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55A - 건축부재 - Google Patents
건축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355A KR20180000355A KR1020160077706A KR20160077706A KR20180000355A KR 20180000355 A KR20180000355 A KR 20180000355A KR 1020160077706 A KR1020160077706 A KR 1020160077706A KR 20160077706 A KR20160077706 A KR 20160077706A KR 20180000355 A KR20180000355 A KR 20180000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 attached
- building
- shape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이용하여 타일, 대리석, 보드 등의 부재 설치 용이성을 높여 부착공사의 작업속도를 높이고, 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게 하여 부재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된 부재의 각 간격 사이에 접착제를 일정하고 미려하게 도포되게 하여 부재의 부착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장식성을 위한 부재 교체 공사도 용이하게 하므로,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 건축물에 적용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후면에 단열재,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내장재와 결합된 행태로 구성되어 벽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면에 외장재, 내장재, 장식재와 같은 부재를 부착하면서 후면에 건축내장재의 부착공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장식성을 위한 부재 교체 공사도 용이하게 하므로,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 건축물에 적용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후면에 단열재,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내장재와 결합된 행태로 구성되어 벽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면에 외장재, 내장재, 장식재와 같은 부재를 부착하면서 후면에 건축내장재의 부착공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이용하여 타일, 대리석, 보드 등의 부재 설치 용이성을 높여 부착공사의 작업속도를 높이고, 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게 하여 부재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된 부재의 각 간격 사이에 접착제를 일정하고 미려하게 도포되게 하여 부재의 부착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장식성을 위한 부재 교체 공사도 용이하게 하므로,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 건축물에 적용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후면에 단열재,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내장재와 결합된 행태로 구성되어 벽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면에 외장재, 내장재, 장식재와 같은 부재를 부착하면서 후면에 건축내장재의 부착공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는 발명이다.
현대인은 바쁜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이 가정과 직장, 공공장소, 다양한 매장 등과 같은 건축물이다. 과거에는 생활수준이 낮아 건축물의 장식성과 기능성이 중시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물은 단순한 건축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생활 편의성, 안락성과 같은 높은 주거성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현대에 신설되는 각종 건축물의 내부 인테리어 공사와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도 장식성을 보강해서 시공하는 한편, 단열성, 방음성과 같은 기능성도 많이 반영되어 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설치 부착되는 부재는 주로 타일, 대리석, 보드 등이 있으며, 각각의 부재는 종류에 따른 특성에 따라 벽면에 부착되는 수단과 방법 또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설치 부착되는 부재는 주로 단열재와 방음재와 같은 건축내장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건축물의 장식성을 높이는 부재 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타일은 떠붙이기 공법, 몰탈압착 공법, 본드접착 공법, 에폭시접착 공법 등으로 벽면에 부착되고 있지만, 각각의 공법은 고가의 공사비용, 겨울철 작업곤란, 작업난이도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부착된 타일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착성이 약해져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전면에 타일, 대리석, 보드 등의 부재를 부착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후면에 단열재,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내장재가 바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부재 부착공사와 건축내장재의 부착공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전면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후면은 건축내장재가 결합되는 판재부; 상기 판재부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에 부재가 등간격으로 부착되게 하는 돌기부;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판재부의 후면에 전면이 결합되고, 후면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건축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부는 판재부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돌기; 상기 돌기에 형성되어, 돌기에 부착된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에 부착되는 부재는 타일 또는 보드, 벽돌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판재부 후면에 건축내장재가 결합되며, 상기 건축내장재는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판재부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을 적용하여 부재를 돌기부에 부착시 끼워 넣어서 부착된다.
또한, 상기 판재부는 전면에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후면이 구조물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형상은 T자형 또는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 또는 조합일 수 있고, 돌기부의 형상에 따라 부착되는 부재의 부착부 형상도 대응된다.
또한, 상기 판재부는 전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 부착되는 부재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접착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내장재(30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타 건축내장재(300)의 상부와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첩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판재부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부재 사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부재 도포골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건축물에 부착하고 타일 또는 보드, 벽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부재를 부착하거나, 부재가 사전에 부착된 건축부재를 건축물에 부착하는 건축물 시공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이용하여 타일, 대리석, 보드 등의 부재 설치 용이성을 높여 부착공사의 작업속도를 높이고, 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게 하여 부재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된 부재의 각 간격 사이에 접착제를 일정하고 미려하게 도포되게 하여 부재의 부착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장식성을 위한 부재 교체 공사도 용이하게 하므로,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 건축물에 적용시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후면에 단열재, 방음재, 차단재 등의 건축내장재와 결합된 행태로 구성되어 벽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면에 외장재, 내장재, 장식재와 같은 부재를 부착하면서 후면에 건축내장재의 부착공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하면서 공사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건축패널 부착 구조체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에 부재가 부착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돌기부가 원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돌기부가 삼각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돌기부가 T자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건축내장재 결합홈이 계단형일 때의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건축내장재 결합홈이 요(凹), 철(凸)자 모양일 때의 조립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판재부 접착부재 도포골과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에 부재가 부착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돌기부가 원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돌기부가 삼각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돌기부가 T자형일 때의 단면도 및 부재와 결합되는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건축내장재 결합홈이 계단형일 때의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건축내장재 결합홈이 요(凹), 철(凸)자 모양일 때의 조립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의 판재부 접착부재 도포골과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부재는 기본적으로 도 2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본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크게 판재부(100)와 돌기부(200), 건축내장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판재부(100)는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은 돌기부(200)가 형성되고, 후면은 건축내장재(300)가 결합된다.
상기 돌기부(200)는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격된 공간에 부재(10)가 등간격으로 부착되게 한다.
여기서, 부착되는 부재(10)는 타일 또는 보드, 벽돌과 같은 부재가 포함되며,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대리석, 인조석, 목재장식재, 기타 합성수지 장식재, 내장재 및 외장재도 적용할 수 있어, 장식성으로 인한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내장재(300)의 전면은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때, 적용되는 건축내장재(300)는 단열재, 방음재, 차단재를 포함하여, 방수재, 불연재, 흡음재, 흡습재, 마감재, 외장재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조합되어 결합되므로, 각 건축내장재(300) 고유의 기능성에 따라 건축물의 주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부(100)는 전면에 복수의 관통구(110)가 형성되어 고정부재(20)에 의해, 후면이 구조물에 부착되는 구조이며, 상기 관통구(110)의 크기, 수량, 간격은 적용되는 고정부재(20)의 종류 및 부착되는 벽면의 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된다.
하지만, 상기 관통구(110)의 크기가 커지고, 수량이 많아지고, 간격이 좁을수록 판재부(100)의 기계적인 내구성이 약화되므로, 가급적 크기는 작게, 수량은 적게, 간격은 넓게 결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정부(20)는 칼블록 앵커, 콘크리트 못, 슬레이트 못과 같은 고정용 부재가 사용되며, 그 외의 고정용 부재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10)의 부착력을 추가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접착부재(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30)는 판재부(100)는 전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200) 사이에 부착된다.
이때, 적용되는 접착부재(30)는 건축용 양면테이프, 건축용 접착제, 실리콘, 데코 페인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부착력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접착부재들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10)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추후 부재 교체를 고려해서 적절한 접착부재를 적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판재부(100)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200)에 부재(10)를 밀어넣어 부착한다. 이때, 상기 돌기부(200)에 부착된 부재(10)의 분리도 가능한데, 부착된 부재(10)와 돌기부(200) 사이에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서 분리가 가능하므로, 커피숍이나 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 푸드 코트와 같은 인테리어 공사나 리모델링 공사를 자주 하는 건축물에 적용하면 좋다.
따라서, 상기 판재부(100)와 돌기부(20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유연성과 기계적 성질이 있는 금속재질이 적용되어야 하며, 합성수지 및 이에 준하는 타 재질도 유연성과 기계적 성질이 있으면 적용할 수 있다.
도 5,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부재의 돌기부(200)는 돌기(210)와 걸림턱(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기(210)는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20)은 돌기(210)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210)에 부착된 부재(10)를 구속하므로, 부착된 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각 부재(10)간의 간격을 등간격으로 유지시켜주므로, 부착된 부재(10)를 일정하게 배치되게 하여 장식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준다.
또한, 상기 돌기부(200)의 형상은 T자형 또는 원형, 다각형 중에 어느 한가지로 적용될 수 있고, 돌기부(200)의 형상에 따라 부착되는 부재(10)의 부착부위 형상도 대응되게 하여, 부재(10)의 설치용이성과 간격 유지를 좋게 하면서, 부착된 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건축부재 돌기부(200)의 형상은 원형을 기본으로 한다.
도 8과 9를 참조하면, 상기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내장재(30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타 건축내장재(300)의 상부와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첩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건축내장재(300)의 상부와 하부에 단면이 아닌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대응되는 형상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건축내장재(300)의 물리적 화학적 기능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유지하면서 기계적인 결합도를 높여, 설치된 건축내장재(300)가 건축물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10)의 부착성과 장식성을 높이기 위한 접착부재 도포골(12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재 도포골(120)은 판재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200)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건축부재(10) 사이에 접착부재가 일정하게 도포되게 하여 도포된 접착부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성도 높이고, 흘러내린 접착부재를 제거하는 작업을 따로 하지 않아 시공속도로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접착부재는 건축용 접착제 및 도료, 실리콘, 데코 페인트 등이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부재는 부착된 부재를 분리하여 다른 부재로 교체가능한 구조이므로, 추후 부재의 교체를 고려해서 적절한 접착부재의 사용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건축물의 실내 장식과 같은 내부 인테리어 공사를 실용적인 면에서 장식적인 면을 보강해서 시공하는 추세이며, 기존의 건축물도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생활 편의성, 안락성과 같은 주거성을 높이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건축부재를 통해 건축물의 각종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 작업할 수 있다.
10 : 부재
20 : 고정부재
30 : 접착부재
100 : 판재부
110 : 관통구
120 : 접착부재 도포골
200 : 돌기부
210 : 돌기
220 : 걸림턱
300 : 건축내장재
310 : 결합홈
320 : 결합요홈
330 : 결합철홈
20 : 고정부재
30 : 접착부재
100 : 판재부
110 : 관통구
120 : 접착부재 도포골
200 : 돌기부
210 : 돌기
220 : 걸림턱
300 : 건축내장재
310 : 결합홈
320 : 결합요홈
330 : 결합철홈
Claims (8)
- 사각형 판재의 모양으로 전면에 돌기부(200)가 형성되고, 후면은 건축내장재(300)가 결합되는 판재부(100)와;
상기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에 부재(10)가 등간격으로 부착되게 하는 돌기부(200)와;
단열재 또는 방음재, 차단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판재부(100)의 후면에 전면이 결합되고, 후면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건축내장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00)는 판재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돌기(210)와; 상기 돌기(210)에 형성되어, 돌기(210)에 부착된 부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00)에 부착되는 부재(10)는 타일 또는 보드, 벽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100)는 전면에 복수의 관통구(110)가 형성되어 고정부재(20)에 의해, 후면이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00)의 형상은 T자형 또는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 또는 조합일 수 있고, 돌기부(200)의 형상에 따라 부착되는 부재(10)의 부착부 형상도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100)는 전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200) 사이에 부착되는 부재(10)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접착부재(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건축내장재(30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계단형 또는 요(凹), 철(凸)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타 건축내장재(300)의 상부와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200)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부재(10) 사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부재 도포골(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706A KR20180000355A (ko) | 2016-06-22 | 2016-06-22 | 건축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706A KR20180000355A (ko) | 2016-06-22 | 2016-06-22 | 건축부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355A true KR20180000355A (ko) | 2018-01-03 |
Family
ID=6100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7706A KR20180000355A (ko) | 2016-06-22 | 2016-06-22 | 건축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0355A (ko) |
-
2016
- 2016-06-22 KR KR1020160077706A patent/KR201800003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6060858A1 (en) | A cornice/skirting mounting system | |
EP1669514A1 (en) | Method and means for finishing a room | |
US6128793A (en) |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 |
US20160047117A1 (en) | Wall system and waterproof panel | |
EP2255045A1 (en) | Alumini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 |
US20240060311A1 (en) | Wall paneling system | |
KR20180000354A (ko) | 건축패널 | |
KR100832039B1 (ko) | 강화유리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 |
KR200457851Y1 (ko) | 자력 접착 타일 | |
US20090107083A1 (en) | Multicategory Collection of Ceiling/Wall Devices With Familial Appearances | |
KR20180000355A (ko) | 건축부재 | |
KR100845245B1 (ko) |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 |
US6442905B1 (en) |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 |
US11015346B2 (en) | Prefabricated tiling system and method | |
KR20180000356A (ko) | 건축용 부착판 | |
KR102210564B1 (ko) | 세라믹 타일 퍼티 공법 | |
RU49061U1 (ru) |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рофиля | |
US20130232904A1 (en) | Interchangeable decorative wall covering | |
CN211396370U (zh) | 一种工程家居挂墙结构 | |
KR101897579B1 (ko) | 부착형 건축부재 | |
RU2828303C1 (ru) |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разделительно-декоративного профиля к плоскости стены | |
JP5100344B2 (ja) | 建造物への建築用装飾材の取り付け構造 | |
KR20180042481A (ko) | 장식용 건축부재 | |
RU2816727C1 (ru) |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разделительно-декоративного профиля к плоскости потолка | |
CN214995421U (zh) | 一种多功能厨卫用复合壁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