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366B1 - 조립식 데크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데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366B1
KR101846366B1 KR1020170053693A KR20170053693A KR101846366B1 KR 101846366 B1 KR101846366 B1 KR 101846366B1 KR 1020170053693 A KR1020170053693 A KR 1020170053693A KR 20170053693 A KR20170053693 A KR 20170053693A KR 101846366 B1 KR101846366 B1 KR 101846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oard
steel pipe
structural steel
deck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테크우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테크우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테크우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5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는, 벽면에 장착되어 상기 벽면의 외장을 형성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구조용 강관, 상기 구조용 강관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데크보드, 상기 구조용 강관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제2 데크보드,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1 데크보드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1 데크보드의 상부측 및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2 데크보드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크보드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1 연장부, 상기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제1-1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연장부, 상기 제1-1 연장부와 상기 제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3 연장부 및 상기 제1-3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제1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데크보드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2-1 연장부, 상기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제2-1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2-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2 연장부, 상기 제2-1 연장부와 상기 제2-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2-3 연장부 및 상기 제2-3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제2 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데크 구조체{Prefabricated deck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데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벽면에 장착되어 벽면의 외장을 형성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테라스, 등산로 또는 호수나 강가의 산책로 및 희귀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는 자연지역에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이 설치되어 여가 공간 및 자연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변 경관을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때, 조립식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데크보드는 일반적으로 목재가 주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소재 자체가 일반인들에게 친근감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주변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 조립식 목재 데크구조물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의 데크보드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과 데크보드를 결합, 고정하는 시공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조립식 목재 데크 구조물(한국등록특허 제10-0975953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합성수지재,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재에 기존의 데크 구조물은 단순히 시공 대상체인 바닥, 천장, 벽 등에 지지목을 고정시킨 후, 그 지지목 위에 데크재를 배열하여 고정 네일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현재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데크 구조물은 다양한 치수와 형상의 시공 대상물에 시공시 데크 원자재를 일일이 재단하여 지지목과 짜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할 뿐 아니라, 데크재를 시공 대상물 또는 지지목 상에 고정 시 사용되는 고정 네일이 데크재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그로 인한 부식으로 인해 안전성 및 미관상 불리함은 물론, 노출된 네일의 부식으로 데크재 노출 표면 또한 부식 및 변색되는 결함으로 인해 건축물의 구조 및 미관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또한, 상기 구성이 데크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도, 다양한 치수와 형태의 데크 원자재를 일일이 재단하여 시공대상물 또는 시공 대상물 상의 지지목에 단순히 네일 고정하므로, 시공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시공 후 구조물자체의 부착 안정성 및 치수 안정성 등이 불안하며, 하자 보수 시공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벽면 등의 데크보드를 시공하는 공수를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마 감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는, 벽면에 장착되어 상기 벽면의 외장을 형성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벽면의 크기에 따라 벽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구조용 강관;
상기 구조용 강관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데크보드;
상기 구조용 강관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제2 데크보드;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1 데크보드의 하부측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데크보드의 길이만큼의 폭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데크보드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1 데크보드의 상부측 및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2 데크보드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크보드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1 연장부, 상기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제1-1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연장부, 상기 제1-1 연장부와 상기 제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3 연장부 및 상기 제1-3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제1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데크보드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2-1 연장부, 상기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제2-1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2-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2 연장부, 상기 제2-1 연장부와 상기 제2-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2-3 연장부 및 상기 제2-3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데크보드와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경우, 상기 제1-3 연장부는 상기 제2-2 연장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1 연장부는 상기 제1 함입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한 나사에 의해 상기 구조용 강관에 접촉된 채, 고정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2 연장부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제1 포위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포위부를 연결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된 채, 상기 제1 데크보드로부터 상기 구조용 강관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탄성 변형되어 상기 외력을 감쇠시키고,
상기 제1 포위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1 돌출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2 연장부의 일측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2 연장부의 타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돌출부연결부는 상기 제1-2 연장부의 밑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데크보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상기 제2 연결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한 나사에 의해 상기 구조용 강관에 접촉된 채, 고정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3 연장부 및 상기 제2-2 연장부를 포위하는 제2 포위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포위부를 연결하는 제2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포위부는, 상기 제1-3 연장부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제2-1 포위부 및 상기 제2-2 연장부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제2-2 포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제2-1 포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1 완충부 및 상기 제2-2 포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2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완충부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2 완충부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데크보드 및 상기 제2 데크보드로부터 상기 구조용 강관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상기 제2-1 포위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 제4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4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2 돌출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 및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2-1 연장부와 상기 제1-3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제1-3 연장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3 연장부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연결부는 상기 제1-3 연장부의 상측면에 접촉된 채, 상기 제1 데크보드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상기 제2-2 포위부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5 돌출부, 제6 돌출부 및 상기 제5 돌출부와 상기 제6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3 돌출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 및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5 돌출부는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2-2 연장부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6 돌출부는 상기 제2-2 연장부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3 돌출부연결부는 상기 제2-2 연장부의 밑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2 데크보드를 지지하고, 상기 제2 돌출부연결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연결부는 동일한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1 포위부가 상기 제1-3 연장부를 포위한 경우, 상기 체결홀과 상기 제1-3 연장부에 동시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상기 제2 데크보드의 상부측과 상기 구조용 강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구조용 강관에 장착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홀과 상기 구조용 강관에 동시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구조용 강관에 고정되고, 상기 구조용 강관으로부터 상기 제2 데크보드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벽면 등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데크보드를 시공하는 공수를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마감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보드의 지지 및 데크보드 간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여, 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감타일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가 적용된 벽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데크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제2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가 적용된 벽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데크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1)는 벽면에 장착되어 벽면의 외장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립식 데크 구조체(1)는 벽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구조용 강관(30), 구조용강관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데크보드(10), 구조용 강관(30)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제2 데크보드(20), 구조용 강관(30)과 제1 데크보드(10)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40) 및 구조용 강관(30)과 제1 데크보드(10)의 상부측 및 구조용 강관(30)과 제2 데크보드(20)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50)를 포함한다.
구조용 강관(30)은 벽면의 크기에 따라 벽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구조용 강관(30)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데크보드(10)는 제1 베이스부(10), 제1 베이스부(10)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1 연장부(12), 제1 베이스부(10)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제1-1 연장부(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1-1 연장부(1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연장부(13), 제1-1 연장부(12)와 제1-2 연장부(1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14), 제1 베이스부(10)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3 연장부(15) 및 제1-3 연장부(15)에 의해 형성된 제1 함입부(16)를 구비한다.
제1 데크보드(10)와 제2 데크보드(20)는 벽면에 부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타일 등을 의미한다. 제1 베이스부(10)는 편평한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 너비와 일정 두께를 갖는 목재 판넬일 수 있다.
제1-1 연장부(12)는 제1 베이스부(10)의 전방면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제1 베이스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연장부(13)는 제1 베이스부(10)의 후방면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제1-1 연장부(12)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제1-1 연장부(12)와의 사이에 제1 삽입홈(14)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1-2 연장부(13)의 길이는 제1-1 연장부(12)의 길이보다 짧다.
제1 삽입홈(14)은 제1-1 연장부(12)와 제1-2 연장부(13)에 의해 형성된 홈으로, 홈의 높이는 이하 설명할 제1 연결부(40)의 제1 돌출부(421)의 두께의 크기와 같거나 크다.
제1-3 연장부(15)는 제1 베이스부(10)의 후방면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제1-3 연장부(15)에 의해 전방면에는 제1 함입부(16)가 형성된다.
제1 함입부(16)는 제1 베이스부(10)의 전방면으로부터 함입된 형태이다.
제2 데크보드(20)는, 제2 베이스부(21), 제2 베이스부(21)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2-1 연장부(22),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제2-1 연장부(2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2-1 연장부(2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2 연장부(23), 제2-1 연장부(22)와 제2-2 연장부(2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24), 제2 베이스부(21)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2-3 연장부(25) 및 제2-3 연장부(25)에 의해 형성된 제2 함입부(26)를 구비한다.
제2 데크보드(20)는 제1 데크보드(10)와 동일한 형태이며, 제2 베이스부(21), 제2-1 연장부(22), 제2-2 연장부(23), 제2 삽입홈(24), 제2-3 연장부(25) 및 제2 함입부(26)는 상술한 제1 베이스부(10), 제1-1 연장부(12), 제1-2 연장부(13), 제1 삽입홈(14), 제1-3 연장부(15) 및 제1 함입부(16)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데크보드(10)와 제2 데크보드(20)가 제2 연결부(50)에 의해 연결된 경우, 제1-3 연장부(15)는 제2-2 연장부(23)와 대향하며, 제2-1 연장부(22)는 제1 함입부(16)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데크 구조체(1)는 벽면에 제1 데크보드(10)와 제2 데크보드(20)를 설치함에 있어서, 필요한 구조용 강관(30) 및 구조용 강관(30)과 제1 데크보드(10) 및 제2 데크보드(20)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1)의 제1 연결부(4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홀(411)이 구비되어 제1 관통홀(411)을 관통한 나사(R)에 의해 구조용 강관(30)에 접촉된 채, 고정되는 제1 접촉부(41), 제1 접촉부(41)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2 연장부(13)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제1 포위부(42) 및 제1 접촉부(41)와 제1 포위부(42)를 연결하는 제1 완충부(43)를 구비한다.
제1 접촉부(41)는 제1 데크보드(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관통홀(411)에 삽입된 나사(R)에 의해 구조용 강관(30)에 고정된다.
제1 관통홀(411)은 제1 접촉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위부(42)는 제1 데크보드(10)의 제1 -2 연장부를 포위한 채, 제1 데크보드(10)의 하측에서 제1 데크보드(10)의 무게를 지탱한다.
또한, 제1 완충부(43)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된 채, 제1 데크보드(10)로부터 구조용 강관(30)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탄성 변형되어 외력을 감쇠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부(43)는 제1 포위부(42)에 의해 지지된 제1 데크보드(10)의 무게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에 기인하여 구현된다.
만약, 제1 완충부(43)가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면, 제1 포위부(42)로부터 전달된 외력에 제1 포위부(42)와 제1 접촉부(41)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이 용이하여, 안정적으로 제1 데크보드(10)를 지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제1 완충부(43)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제1 포위부(42)로부터 전달된 외력에 안정적으로 제1 데크보드(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포위부(42)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421), 제2 돌출부(422) 및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를 연결하는 제1 돌출부연결부(423)를 구비한다.
제2 돌출부(422)는 제1 완충부(43)와 연결되며, 제1 돌출부(421)는 제2 돌출부(422)와 제1 돌출부연결부(423)를 통해 연결된다.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연결부(423)는 제1-2 연장부(13)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1 포위부(42)에 삽입된 제1-2 연장부(13)의 밑면과 접촉된다.
제1-2 연장부(13)는 제1 포위부(4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40)에 의해 제1 데크보드(10)가 구조용 강관(30)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돌출부(421)는 제1-2 연장부(13)의 일측면과 접촉된 채, 제1 삽입홈(14)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422)는 제1-2 연장부(13)의 타측면과 접촉되며, 제1 돌출부연결부(423)는 제1-2 연장부(13)의 밑면과 접촉된 채, 제1 데크보드(10)를 지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제2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1)의 제2 연결부(5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홀(511)이 구비되어 제2 관통홀(511)을 관통한 나사(R)에 의해 구조용 강관(30)에 접촉된 채, 고정되는 제2 접촉부(51), 제2 접촉부(51)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제1-3 연장부(15) 및 제2-2 연장부(23)를 포위하는 제2 포위부(52) 및 제2 접촉부(51)와 제2 포위부(52)를 연결하는 제2 완충부(53)를 구비한다.
제2 접촉부(51)는 제1 데크보드(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관통홀(511)에 삽입된 나사(R)에 의해 구조용 강관(30)에 고정된다.
제2 관통홀(511)은 제2 접촉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포위부(52)는 제1-3 연장부(15)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제2-1 포위부(52a) 및 제2-2 연장부(23)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제2-2 포위부(52b)를 구비한다.
제2-1 포위부(52a) 및 제2-2 포위부(52b)는 "H" 모양으로 형성된다. "H" 모양에서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가 제2-1 포위부(52a)이며, "H" 모양에서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가 제2-2 포위부(52b)이다.
구체적으로, 제2-1 포위부(52a)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521), 제4 돌출부(522) 및 제3 돌출부(521)와 제4 돌출부(522)를 연결하는 제2 돌출부연결부(523)를 구비한다.
제3 돌출부(521)는 제2 완충부(53)와 연결되며, 제4 돌출부(522)는 제3 돌출부(521)와 제2 돌출부연결부(523)를 통해 연결된다.
제3 돌출부(521)와 제4 돌출부(522)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연결부(523)는 제1-3 연장부(15)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2-1 포위부(52a)에 삽입된 제1-3 연장부(15)의 상면과 접촉된다.
제1-3 연장부(15)는 제2-1 포위부(52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부(50)에 의해 제1 데크보드(10) 및 제2 데크보드(20)가 구조용 강관(30)에 연결되는 경우, 제3 돌출부(521)는 제2-1 연장부(22)와 제1-3 연장부(15) 사이에 배치된 채, 제1-3 연장부(15)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제4 돌출부(522)는 제1-3 연장부(15)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제2 돌출부연결부(523)는 제1-3 연장부(15)의 상측면에 접촉된 채, 제1 데크보드(10)를 지지한다.
또한, 제2-2 포위부(52b)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5 돌출부(524), 제6 돌출부(525) 및 제5 돌출부(524)와 제6 돌출부(525)를 연결하는 제3 돌출부연결부(526)를 구비한다.
제5 돌출부(524)는 제2 완충부(53)와 연결되며, 제6 돌출부(525)는 제5 돌출부(524)와 제3 돌출부연결부(526)를 통해 연결된다.
제5 돌출부(524)와 제6 돌출부(525)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돌출부연결부(526)는 제2-2 연장부(23)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2-2 포위부(52b)에 삽입된 제2-2 연장부(23)의 밑면과 접촉된다.
제2-2 연장부(23)는 제2-2 포위부(52b)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부(50)에 의해 제1 데크보드(10) 및 제2 데크보드(20)가 구조용 강관(30)에 연결되는 경우, 제5 돌출부(524)는 제2 삽입홈(24)에 삽입된 채, 제2-2 연장부(23)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제6 돌출부(525)는 제2-2 연장부(23)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제3 돌출부연결부(526)는 제2-2 연장부(23)의 밑면과 접촉된 채, 제2 데크보드(20)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2 돌출부연결부(523) 및 제3 돌출부연결부(526)는 동일한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H" 형상의 제2 포위부(52) 중 가로선은 제2 돌출부연결부(523) 및 제3 돌출부연결부(526)로 동일한 부재일 수 있으나, 각각이 형성되어 접착된 상태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3 돌출부(52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홀(H1)이 형성되어 제2-1 포위부(52a)가 제1-3 연장부(15)를 포위한 경우, 체결홀(H1)과 제1-3 연장부(15)에 동시에 삽입되는 나사(R)에 의해 제1 데크보드(10)에 고정된다.
제2 완충부(53)는 제2-1 포위부(52a)와 제2 접촉부(51)를 연결하는 제2-1 완충부(53a) 및 제2-2 포위부(52b)와 제2 접촉부(51)를 연결하는 제2-2 완충부(53b)를 구비한다.
제2-1 완충부(53a)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제2-2 완충부(53b)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제1 데크보드(10) 및 제2 데크보드(20)로부터 구조용 강관(30)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외력을 감쇠시킨다.
제2 완충부(53)는 제2 데크보드(20)의 무게를 구조용 강관(30)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제1 데크보드(10)로부터 구조용 강관(30)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제1 데크보드(10) 또는 제2 데크보드(20)가 파손/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1 완충부(53a)는 상측 방향으로, 제2-2 완충부(53b)는 하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이 구조용 강관(30)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완충부(53a) 및 제2-2 완충부(53b)는 외력에 의한 탄성 변형에, 제2 접촉부(51) 및 제2 포위부(52) 사이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됨으로써, 탄성 변형에 의한 힘점이 제2 접촉부(51) 및 제2 포위부(52) 사이로 집중되도록 하여, 데크보드로부터 인가된 외력이 제2 접촉부(51)를 통해 구조용 강관(30)에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제2-1 완충부(53a)는 하측 방향으로, 제2-2 완충부(53b)는 상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제2 접촉부(51) 및 제2 포위부(52) 사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됨으로써, 탄성 변형에 의한 힘점이 제2 접촉부(51) 및 제2 포위부(52) 사이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데크보드로부터 인가된 외력이 제2 접촉부(51)로 집중되도록 할 수 없으며, 이는 제2 완충부(53)의 하중 부하를 높여 제2 완충부(53)의 파손/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완충부(53)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1 완충부(53a)는 상측 방향으로, 제2-2 완충부(53b)는 하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체(1)를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벽면에 구조용 강관(30)을 설치한다. 구조용 강관(30)은 벽면의 폭에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구조용 강관(30)은 제1 구조용 강관(31), 제2 구조용 강관(32) 및 제3 구조용 강관(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벽면에 구조용 강관(30)이 설치되면, 구조용 강관(30)의 하부측에 제1 연결부(40)를 연결한다. 이 때, 제1 접촉부(41)는 제1 관통홀(411)을 관통한 나사(R)에 의해 구조용 강관(30)에 고정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제1 데크보드(10)의 제1-2 연장부(13)가 제1 포위부(42)에 삽입되도록 위치하여 제1 데크보드(10)를 제1 연결부(40)와 연결시킨다.
이 때, 제1 데크보드(10)의 제1-2 연장부(13)의 밑면은 제1 돌출부연결부(423)와 접촉되어 제1 데크보드(10)의 하중이 제1 연결부(40)를 통해 구조용 강관(30)에 전달된 채, 지지된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제1 데크보드(10)의 상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연결부(50)를 구조용 강관(30)에 고정시킨다.
제2 연결부(50)는 제2 관통홀(511)에 삽입된 나사(R)에 의해 구조용 강관(30)에 고정되며, 이 때 제1-3 연장부(15)는 제2-1 포위부(52a)에 삽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50)의 제2-2 포위부(52b)에 제2 데크보드(20)의 제2-2 연장부(23)가 삽입된 채, 지지된다.
또한, 제2-1 연장부(22)는 제1 함입부(16)에 수용되어, 제1 베이스부(10)의 전방면과 제2 베이스부(21)의 전방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제2 데크보드(20)는 제2-2 포위부(52b)의 밑면은 제3 돌출부연결부(526)에 접촉된 채, 지지된다.
또한, 제2 데크보드(20)의 상측 영역과 구조용 강관(30) 사이에는 간격유지부(60)가 배치된다.
간격유지부(60)는 제2 제크보드의 상부측과 구조용 강관(3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데크보드(20)가 구조용 강관(3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조용 강관(30)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간격유지부(6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중공홀(H2)이 형성되어 중공홀(H2)과 구조용 강관(30)에 동시에 삽입되는 나사(R)에 의해 구조용 강관(30)에 고정되고, 구조용 강관(30)으로부터 제2 데크보드(20)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간격유지부(60)에 의해 제2 데크부도의 하부측과 상부측은 구조용 강관(30)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조립식 데크 구조체
10: 제1 데크보드
20: 제2 데크보드
30: 구조용 강관
40: 제1 연결부
50: 제2 연결부
60: 간격유지부

Claims (10)

  1. 벽면에 장착되어 상기 벽면의 외장을 형성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벽면의 크기에 따라 벽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구조용 강관;
    상기 구조용 강관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데크보드;
    상기 구조용 강관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제2 데크보드;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1 데크보드의 하부측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데크보드의 길이만큼의 폭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데크보드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1 데크보드의 상부측 및 상기 구조용 강관과 상기 제2 데크보드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크보드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1 연장부, 상기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제1-1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연장부, 상기 제1-1 연장부와 상기 제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3 연장부 및 상기 제1-3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제1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데크보드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2-1 연장부, 상기 하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제2-1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2-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2 연장부, 상기 제2-1 연장부와 상기 제2-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2-3 연장부 및 상기 제2-3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데크보드와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경우, 상기 제1-3 연장부는 상기 제2-2 연장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1 연장부는 상기 제1 함입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한 나사에 의해 상기 구조용 강관에 접촉된 채, 고정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2 연장부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제1 포위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포위부를 연결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된 채, 상기 제1 데크보드로부터 상기 구조용 강관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탄성 변형되어 상기 외력을 감쇠시키고,
    상기 제1 포위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1 돌출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2 연장부의 일측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2 연장부의 타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돌출부연결부는 상기 제1-2 연장부의 밑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데크보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한 나사에 의해 상기 구조용 강관에 접촉된 채, 고정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3 연장부 및 상기 제2-2 연장부를 포위하는 제2 포위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포위부를 연결하는 제2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포위부는,
    상기 제1-3 연장부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제2-1 포위부 및 상기 제2-2 연장부가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제2-2 포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제2-1 포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1 완충부 및 상기 제2-2 포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2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완충부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2 완충부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데크보드 및 상기 제2 데크보드로부터 상기 구조용 강관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외력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포위부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 제4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4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2 돌출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 및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2-1 연장부와 상기 제1-3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제1-3 연장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3 연장부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연결부는 상기 제1-3 연장부의 상측면에 접촉된 채, 상기 제1 데크보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포위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5 돌출부, 제6 돌출부 및 상기 제5 돌출부와 상기 제6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3 돌출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 및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5 돌출부는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2-2 연장부의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6 돌출부는 상기 제2-2 연장부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3 돌출부연결부는 상기 제2-2 연장부의 밑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2 데크보드를 지지하고,
    상기 제2 돌출부연결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연결부는 동일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1 포위부가 상기 제1-3 연장부를 포위한 경우, 상기 체결홀과 상기 제1-3 연장부에 동시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제1 데크보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크보드의 상부측과 상기 구조용 강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데크보드가 상기 구조용 강관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구조용 강관에 장착되되, 벽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연결부와 일정 폭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홀과 상기 구조용 강관에 동시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구조용 강관에 고정되고, 상기 구조용 강관으로부터 상기 제2 데크보드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체.
KR1020170053693A 2017-04-26 2017-04-26 조립식 데크 구조체 KR10184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93A KR101846366B1 (ko) 2017-04-26 2017-04-26 조립식 데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93A KR101846366B1 (ko) 2017-04-26 2017-04-26 조립식 데크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366B1 true KR101846366B1 (ko) 2018-05-28

Family

ID=6245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693A KR101846366B1 (ko) 2017-04-26 2017-04-26 조립식 데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3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7776A (en) * 2020-08-05 2022-02-09 Kevington Building Products Ltd A cladding assembly
CN114856111A (zh) * 2022-03-22 2022-08-05 深圳市隆金达实业有限公司 大规格薄板铺贴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314Y1 (ko) * 2005-06-01 2005-08-31 최치정 충격 흡수가 가능한 벽체용 패널 조립체
KR200465304Y1 (ko) * 2010-11-12 2013-02-12 (주)휴그린하이테크 건물 외벽의 사이딩 패널 조립구조
JP6012113B2 (ja) * 2014-01-31 2016-10-25 浦谷商事株式会社 型内脱着式刻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314Y1 (ko) * 2005-06-01 2005-08-31 최치정 충격 흡수가 가능한 벽체용 패널 조립체
KR200465304Y1 (ko) * 2010-11-12 2013-02-12 (주)휴그린하이테크 건물 외벽의 사이딩 패널 조립구조
JP6012113B2 (ja) * 2014-01-31 2016-10-25 浦谷商事株式会社 型内脱着式刻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7776A (en) * 2020-08-05 2022-02-09 Kevington Building Products Ltd A cladding assembly
CN114856111A (zh) * 2022-03-22 2022-08-05 深圳市隆金达实业有限公司 大规格薄板铺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856111B (zh) * 2022-03-22 2024-04-09 深圳市隆金达实业有限公司 大规格薄板铺贴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9410C (en) Clips for thin brick wall system
AU2018238972A1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0825883B1 (ko) 건축물의 슬라이딩식 목재데크판 고정 구조
KR101846366B1 (ko) 조립식 데크 구조체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KR102095981B1 (ko) 데크의 탄성 고정이 가능한 데크클립을 가지는 데크 시스템
KR101312955B1 (ko) 목재 체결용 티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US8046966B2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RU2457301C2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ая монтажная скоб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отолочной подвески к балкам междуэтаж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KR100999373B1 (ko) 목재 데크를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와 클립
JP2010007446A (ja) 外壁材取付金具及び外壁材取付構造
KR101045941B1 (ko) 건축물의 천장패널 고정 구조
KR20100131845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1166849B1 (ko) 바닥재용 고정구
JP5266115B2 (ja) 外壁材取付金具及び外壁材取付構造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210046911A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100336382B1 (ko) 옹벽 거푸집 브라켓 및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0940333B1 (ko) 경사부를 갖는 바닥시공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2659326B1 (ko) 내진 및 내풍압용 금속 천장재 시스템
KR20140127580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KR102598100B1 (ko) 단차진 천장 마감을 위한 고정클립을 이용한 단차 형성 천장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15889240U (zh) 一种腰线线条
KR101154421B1 (ko) 천정 패널 설치구
KR2003436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