * 2012-12-31 2014-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662A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42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35351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515956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100877149B1 (ko)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10153994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18000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20160125664A (ko) 외장재 고정유닛
KR100525196B1 (ko)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101741430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JP5394308B2 (ja) 基礎用あと施工アンカー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US10301784B2 (en) Bridge cap and fastening unit for fastening a bridge cap
JP5643608B2 (ja) 屋上設置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KR20160012754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190063665A (ko) 열교차단형 건축외장패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패널 시공방법
KR102415362B1 (ko) 단열기능과 천공관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CN203488505U (zh) 一种螺栓组合安装装置
KR20120001772U (ko)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CA3027778C (en) System for fastening attachments to a substrate with an insulation layer
JP2011132777A (ja) 胴縁固定具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0203097A (ja) 壁面ボルト固定部材とその取り付け工法
KR200446223Y1 (ko) 앵커볼트
JP6762154B2 (ja) ロックボルト頭部の定着具
KR20150081408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KR200458451Y1 (ko) 갱폼용 거푸집 간격유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