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962A -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962A
KR20160127962A KR1020150059547A KR20150059547A KR20160127962A KR 20160127962 A KR20160127962 A KR 20160127962A KR 1020150059547 A KR1020150059547 A KR 1020150059547A KR 20150059547 A KR20150059547 A KR 20150059547A KR 20160127962 A KR20160127962 A KR 2016012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concrete wall
hollow bolt
wal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규
Original Assignee
(주)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은 filed Critical (주)성은
Priority to KR102015005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962A/ko
Publication of KR2016012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또는 황토로 제작한 블록이나 패널(이하 '마감재'라 합니다)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콘크리트 벽체의 굴곡에 관계없이 들쑥날쑥하지 않고 가지런히 마감재가 싸여 미관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한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concrete wall finishing materials}
본 발명은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또는 황토로 제작한 블록이나 패널(이하 '마감재'라 합니다)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콘크리트 벽체의 굴곡에 관계없이 들쑥날쑥하지 않고 가지런히 마감재가 싸여 미관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한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 주차장 또는 팔로티 구조(1층 벽면은 다 뚫려있고 기둥으로 지탱하고 있는 구조로서 1층이 주차장 역할을 함)는 결로 또는 단열을 위해 벽체에 스티로폼재질의 마감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스티로폼재질은 화재에 취약하여 화재 시 주차장을 순식간에 태우게 된다. 대표적인 경우가 필로티 구조의 의정부 아파트에서 1층 오토바이가 발화되어 순식간에 전 층으로 번져 많은 인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를 방지하여 위한 마감재로 결로 및 화재에 강한 무기질 재료의 ALC 판넬을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하는 기술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900호에 공지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로 방지를 위하여 지하주차장의 벽체(30) 외측면에 공간부를 갖도록 결로수 방지용 판넬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결로수 방지 벽체구조는, 상기 지하주차장의 벽체(30) 외측면과 일정간격(5-15cm)의 공간부를 갖도록 결로 방지용 판넬(10)을 부착하되, 상기 결로방지용 판넬(10)은 사각형상의 판넬(10) 양 측면에 아래에서 위로 길게 요홈부(11)를 갖는 테두리부재(19)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19)의 요홈부(11)에는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를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20)의 타측 단부(22)는 시멘트 못(40)이나 볼트로 벽체에 고정토록 한 것이다.
양측변에 테두리부재(19)를 일체로 결합하는 결로 방지용 판넬(10)은 EVA 수지조각(14)이 포함된 경량기포콘크리트(15)로 몸체를 구성하되, 몸체 양 측면에는 보강매쉬(16)를 부착하고, 상기 보강매쉬(16)에는 시멘트 몰탈(17)을 도포한 후 수성페인트(18)로 표면처리하고, 몸체 상단과 하단에 보강판(12)(13)을 덧씌워 형성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벽체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와 타측 단부(21) 사이의 연결 브라켓이 그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벽체의 면이 상하 또는 수평으로 고르지 못하는 경우 도 11과 같이 전면에서 보면 판넬(10)들이 가지런해 보이지만, 옆에서 보면 들쑥날쑥 가지런하지 못하게 되어 미관을 해친다.
또한, 판넬(10)은 양 측면에서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어도 브라켓(20)이 좌우 1개씩으로 못(40)질도 2번은 해야 한다(종래의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좌우 각각 2씩 총 4개의 브라켓이 사용되어 못질은 4번 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90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체의 면 상태에 관계없이 마감재가 들쑥날쑥하지 않고 가지런히 놓이면서도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고정이 확실한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벽체에 마감재를 고정하는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의 전후면을 관통한 관통공에 삽입되는 너트형 슬라브와,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의 후면에 닿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진 제1마감재 고정부;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타단에 체결되는 축볼트와, 상기 축볼트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의 전면에 닿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진 제2마감재 고정부;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마감재의 후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이동되게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일단에 체결되며, 일단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닿고 타단에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되는 중공볼트바;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타단에서 상기 중공볼트바로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박혀 상기 중공볼트바를 지지하는 스크루앙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앙카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뚫은 구멍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앙카와, 상기 중공볼트바의 타단에 걸린 채 상기 플라스틱 앙카에 박히는 나사못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벽체에 굴곡이 있어도 그 굴곡을 중공볼트바의 전후 길이 조절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닿게 할 수 있어서, 마감재를 가지런히 쌓아도 뒤로 넘어지지 받칠 수 있다.
또한, 마감재의 중심에 관통공만 뚫어 고정장치를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좌우측면에서 지지하는 것보다는 스크루 박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2마감재 고정부는 마감재를 잡아주고, 제1,2마감재 고정부는 중공볼트바가 잡아주고, 중공볼트바는 나사못이 잡아주고, 나사못은 플라스틱 앙카가 잡아주고, 플라스틱 앙카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기 때문에, 마감재가 콘크리트 벽체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의 분해 및 결합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시공 순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에 의해 벽체가 들쑥날쑥하여도 마감재들이 가지런히 쌓인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브라켓을 이용한 결로방지용 판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11은 종래 판넬들이 놓인 사용 상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의 분해 및 결합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시공 순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에 의해 벽체가 들쑥날쑥하여도 마감재들이 가지런히 쌓인 상태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콘크리트 벽체(1)와 마감재(5)에 대해 설명한다.
콘크리트 벽체(1)는 지하주차장 또는 필로티 건축물과 같은 기존 구조물이다.
마감재(5)는 불연재질이면서 단열성 및 결로 방지에 우수한 ALC 또는 황토 재질의 블록이나 판넬 형태로 제작된다.
마감재(5)가 콘크리트 벽체(1)와 마주보는 면을 후면(또는 일단)(5b), 그 반대편 면을 전면(또는 타단)(5a)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마감용 고정장치(100)가 조립되기 전, 도 3과 같이 콘크리트 벽체(1)에는 전기 드릴 등으로 뚫어 관통되지 않은 구멍(3)이 형성되고, 마감재(5)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관통공(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7)의 전후 끝면에는 플랜지 타입의 전후측 홈(8)(9)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마감용 고정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콘크리트 벽체 마감용 고정장치(100)는 크게 마감재 고정부(200)와, 콘크리트 벽체(1)와 마감재(5)의 후면(5b)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중공볼트바(250)와, 콘크리트 벽체(1)에 대해 중공볼트바(250)를 지지시키는 스크루 앙카(270)로 구성되어 있다.
마감재 고정부(200)는 제1마감재 고정부(210)와 제2마감재 고정부(230)로 이루어진다.
제1마감재 고정부(210)는 마감재(5)의 관통공(7)에 삽입되는 너트형 슬라브(211)와, 너트형 슬라브(211)의 일단 외주에 형성되어 마감재(1)의 후면에 닿는 제1플랜지(213)로 이루어진다.
너트형 슬라브(211)는 중공의 관으로서 그 내주면에 암나사(211a)가 형성되어 있다.
제1플랜지(213)는 너트형 슬라브(211)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판 형상으로, 마감재(1)의 후측 홈(9)에 수용되어 걸림으로써 마감재(5)의 후면(5b)을 받치는 후측 받침턱의 기능을 한다.
제2마감재 고정부(230)는 너트형 슬라브(211)의 타단에 체결되는 축볼트(231)와, 축볼트(231)의 타단에 형성되어 마감재(5)의 전면에 닿는 제2플랜지(233)로 이루어진다.
축볼트(231)는 축의 외주면에 수나사(231a)가 형성되어 있다.
제2플랜지(233)는 제1플랜지(213)와 마찬가지로 축볼트(231)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판 형상으로, 마감재(5)의 전측 홈(8)에 수용되어 걸림으로써 마감재(5)의 전면(5a)을 받치는 전측 받침턱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1플랜지(213)와 제2플랜지(233)는 마감재(5)의 전후(5a)(5b)측에 걸려 받침으로써 마감재(5)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중공볼트바(250)는 너트형 슬라브(211)의 일단측에 체결되어 있다.
즉, 중공볼트바(250)는 수나사(251a)가 형성되는 중공볼트(251)와, 중공볼트(251)의 일단에 형성되며 중공볼트(251)의 직경보다 약간 큰 단차 형식으로 돌출디스크(253)로 이루어진다.
돌출디스크(253)는 너트형 슬라브(211)의 일단에 걸리게 해서, 중공볼트바(250)가 너트형 슬라브(211) 내로 들어가 숨는 것을 방지하여 확인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디스크(253)는 콘크리트 벽체(1)에 닿아 받치게 하는 받침대 역할e도 그 면적을 좀더 크게 해서 받는 압력도 크게 한다.
중공볼트바(250)의 타단에는 일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들어가는 공구삽입홈(255)이 180도 간격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볼트바(250)는 콘크리트 벽체(1)와 마감재(5)의 후면(5b) 사이의 간격에 따라 이동되어 콘크리트 벽체(1)에 닿게 되면, 콘크리트 벽체(1)의 면이 들쑥날쑥하여도 각 마감재(5)의 중공볼트바(250)의 닿는 길이만 달라질 뿐 마감재(5)들의 수평 또는 수직으로 가지런하게 정렬시킨 채 중공볼트바(250)가 마감재 고정부(200)를 당기는 자세로 지지시킬 수 있다.
스크루 앙카(270)는 콘크리트 벽체(1)에 뚫은 구멍(3)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앙카(271)와, 중공볼트바(250)의 타단에 걸린 채 플라스틱 앙카(271)에 박히는 나사못(27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명 칼블럭이라 불리는 플라스틱 앙카(271)는 콘크리트 벽체(1)에 뚫린 구멍(3)을 먼저 넣고 그 안에 나사못(273)을 박는다. 그러면 벽 속에 들어간 플라스틱 앙카(271)의 플라스틱 부분이 볼록하게 되어 콘크리트를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나사못(273)의 머리부(273a)가 중공볼트바(250)의 타단(252)에 걸려 콘크리트 벽체(1)에 대해 마감재(5)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전술한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마감재(5)들을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 지지하는 시공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관통공(7)과 전후측 홈(8)(9)이 있는 마감재(5)들을 준비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중공볼트바(250)가 체결된 상태의 제1마감재 고정부(210)를 관통공(7)과 후측 홈(9)에 미리 끼워 넣은 마감재(5)들이 준비되어도 좋다. 이때,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제1마감재 고정부(210)를 고정시키는 게 좋다.
즉, 제1마감재 고정부(210)의 제1플랜지(213)가 후측 홈(9)에 걸릴 때까지 너트형 슬라브(211)를 관통공(7)에 삽입한다.
한편, 마감재(5)가 놓일 때 관통공(7)의 중심측과 맞는 높이의 콘크리트 벽체(1)에 전기 드릴 등으로 구멍(3)을 내고, 그 구멍(3)에 플라스틱 앙카(271)를 넣는다.
다음에, 일자 드라이버를 너트형 슬라브(211) 내에 삽입하여 중공볼트바(251)의 공구삽입홈(255)에 끼운 후, 중공볼트바(251)의 돌출디스크(253)가 콘크리트 벽체(1)에 닿을 때까지 돌린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돌출디스크(253)가 콘크리트 벽체(1)에 닿으면, 도 6과 같이 나사못(273)을 너트형 슬라브(211)와 중공볼트바(250)의 삽입하여 플라스틱 앙카(271)가 구멍(3) 내에 박히도록 십자 드라이버로 돌려 체결시킨다.
나사못(273)의 박히는 깊이는 나사못(273)의 머리부(273a)가 중공볼트바(250)의 타단에 걸릴 때까지이다.
나사못(273)이 플라스틱 앙카(271)에 체결 고정되면, 도 7과 같이 제2마감재 고정부(230)를 제1마감재 고정부(210)의 타측에 체결한다.
즉, 제2마감재 고정부(230)의 제2플랜지(233)가 전측 홈(8)에 걸릴 때까지 제2마감재 고정부(230)의 볼트(231)가 너트형 슬라브(211)의 타단에 체결된다.
이때도 제2마감재 고정부(230)에도 접착제 등을 도포해서 체결하면 임의로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감재 고정부(200)는 중공볼트바(250)가 콘크리트 벽체(1)에 닿은 채 지지되고, 중공볼트바(250)는 나사못(273)의 머리부(273a)가 걸려 당긴 채 플라스틱 앙카(271)에 고정되고, 플라스틱 앙카(271)는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됨으로써, 마감재(5)들이 안정적으로 쌓이게 된다.
또한, 일자 드라이버로 중공볼트바(250)를 돌려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1)와 마감재(5)들의 후면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지 안 해도(도 8 참조), 그 불규칙한 거리를 각 마감재(5)들의 중공볼트바(250)의 길이로 맞출 수 있어, 마감재(5)들을 가지런히 쌓으면서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 : 콘크리트 벽체 3 : 구멍
5 : 마감재 7 : 관통공
8,9 : 전후측 홈 100 : 고정장치
200 : 마감재 고정부 210 : 제1마감재 고정부
211 : 너트형 슬라브 213 : 제1플랜지
230 : 제2마감재 고정부 231 : 축볼트
233 : 제2플랜지 250 : 중공볼트바
251 : 중공볼트 253 : 돌출디스크
255 : 공구삽입홈 270 : 스크루 앙카
271 : 플라스틱 앙카(칼블럭) 273 : 나사못

Claims (2)

  1. 콘크리트 벽체에 마감재를 고정하는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의 전후면을 관통한 관통공에 삽입되는 너트형 슬라브와,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의 후면에 닿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진 제1마감재 고정부;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타단에 체결되는 축볼트와, 상기 축볼트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의 전면에 닿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진 제2마감재 고정부;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마감재의 후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이동되게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일단에 체결되며, 일단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닿고 타단에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되는 중공볼트바;
    상기 너트형 슬라브의 타단에서 상기 중공볼트바로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박혀 상기 중공볼트바를 지지하는 스크루앙카;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앙카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뚫은 구멍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앙카와, 상기 중공볼트바의 타단에 걸린 채 상기 플라스틱 앙카에 박히는 나사못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KR1020150059547A 2015-04-28 2015-04-28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KR2016012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47A KR20160127962A (ko) 2015-04-28 2015-04-28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47A KR20160127962A (ko) 2015-04-28 2015-04-28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62A true KR20160127962A (ko) 2016-11-07

Family

ID=5752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547A KR20160127962A (ko) 2015-04-28 2015-04-28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9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9Y1 (ko) 2019-02-28 2019-12-13 주식회사 신우산업 철근 볼트 고정 복합 너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900A (ko) 2007-08-13 2009-02-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900A (ko) 2007-08-13 2009-02-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9Y1 (ko) 2019-02-28 2019-12-13 주식회사 신우산업 철근 볼트 고정 복합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956B2 (en) Cladding assembly
CA3037074C (en) Clips for thin brick wall system
US20100229484A1 (en) Cladding panel
US20150007522A1 (en) Frame system
US20150096256A1 (en) System for installing and securing construction materials
US20200399896A1 (en) Ceiling system
KR20200049806A (ko) 표준 체결구를 수용하는 탄성 벽판 설치 채널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KR20160127962A (ko)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US20090107083A1 (en) Multicategory Collection of Ceiling/Wall Devices With Familial Appearances
US20040200184A1 (en) Support device for orthogonal mounting of sheet material
KR101846366B1 (ko) 조립식 데크 구조체
JP4138757B2 (ja) 建物外壁部への装飾部材の施工構造および装飾部材
KR20110004758U (ko) 복합단열패널
GB2518556A (en) Combination plate
KR20210136300A (ko) 시공이 간편한 건축 내,외장용 마감 패널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127580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KR20130127194A (ko) 천정몰딩 시공구조
WO2019164408A1 (en) An assembly system and device
JP2012077574A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101444278B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시공장치
KR20170001288A (ko) 건축물의 실내 가벽 설치용 조립 몰딩
KR101541382B1 (ko) 건축물의 내,외장용 조립식 마감재
US20230167645A1 (en) Hollow Building Surface Panel and Building Surface System
JP2017082577A (ja) 内装壁装置、内装壁構造及び内装壁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