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772U -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 Google Patents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772U
KR20120001772U KR2020100008728U KR20100008728U KR20120001772U KR 20120001772 U KR20120001772 U KR 20120001772U KR 2020100008728 U KR2020100008728 U KR 2020100008728U KR 20100008728 U KR20100008728 U KR 20100008728U KR 20120001772 U KR20120001772 U KR 201200017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nel
anchor bolt
adhesive
building
outer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영
Original Assignee
이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영 filed Critical 이동영
Priority to KR2020100008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772U/ko
Publication of KR20120001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건물의 내?외벽에 다수의 앙카볼트를 삽입 고정하고, 일면에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석재패널의 일면에 상기 앙카볼트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 홈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 홈에 접착을 위한 접착제를 충진하고, 상기 석재패널의 삽입 홈이 상기 앙카볼트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석재패널을 건축물의 내?외벽으로 밀착하여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석재패널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내주면에는 상기 앙카볼트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석재패널의 삽입 홈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내?외벽에 삽입 고정되는 앙카볼트와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앙카볼트와 석재패널의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앙카볼트와 체결되어 앙카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므로 건축물의 내?외벽과 석재패널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플링 너트의 재질을 석재패널의 삽입 홈에 충진되는 접착제와 동일한 수지 계통으로 형성함으로, 접착제와의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하여 앙카볼트와 석재패널의 우수한 결속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A coupling nut which is used a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one panel}
본 고안은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외벽에 삽입 고정되는 앙카볼트와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앙카볼트와 석재패널의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앙카볼트와 체결되어 앙카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므로 건축물의 내?외벽과 석재패널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경우 그 외부 벽체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 외장재로서 석재패널이 널리 시공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이때 건축물의 내?외벽과 석재패널의 내측면 사이에는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가 별도로 부착 설치되어 건축물에 대한 미감향상과 함께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건축물 내?외벽에 장식부재로서 석재패널과 함께 단열재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외벽에 미리 일정 두께의 단열재를 부착 설치되게 한 상태에서 단열재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석재패널이 부착 설치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어서, 어쩔 수 없이 석재패널과 단열재의 설치가 별도의 개별공정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므로 각종 건축물의 내?외벽에 대한 마감 외장재로서의 석재패널의 설치시공에 많은 공수(工手)가 소요되어 건축물의 벽체 마감 공사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갖는 종래의 건축물 내?외벽의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건축물의 내?외벽에 석재패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석재 고정구(1)가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상기 석재 고정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내?외벽(3)에 구멍을 뚫어 앙카볼트(2)를 끼워서 고정시키고 앙카볼트(2)에 석재 고정구(1)를 체결하여 석재패널(4)을 부착하였다.
그런 후, 건축물의 내?외벽(3)과 석재패널(4) 사이의 공간으로 단열재(5)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내?외벽(3)에 석재패널(4)의 시공이 완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건축물 내?외벽의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은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방법이 복잡하고, 많은 소요시간이 요구되어 공사비용의 증가될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외벽(3)에 석재패널(4)을 부착하면 석재 고정구(1)의 두께(T)만큼 석재패널(4)과 석재패널(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이러한 틈새는 통상 실리콘을 채워서 마무리하여 단열 및 방음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본인의 지적재산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34865호(단열재 부착 석재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석재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 "출원번호:10-2010-0052775(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본 출원인에 의해서 제안된 "출원번호:10-2010-0052775(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은 건물의 내?외벽(3)에 다수의 앙카볼트(2)를 삽입 고정하고, 일면에 단열재(6a)가 일체로 형성된 석재패널(6)의 일면에 상기 앙카볼트(2)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 홈(7)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 홈(7)에 접착을 위한 접착제(8)를 충진하고,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이 상기 앙카볼트(2)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석재패널(6)을 건축물의 내?외벽(3)으로 밀착하여 상기 접착제(8)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석재패널(6)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시공하였다.
하지만, 출원번호:10-2010-0052775(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은 앙카볼트(2)가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에 삽설되어 상기 삽입 홈(7)에 충진된 접착제(8)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앙카볼트(2)와 석재패널(6)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시공이 되는데, 시공 후에 상기 석재패널(6)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는 접착제(8)의 접착력 외에 별도의 결속수단이 없는 상기 앙카볼트(2)와 석재패널(6)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접착제(8)로 통상 수지 계통의 에폭시접착제가 사용되는데, 상기 접착제(8)와 접촉되는 상기 앙카볼트(2)는 금속재질이므로, 서로 재질이 상이하여 상기 앙카볼트(2)와 접착제(8)가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더욱 쉽게 상기 앙카볼트(2)와 석재패널(6)이 분리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출원번호:10-2010-0052775(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내?외벽(3)과 석재패널(6)의 간격(W)조절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축물의 내?외벽(3)과 석재패널(6) 사이에 간격(W)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앙카볼트(2)의 끝단이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에 충진된 접착제(8)에 깊숙이 삽입되지 못하여 결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삽입 고정되는 앙카볼트와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앙카볼트와 석재패널의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앙카볼트와 체결되어 앙카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므로 건축물의 내?외벽과 석재패널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커플링 너트의 재질을 석재패널의 삽입 홈에 충진되는 접착제와 동일한 수지 계통으로 형성함으로, 접착제와의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하여 앙카볼트와 석재패널의 우수한 결속력을 갖도록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는 건물의 내?외벽에 다수의 앙카볼트를 삽입 고정하고, 일면에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석재패널의 일면에 상기 앙카볼트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 홈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 홈에 접착을 위한 접착제를 충진하고, 상기 석재패널의 삽입 홈이 상기 앙카볼트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석재패널을 건축물의 내?외벽으로 밀착하여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석재패널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내주면에는 상기 앙카볼트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석재패널의 삽입 홈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육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 너트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의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에 의하면, 건축물의 내?외벽에 삽입 고정되는 앙카볼트와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앙카볼트와 석재패널의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앙카볼트와 체결되어 앙카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므로 건축물의 내?외벽과 석재패널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플링 너트의 재질을 석재패널의 삽입 홈에 충진되는 접착제와 동일한 수지 계통으로 형성함으로, 접착제와의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하여 앙카볼트와 석재패널의 우수한 결속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내?외벽의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석재패널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석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내?외벽의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사용했던 석재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출원번호:10-2010-0052775)에 의해 시공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출원번호:10-2010-0052775)에 의해 건축물 내?외벽과 석재패널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의 사시도를,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의 A-A 단면도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는, 건물의 내?외벽(3)에 다수의 앙카볼트(2)를 삽입 고정하고, 일면에 단열재(6a)가 일체로 형성된 석재패널(6)의 일면에 상기 앙카볼트(2)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 홈(7)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 홈(7)에 접착을 위한 접착제(8)를 충진하고,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이 상기 앙카볼트(2)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석재패널(6)을 건축물의 내?외벽(3)으로 밀착하여 상기 접착제(8)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석재패널(6)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는 상기 앙카볼트(2)와 체결되는 나사산(1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20)가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앙카볼트(2)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에 삽입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앙카볼트(2)와 체결되어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에 충진된 접착제(8)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제(8)와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의 일단은 앙카볼트(2)와 나사결합되어 매우 견고한 결속력을 가지는 동시에 타단은 접착제(8)와 결속되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0)가 상기 접착제(8)에 삽입 고정되므로, 상기 접착제(8)가 경화되면 상기 고정돌기(20)가 접착제(8)에 걸리게 되어, 상기 석재패널(6) 및 경화된 접착제(8) 부분이 파손 및 손상되더라도 상기 고정돌기(20)에 의해서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된다.
특히, 본 고안의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의 재질을 접착제(8) 재질과 동일한 수지 계통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의 재질로 형성하여 접착제(8)와 우수한 결속력을 유도함으로, 상기 앙카볼트(2)와 석재패널(6)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하나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의 고정돌기(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는 일단이 상기 앙카볼트(2)에 체결하여 회전시켜 상기 앙카볼트(2)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송되게 할 수 있어, 건축물의 내?외벽과 석재패널(6)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의 일단을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을 통해서 건축물의 내?외벽(3)에 형성된 앙카볼트(2)와 체결한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내?외벽(3)과 석재패널(6) 사이의 간격(W)을 고려하여 상기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를 회전시켜 상기 앙카볼트(2)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송시켜 적합한 위치를 설정한다.
그런 후,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6a)에 접착제(8)를 충진시킨 후,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6a)에 상기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의 타단이 삽입되게 위치시킨다.
그런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재패널(6)을 건축물의 내?외벽(3)에 밀착시켜 상기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의 타단이 접착제에 삽입되어 견고히 결속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접착제(8)가 경화되면서 상기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0)가 경화된 접착제(8)의 내부에 견고히 결속되어, 상기 앙카볼트(2)와 석재패널(6)이 매우 견고한 결속력으로 위치 고정되게 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석재 고정구 2. 앙카볼트
3. 내?외벽 4. 석재패널
5. 단열재 6. 석재패널
6a. 단열재 7. 삽입 홈
8. 접착제
10. 나사산 20. 고정돌기
T. 두께 W. 간격
100.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Claims (3)

  1. 건물의 내?외벽(3)에 다수의 앙카볼트(2)를 삽입 고정하고, 일면에 단열재(6a)가 일체로 형성된 석재패널(6)의 일면에 상기 앙카볼트(2)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 홈(7)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 홈(7)에 접착을 위한 접착제(8)를 충진하고,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이 상기 앙카볼트(2)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석재패널(6)을 건축물의 내?외벽(3)으로 밀착하여 상기 접착제(8)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석재패널(6)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내주면에는 상기 앙카볼트(2)와 체결되는 나사산(1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앙카볼트(2)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석재패널(6)의 삽입 홈(7)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0)는,
    육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너트(1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의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100).




KR2020100008728U 2010-08-23 2010-08-23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KR201200017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28U KR20120001772U (ko) 2010-08-23 2010-08-23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28U KR20120001772U (ko) 2010-08-23 2010-08-23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72U true KR20120001772U (ko) 2012-03-09

Family

ID=4660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728U KR20120001772U (ko) 2010-08-23 2010-08-23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77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5125A (zh) * 2018-06-21 2018-11-09 湖北卓宝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薄石面保温复合板隐式背栓锚固系统
KR101975282B1 (ko) * 2018-06-01 2019-05-07 이승희 내진 성능이 향상된 공동주택용 방음시공재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측벽시공방법
KR101954176B1 (ko) * 2018-06-01 2019-06-17 이승희 내구성이 향상된 공동주택의 발코니 확장부의 바닥면용 방음 및 단열시공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282B1 (ko) * 2018-06-01 2019-05-07 이승희 내진 성능이 향상된 공동주택용 방음시공재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측벽시공방법
KR101954176B1 (ko) * 2018-06-01 2019-06-17 이승희 내구성이 향상된 공동주택의 발코니 확장부의 바닥면용 방음 및 단열시공재
CN108775125A (zh) * 2018-06-21 2018-11-09 湖北卓宝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薄石面保温复合板隐式背栓锚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810B1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US20100236177A1 (en) Solar/stud block
US20140059958A1 (en) Structural isothermal construction sip panel and methods
KR101393616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US20130025235A1 (en) Furring strip fastening member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same
KR20130042394A (ko)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KR20120001772U (ko) 석재패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커플링 너트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20100013375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시공용 스크류 피스
KR20110133182A (ko) 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
KR100993901B1 (ko)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KR20130087162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구조
KR20130087668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KR101462841B1 (ko) 단열재 일체형 벽돌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 시공방법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1265280B1 (ko) 외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200430379Y1 (ko) 건축용 단열패널 고정구
KR102077855B1 (ko) 단열재 일체형 고강도 콘크리트패널 제조방법과 패널구조 및 패널설치방법
KR102258417B1 (ko) 건물 외장 타일 고정장치
KR20110094864A (ko) 단열재를 마련한 합성목재 마감재
CN110499843A (zh) 一种组合连接构件及具有其的外墙保温系统
KR101543268B1 (ko) 외단열 시스템
JP2009019390A (ja) 外断熱材用タイルパネル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