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394A -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 Google Patents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394A
KR20130042394A KR1020110106671A KR20110106671A KR20130042394A KR 20130042394 A KR20130042394 A KR 20130042394A KR 1020110106671 A KR1020110106671 A KR 1020110106671A KR 20110106671 A KR20110106671 A KR 20110106671A KR 20130042394 A KR20130042394 A KR 2013004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xterior
construction structure
screw
wal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Priority to KR102011010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394A/ko
Publication of KR2013004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6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벽체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체에 중간부재 및 외장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고정되는 벽체 시공 구조로서, 상기 벽체고정구는, 벽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벽체삽입부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재 상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체를 형성하고 있는 나사돌출부로 이루어진 벽체고정부; 및 상기 나사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의 내주면에 나사체를 형성하고 있는 나사결합부와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외장재가 결합되는 외장재결합부로 이루어진 벽체마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접착부재와 지지핀으로 시공되어 차음, 단열, 내구성 등의 문제로 인한 재시공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순차적 적층구조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벽체에 고정되는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벽체 고정구에 의해 종래의 접착부재의 사용을 제거함으로써, 불연성, 차음성, 단열성이 우수하며 용적률을 최소화하고, 종전 용접에 따른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기존 인테리어 구조물의 철거 없이 그 위에 바로 시공할 수 있어 공사기간 및 비용 단축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Construction structure of wall using wall fixation device}
본 발명은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용접에 의한 화재에 대한 안정성, 차음성, 단열성, 접착성, 경량성, 내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벽체를 고정하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업 용적률을 낮추도록 하기 위한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재를 이용한 인테리어를 하면서 기존 건물의 마감재 및 단열재 등을 제거하지 않고 바로 그 위에 시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 발생 없이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벽체(1) 시공을 위해 단열재(200)를 접착부재(400a, 400b)를 이용해 벽체(1)와 석고보드(300)에 붙이거나, 추가적으로 지지핀(500)을 이용하여 벽체(1)에 단열재(200) 및 외장재인 석고보드(300)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벽체 시공이 행해 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부재(400a, 400b)를 사용함으로써, 하루 정도 건조를 시켜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본딩된 면 중 본딩이 미흡한 부분은 떨어져서 재시공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지지핀(500)을 이용하는 도 2와 같은 경우에도, 지지핀(5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단열재(200)와 석고보드(300), 또는 접착부재(400a, 400b) 상에 설치되어야 하며, 별도의 구조물 없이 지지핀(500)을 고정할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열재(200)와 벽체(1) 및 석고보드(300) 간의 균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시공시 단열재(200)를 관통하여 지지핀(500)이 고정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지핀(500)을 지지하는 단열재(200)의 파손으로 일정 시간 경과 후 재시공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물(예, 스터드)를 이용하여 석고보드(300)를 사용할 경우 단열재(200)의 양 측면 또는 외부측면에 석고보드(300)가 붙여져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차음 및 단열이 미흡하고, 내구성 및 수분 침투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방법은 단열재가 밀실하게 설치되지 못해 열손실 및 결로의 원인이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외장재(600)를 벽에 부착하여 인테리어를 하는데 있어서도, 외장재(600)의 부착을 위하여 구조물(700)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의 설치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700)을 설치할 때 용접작업이 수반되므로 화재의 위험에 노출된다. 이외에도 새로이 인테리어를 하는 경우 종래 설치된 구조물(700) 및 외장재(600)를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 비용을 포함한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비용접에 의한 화재 안정성, 차음성, 단열성, 접착성, 경량성, 경제성, 내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시공을 더욱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 고정구를 사용함으로써, 접착부재와 지지핀으로 시공됨에 따른 차음, 단열, 내구성 등으로 인한 재시공시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순차적 적층구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벽체에 고정되는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 고정구에 의해 종래의 접착부재의 사용을 제거함으로써, 경량성, 차음성, 화재 안정성, 단열성이 우수하며 용적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재만을 이용할 경우에도 공간활용을 최대화하고 종래의 외장재에 비해 용적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한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인테리어 구조물을 제거하는 것 없이 종래의 인테리어 구조물 위에 바로 시공할 수 있어 편리성 및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의 단축시키기 위한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체에 중간부재 및 외장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고정되는 벽체 시공 구조로서, 상기 벽체고정구는, 벽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벽체삽입부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간부재 상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체 또는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나사돌출부로 이루어진 벽체고정부; 및 상기 나사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내주면에 나사체 또는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나사결합부와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외장재가 결합되는 외장재결합부로 이루어진 벽체마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통상적인 벽(wall), 천장, 바닥, 또는 상기 벽,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된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구조물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외장재 또는 상기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중간부재 사이에 상기 벽체결합부 또는 외장재결합부로 구성되고, 그 중심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의 내주면에 나사체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나사돌출부와 나사결합 또는 끼워맞춤결합하면서 상기 나사돌출부가 관통하는 중간고정구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제거되고 외장재만이 벽체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구의 벽체삽입부는 원통형, 다각통형 또는 앙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벽체삽입부가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상인 경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구의 나사돌출부는 외주면에 나사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구의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구의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에 외장재가 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외장재거치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장재거치부는 ㄴ자 또는 ㅏ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구의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이루지고, 상기 외장재결합부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구의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이의 중심부가 내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장재결합부의 중심부가 내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굴곡된 경우 상기 벽체고정구의 나사돌출부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구의 외장재결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결합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도록 하게 한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구의 외장재결합부는 상기 판형상의 내부에 자석이 내장되거나 상기 판형상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각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부의 외장재결합부와 상기 외장재의 결합은 나사, 못, 접착제, 타카핀, 자석 등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가 나사, 못 또는 타카핀인 경우 상기 외장재에 마감부재가 추가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단열재, 차음재, 불연재, 또는 이들의 혼합재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단열재 등의 유기단열재, 글라스울, 미네랄울 등의 무기단열재, 반사형단열재, 진공단열재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석재류, 시멘트계 보드, 금속강판, 알미늄복합패널, 세라믹패널, 인조대리석, 타일류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는, 벽체고정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접착부재와 지지핀으로 시공됨에 따른 차음, 단열, 내구성 등으로 인한 재시공시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용접이 불필요하므로 용접으로 인한 화재위험이 없으며, 순차적 적층구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벽체에 고정되는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는, 벽체고정구에 의해 종래 단열재 등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의 사용을 제거함으로써, 비용접으로 인한 화재안정성, 차음성, 단열성이 우수하며 용적률 및 원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는, 기존의 구조물 또는 외장재를 제거하지 않고 바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구조물 또는 외장재의 제거에 따른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 구조에서 사용되는 벽체고정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고정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결합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결합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벽체삽입부를 가진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나사돌출부를 가진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벽체 시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중간부재가 없으며, 마감재가 부가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고정구 및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 구조에서 사용되는 벽체고정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 구조에서 사용되는 벽체고정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고정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결합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결합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통상적인 벽(wall), 천장, 바닥, 또는 상기 벽,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구조물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외장재 또는 상기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고정구(10)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체고정구(10)는 크게 벽체고정부(13)와 벽체마감부(16)로 구성된다. 벽체고정부(13)는 벽체삽입부(11)와 나사돌출부(12)로 구성되며, 벽체마감부(16)는 나사결합부(14)와 외장재결합부(15)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벽체삽입부(11)는 벽체(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벽체(1)에 상기 벽체삽입부(11)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구멍을 뚫고 해머 등을 이용하여 억지끼워맞춤을 함으로써 벽체(1)에 고정되는 것과 셋앵커 방식으로 벽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억지끼워맞춤을 하는 경우 벽체삽입부(11)는 벽체삽입부(11)의 몸통에 일련의 홈(B) 또는 돌기(C)가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B) 또는 돌기(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이상이다. 또한, 상기 벽체삽입부(11)의 몸통은 원형 이외에도 삼각통형, 사각통형, 오각통형, 육각통형 등의 다각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셋앵커 방식으로 벽체(1)에 고정시키는 경우 벽체삽입부(11)는 앵커 형상(D 참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돌출부(12)는 상기 벽체삽입부(11)로부터 연장되어 벽체(1)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며, 원통 또는 다각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나사체(H) 또는 요철(F, G)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벽체마감부(16)의 나사결합부(14)와 나사결합을 하거나 요철에 의한 끼워맞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철은 외주면의 일부(G 참조) 또는 전체(F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사돌출부(12)는 상기 벽체삽입부(11)보다 그 지름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마감부(16)의 나사결합부(14)는 상기 벽체고정부(13)의 나사돌출부(12)와 나사결합 또는 끼워맞춤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원통 및 다각통 형상의 내주면에 나사체(I)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이상의 요철(K, J)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철은 상기 나사결합부(14)의 내주면 전체(F 참조) 또는 일부(G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나사결합부(14)의 내주면 일부에만 요철(J)이 형성된 경우 상기 벽체고정부(13)의 나사돌출부(12)도 그 외주면 일부에만 요철(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사돌출부(12)의 재질이 플라스틱류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나사돌출부(12)에 삽입된 나사결합부(14)가 억지 회전하면서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내주면에 요철이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장재결합부(15)는 상기 나사결합부(14)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일정한 두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외장재결합부(15)와 외장재(3)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달리 조절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m이다. 1m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는 외장재결합부(15)에 결합되는 외장재(3)의 무게 등으로 인하여 충분히 외장재(3)를 결합하여 지탱할 수 없으며, 오랜 시간의 경과 후에 변형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0mm를 초과하는 두께인 경우 공간의 낭비와 자중증가 및 공사비 증액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외장재결합부(15)의 판형상은 판의 중심부가 ㄷ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을 수 있는데(도 8 참조), 이 경우에는 상기 나사결합부(14)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결합부(15)의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상기 다각형의 예로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이 있다. 상기 다양한 모양에 의하여 상기 벽체마감부(16)를 벽체고정부(13)에 결합시킴에 있어서 손쉽게 상기 외장재결합부(15)를 손으로 잡고 결합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체(1)의 모서리와 같은 공간에도 적합한 외장재결합부(15)를 선택함으로써 시공되는 중간부재(2) 및 외장재(3)가 보다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외장재결합부(1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형상에 외장재(3)가 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외장재거치부(17)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거치부(17)는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ㄴ자 또는 ㅏ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장재거치부(17)는 외장재결합부(15)와 일체형이거나 별도의 나사, 못,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외장재결합부(15)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장제거치부(17)에 외장재(3)를 거치하고 나사, 못, 접착제, 타카핀, 자석 등의 다양한 결합부재에 의하여 외장재(3)를 고정함으로써 외장재(3)가 보다 안전하게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결합부(1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장재결합부(15)의 외측면에 요철(18) 또는 돌기(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18) 또는 돌기(19)에 의하여 상기 외장재결합부(15)에 접착제 등이 보다 잘 부착되어 외장재(3)가 보다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결합부(15)는 상기 외장재결합부(1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0)에 의하여 나사, 못 등의 결합부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 등의 결합부재가 상기 홀(20)로 흘러들어가 보다 견고하게 외장재(3)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결합부(1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의 내부에 자석(21)이 내장되거나 상기 판형상에 자석(21)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21)에 의하여 금속 재질의 외장재(3)가 상기 외장재결합부(15)와 자석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외장재(3)를 상기 외장재결합부(15)와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장재결합부(15)의 재질은 PE, PP, 나이론 등의 플라스틱 재질과 철, 아연도금된 금속,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 등이다. 상기 외장재결합부(15)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에는 결합부재로서 못, 나사 외에 자석을 외장재결합부(15)의 내부에 내장시켜 금속 재질의 외장재(3)와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외장재결합부(15) 또는 상기 외장재결합부(15)에 구비된 외장재거치부(17)는 외측면에 외장재(3)가 결합되는데, 이의 결합은 나사, 못, 접착제, 타카핀, 자석 등의 다양한 결합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나사, 못 또는 접착제의 결합부재(22)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외장재결합부(15) 또는 외장재거치부(17)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홀(20)에 의하여 나사 또는 못의 결합부재(22)가 용이하게 외장재(3), 및 외장재결합부(15) 또는 외장재거치부(17)를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하나의 예로서, 접착제의 결합부재(22)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외장재결합부(15) 또는 외장재거치부(17)의 외측면에 돌기(19) 또는 요철(18)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외장재(3)와 외장재결합부(15) 또는 외장재거치부(17)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1)와 중간부재(2) 사이에 도 16 내지 1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벽체고정구(10)의 벽체결합부(16, 34) 또는 외장재결합부(15, 35)만으로 구성되고, 그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체 또는 요철이 구비되어 나사돌출부(12)와 나사결합 또는 끼워맞춤결합하면서 상기 벽체고정구(10)의 나사돌출부(12)가 관통하도록 하는 중간고정구(30)를 하나 더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중간고정구(30)는 벽체(1)와 중간부재(2)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중간고정구(30)는 종래 벽체(1)에 시공된 구조물(700) 또는 외장재(600)를 제거하지 않고 그 위에 별도의 구조물(700), 중간부재(2) 또는 외장재(3)를 시공하는데 사용한다. 이때, 중간고정구(30)에 의하여 종래 벽체(1)에 시공되어 있던 구조물(700) 또는 외장재(600)에 새로운 구조물(700), 중간부재(2) 또는 외장재(3)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고정구(10)를 이용하여 벽체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벽체삽입부(11)를 가진 벽체고정구(10)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나사돌출부(12)를 가진 벽체고정구(10)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2의 벽체 시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벽체 시공 구조에 있어서 중간부재가 없으며, 마감재가 부가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6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중간고정구(30) 및 벽체고정구(10)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 구조는 벽체(1), 중간부재(2) 및 외장재(3)의 순으로 적층되며, 이들은 상기 본체고정구(10)에 의하여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벽체(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낸 후 각 구멍에 본체고정부(13)의 벽체삽입부(11)를 고정시킨 후 중간부재(2)를 본체고정부(13)의 나사돌출부(12)를 통과하여 벽체(1)에 밀착하여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나사돌출부(12)는 중간부재(2) 또는 중간부재(2)와 중간고정구(30)를 통과하여 돌출되거나 중간부재(2) 또는 중간고정구(30)와 동일한 평면상에 있도록 중간부재(2) 또는 중간부재(2) 및 중간고정구(30)의 두께에 적합한 크기의 본체고정부(1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나사돌출부(12)에 벽체마감부(16)의 나사결합부(14)를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워맞춤결합시켜 벽체고정부(13)와 벽체마감부(16)를 일체로 만든다. 이에 의하여 상기 중간부재(3)는 견고하게 벽체(1)에 밀착되어 부착되며, 벽체마감부(16)의 외장재결합부(15)만이 상기 중간부재(3)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후, 외장재(3)와 외장재결합부(15)의 결합 방식, 즉 결합부재의 종류에 따라 외장재결합부(15)에 외장재(3)를 결합한다. 하나의 예로서, 결합부재로 나사(22) 또는 못(22)을 사용하는 경우 외장재(3)를 관통하여 외장재결합부(15)에 용이하게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외장재결합부(15)에 홀(20)을 미리 형성하여 놓을 수도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서, 결합부재로 접착제(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 외장재결합부(15)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외장재(3)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서, 결합부재로 자석(21)을 사용하는 경우 자석 결합이 가능한 금속류로 제조된 외장재(3) 또는 자석이 부착된 외장재(3)를 이용하여 외장재결합부(15)와 외장재(3)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외장재(3)를 외장재결합부(15)와 결합을 한 후, 선택적으로 미관을 위하여 외장재(3) 위에 마감재를 도포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2)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벽체(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낸 후 각 구멍에 본체고정부(13)의 벽체삽입부(11)를 고정시킨 다음 중간고정구(30)를 본체고정부(13)의 나사돌출부(12)를 통과하여 벽체(1)에 밀착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벽체(1)에 시공된 구조물(700) 또는 외장재(600)를 제거하지 않고 그 위에 별도의 구조물(700), 중간부재(2) 또는 외장재(3)를 시공하기 위하여, 종래 벽체(1)에 시공된 구조물(700) 또는 외장재(600)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낸 후 각 구멍에 본체고정부(13)의 벽체삽입부(11)를 고정시킨 다음 중간고정구(30)를 본체고정부(13)의 나사돌출부(12)를 통과하여 벽체(1)에 밀착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시공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부재(2)는 벽체 시공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로서 단열재, 차음재, 불연재, 혼합재 등이 있다.
단열재의 경우 발포단열재 등의 유기단열재, 글라스울, 미네랄울 등의 무기단열재, 반사형단열재, 진공단열재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 단열재일 수 있다. 상기 발포 단열재는 시장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발포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환경 및 특성(단열성, 차음성, 흡음성 등)이 우수한 발포 단열재로서, 지분과 전분(여기서는, 옥수수 전분)과의 비율이 전체의 50중량%를 초과하여 구성된 발포 단열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포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 폐기시 또는 소각 시에 있어서,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고, 또 연소 시의 열량이 낮기 때문에 소각해도 노(爐)를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런 발포 단열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지분(紙粉, 종이가루)과 전분과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원료에 물을 가한 후 압출기로 압출 발포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분의 중량 1에 대해서, 상기 전분의 중량비율이 2 내지 3이 되도록 설정하고, 폴리프로필렌이 원료 전체의 45중량% 이상 47중량% 미만으로 설정되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유량(Melt Flow Rate)이 1 내지 15g/10min의 범위에 있는 것을 이용해서 제조하게 된다. 이 경우, 제조된 발포 단열재의 단열성은 0.045 W/m·K 내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부재(2)는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공되는 벽체(1)의 특성, 예를 들어 벽체(1) 자체에 단열 시공이 되어 있는 경우, 또는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부재(2)를 벽체고정부(13)의 나사돌출부(12)에 관통하여 벽체(1)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장재(3)는 석재류, 시멘트계 보드, 금속강판, 알미늄복합패널, 대리석패널, 세라믹패널, 인조대리석, 타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장재(3)가 외장재결합부(15)와 결합함에 있어서, 나사 또는 못 등의 외장재(3)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을 위하여 마감재(4)로 마감을 할 수 있다. 상기 마감은 마감재(4)의 종류에 따라 도포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재(4)는 상기 외장재(3)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예로서, 상기 외장재(3)가 인조대리석인 경우 상기 마감재(4)는 인조대리석 가루를 포함으로써 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벽체 2: 중간부재
3: 외장재 4: 마감재
10: 벽체고정구 11: 벽체삽입부
12: 나사돌출부 13: 벽체고정부
14: 나사결합부 15: 외장재결합부
16: 벽체마감부 17: 외장재거치부
18: 외장재결합부의 요철 19: 외장재결합부의 돌기
20: 홀 21: 자석
22: 결합부재 30: 중간고정구

Claims (17)

  1. 벽체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체에 중간부재 및 외장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고정되는 벽체 시공 구조로서,
    상기 벽체고정구는,
    벽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벽체삽입부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간부재 상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체 또는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나사돌출부로 이루어진 벽체고정부; 및 상기 나사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내주면에 나사체 또는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나사결합부와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외장재가 결합되는 외장재결합부로 이루어진 벽체마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중간부재 사이에 상기 벽체결합부 또는 외장재결합부로 구성되고, 그 중심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의 내주면에 나사체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나사돌출부와 나사결합 또는 끼워맞춤결합하면서 상기 벽체고정구의 나사돌출부가 관통하는 중간고정구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제거되고 외장재만이 벽체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삽입부는 원통형, 다각통형 또는 앙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삽입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돌출부는 외주면에 나사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이의 중심부가 내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에 외장재가 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외장재거치부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장재결합부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결합부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결합부는 상기 판형상의 내부에 자석이 내장되거나 상기 판형상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3.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부의 외장재결합부와 상기 외장재의 결합은 나사, 못, 접착제, 타카핀 및 자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선택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나사, 못 또는 타카핀인 경우 상기 외장재에 마감부재가 추가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단열재, 차음재, 불연재 또는 이들의 혼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석재류, 시멘트계 보드, 금속강판, 알미늄복합패널, 대리석패널, 세라믹패널, 인조대리석 또는 타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KR1020110106671A 2011-10-18 2011-10-18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KR20130042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671A KR20130042394A (ko) 2011-10-18 2011-10-18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671A KR20130042394A (ko) 2011-10-18 2011-10-18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394A true KR20130042394A (ko) 2013-04-26

Family

ID=4844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671A KR20130042394A (ko) 2011-10-18 2011-10-18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39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137B1 (ko) * 2013-08-26 2014-06-12 원진홈플랜(주) 강재 구조물의 마감패널 고정구
KR101406142B1 (ko) * 2013-08-26 2014-06-27 원진홈플랜(주) 건축구조물의 마감패널 고정구
KR20180007764A (ko) * 2016-07-14 2018-01-24 (주)뉴마이하우스 건물용 복합 차단재
KR101898179B1 (ko) * 2018-04-05 2018-09-12 신용활 벽체타일 시공장치
CN109653384A (zh) * 2019-01-22 2019-04-19 南京能益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结构
KR101991673B1 (ko) * 2018-10-12 2019-06-21 이지범 중단열벽체 시공용 거푸집구조
KR20190070435A (ko) * 2017-12-13 2019-06-21 정진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EP4092210A1 (de) * 2021-05-20 2022-11-23 MM Infra GmbH & Co. KG Befestigungsmittel für das aufhängen von schallabsorbern, befestigungssystem und schallschutz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137B1 (ko) * 2013-08-26 2014-06-12 원진홈플랜(주) 강재 구조물의 마감패널 고정구
KR101406142B1 (ko) * 2013-08-26 2014-06-27 원진홈플랜(주) 건축구조물의 마감패널 고정구
KR20180007764A (ko) * 2016-07-14 2018-01-24 (주)뉴마이하우스 건물용 복합 차단재
KR20190070435A (ko) * 2017-12-13 2019-06-21 정진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KR101898179B1 (ko) * 2018-04-05 2018-09-12 신용활 벽체타일 시공장치
KR101991673B1 (ko) * 2018-10-12 2019-06-21 이지범 중단열벽체 시공용 거푸집구조
CN109653384A (zh) * 2019-01-22 2019-04-19 南京能益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结构
CN109653384B (zh) * 2019-01-22 2024-04-19 南京市合创巴索环保节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固定结构
EP4092210A1 (de) * 2021-05-20 2022-11-23 MM Infra GmbH & Co. KG Befestigungsmittel für das aufhängen von schallabsorbern, befestigungssystem und schallschutz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2394A (ko) 벽체고정구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KR101669522B1 (ko) 방수, 방화, 단열, 장식 효과가 있는 일체형 발포유리판
KR100979376B1 (ko) 건축용 기능성 복합패널
KR101501810B1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CN110439169A (zh) 一种纸面石膏板吊顶施工工艺
KR101393616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AU2010352423B2 (en) Building panel or building panel set, fastening system for a building panel, and method for fastening a building panel
WO2010030206A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US20140065349A1 (en) Reinforced architectural panel
KR100832039B1 (ko) 강화유리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20160115107A (ko) 패시브형 단열타일과 이를 이용한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200072758A (ko)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CN110670765B (zh) 室内无缝拼接二次轻质隔墙系统及隔墙的快速施工方法
WO2007051588A1 (en) Drywalls joint
KR102011301B1 (ko) 날개빔 트러스를 이용한 친환경 벽체와 앵글
ES2532748B1 (es) Sistema para el revestimiento con placas de superficies verticales y fachadas ventiladas
KR20130097027A (ko) 내외벽마감재용 복합보드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27962A (ko)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KR20210094342A (ko) 화스너 조립부품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 공법
ES2399790B1 (es) Tabiques termo-aislantes
KR20180000355A (ko) 건축부재
JP2009138409A (ja) 建造物への建築用装飾材の取り付け構造
JP3177400U (ja) 外断熱材用タイルパネル
KR20120094663A (ko) 패널 이음새용 초배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