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54A - 건축패널 - Google Patents

건축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54A
KR20180000354A KR1020160077700A KR20160077700A KR20180000354A KR 20180000354 A KR20180000354 A KR 20180000354A KR 1020160077700 A KR1020160077700 A KR 1020160077700A KR 20160077700 A KR20160077700 A KR 20160077700A KR 20180000354 A KR20180000354 A KR 2018000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building
attached
plate memb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돈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빌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빌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빌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354A/ko
Publication of KR2018000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 및 외장 공사를 위한 건축패널이며, 상기 건축패널은 전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장식성을 높이기 위한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타일, 대리석, 보드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게 하여, 부재 부착 공사의 시공성과 부재의 장식성, 부재의 부착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 외장재 교체 공사를 하는 건축물에 적용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 내외장재와 결합되어,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건축패널{Panels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 및 외장 공사를 위한 건축패널이며, 상기 건축패널은 전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장식성을 높이기 위한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타일, 대리석, 보드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게 하여, 부재 부착 공사의 시공성과 부재의 장식성, 부재의 부착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 외장재 교체 공사를 하는 건축물에 적용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 내외장재와 결합되어,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현대인은 바쁜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이 가정과 직장, 공공장소, 다양한 매장 등과 같은 건축물이다. 과거에는 생활수준이 낮아 건축물의 장식성과 기능성이 중시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물은 단순한 건축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생활 편의성, 안락성과 같은 높은 주거성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현대에 신설되는 각종 건축물의 내부 인테리어 공사와 외부 외장공사,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도 장식성을 보강해서 시공하는 한편, 단열성, 방음성과 같은 기능성도 많이 반영되어 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설치 부착되는 부재는 주로 타일, 대리석, 보드 등이 있으며, 각각의 부재는 종류에 따른 특성에 따라 벽면에 부착되는 수단과 방법 또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설치 부착되는 부재는 주로 단열재와 방음재와 같은 건축 내외장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건축물은 장식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건축패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커피숍이나 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경우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 외장재 교체 공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번 벽면에 부착된 장식 부재를 재시공할 경우 부착된 장식 부재와 패널 전체를 뜯어내고 새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 공사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벽면에 장식만 교체할 수 있는 건축패널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14682호(2016.04.22) 상기 등록특허인 "건축물용 벽면 패널"은 종래의 건축용 패널을 개량한 것으로, 상기 벽면패널은 인테리어, 단열, 방음 기능이 구비되고 후측에 착탈수단을 구비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 재시공이 가능한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장식 부재를 교체하려면 패널까지 교체해야 하는 구조이므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이 더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전면에 타일, 대리석, 보드를 용이하게 부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 내외장재와 결합되어,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전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전면 판재부; 상기 전면 판재부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에 부재가 등간격으로 부착되게 하는 걸림부; 상기 전면 판재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 내외장재;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전면은 상기 건축 내외장재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후면 판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는 전면 판재부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걸이; 상기 걸이에 형성되어, 걸이에 부착된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에 부착되는 부재는 타일 또는 보드, 벽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한다.
상기 건축 내외장재는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한다.
상기 전면 판재부는 전면에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는 전면 판재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 내외장재와 후면 판재부까지 관통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 부착된다.
상기 걸림부의 형상은 T자형 또는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 또는 조합일 수 있고, 걸림부의 형상에 따라 부착되는 부재의 부착부 형상도 대응된다.
상기 전면 판재부는 전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 사이에 부착되는 부재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접착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판재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 내외장재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타 건축 내외장재의 상부와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전면 판재부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부재 사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부재 도포골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 및 외장 공사를 위한 건축패널이며,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전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장식성을 높이기 위한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타일, 대리석, 보드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게 하여, 부재 부착 공사의 시공성과 부재의 장식성, 부재의 부착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커피숍이나 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 같이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 외장재 교체 공사를 하는 건축물에 적용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 내외장재와 결합되어,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의 절취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에 부재가 부착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걸림부가 기본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걸림부가 원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걸림부가 삼각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걸림부가 T자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건축패널의 결합홈이 계단형일 때의 조립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건축 내외장재 결합홈이 요(凹), 철(凸)자 모양일 때의 조립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이 벽면에 부착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패널의 판재부 접착부재 도포골과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1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 및 외장 공사를 위한 건축패널이며,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기본적으로 도 2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본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크게 전면 판재부(100)와 걸림부(200), 건축 내외장재(300), 후면 판재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판재부(100)는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은 걸림부(200)가 형성되고, 후면은 건축 내외장재(300)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200)는 전면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격된 공간에 부재(10)가 등간격으로 부착되게 한다.
여기서, 부착되는 부재(10)는 타일 또는 보드, 벽돌과 같은 부재가 포함되며,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대리석, 인조석, 목재장식재, 기타 합성수지 장식재, 내장재 및 외장재도 적용할 수 있어, 장식성으로 인한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재(10) 중 타일은 주로 점토 타일, 치장 타일, 화강석 타일, 벽돌 타일, 대리석 타일 등을 적용 할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전면은 전면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후면 판재부(40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후면 판재부(400)는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후면 판재부(400)의 전면은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과 결합되고, 후면 판재부(400)의 후면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때, 적용되는 건축 내외장재(300)는 단열재, 방음재, 차단재를 포함하여, 방수재, 불연재, 흡음재, 흡습재, 마감재, 외장재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조합되어 결합되므로, 각 건축 내외장재(300) 고유의 기능성에 따라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단열재의 재질은 스티로폼, 압출폼, 우레탄, 그라스울, 미네랄울, 무기단열재를 적용한다.
또한, 전면 판재부(100)는 전면에 복수의 관통구(110)와 상기 후면 판재부(400)의 전면에도 복수의 관통구(410)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고정부재(20)에 의해 상기 전면 판재부(100)에서 건축 내외장재(300)와 후면 판재부(400)까지 관통되어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관통구(110, 410)의 크기, 수량, 간격은 적용되는 고정부재(20)의 종류 및 부착되는 벽면의 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된다.
하지만, 상기 관통구(110, 410)의 크기가 커지고, 수량이 많아지고, 간격이 좁을수록 판재부(100)의 기계적인 내구성이 약화되므로, 가급적 크기는 작게, 수량은 적게, 간격은 넓게 결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정부재(20)는 직결나사, 칼블럭 앵커, 앵커 볼트, 콘크리트 못, 슬레이트 못과 같은 고정용 부재가 사용되며, 그 외의 다른 종류의 고정용 부재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10)의 부착력을 추가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접착부재(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30)는 전면 판재부(100)는 전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200) 사이에 부착된다.
이때, 적용되는 접착부재(30)는 건축용 양면테이프, 건축용 접착제, 실리콘, 데코 페인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부착력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접착부재들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10)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추후 부재 교체를 고려해서 적절한 접착부재(30)를 적용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전면 판재부(100) 전면에 형성된 걸림부(200)에 부재(10)를 끼어넣어 부착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200)에 부착된 부재(10)의 분리도 가능한데, 부착된 부재(10)와 걸림부(200) 사이에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서 분리가 가능하므로, 커피숍이나 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 푸드 코트와 같은 인테리어 공사나 리모델링 공사, 외장 공사를 자주 하는 건축물에 적용하면 좋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판재부(100)와 걸림부(200), 후면 판재부(40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유연성과 기계적 성질이 있는 금속재질이 적용되어야 하며, 합성수지 및 이에 준하는 타 재질도 유연성과 기계적 성질이 있으면 적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200)는 걸이(210)와 걸림턱(2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210)는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20)은 걸이(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210)에 부착된 부재(10)를 구속하므로, 부착된 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각 부재(10)를 등간격으로 유지시켜주므로, 부착된 부재(10)를 일정하게 배치되게 하여 장식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준다.
이때, 상기 걸림부(200)의 형상은 T자형 또는 원형, 다각형 중에 어느 한 가지를 선정해서 적용되고, 걸림부(200)의 형상에 따라 부착되는 부재(10)의 부착부위 형상도 대응되게 하여, 부재(10)의 설치용이성과 간격 유지를 좋게 하면서, 부착된 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건축패널 걸림부(200)의 형상은 도 5의 형상을 기본으로 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 내외장재(30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타 건축 내외장재(300)의 상부와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첩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건축 내외장재(300)의 상부와 하부에 단면이 아닌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대응되는 형상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물리적 화학적 기능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유지하면서 기계적인 결합도를 높여, 설치된 건축 내외장재(300)가 건축물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패널이 벽면에 부착되는 단면도를 표현하고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10)의 부착성과 장식성을 높이기 위한 접착부재 도포골(12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재 도포골(120)은 전면 판재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부(200)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건축패널(10) 사이에 접착부재가 일정하게 도포되게 하여 도포된 접착부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성도 높이고, 흘러내린 접착부재를 제거하는 작업을 따로 하지 않아 시공속도로 단축할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접착부재는 건축용 접착제 및 도료, 실리콘, 데코 페인트 등이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패널은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추후 부재의 교체를 고려해서 적절한 접착부재의 사용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건축물의 실내 장식과 같은 내부 인테리어 공사와 외부 외장 공사를 실용적인 면에서 장식적인 면을 보강해서 시공하는 추세이며, 기존의 건축물도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생활 편의성, 안락성과 같은 주거성을 높이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건축패널을 통해 건축물의 각종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 작업할 수 있다.
10 : 부재
20 : 고정부재
30 : 접착부재
100 : 전면 판재부
110 : 관통구
120 : 접착부재 도포골
200 : 걸림부
210 : 걸이
220 : 걸림턱
300 : 건축 내외장재
310 : 결합홈
320 : 결합요홈
330 : 결합철홈
400 : 후면 판재부
410 : 관통구

Claims (9)

  1.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전면에 걸림부(200)가 형성된 전면 판재부(100)와;
    상기 전면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에 부재(10)가 등간격으로 부착되게 하는 걸림부(200)와;
    상기 전면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 내외장재(300)와;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전면은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후면 판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0)는 전면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걸이(210)와; 상기 걸이(210)에 형성되어, 걸이(210)에 부착된 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0)에 부착되는 부재(10)는 타일 또는 보드, 벽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는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재부(100)는 전면에 복수의 관통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10)는 전면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 내외장재(300)와 후면 판재부(400)까지 관통되어 고정부재(20)에 의해,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0)의 형상은 T자형 또는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 또는 조합일 수 있고, 걸림부(200)의 형상에 따라 부착되는 부재(10)의 부착부 형상도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재부(100)는 전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200) 사이에 부착되는 부재(10)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접착부재(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타 건축 내외장재(300)의 상부와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재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부(200)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부재(10) 사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부재 도포골(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패널.
KR1020160077700A 2016-06-22 2016-06-22 건축패널 KR20180000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700A KR20180000354A (ko) 2016-06-22 2016-06-22 건축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700A KR20180000354A (ko) 2016-06-22 2016-06-22 건축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54A true KR20180000354A (ko) 2018-01-03

Family

ID=6100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700A KR20180000354A (ko) 2016-06-22 2016-06-22 건축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3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998B1 (ko) * 2020-04-09 2021-01-19 세라코(주) 박벽돌 건식시공 단위 시스템
KR102239189B1 (ko) 2019-11-05 2021-04-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섬유복합재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섬유복합재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189B1 (ko) 2019-11-05 2021-04-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섬유복합재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섬유복합재 제조 방법
KR102204998B1 (ko) * 2020-04-09 2021-01-19 세라코(주) 박벽돌 건식시공 단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4488A (en) Method for installation of building tiles without adhesive materials and standardized tile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080155938A1 (en) Fiber reinforced concrete stone panel system
KR102157392B1 (ko) 건축용 외단열패널
US2313839A (en) Building construction
WO2010065034A2 (en) Insulated exterior cladding system
EP2255045A1 (en) Alumini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KR20180000354A (ko) 건축패널
US20240060311A1 (en) Wall paneling system
KR100619093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KR100845245B1 (ko)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KR100993901B1 (ko)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KR20180000356A (ko) 건축용 부착판
KR200457851Y1 (ko) 자력 접착 타일
KR102210564B1 (ko) 세라믹 타일 퍼티 공법
RU2632617C2 (ru) Способ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а перекрытий при монолитном строительстве зданий
WO20090593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US20130232904A1 (en) Interchangeable decorative wall covering
KR101897579B1 (ko) 부착형 건축부재
KR101897581B1 (ko) 장식용 건축부재
KR20180000355A (ko) 건축부재
EP3059354B1 (en) Structural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structural modules
KR200368320Y1 (ko) 압출성형 인방
RU145040U1 (ru) Угловой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EP2161390A1 (en) A connecting device for an anchoring system for slabs and an anchoring system comprising said device.
KR102190967B1 (ko) 건축용 외장몰딩 구조체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