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458A -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458A
KR20120094458A KR1020120081506A KR20120081506A KR20120094458A KR 20120094458 A KR20120094458 A KR 20120094458A KR 1020120081506 A KR1020120081506 A KR 1020120081506A KR 20120081506 A KR20120081506 A KR 20120081506A KR 20120094458 A KR20120094458 A KR 2012009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erracotta
fixing bracket
building
terracotta t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건
Original Assignee
문승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건 filed Critical 문승건
Priority to KR102012008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458A/ko
Publication of KR2012009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45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테라코타 타일을 건식 공법으로 시공할 때 테라코타 타일을 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의 테라코타 타일을 생산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후가공으로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요홈을 테라코타 타일의 성형과정에서 형성하여 테라코타 타일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건축물의 내,외벽에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는,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와 테라코타 타일과 테라코타 타일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세로방향 슬롯과 전후방향 슬롯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부면 일측에 요철홈이 형성되는 "┌"자형의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요철홈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버퍼실링부재로 부착되고, 세로방향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제2 고정 브래킷과; 세로방향 슬롯과 가로방향 슬롯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에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가 세로방향의 슬롯을 통해 와셔와 너트로 체결되고, 가로방향 슬롯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전후방향 슬롯을 통해 볼트 및 와셔와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자형의 제3 고정 브래킷과; 상기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 모서리부분과 중심부분에 유압프레스를 이용한 성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요홈을 구비한 볼트 결합요홈과; 상기 볼트 결합요홈에 일측 바깥둘레면에 다수의 걸림돌기를 구비한 선단부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에폭시접착제로 충진하여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의 세로방향 슬롯을 통해 와셔와 너트로 각각 체결되어 상기 테라코타 타일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Terracotta tiles fixed structure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외벽에 테라코타 타일을 건식 공법으로 시공할 때 테라코타 타일을 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의 테라코타 타일을 생산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후가공으로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요홈을 테라코타 타일의 성형과정에서 형성하여 테라코타 타일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건축물의 내,외벽에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 공사시에 도기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테라코타 타일(Terracotta tile)을 건축물의 내,외벽에 부착 고정하는 마감처리 공법에는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있으며, 습식 공법은 건축물 내,외벽과 테라코타 타일 사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접착용재로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으로서, 시멘트의 양생 시간이 길고 작업 및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비경제적이고 비생산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건축물 내,외벽과 테라코타 타일 사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테라코타 타일을 건축물의 내,외벽과 이격되게 부착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상기한 건식 공법으로 건축물의 내,외벽에 부착 고정되는 테라코타 타일은 알려진 바와 같이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1,000~1,450℃ 정도의 고온에서 소성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상기 테라코타 타일을 건식 공법으로 건축물의 내,외벽면 벽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해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에 고정부재를 부착 고정하기 위한 앵커너트 결합요홈 또는 고정볼트의 일단부를 접착제로 부착하기 위한 볼트 결합요홈을 모서리부분에 테라코타 타일을 생산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가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에 드릴로 결합요홈을 가공할 때 테라코타 타일에 드릴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테라코타 타일이 빈번하게 파손됨으로써 인건비, 자재비 증가 및 시공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 중 근래에 널리 이용되는 건식 공법에 사용되는 테라코타 타일과 이를 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안출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4073호(2010.09.29)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W)과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하나의 인서트 앵커(insert anchor, 103); 일단부(110a)는 상기 제1 스프링 앵커(101)에 고정되고 타단부(110b)는 상기 인서트 앵커(103)에 고정되되 상기 제2 외장패널(P2)을 향한 면에 요철홈(111)이 형성되는 앵글(angle, 110); 및 일단부(120a)는 상기 제2 스프링 앵커(102)에 고정되고 타단부(120b)는 상기 앵글(110)의 요철홈(111)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립(clip, 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를 인서트(insert)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을 생산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별도로 홀(Hole)을 가공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석재패널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시공에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게 되고, 성형 후 고온으로 소성되는 테라코타 타일에는 드릴가공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건축물의 내,외벽에 테라코타 타일을 건식 공법으로 시공할 때 테라코타 타일을 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의 테라코타 타일을 생산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후가공으로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요홈을 테라코타 타일의 성형과정에서 형성하여 테라코타 타일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2,3 고정 브래킷의 슬롯에 의해 전,후,좌,우 및 상,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보자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테라코타 타일을 건축물의 내,외벽에 고르게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작업할 수가 있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는,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와 테라코타 타일과 테라코타 타일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세로방향 슬롯과 전후방향 슬롯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부면 일측에 요철홈이 형성되는 "┌"자형의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요철홈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버퍼실링부재로 부착되고, 세로방향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제2 고정 브래킷과; 세로방향 슬롯과 가로방향 슬롯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에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가 세로방향의 슬롯을 통해 와셔와 너트로 체결되고, 가로방향 슬롯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전후방향 슬롯을 통해 볼트 및 와셔와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자형의 제3 고정 브래킷과; 상기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 모서리부분과 중심부분에 유압프레스를 이용한 성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요홈을 구비한 볼트 결합요홈과; 상기 볼트 결합요홈에 일측 바깥둘레면에 다수의 걸림돌기를 구비한 선단부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에폭시접착제로 충진하여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의 세로방향 슬롯을 통해 와셔와 너트로 각각 체결되어 상기 테라코타 타일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라코타 타일의 볼트 결합요홈에는 2개 이상의 걸림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 결합요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고정볼트의 일측 바깥둘레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테라코타 타일과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 사이에 개스킷이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의하면, 건축물의 내,외벽에 테라코타 타일을 건식 공법으로 시공할 때 테라코타 타일을 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의 테라코타 타일을 생산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타일의 배면에 다수가 형성되는 볼트 결합요홈을 테라코타 타일의 성형과정에서 형성하게 되므로 드릴가공이 필요 없게 되어 테라코타 타일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선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볼트가 걸림요홈이 구비된 테라코타 타일의 볼트 결합요홈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에폭시접착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고정볼트가 볼트 결합요홈으로부터 회전 및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어 테라코타 타일에 제1,2 고정 브래킷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건축물의 내,외벽면이 편평하지 않고 불규칙하더라도 제1,2,3 고정 브래킷의 슬롯에 의해 테라코타 타일의 전,후,좌,우 및 상,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테라코타 타일을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에 고르게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단축됨은 물론 시공에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타일의 결합홈에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발췌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제1 스프링 앵커 영역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와셔 영역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타일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타일의 결합홈에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발췌 확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W)와 테라코타 타일(T)과 테라코타 타일(T)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세로방향 슬롯(11)과 전후방향 슬롯(12)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부면 일측에 요철홈(13)이 형성되는 "┌"자형의 제1 고정 브래킷(10)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요철홈(13)에 하단부(22)가 삽입되어 버퍼실링부재(25)로 부착되고, 세로방향 슬롯(21)이 관통 형성되는 제2 고정 브래킷(20)과; 세로방향 슬롯(31)과 가로방향 슬롯(32)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W)에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51)가 세로방향의 슬롯(31)을 통해 와셔(56)와 너트(57)로 체결되고, 가로방향 슬롯(32)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전후방향 슬롯(12)을 통해 볼트(61) 및 와셔(66)와 너트(67)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W)에 고정설치되는 "┘"자형의 제3 고정 브래킷(30)과;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모서리부분과 중심부분에 유압프레스를 이용한 성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요홈(T2)을 구비한 볼트 결합요홈(T1)과; 상기 볼트 결합요홈(T1)에 일측 바깥둘레면에 다수의 걸림돌기(42)를 구비한 선단부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에폭시접착제(43)로 충진하여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의 세로방향 슬롯(11)(21)을 통해 와셔(46)와 너트(47)로 각각 체결되어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볼트(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41)는 다수의 걸림요홈(T2)을 구비한 볼트 결합요홈(T1)보다 작게 일측 바깥둘레면에 다수의 걸림돌기(42)가 구비된다. 이는 테라코타 타일(T)의 볼트 결합요홈(T1)에 상기 고정볼트(41)의 선단부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에폭시접착제(43)의 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과 제2 고정 브래킷(20)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압출한 다음 소정의 폭으로 절단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은 무게가 경량이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도 테라코타 타일(T)의 무게에 의해 제1 고정 브래킷(10)과 제2 고정 브래킷(20)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은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W)로부터 테라코타 타일(T)의 무게에 의한 하부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강도와 지지력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41)는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볼트 결합요홈(T1)에 에폭시접착제(43)로 부착 고정시킬 때 충격을 감소시켜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크랙(crack)이 생기거나 파손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테라코타 타일(T)로부터 고정볼트(4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합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인 PVC(Poly vinyl chloride)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볼트(41)에 삽입되는 와셔(46) 및 상기 고정볼트(4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47) 또한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과의 밀착력과 고정볼트(41)와의 체결력이 우수하도록 상기 고정볼트(41)와 동일한 재질인 PVC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볼트 결합요홈(T1)에는 2개 이상의 걸림요홈(T2)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 결합요홈(T1)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고정볼트(41)의 일측 바깥둘레면에 걸림돌기(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볼트 결합요홈(T1)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걸림요홈(T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트 결합요홈(T1)을 사각형, 오각 이상의 다각형, 양면 컷팅형으로 형성하고, 고정볼트(41)의 일측 바깥둘레면을 이들과 대응되게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볼트 결합요홈으로부터 고정볼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볼트(41)에 삽입되어 테라코타 타일(T)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 사이에 개스킷(45)이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스킷(45)은 상기 볼트 결합요홈(T1)에 충진된 에폭시접착제(43)를 밀폐하여 보호하고, 고정볼트(41)를 와셔(46)와 너트(47)로 체결할 때 테라코타 타일(T)에 제1 고정 브래킷(10)과 제2 고정 브래킷(20)이 누르게 되어 크랙(crack)이 생기거나 파손 등에 의해 테라코타 타일(T)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보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인 PVC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의 시공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테라코타 타일(T)의 배면에 다수의 걸림요홈(T2)이 구비된 볼트 결합요홈(T1)에 다수의 걸림돌기(42)가 구비된 고정볼트(41)의 선단부를 대응되게 각각 삽입한 후 상기 볼트 결합요홈(T1)에 에폭시접착제(43)를 충진하여 상기 고정볼트(41)를 볼트 결합요홈(T1)에 부착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41)의 다수의 걸림돌기(42)가 볼트 결합요홈(T1)의 걸림요홈(T2)에 걸려지지 되어 상기 고정볼트(41)가 테라코타 타일(T)의 볼트 결합요홈(T1)으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에폭시접착제(43)의 접합력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41)가 테라코타 타일(T)의 볼트 결합요홈(T1)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어 테라코타 타일(T)의 볼트 결합요홈(T1)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테라코타 타일(T) 배면의 볼트 결합요홈(T1)에 고정볼트(41)가 부착 고정되면 상기 고정볼트(41)에 개스킷(45)을 각각 삽입한 후 테라코타 타일(T)의 배면 모서리부분 상부측 볼트 결합요홈(T1)에 부착 고정된 고정볼트(41)에는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을 세로방향 슬롯(11)을 통해 끼운 후 와셔(46)와 너트(47)로 각각 결합하여 체결하고, 테라코타 타일(T)의 배면 모서리부분 하부측 볼트 결합요홈(T1)에 부착 고정된 고정볼트(41)에는 제2 고정 브래킷(20)을 세로방향 슬롯(21)을 통해 끼운 후 와셔(46)와 너트(47)로 각각 결합하여 체결하면, 상기 테라코타 타일(T)에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이 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배면 중심부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볼트(41)는 테라코타 타일(T)의 크기가 대형(약 가로 600㎜×세로 1,200㎜×두께 15㎜)일 경우에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W)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하기 위하여 주로 적용되며,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크기가 소형일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크기가 대형일 경우,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배면 중심부분의 볼트 결합요홈(T1)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볼트(41)에는 개스킷(45)을 삽입한 후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을 세로방향 슬롯(11)을 통해 끼우고 와셔(46)와 너트(47)로 결합하여 체결하면, 상기 테라코타 타일(T)에 제1 고정 브래킷(10)이 밀착 고정된다.
이후,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 벽체(W)에 부분적으로 매설된 앵커볼트(51)에 제3 고정 브래킷(30)을 세로방향 슬롯(31)을 통해 끼운 후 와셔(56)와 너트(57)로 결합하여 체결하면, 건축물 벽체(W)의 내벽 또는 외벽면에 제3 고정 브래킷(30)이 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3 고정 브래킷(30)을 건축물 벽체(W)의 내벽 또는 외벽면에 밀착 고정한 후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의 가로방향 슬롯(32)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전후방향 슬롯(12)을 통해 볼트(61)를 하방에서 상부로 끼운 후 와셔(66)와 너트(67)로 결합하여 체결하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이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과 겹친 상태로 밀착되게 연결 고정된다.
다음으로 테라코타 타일(T)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또 하나의 테라코타 타일(T)의 배면 모서리 부분의 하부측에 고정된 제2 고정 브래킷(20)의 하단부(22)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요철홈(13)에 삽입한 후 실리콘 등의 버퍼실링부재(25)로 고정함으로써,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W)에 테라코타 타일(T)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이 마무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요철홈(13)에 의해 상기 제2 고정 브래킷(20)의 하단부(22)를 좌우로 위치 조절하여 버퍼실링부재(25)로 고정하게 되면 테라코타 타일(T)의 외부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테라코타 타일(T)과 테라코타 타일(T)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르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세로방향 슬롯(11)과 제2 고정 브래킷(20)의 세로방향 슬롯(21)에 의해 고정볼트(41)에 체결된 너트(47)를 약간 풀어 고정볼트(41)와의 체결을 느슨하게 한 후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세로방향 슬롯(11)과 제2 고정 브래킷(20)의 세로방향 슬롯(21)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면 테라코타 타일(T)과 테라코타 타일(T) 사이의 거리만큼 상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의 가로방향 슬롯(32)과 제1 고정 브래킷(10)의 전후방향 슬롯(12)에 의해 볼트(61)에 체결된 너트(67)를 약간 풀어 볼트(61)와의 체결을 느슨하게 한 후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의 가로방향 슬롯(32)과 제1 고정 브래킷(10)의 전후방향 슬롯(12)을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의 가로방향 슬롯(32)에서 제1 고정 브래킷(10)의 전후방향 슬롯(12)을 전후로 이동시키면 테라코타 타일(T)과 테라코타 타일(T) 사이의 거리만큼 전후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의 가로방향 슬롯(32)에서 제1 고정 브래킷(10)의 전후방향 슬롯(12)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건축물의 벽체(W) 내,외벽면과 테라코타 타일(T) 사이의 거리만큼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고정 브래킷(30)의 세로방향 슬롯(31)에 의해 앵커볼트(51)에 체결된 너트(57)를 약간 풀어 앵커볼트(51)와의 체결을 느슨하게 한 후 상기 제3 고정 브래킷(30)의 세로방향 슬롯(31)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테라코타 타일(T)의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라코타 타일(T)과 테라코타 타일(T)의 간격 조절 및 테라코타 타일(T)의 위치 조절을 외부측의 작업자 방향에서 가까운 테라코타 타일(T)측에서 할 수 있어 초보자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제1 고정 브래킷 11,12,21,31,32 : 슬롯
13 : 요철홈 20 : 제2 고정 브래킷
22 : 하단부 25 : 버퍼실링부재
30 : 제3 고정 브래킷 41 : 고정볼트
42 : 걸림돌기 43 : 에폭시접착제
45 : 개스킷 46,56,66 : 와셔
47,57,67 : 너트 51 : 앵커볼트
61 : 볼트
T : 테라코타 타일 T1 : 볼트 결합요홈
T2 : 걸림요홈 W : 벽체

Claims (3)

  1.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W)와 테라코타 타일(T)과 테라코타 타일(T)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세로방향 슬롯(11)과 전후방향 슬롯(12)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부면 일측에 요철홈(13)이 형성되는 "┌"자형의 제1 고정 브래킷(10)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요철홈(13)에 하단부(22)가 삽입되어 버퍼실링부재(25)로 부착되고, 세로방향 슬롯(21)이 관통 형성되는 제2 고정 브래킷(20)과;
    세로방향 슬롯(31)과 가로방향 슬롯(32)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내,외벽 벽체(W)에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51)가 세로방향의 슬롯(31)을 통해 와셔(56)와 너트(57)로 체결되고, 가로방향 슬롯(32)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의 전후방향 슬롯(12)을 통해 볼트(61) 및 와셔(66)와 너트(67)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W)에 고정설치되는 "┘"자형의 제3 고정 브래킷(30)과;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배면 모서리부분과 중심부분에 유압프레스를 이용한 성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요홈(T2)을 구비한 볼트 결합요홈(T1)과;
    상기 볼트 결합요홈(T1)에 일측 바깥둘레면에 다수의 걸림돌기(42)를 구비한 선단부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에폭시접착제(43)로 충진하여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의 세로방향 슬롯(11)(21)을 통해 와셔(46)와 너트(47)로 각각 체결되어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볼트(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라코타 타일(T)의 볼트 결합요홈(T1)에는 2개 이상의 걸림요홈(T2)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 결합요홈(T1)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고정볼트(41)의 일측 바깥둘레면에 걸림돌기(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1)에 삽입되어 상기 테라코타 타일(T)과 제1 고정 브래킷(10) 및 제2 고정 브래킷(20) 사이에 개스킷(45)이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KR1020120081506A 2012-07-26 2012-07-26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Ceased KR20120094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06A KR20120094458A (ko) 2012-07-26 2012-07-26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06A KR20120094458A (ko) 2012-07-26 2012-07-26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458A true KR20120094458A (ko) 2012-08-24

Family

ID=4688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506A Ceased KR20120094458A (ko) 2012-07-26 2012-07-26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45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6815B1 (en) 2013-10-15 2014-08-19 Sunmodo Corporation Adjustable solar panel tile roof mounting device
US8839575B1 (en) 2013-10-15 2014-09-23 Sunmodo Corporation Adjustable solar panel tile roof mounting device
CN109339371A (zh) * 2018-11-19 2019-02-15 深圳市晶艺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陶土板砖安装结构及其制作工艺
CN110714584A (zh) * 2019-11-11 2020-01-21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可变式侧墙快速装饰龙骨架
KR20220036576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진동전달 차단부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ES2905173A1 (es) * 2020-10-07 2022-04-07 Casalgrande Padana Spa Producto de revestimiento y sistema de fijación respectivo
KR20220107416A (ko) 2021-01-25 2022-08-02 고재영 건축용 마감재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6815B1 (en) 2013-10-15 2014-08-19 Sunmodo Corporation Adjustable solar panel tile roof mounting device
US8839575B1 (en) 2013-10-15 2014-09-23 Sunmodo Corporation Adjustable solar panel tile roof mounting device
CN109339371A (zh) * 2018-11-19 2019-02-15 深圳市晶艺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陶土板砖安装结构及其制作工艺
CN110714584A (zh) * 2019-11-11 2020-01-21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可变式侧墙快速装饰龙骨架
KR20220036576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진동전달 차단부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ES2905173A1 (es) * 2020-10-07 2022-04-07 Casalgrande Padana Spa Producto de revestimiento y sistema de fijación respectivo
KR20220107416A (ko) 2021-01-25 2022-08-02 고재영 건축용 마감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4458A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US11828071B2 (en) Manufactured building panel assembly
KR102212515B1 (ko) 오메가홈 하지 멀리언 및 접합클립으로 구성된 테라코타 세라믹 패널용 내진 하지철물 유닛 및 그의 시공방법
CN110409740B (zh) 墙体调平总成以及安装方法
KR10169194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US20190119925A1 (en) Wall panel with rain screen
KR20160026508A (ko)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CN103362313B (zh) 模块化组合式保温幕墙板的组装方法
KR20110086311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9545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207212B1 (ko) 건축물의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20130087162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구조
KR101302552B1 (ko) 외장패널 고정 브래킷
US10196824B2 (en) Lining board, lining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ning board
CN207348352U (zh) 一种墙面多点挂扣龙骨组件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KR101730589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조립식 패널
JP5419185B2 (ja)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20180113242A (ko)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20140029665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213336B1 (ko) 내장용 석재 또는 타일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장용 석재 또는 타일류의 시공 방법
KR20130039454A (ko) 습식 외단열 앵글브라켓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