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901B1 -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901B1
KR100993901B1 KR1020100040162A KR20100040162A KR100993901B1 KR 100993901 B1 KR100993901 B1 KR 100993901B1 KR 1020100040162 A KR1020100040162 A KR 1020100040162A KR 20100040162 A KR20100040162 A KR 20100040162A KR 100993901 B1 KR100993901 B1 KR 10099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nishing
finishing member
fastening groov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4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situated at the corners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마감부재들을 서로 조립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면에는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의 마감부재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의 마감부재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는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마감부재가 간단하며 신속하게 결합되어 공기를 단축시키며, 상기 마감부재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신속히 배출됨에 겨울철에 동파 현상을 일으키면서 상기 마감부재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벽체로부터 떨어져 나가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Device for finishing materials for the wall}
본 발명은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단하고 공기가 단축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화장실 또는 실외의 벽체나 장식가벽 등에 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타일 또는 석재 등을 이용하여 마감재를 시공한다. 기존에 이러한 시공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벽체 외부 표면에 압착시멘트를 이용하여 타일 등을 부착하거나,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고정시키는 방법들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크리트 벽체의 외부 표면에 타일을 부착하거나 석재 등의 마감재를 쌓아 올리는 방식은 모두 마감재가 요구하는 공기 및 양생기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특히 높이가 높은 옹벽이나 장식가벽의 경우에는 그 전체 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타일이 시공된 상태에서 외벽의 벽체와 타일의 사이에 위치한 붙임몰탈에 물이 침투하게 되면 쉽게 배출되지 않아 실내에 습기가 차기도 하며, 특히 동절기에는 붙임몰탈에 침투된 물이 동파현상을 일으키게 되면서 타일의 설치상태가 변하게 되거나, 타일이 몰탈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됨에 따라 하자보수로 인한 비용의 소모가 많으며, 시공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단하고 공기가 단축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마감부재들을 서로 조립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면에는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의 마감부재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의 마감부재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는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첫째, 상기 결합부재에 상기 타일이 슬라이딩 삽입되므로,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결합되어 시공의 공기가 단축될 수 있고,
둘째, 상기 타일의 설치와 분해가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셋째, 상기 결합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므로 두께에 따라, 상기 타일 및 석재 등의 다양한 외장재의 고정이 가능하며,
넷째, 상기 붙임몰탈을 사용하지 않아 재료비의 절감에 따른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다섯째, 상기 마감부재 사이에 공간들이 형성됨에 따라 새로운 미감을 일으키며,
여섯째, 상기 타일 내부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신속히 배출됨에 따라 타일 내부로 유입된 물이 겨울철에 동파 현상을 일으키면서 상기 타일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벽체로부터 떨어져 나가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를 이용하여 벽체에 마감부재들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100)(이하 '고정구'라고 한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100)는 상기 벽체(30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또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상기 마감부재(200)는 상기 벽체(30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마감부재(200)들이 상기 고정구(100)에 서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고정구(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 좌우 하부 좌우 내측으로 각각 체결홈(11)들이 형성되는 결합부재(10)와 배면에는 세트앵커볼트(310)가 결합되는 고정부재(20)가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재(10)의 상면에는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하면에는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으로 각각 내측에 체결홈(11)들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0)의 상기 체결홈(11)은 상기 마감부재(200)의 전면 및 배면을 고정시키는 수단이 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200)의 이탈 및 물과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홈(11)의 단부(13)는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마감부재(200)의 이탈 및 물과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체결홈(11)의 단부(13)는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좌측 마감부재(200)와 상기 상부 우측 마감부재(20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체결홈(11)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부 격벽(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좌측 마감부재(200)와 상기 하부 우측 마감부재(20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체결홈(11)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부 격벽(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좌측 및 하부 좌측, 상부 우측 및 하부 우측에도 상기 격벽(15)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부재(200)들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부 좌우 및 하부 좌우의 체결홈(11)은 탄성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10)는 신축성의 소재인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이며, 제조성이 우수하고 사출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마감부재(200)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규격화된 상기 결합부재(10)의 사출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결합부재(10)를 상기 벽체(300)에 고정시키는 수단이며 세트앵커볼트(310)에 체결되는 나사체결부(21)를 갖는다. 상기 세트앵커볼트(310)는 일 단부(312)가 상기 벽체(300)에 매립되고, 타 단부(311)는 상기 고정부재(2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벽체(300)에는 상기 세트앵커볼트(310)가 상기 마감부재(20)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하 좌우 일정간격을 가지며 고정된다. 상기 벽체(300)의 전방에 고정된 상기 타 단부(311)의 볼트(313)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0)의 상기 나사체결부(21)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타 단부(311)의 상기 볼트(313)에 의해 나사 결합되므로, 상기 벽체(300)와 상기 마감부재(200)가 삽입된 상기 고정부재(20)와의 이격거리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마감부재(200)의 배면과 상기 벽체(300)의 전면 사이에는 완충패드(400)가 부착된다. 상기 완충패드(400)는 상기 마감부재(200)를 접착하며, 상기 마감부재(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100)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며, 상기 마감부재(200)의 상부 좌측 및 우측사이와 하부 좌측 및 우측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5)을 없앰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200)가 좌우 공간을 자유롭게 배치함으로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새로운 미감을 일으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200: 마감부재
300: 벽체 310: 세트앵커볼트
400: 완충패드 10: 결합부재
20: 고정부재

Claims (5)

  1. 건물의 벽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마감부재들을 서로 조립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면에는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의 마감부재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의 마감부재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는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벽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양면이 각각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벽체에 부착되고, 상기 마감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의 마감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체결홈의 단부는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의 마감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체결홈의 단부는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좌측 마감부재와 상기 상부 우측 마감부재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체결홈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부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좌측 마감부재와 상기 하부 우측 마감부재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체결홈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부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벽체에 매립된 세트앵커에 나사결합되는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5. 삭제
KR1020100040162A 2010-04-29 2010-04-29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KR10099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62A KR100993901B1 (ko) 2010-04-29 2010-04-29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62A KR100993901B1 (ko) 2010-04-29 2010-04-29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901B1 true KR100993901B1 (ko) 2010-11-11

Family

ID=4340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162A KR100993901B1 (ko) 2010-04-29 2010-04-29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9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1B1 (ko) * 2012-03-21 2012-12-12 백승기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101898179B1 (ko) * 2018-04-05 2018-09-12 신용활 벽체타일 시공장치
KR20190014412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KR20190115440A (ko) 2019-09-30 2019-10-11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618A (en) 1985-03-04 1987-01-27 Inax Corporation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replaceable decorative sheets
KR200432715Y1 (ko) 2006-09-11 2006-12-07 임택원 조립식 패널
KR100899581B1 (ko) * 2008-07-28 2009-05-27 정명화 조립식 벽마감을 위한 결합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618A (en) 1985-03-04 1987-01-27 Inax Corporation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replaceable decorative sheets
KR200432715Y1 (ko) 2006-09-11 2006-12-07 임택원 조립식 패널
KR100899581B1 (ko) * 2008-07-28 2009-05-27 정명화 조립식 벽마감을 위한 결합부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1B1 (ko) * 2012-03-21 2012-12-12 백승기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WO2013141529A1 (ko) * 2012-03-21 2013-09-26 주식회사 비엔케이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20190014412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KR101898179B1 (ko) * 2018-04-05 2018-09-12 신용활 벽체타일 시공장치
KR20190115440A (ko) 2019-09-30 2019-10-11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1898125B1 (ko)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KR100993901B1 (ko)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US20190119925A1 (en) Wall panel with rain screen
KR101278673B1 (ko) 천정 마감용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및 루버 시공 구조체
KR101546921B1 (ko) 투습방수지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단열구조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SK500262018U1 (sk) Obkladový stavebný systém
KR20130087162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구조
KR101120510B1 (ko) 건축패널 및 이를 부착하는 고정구조물
KR101680738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20110059937A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101316927B1 (ko) 박리방지용 타일 어셈블리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2149289B1 (ko)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102255185B1 (ko)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결합어셈블리를 갖는 건축외장재
KR101346574B1 (ko) 커튼 박스
KR101543268B1 (ko) 외단열 시스템
KR100955106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패널 시공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